KR102105507B1 - 보냉 용기 - Google Patents

보냉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5507B1
KR102105507B1 KR1020180171691A KR20180171691A KR102105507B1 KR 102105507 B1 KR102105507 B1 KR 102105507B1 KR 1020180171691 A KR1020180171691 A KR 1020180171691A KR 20180171691 A KR20180171691 A KR 20180171691A KR 102105507 B1 KR102105507 B1 KR 102105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surface
refrigerant
space
receiving portion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1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신
송영아
김소정
김지나
유형철
김재선
Original Assignee
김신
제이투에이치바이오텍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신, 제이투에이치바이오텍 (주) filed Critical 김신
Priority to KR1020180171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55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5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5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4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not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02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ice, e.g. ice-boxes
    • F25D3/06Movable containers
    • F25D3/08Movable containers portable, i.e. adapted to be carried person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3/00Details of 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tails of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2303/08Devices using cold storage material, i.e. ice or other freezable liquid
    • F25D2303/083Devices using cold storage material, i.e. ice or other freezable liquid using cold storage material disposed in closed wall forming part of a container for products to be cooled
    • F25D2303/0831Devices using cold storage material, i.e. ice or other freezable liquid using cold storage material disposed in closed wall forming part of a container for products to be cooled the liquid is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walls of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ckage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보냉 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냉 용기는, 대상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용부; 수용부와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수용부에 결합되는 테두리부; 및 공간에 주입되는 냉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보냉 용기{COOLING CONTAINER}
본 발명은, 보냉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각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보냉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과 같은 음료를 적정 온도로 유지시키기 위해 냉각 수단이 구비된 보냉 용기가 사용된다. 즉, 용기가 냉각 수단에 접촉되고 용기에 음료가 유입되면 냉각 수단의 냉기에 의해 음료가 상온보다 낮은 적정 저온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냉각 수단이 구비된 보냉 용기에서 냉매의 냉각 전의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 냉각 수단이 구비된 보냉 용기에서 냉매의 냉각 후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보냉 용기(1)에서 냉매(5)가 수용된 팩케이스(3)에 식기(2)가 접촉되어 있다. 식기(2)에는 음료를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음식이 인입될 수 있다. 팩케이스(3)에는 냉각 전보다 냉각 후 부피가 팽창하는 물질의 냉매(5)가 주입되어 있다. 이때, 냉매(5)는 팩케이스(3) 내부의 상측에 접촉되지 않을 정도의 양만큼 팩케이스(3) 내부에 주입된다. 만약, 도 1 및 도 2의 냉매(5)가 팩케이스(3)의 상측에 접촉되도록 팩케이스(3) 내부에 주입된다면, 냉매(5)의 냉각시 냉매(5)의 부피 팽창으로 인해 팩케이스(3)의 형상이 변형되거나, 팩케이스(3)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냉매(5)의 부피의 팽창 전과 팽창 후 모두에서 냉매(5)가 팩케이스(3)에 접촉되지 않을 정도의 양만큼의 냉매(5)가 팩케이스(3)에 주입된다. 즉, 냉매(5)의 팽창에 의해 팩케이스(3)가 형상 변형 내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냉매(5)가 팽창하더라도 팩케이스(3)에 닿지 않을 정도의 양만큼의 냉매(5)를 팩케이스(3) 내부에 주입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냉매(5)가 냉각되어도 도 2에서와 같이 냉각된 냉매(5)와 팩케이스(3)의 상측이 서로 접촉하지 않으므로 팩케이스(3)의 상측과 냉각된 냉매(5) 사이에 공기층(7)이 형성된 공간이 존재하며, 공기층(7)의 단열 작용에 의해 냉각된 냉매(5)로부터 냉기의 전달이 원활하지 않아서 식기(2)와 냉매(5)의 열전달 효율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기술의 경우, 식기(2)와 냉매(5) 사이의 공기층(7)의 존재로 인해 냉매(5)에 의한 식기(2)의 냉각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 공개번호:제10-2007-0092020호(공개일자:2007년09월12일)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냉각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보냉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냉매의 냉각시 용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보냉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대상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와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수용부에 결합되는 테두리부; 및 상기 공간에 주입되는 냉매를 포함하는 보냉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매는 냉각시 부피가 팽창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부는, 바닥에 형성된 제1 형성면; 상기 제1 형성면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 형성면; 및 상기 제2 형성면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수용부에 결합되는 제3 형성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2 형성면에 나란하도록 상기 제3 형성면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4 형성면; 및 상기 제1 형성면에 나란하도록 상기 제4 형성면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5 형성면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간은, 상기 제1 형성면과 상기 제5 형성면 사이에 형성된 제1 공간; 및 상기 제2 형성면과 상기 제4 형성면 사이에 형성된 제2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공간에는 적어도 냉매가 존재하고, 상기 제2 공간에는 적어도 공기가 존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공간에 존재하는 냉매는 냉각 전 상기 제5 형성면에 접촉되고, 상기 냉매의 냉각으로 부피가 팽창하면 상기 냉매가 상기 제2 공간으로 이동하여 냉각이 완료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공간에 존재하는 냉매는 냉각 전 상기 제5 형성면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고, 상기 냉매의 냉각으로 부피가 팽창하면 상기 냉매가 상기 제5 형성면에 접촉할 뿐만 아니라 제2 공간으로 이동하여 냉각이 완료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매가 냉각되어 부피가 팽창하더라도 상기 수용부 및 상기 테두리부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공간에 존재하는 냉매가 냉각되어 부피가 팽창한 만큼 상기 제2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가 압축되어 부피가 수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형성면과 상기 제5 형성면을 연결하며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에는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부와의 사이에 공기가 존재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테두리부에 결합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에 수용될 수 있는 식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냉각된 냉매가 용기에 접촉될 수 있으므로 냉각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냉매가 냉각되더라도 다른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냉매의 냉각시 용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냉각 수단이 구비된 보냉 용기에서 냉매의 냉각 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냉각 수단이 구비된 보냉 용기에서 냉매의 냉각 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냉 용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냉 용기의 분리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냉 용기에서 냉매의 냉각 전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냉 용기에서 냉매의 냉각 후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냉 용기에서 냉매의 냉각 후의 결합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결합' 또는 '연결'이라는 용어는, 하나의 부재와 다른 부재가 직접 결합되거나,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의 부재가 이음부재를 통해 다른 부재에 간접적으로 결합되거나,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냉 용기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냉 용기의 분리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냉 용기에서 냉매의 냉각 전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냉 용기에서 냉매의 냉각 후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냉 용기(10)는, 수용부(100)와, 테두리부(200)와, 냉매(300)를 포함하며, 케이스(500) 또는 식기(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100)는 대상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대상물은 각종 식품과 음료수 등 다양할 수 있다. 한편, 대상물은 반드시 식품과 음료수일 필요는 없으며, 저온으로 유지되어야 하는 다양한 물품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수용부(10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3에서와 같이 단면이 원형이며 보냉 용기(10)의 내측으로 오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수용부(100)의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수용부(100)의 형상은 이보다 다양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수용부(100)는 제4 형성면(110)과, 제5 형성면(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4 형성면(110)은 후술하는 테두리부(200)의 제2 형성면(220)에 나란하도록 제3 형성면(230)으로부터 절곡되어 도 4를 기준으로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5 형성면(120)은 후술하는 테두리부(200)의 제1 형성면(210)에 나란하도록 제4 형성면(110)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수용부(100)는 보냉 용기(10)의 내측으로 오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100)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로 제작될 수 있으며, 다만, 수용부(100)의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테두리부(200)는 수용부(100)와의 사이에 공간(400, 도 4 참조)이 형성되도록 수용부(100)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테두리부(200)는 수용부(100)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테두리부(200)와 수용부(100) 사이에 형성된 공간(400)에는 공기(700, 도 5 및 도 6 참조)가 존재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테두리부(200)는 제1 형성면(210)과, 제2 형성면(220)과, 제3 형성면(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형성면(210)은 바닥에 형성되어 테두리부(200)의 바닥을 형성한다. 제2 형성면(220)은 제1 형성면(210)으로부터 절곡되어 도 4를 기준으로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형성면(230)은 제2 형성면(220)으로부터 절곡되어 수용부(100)의 제4 형성면(110)에 결합될 수 있다. 테두리부(200) 역시 수용부(100)와 마찬가지로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로 제작될 수 있으며, 다만, 테두리부(200)의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냉매(300)는 테두리부(200)와 수용부(100) 사이에 형성된 공간(400)에 주입된다. 도면에 표시되지는 않았지만, 테두리부(200)와 수용부(100) 중 적어도 하나에는 냉매(300)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가 형성된다. 여기서, 냉매(300)는 냉각시 부피가 팽창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냉매(300)는 각종 물 내지 증류수일 수 있고, 또는 물과 다른 물질의 혼합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냉매(300)는 증류수와, 소디움폴리아크릴레이트와, 글리세롤과, 폴리에틸렌글리콜과, 방부제 등의 혼합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냉매(300)는, 증류수 30-70%, 소디움폴리아크릴레이트0.5-20%, 글리세롤 0-50%, 폴리에틸렌글리콜 0-10%, 방부제 0.01-0.5%의 범위에서 적절히 섞어서 제조될 수 있다. 다만, 냉매(300)의 혼합 성분이 상기 성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냉각시 부피가 팽창하고 냉각 후 냉기를 제공하는 다양한 물질이 냉매에 포함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테두리부(200)와 수용부(100) 사이에 형성된 공간(400)은 제1 형성면(210) 및 제5 형성면(120) 사이에 형성된 제1 공간(410)과, 제2 형성면(220) 및 제4 형성면(110) 사이에 형성된 제2 공간(4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제1 공간(410)에는 적어도 냉매(300)가 존재하고, 제2 공간(420)에는 적어도 공기(700)가 존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 설명하면, 도 5에서와 같이, 제1 공간(410)에는 냉각 전의 냉매(300)가 제5 형성면(120)에 접촉되도록 주입될 수 있다. 즉, 액체 상태로 제1 공간(410)에 주입된 냉매(300)는 액체 상태에서 제5 형성면(120)에 접촉된다. 이 경우, 제1 공간(410)에는 냉매(300)만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제2 공간(420)에는 공기(700)만 존재할 수도 있고, 또는 공기(700)와 약간의 냉매(300)가 함께 존재할 수도 있다. 그리고, 냉매(300)가 냉각되어 부피가 팽창하면 냉각이 진행되는 냉매(300)가 도 6에서와 같이 제2 공간(420)으로 이동하여 냉각이 완료된다. 이에 대해 설명하면, 냉매(300)가 냉각이 진행되더라도 완전히 냉각되기 전에는 유동이 가능하므로, 냉매(300)의 냉각 중 제1 공간(410)에 있는 냉매(300)가 팽창하면서 제2 공간(420)으로 이동하여 도 6에서와 같이 완전히 냉각된다. 즉, 제2 공간(420)은 냉각되는 냉매(300)의 부피가 팽창할 때를 대비한 완충공간(400)으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한편, 공기(700)는 냉각되면 부피가 감소하므로, 냉각으로 부피가 팽창된 냉매(300)는 공기(700)의 부피가 감소한 공간(400)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냉각에 의해 냉매(300)의 부피가 팽창하더라도 공기(700)의 부피는 감소하므로, 수용부(100) 또는 테두리부(200)에 공기(700)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형성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만약, 수용부(100) 또는 테두리부(200)에 공기(700)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된다면 냉매가 배출구를 통해 유출될 수도 있고, 미관상으로도 불리하므로, 배출구를 형성하지 않고도 냉매(300)의 부피 팽창시 완충이 가능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냉 용기(10)는, 배출구가 형성된 보냉 용기에 비해 기능상 뛰어난 효과를 가진다. 즉, 제1 공간(410)에 존재하는 냉매(300)가 냉각되어 부피가 팽창한 만큼 제2 공간(420)에 존재하는 공기(700)의 부피가 수축되므로, 냉매(300)가 냉각되어 부피가 팽창하더라도 수용부(100) 또는 테두리부(200)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냉각에 따른 공기(700)의 부피 감소량과 냉매(300)의 부피 팽창량에 대한 적절한 비율은 냉매(300)의 냉각 온도와, 보냉 용기(10)의 크기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실험에 의해 냉매(300)의 주입량과, 공간(400)에 존재하는 공기(700)의 양이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공간(420)이 냉매(300)의 부피 팽창에 대비한 완충공간(400)으로서의 기능을 가지므로, 냉매(300)가 팽창하더라도 수용부(100)와 테두리부(200)의 파손 내지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즉, 냉각되고 있는 냉매(300)가 제2 공간(420)으로 이동하므로 수용부(100)와 테두리부(200)를 가압하지 않으며, 따라서, 수용부(100)와 테두리부(200)의 파손 내지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냉매(300)의 냉각이 완료된 경우 냉매(300)가 적어도 제5 형성면(120), 즉, 수용부(100)의 하측에 밀착되므로 수용부(100)와 냉매(300) 사이에 공기(700)가 존재하지 않으며, 따라서, 냉각된 냉매(300)로부터의 냉기가 수용부(100)에 직접 전달됨에 따라 냉각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에서는 냉매(300)가 제4 형성면(110)의 일부와 제5 형성면(120)에 밀착되어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도 4와 달리 제1 공간(410)에 존재하는 냉매(300)가 냉각 전 제5 형성면(120)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제1 공간(410)에 주입될 수 있다. 즉, 액체 상태로 제1 공간(410)에 주입된 냉매(300)는 액체 상태에서 제5 형성면(120)에 접촉되지 않는다. 이 경우, 제1 공간(410)에는 냉매(300)와 약간의 공기(700)가 함께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제2 공간(420)에는 공기(700)만 존재할 수도 있다. 그리고, 냉매(300)가 냉각되어 부피가 팽창하면 냉각이 진행되는 냉매(300)가 제5 형성면(120)에 접촉할 뿐만 아니라 제2 공간(420)으로 이동하여 냉각이 완료된다. 즉, 액체 상태로 주입된 냉매(300)가 냉각되면 제5 형성면(120)에 완전히 접촉할 수 있을 정도의 양만큼 제2 공간(420)으로 주입될 수 있다. 즉, 제2 공간(420)으로 주입되는 냉매(300)는, 도 4에서와 같이 액체 상태에서 제5 형성면(120)에 접촉할 수도 있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5 형성면(120)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될 수도 있지만, 냉매(300)가 완전히 냉각된 후에는 냉각된 냉매(300)가 제5 형성면(120)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액체 상태로 제1 공간(410)에 주입된 냉매(300)가 액체 상태에서 제5 형성면(120)에 접촉되지 않더라도 냉매(300)가 냉각되어 부피가 팽창하면 냉각이 진행되는 냉매(300)가 제2 공간(420)으로 이동하여 냉각이 완료된다. 즉, 냉각되고 있는 냉매(300)가 제2 공간(420)으로 이동하므로 수용부(100)와 테두리부(200)를 가압하지 않으며, 따라서, 수용부(100)와 테두리부(200)의 파손 내지 변형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은 전술한 바와 공통된다.
케이스(500)는 테두리부(200)와의 사이에 공기(800)가 존재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테두리부(20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케이스(500)와 테두리부(200) 사이에 공기(800)가 존재하며, 공기(800)가 단열 기능을 가지므로 냉매(300)의 냉기가 케이스(500) 외부로 이탈하지 않아서 냉각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케이스(500)는 다양한 방식으로 테두리부(20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케이스(500)에 형성된 돌기(510)에 삽입되고 측면에 후크 타입(520) 내지 스냅 핏 타입으로 결합될 수 있지만, 케이스(500)와 테두리부(200)의 결합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식기(600)는 수용부(100)에 수용될 수 있다. 대상물은 수용부(100)에 직접 인입될 수도 있지만 필요에 따라 도 4에서와 같이 식기(600)가 수용부(100)에 삽입되고 대상물이 식기(600)에 인입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대상물이 사람 또는 동물의 섭취 대상인 경우 식기(600)가 필요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냉 용기(1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테두리부(200)와 수용부(100) 사이에는 냉매(300)가 존재하는 제1 공간(410)과, 공기(700)가 존재하는 제2 공간(420)이 형성된다. 여기서, 냉매(300)는 액체상태에서 수용부(100)의 하측, 즉, 제5 형성면(120)에 접촉될 수도 있고, 또는 수용부(100)의 하측, 즉, 제5 형성면(120)으로부터 미리 설절된 간격으로 이격될 수도 있지만, 냉매(300)가 완전히 냉각된 후에는 제5 형성면(120)에 밀착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냉매(300)가 냉각되는 동안, 완전히 냉각되기 전에는 유동 가능하므로, 제1 공간(410)에 존재하는 냉매(300)가 냉각되면서 제2 공간(420)으로 이동하여 제2 공간(420)에서 냉각된다. 이때, 제2 공간(420)에 존재하는 공기(700)는 부피가 감소하므로 제1 공간(410)의 냉매(300)가 냉각되어 냉매(300)의 부피가 팽창하더라도 팽창된 부피만큼 제2 공간(420)에 수용가능하므로, 냉매(300)가 완전히 냉각되더라도 수용부(100)와 테두리부(200)의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냉매(300)가 완전히 냉각된 후 제5 형성면(120)에 접촉되어 냉기가 그대로 수용부(100)에 전달될 수 있으므로, 냉각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냉 용기에서 냉매의 냉각 후의 결합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냉 용기(1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과 공통되는 부분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경우 보냉 용기(10)가 관통공(910)이 형성된 지지부(900)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지지부(900)는 제1 형성면(210)과 제5 형성면(120)을 연결하며, 내부에 관통공(9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부(900)가 제1 형성면(210)과 제5 형성면(120)을 연결하여 제1 형성면(210)과 제5 형성면(120)을 지지하므로, 수용부(100)와 테두리부(200)의 파손 및 변경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시예의 경우 제1 공간(410)에 주입된 냉매(300)의 양과 제2 공간(420)에 존재하는 공기(700)의 양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 즉, 냉매(300)의 부피 팽창되는 정도와 공기(700)의 부피 압축되는 정도가 실험에 따른 비율과 다르게 제작된 경우 수용부(100) 또는 테두리부(200)에 약간의 변형이 발생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경우, 상기와 같이 냉매(300)와 공기(700)의 비율이 실험 조건과 약간 맞지 않더라도 지지부(900)가 제1 형성면(210)과 제5 형성면(120)을 연결하여 단단히 잡아주는 기능을 가지므로 수용부(100)와 테두리부(200)의 파손 및 변경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지지부(900)에는 단차(9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차(920)가 형성되면 사용자가 지지부(900)의 관통공(910)에 손가락을 삽입하고, 손가락을 단차(920)에 접촉한 상태로 보냉 용기(10)를 상측으로 올려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보냉 용기 100 : 수용부
110 : 제4 형성면 120 : 제5 형성면
200 : 테두리부 210 : 제1 형성면
220 : 제2 형성면 230 : 제3 형성면
300 : 냉매 400 : 공간
410 : 제1 공간 420 : 제2 공간
500 : 케이스 510 : 돌기
520 : 후크 600 : 식기
700 : 공기 800 : 공기
900 : 지지부 910 : 관통공
920 : 단차

Claims (12)

  1. 대상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와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수용부에 결합되는 테두리부; 및
    상기 공간에 주입되는 냉매를 포함하며,
    상기 냉매는 냉각시 부피가 팽창하는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부는,
    바닥에 형성된 제1 형성면;
    상기 제1 형성면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 형성면; 및
    상기 제2 형성면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수용부에 결합되는 제3 형성면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2 형성면에 나란하도록 상기 제3 형성면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4 형성면; 및
    상기 제1 형성면에 나란하도록 상기 제4 형성면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5 형성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형성면과 상기 제5 형성면을 연결하며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 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은,
    상기 제1 형성면과 상기 제5 형성면 사이에 형성된 제1 공간; 및
    상기 제2 형성면과 상기 제4 형성면 사이에 형성된 제2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공간에는 적어도 냉매가 존재하고, 상기 제2 공간에는 적어도 공기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간에 존재하는 냉매는 냉각 전 상기 제5 형성면에 접촉되고, 상기 냉매의 냉각으로 부피가 팽창하면 상기 냉매가 상기 제2 공간으로 이동하여 냉각이 완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 용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간에 존재하는 냉매는 냉각 전 상기 제5 형성면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고, 상기 냉매의 냉각으로 부피가 팽창하면 상기 냉매가 상기 제5 형성면에 접촉할 뿐만 아니라 제2 공간으로 이동하여 냉각이 완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 용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가 냉각되어 부피가 팽창하더라도 상기 수용부 및 상기 테두리부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공간에 존재하는 냉매가 냉각되어 부피가 팽창한 만큼 상기 제2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가 압축되어 부피가 수축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 용기.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단차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 용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와의 사이에 공기가 존재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테두리부에 결합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 용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 수용될 수 있는 식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 용기.
KR1020180171691A 2018-12-28 2018-12-28 보냉 용기 KR102105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691A KR102105507B1 (ko) 2018-12-28 2018-12-28 보냉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691A KR102105507B1 (ko) 2018-12-28 2018-12-28 보냉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5507B1 true KR102105507B1 (ko) 2020-04-28

Family

ID=70455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1691A KR102105507B1 (ko) 2018-12-28 2018-12-28 보냉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55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4511A1 (en) * 2022-10-19 2024-04-25 Council Of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Thermostable system for cold chai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3914A (ko) * 2005-08-25 2007-03-02 유삼진 냉장용기
KR20070092020A (ko) 2006-03-08 2007-09-12 임채경 보냉 겸용 냉각컵
KR100833206B1 (ko) * 2007-04-12 2008-05-28 최영환 주류병의 온도강하용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3914A (ko) * 2005-08-25 2007-03-02 유삼진 냉장용기
KR20070092020A (ko) 2006-03-08 2007-09-12 임채경 보냉 겸용 냉각컵
KR100833206B1 (ko) * 2007-04-12 2008-05-28 최영환 주류병의 온도강하용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4511A1 (en) * 2022-10-19 2024-04-25 Council Of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Thermostable system for cold chai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5507B1 (ko) 보냉 용기
KR101486018B1 (ko) 보냉 보온 기능을 갖는 포장상자
KR102413932B1 (ko) 결합구조를 포함하는 포장박스
TW200944735A (en) Refrigerator
US10767915B2 (en) Smarter cooler
KR102430378B1 (ko) 배달 용기 수용 장치
KR102288998B1 (ko) 보온/보냉 유지용 배달용기
JP3248871B2 (ja) 蓄冷剤容器並びに保冷容器及び蓄冷剤容器の組付構造
KR100833206B1 (ko) 주류병의 온도강하용 용기
KR200337885Y1 (ko) 아이스박스
CN208553142U (zh) 冰箱
KR20170083481A (ko) 아이스크림 분배용기
KR20210005499A (ko) 냉온기능을 갖는 음료용기 홀더
KR200401581Y1 (ko) 스폰지 보냉용기
KR102190626B1 (ko) 아이스팩
KR200303251Y1 (ko) 튜브 컵
KR200157967Y1 (ko) 냉장고의 다용도 선반
KR20200015057A (ko) 음식물 보냉 용기
JP3106402U (ja) 蓄熱パック
KR20190033848A (ko) 컵 및 뚜껑
JP2002181423A (ja) 蓄冷剤収容用の容器構造
KR200491542Y1 (ko) 조리 용기의 밀폐구조
KR101161129B1 (ko) 냉장고
KR20220002000U (ko) 보온 보냉팩 삽입형 포장 용기
KR200245973Y1 (ko) 다용도 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