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0378B1 - 배달 용기 수용 장치 - Google Patents

배달 용기 수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0378B1
KR102430378B1 KR1020220047635A KR20220047635A KR102430378B1 KR 102430378 B1 KR102430378 B1 KR 102430378B1 KR 1020220047635 A KR1020220047635 A KR 1020220047635A KR 20220047635 A KR20220047635 A KR 20220047635A KR 102430378 B1 KR102430378 B1 KR 102430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container
assembly
delivery
pin
receiv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7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희
Original Assignee
한승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희 filed Critical 한승희
Priority to KR1020220047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03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0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0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4Carriers for prepared human f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blocks of shock-absorbing material
    • B65D81/107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blocks of shock-absorbing material deformable to accommodat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등이 담긴 배달 용기가 수용된 상태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충전재가 구비되는 배달 용기 수용장치에 관한 것으로, 양측의 측벽부, 전방벽부, 후방벽부 및 저면부를 구비하고 상측에 개구가 형성되어 배달 용기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저면부에서 소정의 공간만큼 이격되게 상하 공간을 구획하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립체를 포함하는 조립체 그룹 및 직립상태를 유지하고 본체부에 형성된 수용 공간에 배달 용기가 수용되면 배달 용기와 접촉하는 부분은 하강하도록 상기 조립체 각각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핀을 포함하는 배달 용기 수용 장치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배달 물품과 요청에 대응하여 배달음식이나 물품의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배달 용기 수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도출된다.

Description

배달 용기 수용 장치{Accommodation for delivery receptacle}
본 발명은 배달 용기 수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등이 담긴 배달 용기가 수용된 상태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충전재가 구비되는 배달 용기 수용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외식문화의 보편화에 따라 집에서 음식을 직접 조리하여 먹기보다는 음식점 등을 이용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경향에 따라 각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음식을 배달하는 경우도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음식물을 제공하는 요식업소에서 주문한 음식물을 가정이나 사무실로 배달하기 위하여 조리한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배달통을 구비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배달통은 기동성을 위하여 오토바이와 같은 운반수단에 싣거나 손으로 들고 이동하게 된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9167호는 종래기술의 요리배달통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요리배달통은 견고성을 위하여 오토바이에 고정된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된 박스에 소정의 개구와 도어를 구비하고 그 내부에 요리 등을 수납하여 운반하도록 한다.
그런데, 이러한 요리배달통의 경우 내부가 빈 공간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음식물 및 음식물 용기를 고정할 수 없고 운반 과정에서의 요동으로 인하여 음식물이 바람직하지 않게 혼합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심각한 경우에는 음식물 용기 등의 파손이 일어나 배달을 못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또한, 내부의 온도 유지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시간의 지연에 따라 찬 음식이 덥혀지거나 더운 음식이 식은 상태로 배달되어 소비자의 만족도가 떨어지는 문제도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배달문화의 보급에 따라 소비자들의 요구에 부응하여 음식의 배달 뿐만이 아니라, 식료품의 구매나 배달, 각종 기호식품의 배달 등을 다양하게 수행하는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배달 서비스의 경우에도 기동성을 위하여 이륜차를 이용하는 경우가 다수인데, 다양한 요청을 수용하기 위하여서는 배달용 가방의 부피나 형태 및 내부 구조 등이 가변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구조적인 한계와 경제적인 문제로 인하여 이에 대한 제안은 전무한 실정이다.
KR 20-0309167 Y1 KR 10-2018-009655 A
본 발명은 이 같은 기술적 배경에서 도출된 것으로, 다양한 형태의 배달 물품과 요청에 대응하여 배달음식이나 물품의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배달 용기 수용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추가적으로 별도의 보온재나 보냉재없이도 보온, 보냉기능이 구비된 배달 용기 수용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달 용기 수용 장치는 양측의 측벽부, 전방벽부, 후방벽부 및 저면부를 구비하고 상측에 개구가 형성되어 배달 용기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저면부에서 소정의 공간만큼 이격되게 상하 공간을 구획하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립체를 포함하는 조립체 그룹 및 직립상태를 유지하고 본체부에 형성된 수용 공간에 배달 용기가 수용되면 배달 용기와 접촉하는 부분은 하강하도록 상기 조립체 각각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는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돌기, 다른 조립체를 조립할 수 있도록 그 타면에 상기 체결돌기의 형태와 대응되게 형성된 체결홈, 상기 핀이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핀 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측 개구를 수용하는 형태로, 그 내측 상면부에서 소정의 공간만큼 이격되게 상하 공간을 구획하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조립체를 포함하는 조립체 그룹 및 직립상태를 유지하고 본체부에 형성된 수용 공간에 배달 용기가 수용되면 배달 용기와 접촉하는 부분은 상승하도록 상기 조립체 각각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핀을 포함하는 뚜껑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형태의 배달 물품과 요청에 대응하여 배달음식이나 물품의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배달 용기 수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도출된다.
추가적으로 별도의 보온재나 보냉재없이도 보온, 보냉기능이 구비된 배달 용기 수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달 용기 수용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달 용기 수용 장치의 배달용기 고정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 및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달 용기 수용 장치의 조립체 세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달 용기 수용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의 배달 용기 수용 장치(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 및 도 2 를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배달 용기 수용 는 핀 아트 기술이 적용된 충전재를 구비한다. 그리고 배달 용기 수용 장치 내에 배달 용기(내용물)가 인입되면, 내용물의 형상으로 충전재들이 감싸도록 배달 용기 하부의 핀들이 하측으로 이동한다.
또한, 배달 용기 수용 장치(10)의 뚜껑 내부 상부에는 탄성 부재와 가압 판이 구비되어 내용물이 인입된 상태에서 가압시켜 움직임을 고정시켜준다.
이때 특징적인 양상에 따르면, 각각의 핀이 셀 블록 즉 조립체에 조립되고, 각 조립체가 서로 결합되어 전체적인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여 조립체 그룹을 형성하며, 각 핀은 단열 소재를 포함하도록 구현된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1 과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배달 용기 수용 장치(10)는 양측의 측벽부, 전방벽부, 후방벽부 및 저면부를 구비하고 상측에 개구가 형성되어 배달 용기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100), 본체부(100)의 저면부에서 소정의 공간만큼 이격되게 상하 공간을 구획하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립체를 포함하는 조립체 그룹(110), 및 직립상태를 유지하고 본체부에 형성된 수용 공간에 배달 용기가 수용되면 배달 용기와 접촉하는 부분은 하강하도록 조립체(115) 각각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핀(120)을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다양한 재질과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고정된 박스 형태의 단단한 재질로 구현되거나 플렉시블한 재질 및 형태로 가방이나 주머니와 같이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배달 용기를 수용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박스나 가방등의 캐리어를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또한 본체부(100)는 박스나 가방, 캐리어등의 내부에 담을 수 있도록 별도의 구성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조립체 그룹(110)은 본체부(100)의 저면부에서 소정의 공간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조립체(115)가 결합하여 형성된다. 소정의 공간은 배달 용기가 본체 내부에 담기면 핀(120)이 하강하기 위해 필요한 공간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조립체 그룹(110)은 본체부(100) 내부를 횡단 구분가능하도록 본체부(100) 내부 소정의 측벽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핀(120)은 탄성을 가지고, 형태가 가변 가능한 물질로 구현될 수 있다. 상측에 배달 용기가 수용되면서 압축을 받으면 하강하며 한정된 공간 즉 조립체 그룹(110)의 하측 공간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예를들면 탄성이 있는 스폰지나 고무, 폴리우레탄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폴리우레탄은 활성 수소를 함유하고 있는 각종 화합물과 아이소사이아네이트(isocyanate)가 반응해서 생긴 것으로 탄성이 풍부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압축에 의해 한정된 공간 내에 수용되도록 형태가 변경되거나 부피가 축소될 수 있지만 가해진 압축이 제거되면 탄성을 가지고 있어 다시 본래 형태로 되돌아올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소재로 구현가능하다.
핀(120)은 그 길이가 도 1 과 같이 본체부(100) 전체 높이만큼 형성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핀(120)의 길이는 본체부(100) 하측부에 배달 용기가 움직이지 않도록 배달 용기의 하측부를 고정시키기에 충분한 길이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에서와 같이 배달용기(20)가 수용되면 해당 배달 용기(20) 하측에 접촉하게되는 핀들(120a)은 조립체 그룹(110)과 본체부(100)의 저면부 사이의 소정 공간으로 하강된다. 배달용기 하측과 접촉하지 않는 핀들은 초기 상태를 유지하여 배달용기의 측면부를 감싸고 배달용기가 좌우로 흔들리거나 쓰러지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이때 배달 용기의 하측에 접촉하는 배달 용기(20)와 접촉 면적만큼의 핀들(120a)만 하강한다. 따라서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배달 용기(20)가 수용되더라도 배달 용기(20)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하강하지 않는 핀들 즉 배달 용기(20)의 측면을 고정시킬 수 있는 핀들이 가변적으로 결정됨으로써 배달 용기(20)의 크기나 형태에 무관하게 효과적으로 충전재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있어서, 핀(120) 내부에는 단열 소재가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체부(100) 내에서 배달 음식의 적정 저장온도에 따라 다양한 적정저장온도로 유지하게 하는데, 특히 저장된 물품의 보관 및 이송을 위해서 본체부(100)의 내부공간의 저장온도를 오랜 시간동안 지속시켜야 하는 필요성을 갖는다.
즉 본체부(100)의 내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야 하는 바, 보온상태로 물품을 저장보관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외부온도보다는 내부공간부의 온도가 저온일 수 있고, 보냉상태로 물품을 저장보관하기 위해서는 외부온도가 내부공간부의 온도보다 고온일 수 있다.
내부와 외부사이의 온도차의 발생으로 열전달이 일어나게 된다. 열역학 제 0법칙에 따라 물체 간에는 열적 평형을 이루려 하기 때문에, 열적 평형에 도달하기 위해서 고온에서 저온으로 열이 이동한다. 따라서, 이러한 열의 이동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해 본체부(100) 내부 배달 용기(20)이외의 공간을 채우는 핀(120) 내부에 열이동을 차단하는 단열소재를 사용하여, 효율적인 열적 단열효과를 성취할 수 있다.
일예로 단열 소재는 핀(120) 내부에 스폰지형 단열재, 비유동 공기층, 스티로폼, 보강층, 외피로 구성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예로 주 단열재로 사용되는 스티로폼은 0.0023 W/m·℃의 낮은 열전도율을 갖고 있고, 비유동 공기층의 매질로 충진된 공기의 열전도율은 0.0259 W/m·℃이며, 이외의 서로 다른 열전도도를 갖는 다수의 단열소재를 적층하므로 단열효과에 탁월하다. 그러나 단열 소재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보온, 보냉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기술적 구성 및 구현 방법을 모두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달 용기 수용 장치의 배달용기 고정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있어서, 본체부(100)의 상측 개구를 수용하는 형태로, 그 내측 상면부에서 소정의 공간만큼 이격되게 상하 공간을 구획하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조립체를 포함하는 조립체 그룹(310) 및 직립 상태를 유지하고 본체부(100)에 형성된 수용 공간에 배달 용기(20)가 수용되면 배달 용기(20)와 접촉하는 부분이 상승하도록 조립체 각각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핀(320)을 포함하는 뚜껑(30)을 더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뚜껑(30)은 핀(320)의 상부에 탄성체와 연동된 가압판을 더 포함한다.
뚜껑(30)은 본체부(100)의 개방된 일측면을 선택적으로 밀폐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뚜껑(30)은 본체부와 매칭되는 사이즈로 고정된 재질로 구현되거나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쉽고 간편하게 개방된 본체부(100)의 일측면을 밀폐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어 본체부(100)의 외측면에 " ㄷ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부에 뚜껑(30)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뚜껑(30)으로 본체부(100)에 수용된 배달 용기 상측을 고정시킴으로써 배달용기(20)가 배달지까지 흔들리거나 파손되지않고 안전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배달 과정에서 충격이나 흔들림이 가해지더라도 배달음식이 쏟아지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안전하게 보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과 같이 뚜껑(30)은 그 내측 상면부에서 이격된 소정의 공간에 탄성체(35)및 가압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스프링등의 탄성체(35)가 달린 가압판에 의해 소량의 압력이 가해져서 본체부(100) 내에 수용된 배달 용기(20)가 상하로 흔들리거나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에서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배달 용기 수용 장치(10)에 배달 용기(20)가 수용되면 배달 용기(20)가 접촉하는 본체부(100)의 핀들과 뚜껑(30)의 핀들이 각각 하측 및 상측으로 이동하며 배달 용기의 충전재 역할을 한다.
상하부로 이동하지 않은 핀들은 배달 용기가 좌우로 흔들리거나 넘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상하측으로 이동하는 핀들은 배달 용기가 상하로 움직이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배달 용기 사방에서 핀들이 충전재 역할을 함으로써 본체부(100) 내부에 수용되는 배달 용기(20)의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음식물등이 배달중에 쏟아지거나 훼손되는 상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달 용기 수용 장치의 조립체 세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있어서, 도 4와 같이 조립체(115)는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돌기(1154), 다른 조립체를 조립할 수 있도록 그 타면에 체결돌기(1154)의 형태와 대응되게 형성된 체결홈(1152), 핀(120)이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핀 홈(1156)을 포함한다.
이때 하나의 조립체(115)에 구비되는 체결돌기(1154)와 체결홈(1152)의 개수와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조립체(115)의 체결돌기(1154)가 다른 조립체(115)의 체결홈(1152)에 삽입되어 결속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둘 이상의 조립체(115)가 결속된 상태로 조립체 그룹(110)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소정 사이즈의 조립체(115)로 조립체 그룹(110)을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체부(100)의 크기나 형태, 스타일에 따라 다양한 크기나 형태로 조립체 그룹(110)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있어서 조립체(115)는 둘 이상의 핀 홈(1156)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조립체(115)에 둘 이상의 핀(120)을 포함하는 경우에 둘 이상의 핀 홈(1156)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뿐 아니라 동일한 간격을 갖도록 형성된다.
핀 홈(1156)은 조립체(115)를 관통한 홀 형태로 구현되거나, 가운데 원기둥형과 벽면 또는 벽면에 포함된 리브(Rib)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핀 홈(1156)은 핀(120)이 구속된 상태로 상하 이동을 가능케 하는 다양한 구조를 포괄하도록 해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핀 홈(1156)은 핀 홈(1156)에 삽입된 핀(120)이 배달 용기가 담기기 전의 높이로 되돌아가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기술적 구성을 더 포함한다. 배달 용기(20)가 담기면서 배달 용기(20)에 의해 하측 또는 상측으로 이동했던 핀(120)이, 배달 용기(20)가 가하는 압력이 제거되면 다시 배달 용기(20)를 담기 이전의 원래의 높이로 되돌아가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때 핀(120)에 탄성을 가하는 기술적 구성은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배달 용기 수용 장치(10)는 필요와 용도에 따라 다양한 길이의 핀(120)들과 다양한 넓이의 조립체 그룹(110)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들어 커피나 쥬스와 같은 음료 배달을 위해서는 길이가 긴 핀(120)이 삽입된 다소 좁은 면적의 조립체 그룹(110)을 채용한 본체부(100)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치킨이나 피자 포장박스와 같이 면적이 큰 배달음식의 경우에는 짧은 핀(120)이 삽입된 다소 넓은 면적의 조립체 그룹(110)을 채용한 본체부(100)를 사용할 수 있다. 면적이 큰 배달음식의 경우에는 조립체(115) 자체의 면적이 더 크거나, 핀(120)이 삽입되지 않은 조립체를 혼용하여 조립체 그룹(110)을 제작하여 핀의 사용을 줄임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자원활용이 가능하다.
도 5 양방향 체결돌기블록과 양방향 체결홈블록을 상하방향으로 조립되는 면에 오목한 형태의 분해홈을 표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있어서, 적어도 둘 이상의 조립체(115)를 조립한 후 결합한 조립면에 조립체(115)간 분리가 용이하도록 내측방향으로 몰입된 분해홈(300)이 더 형성된다.
분해홈(300)은 조립체(115)의 모서리를 곡면으로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분해홈(300)을 형성하기 위해 조립체(115)의 모서리는 모따기하거나 내측 방향으로 오목한 사각형태의 홈 또는 반구형의 홈 형태 등 다양한 형태를 갖도록 실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달 가방이나 박스등 캐리어가 바뀔 경우에 배달 가방이나 박스등캐리어의 사이즈나 형태에 따라 조립체 그룹(110)의 사이즈나 형태를 용이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배달 용기 수용 장치 100 : 본체부
110 : 조립체 그룹 115 : 조립체
1152 : 체결홈 1154 : 체결 돌기
120 : 핀 30 : 뚜껑
35 : 탄성체

Claims (7)

  1. 양측의 측벽부, 전방벽부, 후방벽부 및 저면부를 구비하고 상측에 개구가 형성되어 배달 용기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저면부에서 소정의 공간만큼 이격되게 상하 공간을 구획하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립체를 포함하는 조립체 그룹; 및
    직립상태를 유지하고 본체부에 형성된 수용 공간에 배달 용기가 수용되면 배달 용기와 접촉하는 부분은 하강하도록 상기 조립체 각각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핀;을 포함하는 배달 용기 수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는,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돌기, 다른 조립체를 조립할 수 있도록 그 타면에 상기 체결돌기의 형태와 대응되게 형성된 체결홈, 상기 핀이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핀 홈을 포함하는 배달 용기 수용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는,
    적어도 둘 이상의 핀 홈을 구비하는, 배달 용기 수용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측 개구를 수용하는 형태로, 그 내측 상면부에서 소정의 공간만큼 이격되게 상하 공간을 구획하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조립체를 포함하는 조립체 그룹 및 직립상태를 유지하고 본체부에 형성된 수용 공간에 배달 용기가 수용되면 배달 용기와 접촉하는 부분은 상승하도록 상기 조립체 각각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핀을 포함하는 뚜껑;을 더 포함하는, 배달 용기 수용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그 내측 상면부에서 이격된 소정의 공간에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배달 용기 수용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핀 내부에 단열 소재가 구비되는, 배달 용기 수용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둘 이상의 조립체를 조립한 후 결합한 조립면에 조립체간 분리가 용이하도록 내측방향으로 몰입된 분해홈이 더 형성되는, 배달 용기 수용 장치.
KR1020220047635A 2022-04-18 2022-04-18 배달 용기 수용 장치 KR102430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7635A KR102430378B1 (ko) 2022-04-18 2022-04-18 배달 용기 수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7635A KR102430378B1 (ko) 2022-04-18 2022-04-18 배달 용기 수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0378B1 true KR102430378B1 (ko) 2022-08-08

Family

ID=82845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7635A KR102430378B1 (ko) 2022-04-18 2022-04-18 배달 용기 수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03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7793B1 (ko) * 2022-12-02 2023-02-08 김기환 책 고정이 용이한 책꽂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0285U (ja) * 1995-07-07 1996-01-23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簡易取付型収納ケース
KR200309167Y1 (ko) 2002-11-16 2003-03-31 이은찬 요리배달통
KR20180009655A (ko) 2016-07-19 2018-01-29 현대다이모스(주) 촉각 피드백을 갖는 스위치 모듈
CN210192203U (zh) * 2019-07-24 2020-03-27 广东工业大学 一种智互外卖箱
CN214650146U (zh) * 2021-04-30 2021-11-09 河南普惠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机电产品运输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0285U (ja) * 1995-07-07 1996-01-23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簡易取付型収納ケース
KR200309167Y1 (ko) 2002-11-16 2003-03-31 이은찬 요리배달통
KR20180009655A (ko) 2016-07-19 2018-01-29 현대다이모스(주) 촉각 피드백을 갖는 스위치 모듈
CN210192203U (zh) * 2019-07-24 2020-03-27 广东工业大学 一种智互外卖箱
CN214650146U (zh) * 2021-04-30 2021-11-09 河南普惠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机电产品运输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7793B1 (ko) * 2022-12-02 2023-02-08 김기환 책 고정이 용이한 책꽂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66450B2 (en) Partitioned ice chest
US3432025A (en) Insulated individual lunch case
US4602715A (en) Shipping container for electronic components
CN111372867B (zh) 隔热运输箱以及隔热运输箱中的布置
KR102430378B1 (ko) 배달 용기 수용 장치
WO2000000776A1 (en) Method and container for transporting or storing goods, in particular food products in a frozen and/or chilled state
KR101989583B1 (ko) 보냉 패키징 장치
KR102413932B1 (ko) 결합구조를 포함하는 포장박스
KR200490787Y1 (ko) 사계절 다목적 배달용 가방
KR101681135B1 (ko) 저온 보관박스
CN112498925A (zh) 一种具有保鲜功能的纸箱
CN209921858U (zh) 用于运储的泡沫保鲜箱
JP6305301B2 (ja) 多温度帯収納容器及び多温度帯収納容器の形成方法
CN203848578U (zh) 蓄冷箱
JP6905286B1 (ja) 保冷型包装容器
US11603244B2 (en) Portable cooling multipack
JP6722249B2 (ja) 弁当容器
KR100567310B1 (ko) 냉장팩
CN214986767U (zh) 一种分体式相变蓄冷保温箱
KR101935779B1 (ko) 다양한 크기의 과일을 포장할 수 있는 포장상자
KR101646059B1 (ko) 냉장 및 냉동 보관용 저장용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하는 배송 대상물의 분류방법
KR101982638B1 (ko) 신선제품 운송을 위한 슈퍼칠링 패키징 시스템
CN219383512U (zh) 一种运输箱
CN217865856U (zh) 一种便携式相变冷藏箱
CN220669931U (zh) 冰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