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3914A - 냉장용기 - Google Patents

냉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3914A
KR20070023914A KR1020050078239A KR20050078239A KR20070023914A KR 20070023914 A KR20070023914 A KR 20070023914A KR 1020050078239 A KR1020050078239 A KR 1020050078239A KR 20050078239 A KR20050078239 A KR 20050078239A KR 20070023914 A KR20070023914 A KR 200700239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cylinder
double wall
container
inner cylind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8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기현
Original Assignee
유삼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삼진 filed Critical 유삼진
Priority to KR1020050078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23914A/ko
Publication of KR20070023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39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25Containers made of sheet-like material and having a shape to accommodat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1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 B65D81/38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provided with liquid material between double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02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ice, e.g. ice-boxes
    • F25D3/06Movable containers
    • F25D3/08Movable containers portable, i.e. adapted to be carried person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ckage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형 또는 사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단열기능을 하는 외통을 구비하고, 그 외통의 내부에는 냉매제가 주입된 내통을 냉동실에 얼려서 삽입할 수 있도록 하며, 그 내통에는 술병을 삽입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냉장고에 보관했다가 제공하는 술병을 상기 내통의 수납공간에 삽입하여 술병과 그 속의 술을 장시간 차갑게 유지시키면서 한잔씩 따라 마실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냉매제가 냉동된 내통은 외통에 의해 보냉되어 냉매제의 냉동유지시간을 늘릴 수 있으며, 내통의 외주면에서 발생되는 물방울이 테이블 위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냉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이는 원형과 사각형을 비롯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면서 단열기능을 갖도록 형성되는 외통과, 상기 외통의 개방된 상단으로 삽입되면서 이중으로 된 벽체의 내부에 냉매제를 주입한 내통과, 상기 내통의 수납공간 하부 바닥면에 구비되어 수납공간으로 삽입되는 술병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바닥부재와를 결합하여 냉장용기를 구성함으로써 이룰 수 있는 발명이다.
냉장용기, 아이스쿨러, 얼음용기

Description

냉장용기{ICE COOLE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용기의 실시 예를 보인 일부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함께 도시한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외통에 손잡이를 구비한 상태의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외통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용상태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외통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용상태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내통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용상태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용기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일부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외통과 내통을 일체로 형성한 실시 예를 보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냉장용기 200 : 외통
210 : 단열재 220 : 삽입홀
230, 340 : 바닥면 240 : 미끄럼방지패드
250, 310, 310' : 이중벽체 260 : 공간
270 : 힌지핀 280 : 손잡이
300 : 내통 320 : 냉매제
330 : 수납공간 350 : 완충바닥부재
400 : 술병
본 발명은 냉장고에서 테이블로 꺼낸 병에 담긴 술이나 음료수(이하 '술'이라 함)를 차갑게 유지시키면서 내용물을 한잔씩 따라 마실 수 있도록 하는 냉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형 또는 사각형상으로 제작되는 단열기능의 외통에 냉매제가 주입된 내통을 얼려서 삽입하고 그 내통의 수납공간에 냉장고에서 꺼낸 술병을 넣어놓고 필요할 때마다 술병을 꺼내어 잔에 따라서 마실 수 있도록 하는 냉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주와 맥주를 비롯한 각종 술과 다양한 종류의 음료는 차갑게 냉장보관을 시킨 상태에서 마실 때 시원함을 더하게 되므로 판매점에서는 병 또는 캔에 담긴 술을 냉장고에 넣어서 차갑게 한 상태로 판매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냉장고에 보관하면서 차갑게 하여 판매하는 술도 손님이 마시는 사이에 쉽게 냉기가 빠지게 되므로 술의 시원함은 처음의 한잔 또는 두잔 정도만 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근래에는 술을 더욱 차갑게 마실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술병은 물론 잔까지도 냉장고에 보관했다가 차가운 상태로 제공하고 있지만 그러한 차가운 잔 역시도 한잔 또는 두잔을 마실 때는 시원하지만 그 후에는 냉장 혹은 냉동되지 않은 통상적인 술잔과 같은 상태가 되므로 시원함을 느끼지 못하는 상태로 술을 마시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고 술을 처음부터 끝까지 시원한 상태로 마시기 위한 방법으로 제안된 것은 얼음통에 얼음을 넣고, 그 얼음이 담긴 얼음통에 술병을 넣어서 보관하면서 한잔씩 따라서 마실 수 있도록 한 얼음통이 사용되고 있었으나, 이러한 종래의 얼음통은 사용에 많은 불편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와 같은 종래의 얼음통은 원통형의 용기본체에 단순하게 각얼음을 담아서 그 속에 술병을 꽂아놓을 수 있도록 한 것이므로 각얼음을 사이의 술병을 빼서 술잔에 술을 따른 후에 술병을 다시 얼음통에 넣으려면 각얼음들로 인하여 술병을 얼음통에 쉽게 꽂아 넣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얼음통은 각얼음과 술병이 직접 접촉되는 것이므로 술병을 얼음통에서 뺄 때마다 술병에 묻어있던 물이 테이블에 떨어지게 되므로 각얼음이 녹아서 테이블에 떨어진 물이 테이블 주변에 앉은 사람에게로 흐르면서 옷을 버리는 등의 문제점들이 발생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 할 수 있는 방안의 하나로는 아이스박스용 아이 스팩을 중앙에 술병을 넣을 수 있는 형상으로 만들어서 사용되는 것이 있었다.
즉, 실용신안 선등록 제20-0385836호와 같이 냉매가 주입된 내통의 중앙에 술병을 삽입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한 것이 개발되었으나, 이와 같은 선등록 고안은 냉매가 주입된 내통을 냉동실에 얼려서 사용하지만, 그 내통의 외주면을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에는 냉동된 냉매로 인하여 너무 차가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선등록 고안은 냉매가 주입된 내통의 외주면이 외부의 공기와 직접 접촉되므로 냉장실에서 꺼내진 내통은 내통의 외주면에서 물방울이 생기면서 테이블에 흐르게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문제점은 내통의 하단에 받침대를 구비하여 물을 받을 수 있도록 하기는 하였으나, 받침대가 내통의 하단 일부에만 끼워지는 것이므로 효율이 저하되고, 얼었던 냉매가 쉽게 녹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형 또는 사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단열기능을 하는 외통을 구비하고, 그 외통의 내부에는 냉매제가 주입된 내통을 냉동실에 얼려서 삽입할 수 있도록 하며, 그 내통에는 술병을 삽입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냉장고에 보관했다가 제공하는 술병을 상기 내통의 수납공간에 삽입하여 술병과 그 속의 술을 장시간 차갑게 유지시키면서 한잔씩 따라 마실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냉매제가 냉동된 내통은 외통에 의해 보냉되어 냉매제의 냉동유지시간을 늘릴 수 있으며, 내통의 외주면에서 발생되는 물방울이 테이블 위로 떨어지 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냉장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원형과 사각형을 비롯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면서 단열기능을 갖도록 형성되는 외통과, 상기 외통의 개방된 상단으로 삽입되면서 이중으로 된 벽체의 내부에 냉매제를 주입한 내통과, 상기 내통의 수납공간 하부 바닥면에 구비되어 수납공간으로 삽입되는 술병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바닥부재와를 결합하여 냉장용기를 구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냉장용기를 보인 일부 분해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함께 도시한 종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냉장용기(100)는 술병(400)을 차갑게 유지시키면서 술병(400)에 담긴 술을 마실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단열기능을 가지는 외통(200)의 삽입홀(220)에 이중벽체(310) 내에 냉매제(320)가 주입된 내통(300)을 얼린 상태로 삽입하고, 그 내통의 수납공간(330)에 술병(400)을 삽입하여 보냉시키면서 술을 따라 마실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냉장용기(100)를 구성하는 외통(200)은 발포스티로폼과 같은 단열재(210)를 압축 성형함으로써 단열재(210)로 구성된 외통(200)이 쉽게 훼손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삽입홀(220)로 삽입되는 내통(300)의 냉동된 냉매제(320)가 쉽게 녹지 않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내통(300)은 상단이 개방된 이중벽체(310)로 구성하면서 이중벽체(310)의 내부에는 냉매제(320)를 주입하여 냉동실에서 냉매제(320)를 냉동시킴으로서 그 이중벽체(310)의 수납공간(330)으로 삽입된 술병(400)을 차갑게 보냉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내통(300)의 수납공간(330)의 하단의 바닥면(340)에는 쿠션을 가지는 완충바닥부재(350)를 부착함으로써 술병(400)을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평상시에 내통(300)을 냉동실에 넣어서 냉매제(320)를 얼리고 있는 상태에서 냉장실에 보관하던 술병(400)을 꺼내어 마실 때 먼저 냉동실의 내통(300)을 꺼내어 외통(200)의 삽입홀(220)에 삽입하고, 이어서 술병(400)을 꺼내어 내통(300)의 수납공간(330)에 넣으면 냉장실에서 냉장된 술병(400)을 차갑게 보냉시키면서 술을 마실 수 있게 된다.
즉, 냉동실에 보관되는 본 발명에 의한 내통(300)은 그 본체가 이중벽체(310)로 구성되면서 그 내부에 물이나 냉각기능을 가지는 응고점이 높은 화공약품 등의 냉매제(320)가 주입된 것이므로 냉매제(320)가 냉동실에서 냉동된다.
상기와 같이 냉매제(320)가 냉동된 내통(300)을 외통(200)의 삽입홀(220)에 삽입하면 내통(300)의 외측바닥은 외통(200)의 바닥면(230)에 안착됨과 동시에 단열재(210)로 구성된 외통(200)은 내통(300)의 외주면에 외부 공기가 자유롭게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격리하는 효과를 제공하므로 냉매제(320)가 냉동된 내통(300)의 낮은 온도를 장시간 유지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용기(100)는 상기와 같이 외통(200) 내에 내통(300)이 삽입된 상태에서 내통(300)의 수납공간(330)에 술병(400)을 삽입하는 것이므로 내통(300)의 결빙된 냉매제(320) 냉기가 수납공간(330)에 삽입된 술병(400)에 작용하여 냉장실에서 꺼낸 술병(400)의 온도를 낮은 상태로 유지시키게 되므로 술을 차갑게 마실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술병(400)이 수납되는 내통(300)의 수납공간(330) 하단 바닥면(340)에는 고무재질 등과 같이 쿠션을 가지는 완충바닥부재(350)를 부착함으로써 술잔에 술을 따르기 위하여 술병(400)을 수납공간(330)에 뺐다가 넣을 때 내통(300)의 바닥면(340)과 술병(400)이 직접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하여 술병(400)이 바닥면(340)에 심하게 부딪히면서 큰 충격으로 인해 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이중벽체(310)내의 냉매제(320)를 얼려서 사용하는 내통(300)을 외통(200)의 내부로 삽입함으로써 내통(300)의 외벽면에 발생되는 물방울이 외통(200)의 바닥면(230)으로 흐르게 되어 테이블과 같이 냉장용기(100)가 놓여진 곳에 물이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통(200)의 외측바닥에 미끄럼방지패트(240)를 구비함으로써 외통(200)이 테이블 위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외통에 손잡이를 구비한 상태의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냉장용기(100)를 이루는 외통(200)의 외주면 상부에 양측으로 힌지핀(270)을 형성하고 그 힌지핀(270)에 손잡이(280)의 양단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 것으로, 이와 같이 외통(200)에 손잡이(280)를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면 냉장용기(100)에 술병(400)을 담아서 간편하게 원하는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외통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용상태사시도로서,
내통(300)이 삽입되는 냉장용기(100)의 외통(200)을 상기 도1 내지 도 3에 도시한 것과 다르게 외형을 사각형으로 형성한 것으로, 본 발명은 외통(200)을 도시한 상기 원통형과 사각기둥형을 비롯하여 삼각 또는 다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외통(200)의 형상 변경은 본 발명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외통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용상태 종단면도로서,
냉장용기(100)의 단열기능을 가지는 외통(200)을 이중벽체(250)로 구성하고 그 이중벽체(250) 내부에 구성되는 공간(260)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외통(200)의 삽입홀(220)에 삽입되는 내통(300)에 대한 단열을 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외통(200)의 공간(260)은 단순한 공간(260)으로 구비하여도 무방하지만 그 내부 공간(260)에 단열소재를 충진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내통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용상태 종단면도로서,
상기 외통(200)의 삽입홀(220)에 삽입되는 내통(300)은 상단과 하단이 모두 개방된 파이프 형상의 이중벽체(310')로 구성하고, 외통(200)의 바닥면(230)에 완충바닥부재(350)를 부착한 것이다.
이와 같이 내통(300)을 상단과 하단이 모두 개방된 이중벽체(310')로 구성하면 외통(200)과 내통(300) 사이에 압력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냉동된 내통(300)으로 술병(400)을 보냉하는 효과는 유지하면서 외통(200)에 내통(300)을 넣고 빼기가 더욱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용기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일부 분해사시도로서,
상기와 같은 다양한 실시 예를 제시하는 본 발명은 단순하게 외통(200)의 크기를 크게 하면 그 외통(200)에 여러 개의 삽입홀(220)을 형성할 수 있으며, 그 여러 개의 삽입홀(220)에는 각각 내통(300)을 삽입할 수 있으므로 동시에 여러 병의 술병(400)을 꽂아놓고 보냉된 술병(400)을 하나씩 꺼내면서 술을 마실 수 있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외통(200)에 여러 개의 삽입홀(220)을 형성할 때는 2개 내지 4개 정도의 삽입홀(220)을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외통과 내통을 일체로 형성한 실시 예를 보인 종단면도로서,
냉장용기(100)의 이중벽체(250)로 이루어지는 외통(200)과 이중벽체(310)로 이루어지는 내통(300)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외통(200)의 이중벽체(250) 내부 공간(260)은 아무것도 충진하지 않은 상태로 두거나 그 공간(260)에 단열소재를 충진하여 단열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내통(300)의 이중벽체(310) 내부에는 냉매 제(320)를 충진하여 냉동실에서 냉매제(320)를 냉동시킨 후, 그 내통(300)의 수납공간(330)에 술병(400)을 넣어 보냉시키면서 술을 마실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냉장용기(100)의 외통(200)과 내통(300)을 일체로 형성하면 내통(300)을 외통(200)에 넣고 빼는 불편을 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하여 더욱 편리하게 냉장용기(100)를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원형 또는 사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단열기능을 하는 외통을 구비하고, 그 외통의 내부에는 냉매제가 주입된 내통을 냉동실에 얼려서 삽입할 수 있도록 하며, 그 내통에는 술병을 삽입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냉장고에 보관했다가 제공하는 술병을 상기 내통의 수납공간에 삽입하여 술병과 그 속의 술을 장시간 차갑게 유지시키면서 한잔씩 따라 마실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냉매제가 냉동된 내통은 외통에 의해 보냉되어 냉매제의 냉동유지시간을 늘릴 수 있으며, 내통의 외주면에서 발생되는 물방울이 테이블 위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7)

  1. 원형과 사각형을 비롯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면서 단열기능을 갖도록 형성되는 외통과,
    상기 외통의 개방된 상단으로 삽입되면서 이중으로 된 이중벽체의 내부에 냉매제를 주입하여 냉동시킨 후 사용하는 내통과,
    상기 내통의 이중벽체 중앙에 형성된 수납공간 하부 바닥면에 구비되어 수납공간으로 삽입되는 술병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바닥부재와를 결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냉장용기.
  2. 냉장용기의 이중벽체로 이루어지는 외통과 이중벽체로 이루어지는 내통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외통의 이중벽체는 내부 공간에 의해 단열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내통의 이중벽체 내부에는 냉매제를 충진하여 냉동실에서 냉매제를 냉동시킨 후, 그 내통의 수납공간에 술병을 넣어 장시간 차게 유지시키면서 술을 마실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냉장용기.
  3.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용기의 단열기능을 가지는 외통은 단열재를 압축 성형하여 구성하 고, 그 외측바닥에 미끄럼방지패트를 부착하여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냉장용기.
  4. 청구항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용기의 단열기능을 가지는 외통은 공간을 가지는 이중벽체로 구성하고, 그 외측바닥에 미끄럼방지패트를 부착하여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냉장용기.
  5.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에 삽입되는 내통은 상단과 하단이 모두 개방된 파이프 형상의 이중벽체로 구성하여 그 내통의 수납공간으로 삽입된 술병이 외통의 바닥면에 안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냉장용기.
  6. 청구항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기능을 가지는 외통에는 수납공간을 가지는 내통을 2개 이상의 복수로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냉장용기.
  7. 청구항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기능을 가지는 외통은 그 외주면 상부에 양측으로 힌지핀을 형성하고, 그 힌지핀에 손잡이의 양단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냉장용기에 술병을 담아서 간편하게 원하는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냉장용기.
KR1020050078239A 2005-08-25 2005-08-25 냉장용기 KR200700239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8239A KR20070023914A (ko) 2005-08-25 2005-08-25 냉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8239A KR20070023914A (ko) 2005-08-25 2005-08-25 냉장용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4505U Division KR200401585Y1 (ko) 2005-08-25 2005-08-25 냉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3914A true KR20070023914A (ko) 2007-03-02

Family

ID=38098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8239A KR20070023914A (ko) 2005-08-25 2005-08-25 냉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2391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632B1 (ko) * 2009-02-16 2011-07-12 대부인더스(주) 음료 온도 유지 장치
KR102105507B1 (ko) * 2018-12-28 2020-04-28 김신 보냉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632B1 (ko) * 2009-02-16 2011-07-12 대부인더스(주) 음료 온도 유지 장치
KR102105507B1 (ko) * 2018-12-28 2020-04-28 김신 보냉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83226A (en) Refrigerated beverage holder
US5329778A (en) Thermally insulated bottle and method of assembly thereof
US20120193366A1 (en) Flexible Foam Beverage Holder
US20140054010A1 (en) Container chilling apparatus
US5148682A (en) Ice molding device and method
KR100828147B1 (ko) 생수병 단열 케이스
US8215125B2 (en) Refreezable ice barrel
WO2008002085A1 (en) Cooling cup for drink
WO2008029975A1 (en) A cooling device
US6948333B1 (en) Combined bottles with hidden cooler
KR20070023914A (ko) 냉장용기
KR200401585Y1 (ko) 냉장용기
US11209210B2 (en) Beverage containers and coolants therefore
KR100930045B1 (ko) 음료용 냉각컵
KR200438989Y1 (ko) 냉각컵용 냉매체
KR100915787B1 (ko) 음료수보냉용 얼음통
KR20070000065U (ko) 개량형 음료용 냉각컵
JP2001048244A (ja) 筒状保冷具
KR100658537B1 (ko) 주류 용기
KR101743281B1 (ko) 냉기를 유지하는 컵
KR200422754Y1 (ko) 보냉옷
KR200242977Y1 (ko) 음료수용 보냉기
KR200405689Y1 (ko) 음료 용기용 냉각컵
KR200414923Y1 (ko) 컵 받침대
KR200370375Y1 (ko) 주류 및 음료용 냉장보존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