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5689Y1 - 음료 용기용 냉각컵 - Google Patents

음료 용기용 냉각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5689Y1
KR200405689Y1 KR2020050029755U KR20050029755U KR200405689Y1 KR 200405689 Y1 KR200405689 Y1 KR 200405689Y1 KR 2020050029755 U KR2020050029755 U KR 2020050029755U KR 20050029755 U KR20050029755 U KR 20050029755U KR 200405689 Y1 KR200405689 Y1 KR 2004056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beverage container
cooling
cup portion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97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명자
Original Assignee
윤명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명자 filed Critical 윤명자
Priority to KR20200500297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56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56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568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08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 A47G23/0216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for one glass or cup
    • A47G23/0225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for one glass or cup attachable to a plate, table,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023/0275Glass or bottle holders with means for keeping food cool or hot

Landscapes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료수병, 맥주병, 소주병 등의 음료 용기를 수납하여 사용할 수 있는 2중 컵 구조로서, 음료 용기의 온도를 낮추어 일정 시간 동안 보냉 상태를 유지하므로 여름철 시원한 음료의 맛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음료 용기용 냉각컵에 관한 것으로서, 상측 단부 내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독립된 하나의 컵 모양을 갖춘 외컵부; 상측 외향 밴딩부 외면에 숫나사산이 형성되고, 음료 용기가 수납되는 독립된 하나의 컵 모양을 갖춘 내컵부; 외컵부와 내컵부를 나선 결합하여 2중 구조를 구성함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에 물을 채워 얼릴 수 있는 공간부; 그리고 상기 내컵부의 안쪽 상단 내면에 형성되어 음료 용기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유동방지턱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음료 용기, 냉각컵, 2중 구조, 공간부, 유동방지턱

Description

음료 용기용 냉각컵{RETAINING COOLING CUP FOR DRINK CONTAINER}
도 1은 본 고안의 음료 용기용 냉각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 및 조립 상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내컵부 3-외컵부
5-밴딩부 7-숫나사산
9-암나사산 11-공간부
13-유동방지턱 15-중공부
본 고안은 음료수병, 맥주병, 소주병 등의 음료 용기를 수납하여 사용할 수 있는 2중 컵 구조로서, 음료 용기의 온도를 낮추어주고 일정 시간 동안 보냉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여름철 시원한 음료의 맛을 즐길 수 있고 특히 야외에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음료 용기용 냉각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날씨가 무더운 여름철에는 대다수의 사람들이 시원한 음료를 찾는다.
특히, 여름철에 즐겨 마시는 맥주 등은 냉장하였다가 컵에 부어 마시는데, 비교적 큰 유리컵에 따라 옮겨진 맥주는 시간이 지날수록 시원한 맛이 없어지고 미지근하게 되어 본래의 맥주 맛을 느끼지 못하게 되는 경험이 종종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여러가지의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실현성이 없고 효과가 미미한 상태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 개발된 컵의 일 예로서, 컵 자체를 냉각시켜 내용물인 음료를 차갑게 함과 동시에 컵을 손으로 잡을 때 시원한 촉감을 느끼도록 한 보냉, 보온컵이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26085호(2003.08.29)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보냉, 보온컵은, 스테인레스재로서 2중컵 형태로 성형하되 컵체의 하단을 나선마개로 나사 붙여 2중컵의 공간부 내에 냉수를 채운 다음 얼려서는 컵체를 차게 하여 보냉시간을 유지시키므로서, 여름철에 생맥주를 담아 시원한 생맥주 본래의 맛을 즐길수 있도록 하며, 온수를 채워서는 컵체를 덥게하여 보온 시간을 유지시키므로서 겨울철에 따끈한 음료수를 담아 따끈한 음료의 맛을 즐길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 개시된 보냉, 보온컵은 컵 자체를 차갑게 유지하기 위해 재질을 스테인레스스틸로 한정하므로 제조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경제성이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음료를 따라 담아야 하는 등 산업상의 이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공보의 보냉, 보온컵은 내부에 냉수를 채워 넣기 위해, 컵 자체를 뒤집은 다음 하부의 나선마개를 따고 넣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음료 용기를 자체를 그대로 수납하여 보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제조비가 낮고 성형이 용이한 합성수지 재질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야외에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컵 자체를 바로 세운 상태에서 용이하게 물을 채워 넣을 수 있도록 하고, 필요시 2중 구조의 컵을 분리하여 각각 별개의 컵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다른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고안에서는 내컵부와 외컵부를 조립 결합한 2중 구조로서 내측에 물을 채워 얼릴 수 있는 공간부를 갖는 음료 용기용 냉각컵을 제안한다.
상기한 내컵부와 외컵부는 분리시 각각 독립되어 컵의 모양을 구성하므로 2개의 컵으로 사용할 수 있고, 내컵부의 상측 외향 밴딩부 외면에 형성된 숫나사산과 외컵부의 상측 단부 내면에 형성된 암나사산에 의해 나선 결합 및 분리 구성된다.
내컵부와 외컵부는 제조의 용이성을 위하여 합성수지로 성형하는 것이 좋고, 특히 내컵부는 음료 용기 자체를 직접 수납하는 것이며, 안쪽 상단 내면에 수납될 음료 용기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동방지턱을 돌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고안의 음료 용기용 냉각컵은 음료 용기 자체를 그대로 수납하여 보냉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제조비가 낮고 성형이 용이하며, 컵을 바로 세운 상태에서 용이하게 물을 채워 넣을 수 있고, 필요시 2중 구조의 컵을 분리하여 각각 별개의 컵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음료 용기용 냉각컵을 도시한 단면 구조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 및 조립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면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음료 용기용 냉각컵은 용기의 내용물인 음료를 따라 담는 것이 아니고, 음료수병, 맥주병, 소주병 등의 음료 용기(DC) 자체를 그대로 수납하여 보냉할 수 있도록 한다.
보냉을 위하여, 본 고안의 냉각컵은 종래 기술과 같이 내측에 물을 채워 넣을 수 있는 2중 구조를 채용하고 있지만, 2중 구조를 이루는 기술실현수단을 달리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냉각컵은 내컵부(1)와 외컵부(3)를 조립 결합하여 2중 구조를 구성하는 것이지만, 상기 내컵부(1)와 외컵부(3)는 분리시 각각 독립적으로 컵의 모양을 구성하므로 별개로 된 2개의 컵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내컵부(1)와 외컵부(3)의 조립은, 내컵부(1)의 상측 외향 밴딩부(5)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산(7)과 외컵부(3)의 상측 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산(9)의 나선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며, 그 반대로의 풀림에 의해 분리된다.
내컵부(1)와 외컵부(3)의 결합에 의해 그 사이에는 공간부(11)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11)에는 물이 채워진 후 냉동되어 얼음으로 된다.
물을 채워 넣은 방법으로, 본 고안에서는 종래와 달리 내컵부(1)를 분리하고 외컵부(3)를 바로 세운 상태에서 그 내부에 일정량의 물을 부어 채워 넣은 다음, 다시 내컵부(1)를 결합시키는 단순한 방법에 간단하게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립되고 냉동된 2중 구조의 음료 용기용 냉각컵은 그 내부에 음료수병, 맥주병, 소주병 등의 음료 용기(DC)를 수납한다. 그러나 수납된 음료 용기(DC)는 자체 중량이 있기 때문에 흔들림이 생길 경우 보관 및 운반이 불편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내컵부(1)의 안쪽 상단 내면에 수납될 음료 용기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동방지턱(13)을 돌출 형성한다. 유동방지턱(13)은 신축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 좋으며, 그 수단으로서 내측에 중공부(15)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음료 용기용 냉각컵은 수납된 음료 용기(DC)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고, 흔들림시에도 그 충격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음료 용기용 냉각컵은 제조를 용이하게 실현하기 위하여, 내컵부(1)와 외컵부(3)를 모두 합성수지로 성형할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는 내컵부(1)를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스틸 등의 금속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같이, 본 고안의 음료 용기용 냉각컵은 음료 용기 자체를 그대로 수납하여 보냉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합성수지 재질을 사용하여 제조비가 낮고 성형이 용이하며, 특히 야외에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외컵부를 바로 세운 상태에서 물을 부어 채워 넣고 그 상측에 내컵부를 결합하는 간단한 방법에 의해 물을 채우고 냉동시킬 수 있으며, 필요시 2중 구조의 내컵부와 외컵부를 분리하여 각각 별개의 컵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할 것이다.

Claims (2)

  1. 상측 단부 내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독립된 하나의 컵 모양을 갖춘 외컵부;
    상측 외향 밴딩부 외면에 숫나사산이 형성되고, 음료 용기가 수납되는 독립된 하나의 컵 모양을 갖춘 내컵부; 그리고
    외컵부와 내컵부를 나선 결합하여 2중 구조를 구성함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에 물을 채워 얼릴 수 있는 공간부를 포함하는 음료 용기용 냉각컵.
  2. 제 1 항에 있어서, 내컵부의 안쪽 상단 내면에 형성되어 음료 용기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유동방지턱을 더 포함하는 음료 용기용 냉각컵.
KR2020050029755U 2005-10-19 2005-10-19 음료 용기용 냉각컵 KR2004056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755U KR200405689Y1 (ko) 2005-10-19 2005-10-19 음료 용기용 냉각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755U KR200405689Y1 (ko) 2005-10-19 2005-10-19 음료 용기용 냉각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5689Y1 true KR200405689Y1 (ko) 2006-01-11

Family

ID=41757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9755U KR200405689Y1 (ko) 2005-10-19 2005-10-19 음료 용기용 냉각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568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787B1 (ko) 2007-06-26 2009-09-07 김준 음료수보냉용 얼음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787B1 (ko) 2007-06-26 2009-09-07 김준 음료수보냉용 얼음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6808A (en) Two-liter bottle cooler/insulator
US5148682A (en) Ice molding device and method
US20120193366A1 (en) Flexible Foam Beverage Holder
US20130233866A1 (en) Cool Cup
US6446460B1 (en) Method of chilling and consuming an alcoholic beverage and apparatus therefor
WO2008029975A1 (en) A cooling device
US20160022069A1 (en) Stackable stay-cold stein or drinking glass
KR200405689Y1 (ko) 음료 용기용 냉각컵
KR100930045B1 (ko) 음료용 냉각컵
KR200453465Y1 (ko) 음료수병
WO2007142673A1 (en)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ice around a bottle
US20110088410A1 (en) Chilled Beverage Container
JP2006304850A (ja) 保温または保冷用の食器
JP2001048244A (ja) 筒状保冷具
KR200401585Y1 (ko) 냉장용기
KR20070023914A (ko) 냉장용기
JP3050770U (ja) 保冷用飲料容器
KR200422754Y1 (ko) 보냉옷
KR200370375Y1 (ko) 주류 및 음료용 냉장보존용기
KR20070000065U (ko) 개량형 음료용 냉각컵
US20140110084A1 (en) Beverage cooler
JPH0547591Y2 (ko)
KR200258426Y1 (ko) 음료 용기
KR200379602Y1 (ko) 간편 냉온유지 팩
JP3100814U (ja) 簡易ワイングラ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