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3465Y1 - 음료수병 - Google Patents

음료수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3465Y1
KR200453465Y1 KR2020100008730U KR20100008730U KR200453465Y1 KR 200453465 Y1 KR200453465 Y1 KR 200453465Y1 KR 2020100008730 U KR2020100008730 U KR 2020100008730U KR 20100008730 U KR20100008730 U KR 20100008730U KR 200453465 Y1 KR200453465 Y1 KR 2004534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everage
ice
opening
dr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87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두환
Original Assignee
공두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두환 filed Critical 공두환
Priority to KR20201000087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4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4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46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05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6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with closable apertures at bot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0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of curved cross-section
    • B65D11/04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20Details of walls made of plastic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28Containers joined together by screw-, bayonet-, snap-fit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수(1)와 얼음(2)을 각기 별도로 저장하여 원할 때 음료수(1)와 얼음(2)을 섞어 마실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음료수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수병은 상부용기(10)와 하부용기(20)에 음료수(1)와 얼음(2)을 각각 담아 사용자가 원할 때 음료수(1)와 얼음(2)을 섞어 마실 수 있어서,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음료수병{drink bottle}
본 발명은 음료수와 얼음을 각기 별도로 저장하여 원할 때 음료수와 얼음을 섞어 마실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음료수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콜라나 주스와 같은 음료수가 담긴 음료수병은 상단에 마개가 구비되어 마개를 열고 내부에 담긴 음료수를 마실 수 있다. 이때, 이러한 음료수병은 유리나 합성수지 등과 다양한 재질로 제작되며, 최근에는 PET재질의 병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음료수병에 담겨지는 음료수는 고객의 요구에 맞추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으나, 음료수병은 재질의 변화나 외관 형태변경 이외의 개발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고객에게 새로운 즐거움을 주기에는 충분치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음료수와 얼음을 각기 별도로 저장하여 원할 때 음료수와 얼음을 섞어 마실 수 있도록 된 음료수병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에 마개가 구비된 상부용기와,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가 상기 상부용기의 하부에 결합된 하부용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병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부용기에는 음료수가 담기고, 상기 하부용기에는 얼음이 담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병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다르면, 상기 상부용기의 하단에는 상기 하부용기의 개구부에 결합되어 개구부를 막는 보조마개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병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보조마개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병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수병은 상부용기와 하부용기에 음료수와 얼음을 각각 담아 사용자가 원할 때 음료수와 얼음을 섞어 마실 수 있어서,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수병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수병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수병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수병의 사용방법을 도시한 참고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수병의 변형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수병을 도시한 것으로, 상부에 마개(11)가 구비된 상부용기(10)와, 상부에 개구부(21)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21)가 상기 상부용기(10)의 하부에 결합된 하부용기(20)로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상부용기(10)와 하부용기(20)는 일반적인 음료수병의 중간부를 수평방향으로 잘라 상하로 나누어 놓은 형태로 구성되어, 상부용기(10)와 하부용기(20)를 상호 결합하면 일반적인 음료수병 형태를 갖는다. 이때, 상기 상부용기(10)와 하부용기(20)는 합성수지를 사출 또는 블로우성형하여 제작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용기(10)는 내부에 음료수(1)가 저장되며 상단의 마개(11)를 열어 내부의 음료수(1)를 마시거나 상기 하부용기(20)의 내부에 주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용기(10)의 하단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2)가 형성되며 돌출부(12)의 외측둘레면에는 돌기(12a)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용기(20)는 상부에 개구부(21)가 형성되어 내부에 얼음(2)을 담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부용기(10)의 하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용기(10)의 하단에는 하부용기(20)의 개구부(21)에 결합되는 보조마개(30)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보조마개(30)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격벽(31)과, 상기 격벽(31)의 둘레면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상, 하부연장관(32,33)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연장관(32)은 상기 상부용기(10)의 돌출부(12) 외부에 끼워지는 것으로, 내주면에는 상기 돌기(12a)와 맞물리는 결합홈(32a)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연장관(33)은 상기 하부용기(20)의 상단 외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하부연장관(33)의 내주면과 상기 하부용기(20)의 상단 둘레면에는 상호 맞물리는 나사부(22,33a)가 형성되어, 하부용기(20)를 보조마개(30)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31)의 중앙부에는 빨대(40)를 꽂을 수 있도록 된 관통공(31a)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음료수(1)를 마시려고 할 때는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용기(20)를 분리하고 상부용기(10)의 마개(11)를 연 후 상부용기(10)에 담긴 음료수(1)를 하부용기(20)에 담아 음료수(1)와 얼음(2)이 섞이도록 하여, 얼음(2)에 의해 차가워진 음료수(1)를 마실 수 있다. 또는,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조마개(30)를 상부용기(10)로부터 분리하여 하부용기(20)에 결합하여 하부용기(20)의 개구부(21)를 막아 음료수(1)와 얼음(2)을 흘리지 않게 하고, 상기 보조마개(30)의 관통공(31a)에 빨대(40)를 꽂아 마실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용기(10)에 담긴 음료수는 액체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하부용기(20)에 담긴 얼음은 녹지않도록 하기 위해, 상부용기(10)와 하부용기(20)를 각각 냉장고와 냉동고에 별도로 보관하는 방법이 제안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음료수에 여러 가지 식용성분을 첨가하여 음료수의 어는 온도가 0℃도 보다 낮게 하고, 0℃에서 어는 순수한 물로 얼음을 만들어, 0℃의 냉동고에 보관하는 방법도 제안될 수 있다.
이와같 구성된 음료수병은 상호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용기(20)와 상부용기(10)로 나뉘어져, 하부용기(20)에 얼음(2)을 담과 상부용기(10)에 음료수(1)를 담고, 사용가가 원할 때 상부용기(10)에 담긴 음료수(1)를 하부용기(20)에 부어 음료수(1)와 얼음(2)을 섞어 마실 수 있도록 하므로써, 언제든지 얼음을 넣은 시원한 음료를 마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음료수(1)만을 저장하는 종래의 음료수병과 달리, 하부용기(20)에 얼음(2)을 넣어 휴대할 수 있으므로, 얼음(2)을 넣어 마시는 아이스티와 같은 새로운 형태의 음료수(1)를 고객에게 제공하고,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하부용기(20)의 개구부(21)에는 상기 상부용기(10)의 하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마개(30)가 결합되므로, 하부용기(20)에 음료수(1)를 담은 후 보조마개(30)를 하부용기(20)의 개구부(21)에 결합하여 얼음(2)과 음료수(1)가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용기(20)의 개구부(21)는 얼음(2)을 넣을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크게 형성되어 개구부(21)를 통해 얼음(2)과 음료수(1)가 흐를 수 있으나, 상기 보조마개(30)로 개구부(21)를 막아 음료수(1)나 얼음(2)이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보조마개(30)에는 관통공(31a)이 형성되어 관통공(31a)을 통해 빨대(40)를 삽입하여 음료수(1)를 더욱 쉽게 마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돌기(12a)와 결합홈(32a)을 이용하여 보조마개(30)를 상부용기(10)의 하단에 탈착가능하게, 상기 하부용기(20)가 상기 보조마개(30)의 하단에 나사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보조마개(30)를 상부용기(10)에 나사결합되도록 하거나, 하부용기(20)와 보조마개(30)가 돌기와 결합홈에 의해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상부용기(10)에는 음료수(1)를 저장하고, 상기 하부용기(20)에는 얼음(2)을 담아 하부용기(20)에 음료수(1)를 부어 마실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상부용기(10)와 하부용기(20)에 서로 다른 종류의 음료수(1)를 저장하여 고객이 서로 다른 종류의 음료수(1)를 함께 마실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마개(30)의 구조를 생략하고, 상기 상부용기(10)의 하단에 별도의 연장부(13)를 형성하여, 하부용기(20)가 상기 연장부(13)에 나사결합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도 6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조마개(30)의 상면에 돌출부(34)를 형성하거나, 보조마개(30)의 상하면에 돌출부(34)를 형성하여, 보조마개(30)를 상부용기(10)의 하단이나 상부용기(10)의 하단에 끼워지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도 7에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상기 보조마개(30)는 상하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34)가 구비되어 상기 돌출부(34)가 상부용기(10) 하단과 하부용기(20)의 상단에 끼어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마개(30)의 두께가 두꺼워지므로, 보조마개(30)에 형성된 관통공(31a)의 내부에 탄성적으로 신축될 수 있는 빨대(40)를 내장된다. 이러한 경우, 별도로 빨대(40)를 준비할 필요가 없어서, 사용이 더욱 편리해지는 장점이 있다.
이와같이, 본원발명에 따른 음료수병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1. 음료수 2. 얼음
10. 상부용기 20. 하부용기
30. 보조용기 40. 빨대

Claims (4)

  1. 상부에 마개(11)가 구비된 상부용기(10)와, 상부에 개구부(21)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21)가 상기 상부용기(10)의 하부에 결합된 하부용기(20)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용기(10)에는 음료수(1)가 담기고, 상기 하부용기(20)에는 얼음(2)이 담기며,
    상기 상부용기(10)의 하단에는 상기 하부용기(20)의 개구부(21)에 결합되어 개구부(21)를 막는 보조마개(30)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보조마개(30)에는 관통공(31a)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마개(30)는 상하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34)가 구비되어 상기 돌출부(34)가 상부용기(10) 하단과 하부용기(20)의 상단에 끼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보조마개(30)에 형성된 관통공(31a)의 내부에는 탄성적으로 신축될 수 있는 빨대(40)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병.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00008730U 2010-08-23 2010-08-23 음료수병 KR2004534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730U KR200453465Y1 (ko) 2010-08-23 2010-08-23 음료수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730U KR200453465Y1 (ko) 2010-08-23 2010-08-23 음료수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3465Y1 true KR200453465Y1 (ko) 2011-05-06

Family

ID=44478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8730U KR200453465Y1 (ko) 2010-08-23 2010-08-23 음료수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46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29560A1 (en) * 2015-08-16 2017-02-23 Yahyaeiyan Mohammad Water plus package
EP3608248A1 (en) * 2018-08-06 2020-02-12 Snips S.r.l. Container for food products
GB2579723A (en) * 2018-12-07 2020-07-01 Cadette Brendaley Water bottle with sanitiser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8165U (ja) 1984-09-04 1986-03-31 久義 宮澤 即冷容器
JP2007045486A (ja) * 2005-08-11 2007-02-22 Chinuman Foods:Kk 氷入りアルコール飲料
JP2008120456A (ja) * 2006-10-03 2008-05-29 Donna Roth 飲料ボトルおよびこれを製造する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8165U (ja) 1984-09-04 1986-03-31 久義 宮澤 即冷容器
JP2007045486A (ja) * 2005-08-11 2007-02-22 Chinuman Foods:Kk 氷入りアルコール飲料
JP2008120456A (ja) * 2006-10-03 2008-05-29 Donna Roth 飲料ボトルおよびこれを製造する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29560A1 (en) * 2015-08-16 2017-02-23 Yahyaeiyan Mohammad Water plus package
EP3608248A1 (en) * 2018-08-06 2020-02-12 Snips S.r.l. Container for food products
GB2579723A (en) * 2018-12-07 2020-07-01 Cadette Brendaley Water bottle with sanitise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25118A1 (en) Ice chest
US20130233866A1 (en) Cool Cup
KR100828147B1 (ko) 생수병 단열 케이스
US20160075477A1 (en) Chilling and Infusion Insert for Beverage Container
JP2010194304A (ja) 保冷容器
US20190133358A1 (en) Bottle with insulated chamber and internal storage for cups and accessories
KR200453465Y1 (ko) 음료수병
US20110042374A1 (en) Drink cup
US11370580B2 (en) Coffee and liquid container with concealed mini-cup compartment
KR200456968Y1 (ko) 다중 결합 용기
KR20110003111U (ko) 음용 용기 냉장 보관장치
KR101295227B1 (ko) 결로방지용 결합용기
US20150233632A1 (en) Beverage chiller and method
KR200344346Y1 (ko) 이중 용기
KR200326054Y1 (ko) 일회용 이중얼음컵
US20110088410A1 (en) Chilled Beverage Container
KR100915787B1 (ko) 음료수보냉용 얼음통
KR101956915B1 (ko) 다용도 페트병
KR200401445Y1 (ko) 얼음통
KR200405689Y1 (ko) 음료 용기용 냉각컵
KR20190001718U (ko) 얼음 분리컵을 구비한 텀블러
KR20140133145A (ko) 내부 공간이 분리된 음료용기
KR20200071352A (ko) 일회용 플라스틱 얼음컵
KR20080003358U (ko) 냉수와 온수를 같이 보관하는 물통
KR20060000096U (ko) 뚜껑 겸용 컵과 보조 컵이 구비된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