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3111U - 음용 용기 냉장 보관장치 - Google Patents

음용 용기 냉장 보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3111U
KR20110003111U KR2020090012398U KR20090012398U KR20110003111U KR 20110003111 U KR20110003111 U KR 20110003111U KR 2020090012398 U KR2020090012398 U KR 2020090012398U KR 20090012398 U KR20090012398 U KR 20090012398U KR 20110003111 U KR20110003111 U KR 2011000311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nking
space
ice
container
storag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23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하영
이종관
Original Assignee
최하영
이종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하영, 이종관 filed Critical 최하영
Priority to KR20200900123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3111U/ko
Publication of KR201100031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11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02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ice, e.g. ice-boxes
    • F25D3/06Movable containers
    • F25D3/08Movable containers portable, i.e. adapted to be carried person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3Bott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5C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장고에서 테이블로 제공되는 음용 용기를 시원한 냉장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이용자들이 물이나 음료수 또는 주류를 시원한 상태로 섭취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음용 용기 냉장 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가 개방된 보관바디와, 상기 보관바디의 내벽면과 바닥면에 형성하는 다수개의 결합슬로트와 결합홈, 상기 결합슬로트와 결합홈에 결합하여 냉기를 발생시키는 얼음을 채우기 위한 얼음공간과 음용 용기를 수납하는 다수개의 음용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벽과, 상기 격벽에 형성하여 얼음으로부터 발생한 냉기를 음용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통공과, 상기 보관바디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 되어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형성하여 음용공간으로 음용 용기를 수납 및 이탈할 수 있도록 하는 출입홀을 포함하는 구성이 특징이다.
얼음, 냉장, 음용, 용기, 보관

Description

음용 용기 냉장 보관장치{AN ICEBOX}
본 고안은 음용 용기 냉장 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 또는 업소에서 물, 음료 또는 주류를 수용한 음용 용기를 냉장고에서 인출하여 이용자가 섭취할 때까지 냉장(시원한)상태를 유지시켜줄 수 있도록 한 개선된 냉장 보관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용 용기는 음용 되는 액체인 물, 음료수 또는 주류가 담겨 지는 용기로써 냉장고에서 상온 보다 낮은 온도로 냉각시켜서 사용자가 섭취하였을 때 시원함을 느끼게 하는 것은 물론, 맛을 더욱 좋게 하고 있다.
이러한 음용 용기에 수용된 물, 음료 또는 술을 가정 또는 업소에서 섭취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온과 같은 미지근한 상태보다 차갑고 시원한 상태를 선호하기 때문에 판매되는 대다수의 음용 용기는 냉장고에 비치함으로써 이용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판매 또는 보관을 위한 냉장고에서 이탈시켜 이용자들이 앉아 있는 테이블로 이동시킨 후에는 내용물을 완전하게 다 섭취하기 전에 상온에서 열 교환이 이루어져 쉽게 상온상태로 되기 때문에 테이블로 이동된 상태에서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 되면 시원함이 사라져 음용 하고자 하는 물, 음료 또는 술이 시원하지 못하고 그 맛 또는 상쾌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부에서는 음용 용기를 냉장용기에 수용시켜 내용물의 섭취가 끝날 때까지 시원한 온도로 보관하면서 섭취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냉장보관기의 구성을 도 6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냉장보관기(1)는 음용 용기보다 큰 크기를 가지고 상부가 개방된 보관바디(2)를 구비하고, 상기 보관바디(2)의 내부에는 얼음(3)을 일부 채워넣고, 음용 용기(4)를 얼음(3)과 연접되도록 함으로서 시원한 상태를 지속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냉장보관기는 크기의 한계로 인하여 많은 양의 용기를 수용하지 못하고 한 병 또는 두 병 정도만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인원이 함께 이용할 경우에는 냉장보관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특히 냉장보관기에 채워진 얼음에 음용 용기의 바닥부위만 닿게 되기 때문에 용기 전체에 냉기를 신속하게 전달하지 못하게 되므로 음용 용기를 냉장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또한, 업소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테이블에 육류를 굽거나 조리한 음식물 또는 안주가 있을 경우에는 높은 온도에 의하여 쉽게 얼음이 녹게 되는 것은 물론, 냉장보관기의 상부로 노출된 음용 용기의 상부가 쉽게 상온상태로 변화되어 내용물을 시원한 상태로 유지하지 못하게 되는 원인이 된다.
그리고 냉장보관기의 크기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채워지는 얼음에 한계가 있어 음용 용기를 시원하게 유지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고, 실내의 열기와 열교환으로 쉽게 얼음이 녹아내리는 것은 물론 냉장보관기의 바닥에 물이 고이게 되므로 더욱 빠르게 얼음을 녹이는 원인이 되어 음용 용기를 시원한 상태로 지속시키는 것이 어렵게 된다.
냉장보관기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이용자들의 신체와 간섭에 의하여 쉽게 넘어질 수 있고, 이 경우에는 얼음과 개봉된 음용 용기 내의 내용물이 테이블로 쏟아져 테이블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상부가 개방된 보관바디와, 상기 보관바디의 내벽면과 바닥면에 형성하는 다수개의 결합슬로트와 결합홈, 상기 결합슬로트와 결합홈에 결합하여 냉기를 발생시키는 얼음을 채우기 위한 얼음공간과 음용 용기를 수납하는 다수개의 음용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벽과, 상기 격벽에 형성하여 얼음으로부터 발생한 냉기를 음용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통공과, 상기 보관바디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 되어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형성하여 음용공간으로 음용 용기를 수납 및 이탈할 수 있도록 하는 출입홀을 포함하여, 냉장고에서 테이블로 제공되는 음용 용기를 시원한 냉장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이용자들이 물이나 음료수 또는 주류를 시원한 상태로 섭취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본 고안은 병목 부위만 외부로 노출되고 나머지는 커버에 의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얼음의 냉기에 의하여 시원한 냉장상태를 장시간 지속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이용자들이 시원한 상태에서의 섭취를 가능하게 하면서 외압에 의하여 넘어지더라도 얼음과 물 또는 음용 용기가 외부로 쏟아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서 테이블을 청결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은 물론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증대시 킬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고안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음용 용기 냉장 보관장치를 도시한 분해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음용 용기 냉장 보관장치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음용 용기 냉장 보관장치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음용 용기 냉장 보관장치의 C부위를 발췌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음용 용기 냉장 보관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되는 음용 용기 냉장 보관장치(100)는 다양한 형상과 모양을 가지면서 상부가 개방된 보관바디(101)를 구비하고, 상기 보관바디(101)의 상부에는 회동 자유로운 손잡이(102)를 연결하여 이동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보관바디(101)의 내벽면과 바닥면에는 다수개의 결합슬로트(103)와 결합홈(104)을 등간격 또는 부등간격으로 형성하고, 상기 결합슬로트(103)와 결합홈(104)에는 격벽(105)을 결합하여 냉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얼음공간(106)과 음용 용기(107)를 수납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음용공간(108)으로 구획한다.
상기 격벽(105)의 형상은 본 고안의 도면에 예시한 형상으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수납하고자 하는 음용 용기(107)의 크기나 모양 등으로 고려하여 자유로운 가변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얼음공간(106)은 보관바디(101)의 중앙에 위치시키는 것이 각각의 음용공간(108)으로 냉기를 용이하고 고르게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격벽(105)에는 얼음으로부터 발생한 냉기를 각각의 음용공간(108)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통공(109)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통공(109)의 형상은 본 고안의 도면에서는 마름모꼴로 형성하고 있으나 원형, 사각형, 삼각형, 세로방향의 장공 또는 가로방향의 장공 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얼음이 통과할 수 없는 크기로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보관바디(101)의 상부에는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착탈자유로운 커버(110)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110)에는 각각의 음용공간(108)으로 음용 용기(107)를 수납 및 이탈할 수 있는 출입홀(111)을 형성한다.
상기 커버(110)는 보관바디(101)의 상단부 내측에 형성되는 안치턱과 치합되도록 하고, 커버(110)의 중앙에는 착탈을 위한 손잡이를 돌출되게 또는 요입되게 형성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 출입홀(111)의 크기는 음용 용기(107)의 직경 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가지도록 하여 출입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출입홀(111)에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수직부(112)를 형성하여 보관바디(101)가 넘어지더라도 음용 용기(107)를 잡아주어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미세한 간격차이가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자연 스럽게 음용 용기(107)가 출입할 수 있게 되고, 넘어질 경우에는 음용 용기(107)의 외벽과 출입홈(111)의 수직부(112)가 연접되므로 음용 용기(107)가 쉽게 이탈되지 않게되는 것이다.
상기 보관바디(101)는 밀폐된 이중벽(113)으로 구성하여 냉수공간(114)을 형성하고, 상기 냉수공간(114)은 얼음공간(108)과 통수공(115)으로 연결하여 얼음이 녹으면서 발생한 냉수가 채워져 음용공간(108)의 보냉에 일조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보관바디(101)의 저면에는 냉수공간(114)에 채워진 냉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공(116)을 형성하고, 상기 배수공(116)은 캡(117)으로 마감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냉장 보관장치(100)의 재질은 금속 또는 비철금속을 이용하여 성형할 수 있을 것이나 경량화와 더불어 제조의 용이성 및 보냉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합성수지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음용 용기 냉장 보관장치(100)의 사용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보관바디(101)에 형성되는 결합슬로트(103)와 결합홈(104)에 격벽(105)을 결합하여 형성된 얼음공간(106)에는 얼음을 채운 후, 커버(110)를 결합하여 얼음으로부터 발생하는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격벽(105)으로 얼음공간(106)과 분리되게 구획된 음용공간(108)에는 섭취하고자 하는 음용 용기(107)를 수납하는 데, 커버(110)에 형성되는 출입홀(111)을 통하여 수납시키면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냉장 보관장치(100)를 테이블 위에 안치시켜 둠으로써 이용자들이 필요에 의하여 냉장 보관장치(100)에 수납된 음용 용기(107)를 인출하여 내용물을 시원한 상태로 섭취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냉장 보관장치(100)에 수납된 음용 용기(107)가 시원한 냉장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은, 얼음공간(106)에 채워진 얼음의 냉기가 격벽(105)에 형성되는 통공(109)을 통하여 음용 용기(107)를 수용하고 있는 음용공간(108)으로 이동하여 공급되므로 가능하게 된다.
또한, 얼음공간(106)에 채워진 얼음이 녹으면서 발생하는 냉수는 보관바디(101)의 바닥면에 형성된 통수공(115)을 통하여 보관바디(101)를 구성하는 이중벽(113)에 의하여 형성되는 냉수공간(114)으로 이동하여 채워지기 때문에 음용공간(108)의 보냉에 도움을 주게 된다.
즉, 음용공간(108)의 내부에서는 얼음공간(106)에 채워진 얼음으로부터 발생하는 냉기가 유입되고, 보관바디(101)의 외부에서는 전도되는 온기는 얼음이 녹으면서 발생한 냉수가 냉수공간(114)에 채워진 상태에서 차단하는 효과를 가지게 되므로 음용공간(108)을 냉장상태로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음용공간(108)에 수납된 음용 용기(107)를 이탈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커버(110)에 형성된 출입홀(111)의 상부로 노출된 음용 용기(107)를 잡고 보관바디(101)의 상방으로 상승시킨 후 이탈시키면 음용 용기(107)의 외벽과 출입홀(111)의 수직부(112)가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이탈에 어려움이 없게 된다.
그리고, 보관장치(100)가 기울어지거나 넘어질 경우에는 커버(110)에 의하여 얼음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출입홀(111)을 통하여 음용 용기(107)가 음용공간(108)을 빠져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이는, 음용 용기(107)가 직립 된 상태를 유지할 경우에는 출입홀(111)의 수직부(112)와 미세한 간격을 이격시킨 상태에서 평행을 유지하므로 출입이 자유롭고, 경사진 상태에서는 수직부(112)와 음용 용기(107)의 외벽면이 맞닿아 끼임 된 상태와 같기 때문에 음용 용기(107)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음용 용기 냉장 보관장치는 냉장고에서 테이블로 제공되는 음용 용기를 시원한 냉장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이용자들이 물이나 음료수 또는 주류를 시원한 상태로 섭취 가능하게 되는 등 다양한 장점을 가지는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음용 용기 냉장 보관장치를 도시한 분해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음용 용기 냉장 보관장치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음용 용기 냉장 보관장치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음용 용기 냉장 보관장치의 C부위를 발췌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음용 용기 냉장 보관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음용 용기 냉장보관기를 도시한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0; 냉장 보관장치
101; 보관바디
105; 격벽
106; 얼음공간
108; 음용공간
110; 커버
114; 냉수공간

Claims (4)

  1. 상부가 개방된 보관바디(101)와;
    상기 보관바디(101)의 내벽면과 바닥면에 형성하는 다수개의 결합슬로트(103)와 결합홈(104);
    상기 결합슬로트(103)와 결합홈(104)에 결합하여 냉기를 발생시키는 얼음을 채우기 위한 얼음공간(106)과 음용 용기(107)를 수납하는 다수개의 음용공간(108)으로 구획하는 격벽(105)과;
    상기 격벽(105)에 형성하여 얼음으로부터 발생한 냉기를 음용공간(108)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통공(109)과;
    상기 보관바디(101)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 되어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110)와;
    상기 커버(110)에 형성하여 음용공간(108)으로 음용 용기(107)를 수납 및 이탈할 수 있도록 하는 출입홀(1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 용기 냉장 보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바디(101)는 밀폐된 이중벽(113)으로 구성하여 냉수공간(114)을 형성하고;
    상기 냉수공간(114)은 얼음공간(108)과 통수공(115)으로 연결하여 얼음이 녹 으면서 발생한 냉수가 채워져 음용공간(108)의 보냉 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보관바디(101)의 저면에는 냉수공간(114)에 채워진 냉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공(116)과 상기 배수공(116)을 마감하는 캡(11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 용기 냉장 보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바디(101)의 상부에는 회동 자유로운 손잡이(102)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 용기 냉장 보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홀(111)의 크기는 음용 용기(107)의 직경 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가지도록 하고 수직부(112)를 형성하여,
    직립 된 음용 용기(107)의 외벽면과 수직부(112)가 평행을 이루어 출입할 수 있도록 하고, 기울어지거나 넘어질 경우에는 음용 용기(107)의 외벽과 수직부(112)가 연접되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 용기 냉장 보관장치.
KR2020090012398U 2009-09-21 2009-09-21 음용 용기 냉장 보관장치 KR2011000311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398U KR20110003111U (ko) 2009-09-21 2009-09-21 음용 용기 냉장 보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398U KR20110003111U (ko) 2009-09-21 2009-09-21 음용 용기 냉장 보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111U true KR20110003111U (ko) 2011-03-29

Family

ID=44208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2398U KR20110003111U (ko) 2009-09-21 2009-09-21 음용 용기 냉장 보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3111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23274A (zh) * 2016-06-15 2016-09-07 宁波超锐特工贸有限公司 用于沙滩车上放置冷饮的装置
CN105966767A (zh) * 2016-06-15 2016-09-28 宁波超锐特工贸有限公司 用于沙滩车上储藏冷饮的机构
CN109357454A (zh) * 2018-08-20 2019-02-19 芜湖金茂包装制品有限公司 泡沫冷藏包装箱
KR20190040180A (ko) * 2019-04-11 2019-04-17 김석곤 술병 아이스 케이스
ES2940859A1 (es) * 2022-11-18 2023-05-11 Los Santos Juan Pedro Enrique De Cubitera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23274A (zh) * 2016-06-15 2016-09-07 宁波超锐特工贸有限公司 用于沙滩车上放置冷饮的装置
CN105966767A (zh) * 2016-06-15 2016-09-28 宁波超锐特工贸有限公司 用于沙滩车上储藏冷饮的机构
CN109357454A (zh) * 2018-08-20 2019-02-19 芜湖金茂包装制品有限公司 泡沫冷藏包装箱
KR20190040180A (ko) * 2019-04-11 2019-04-17 김석곤 술병 아이스 케이스
ES2940859A1 (es) * 2022-11-18 2023-05-11 Los Santos Juan Pedro Enrique De Cubiter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2537A (en) Beverage container with ice compartment
US7950249B1 (en) Ice cubes cooled container
KR20110003111U (ko) 음용 용기 냉장 보관장치
US20170020318A1 (en) Beverage container with removable and reusable chilling container
US20080196443A1 (en) P.R.O. cooler or the perfectly re-engineered omni cooler
US6035659A (en) Sanitary beverage cooler
US6948333B1 (en) Combined bottles with hidden cooler
KR100840436B1 (ko) 탄산가스 주입용 압력용기 일체형 냉장고
JP2008505812A (ja) 冷却効果向上のためのボトルキャップ及びそれを利用した冷却方法
KR200344346Y1 (ko) 이중 용기
JP3138983U (ja) 冷蔵容器
JP2001048244A (ja) 筒状保冷具
KR200406353Y1 (ko) 식탁용 술병 냉장 용기
KR200448121Y1 (ko) 음식 용기용 보조 냉장장치
KR200370375Y1 (ko) 주류 및 음료용 냉장보존용기
KR200402281Y1 (ko) 아이스박스
JPS581499Y2 (ja) 保温,保冷バツグ
KR102022151B1 (ko) 음료 또는 주류가 수용된 피처용기의 냉기를 전달하여 차가움을 유지시켜 주는 피처용기용 냉각틀
KR20080114457A (ko) 음료수보냉용 얼음통
KR200258681Y1 (ko) 보냉 및 냉각능을 갖는 컵
KR20160140519A (ko) 술병 아이스박스
KR200286314Y1 (ko) 냉매가 저장된 냉각용 이중용기
KR200294693Y1 (ko) 아이스 쿨러
JP6046387B2 (ja) 飲料容器
TWI451853B (zh) Temperature adjustable double insulation contain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