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4457A - 음료수보냉용 얼음통 - Google Patents

음료수보냉용 얼음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4457A
KR20080114457A KR1020070106184A KR20070106184A KR20080114457A KR 20080114457 A KR20080114457 A KR 20080114457A KR 1020070106184 A KR1020070106184 A KR 1020070106184A KR 20070106184 A KR20070106184 A KR 20070106184A KR 20080114457 A KR20080114457 A KR 20080114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ice
beverage
water
d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6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5787B1 (ko
Inventor
김준
Original Assignee
김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 filed Critical 김준
Publication of KR20080114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4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5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5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4Containers with means for keeping food cool or h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8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수 보냉용 얼음통에 관한 것으로서, 맥주, 샴페인, 포도주, 막걸리, 콜라, 생수 등 각종 음료수를 마실 때 장시간 마시는 동안 음료수가 미지근하게 되지 않고 시원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마실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료수 맛을 잃지 않게 하고 음료수 본래의 맛을 배가시켜 마시는 사람으로 하여금 기분을 좋게 하는 음료수 보냉용(保冷用) 얼음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음료수보냉용 얼음통은 내부에 물이 주입되어 얼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냉각공간(12)과, 상기 냉각공간(12)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보냉시키고자 하는 음료수병(B)이 삽입되는 음료수병 세움 공간(14)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음료수병, 보냉, 얼음통, 냉각공간, 동파, 물

Description

음료수보냉용 얼음통{ICE TUB FOR MAINTAINING THE COOLNESS OF DRINKING WATER}
본 발명은 음료수 보냉용 얼음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맥주, 샴페인, 포도주, 막걸리, 콜라, 생수 등 각종 음료수를 마실 때 장시간 마시는 동안 음료수가 미지근하게 되지 않고 시원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마실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시는 동안 음료수 맛을 잃지 않게 하고 음료수 본래의 맛을 배가시켜 마시는 사람으로 하여금 기분을 좋게 마시게 하는 음료수 보냉용(保冷用) 얼음통에 관한 것이다.
맥주, 샴페인, 포도주, 막걸리, 콜라, 생수 등과 같은 음료수는 시원하게 마셔야 맛이 있다. 특히 여름철에는 더욱 그러하다.
그런데 가족간 또는 친구 사이에 장시간 대화를 나누면서 음료수를 조금씩 마시는 경우에는 음료수가 상온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냉장고에서 시원하게 냉장되었던 음료수의 온도가 빠르게 올라가 미지근한 상태가 되어버리므로 음료수 맛이 떨어진다. 특히 맥주나 막걸리 등 주류를 마시는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마시는데 오랜 시간이 소요되어 미지근하게 되어 버린다.
이와 같이 대화하며 조금씩 마시는 맥주, 샴페인, 포도주, 막걸리와 같은 주류와, 콜라와 같은 청량음료수가 미지근하게 되면 음료수의 맛이 크게 떨어져 마시는 사람으로 하여금 청량감을 느끼게 할 수 없어 좋은 기분을 갖지 못하게 된다.
특히 최근에 1.8ℓ, 1.6ℓ등과 같이 큰 페트병에 넣어 시판되는 맥주가 있는데 이와 같은 큰 용기의 맥주병은 맥주를 마시는데 적지 않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다 마시기 전에 맥주가 미지근하게 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주점에서 맥주, 샴페인, 포도주, 막걸리 등을 마실 때 장시간 대화를 나누면서 마시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에 대화도중에 주류가 미지근하게 되어 주류의 맛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이와 같이 음료수가 미지근하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박스에 얼음조각을 넣고 그 위에 음료수병을 넣어 음료수를 장시간 시원하게 하는 형태가 있으나, 이는 사용하는데 번잡할 뿐만 아니라 음료수병의 극히 일부만이 얼음조각과 접촉하고 음료수 병의 대부분은 외기와 접촉하기 때문에 시원함을 유지하는 효과가 떨어진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대화를 하면서 장시간 맥주, 샴페인, 콜라, 생수 등과 같은 음료수를 마실 때 음료수병에 있는 음료수를 다 마시기 전에 음료수가 미지근하게 되어 음료수 맛이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장시간 마시더라도 항상 시원한 음료수를 마실 수 있게 하는 음료수 보냉용 얼음통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료수 보냉용 얼음통은 내부에 물이 주입되어 얼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냉각공간과, 상기 냉각공간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보냉시키고자 하는 음료수병이 삽입되는 음료수병 세움 공간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음료수 보냉용 얼음통은 또한 상기 냉각공간이 내통와 중간통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고, 중간통과의 사이에 이슬방지공간을 형성하는 외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음료수 보냉용 얼음통은 또한 상기 냉각공간이 내통과 중간통에 의하여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냉각공간의 상부에 물주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음료수 보냉용 얼음통은 또한 상기 물주입구가 상단에서 일정길이 아래로 떨어진 높이까지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공기구멍이 형성된 마개에 의하여 개폐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음료수 보냉용 얼음통은 또한 상기 내통과 중간통의 하단에 이슬이 하부로 배출되는 이슬배출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슬방지공간의 상부벽에 이슬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음료수 보냉용 얼음통은 또한 상기 음료수병 세움 공간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작은 크기의 음료수병을 삽입해 놓을 수 있으며 내부에 물이 주입되어 어는 보조얼음통이 추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음료수보냉용 얼음통은 장시간 맥주, 샴페인, 포도주, 막걸리, 콜라, 생수 등과 같은 음료수를 마시는 경우에, 차가운 음료수병뿐만 아니라 차갑지 않은 음료수병까지도 시원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가정, 주점 등에서 장시간 대화를 하면서 마시더라도 항상 시원한 음료수를 마실 수 있게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음료수보냉용 얼음통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음료수보냉용 얼음통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음료수보냉용 얼음통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료수보냉용 얼음통은 본체(10), 손잡이(20) 및 받침판(3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0)에는 냉각공간(12)과 음료수병 세움 공간(14)이 구성되어 있다.
냉각공간(12)은 내부에 물이 주입되어 얼 수 있도록 환형공간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통(15)과 중간통(16)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음료수병 세움 공간(14)은 상기 환형의 냉각공간(12)의 내측, 즉 내통(15)의 내측에 구성되며 보냉시키고자 하는 음료수병(B)이 삽입되어 세워진다.
냉각공간(12)의 물주입구(19)는 물주입구 마개(11)에 의하여 개폐되며 상단에서 일정길이 아래로 떨어진 높이까지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이유는 냉각공간(12)의 물주입구가 상단에서 일정길이 아래로 이격된 높이까지 개구되면 물(W)을 냉각공간(12)에 집어넣을 때 항상 냉각공간(12)의 상부는 일정공간 빈 공간으로 남아 있게 되고, 그에 따라 냉동고에서 물(W)이 어는 동안 물의 팽창에 의하여 내통(15) 및 중간통(16)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동파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냉각공간(12)의 물은 결빙상태가 오래 지속되는 고흡수성 수지 등과 물을 혼합한 용액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물주입구 마개(11)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주입구(19)에 슬라이딩방식으로 용이하게 설치 또는 제거되도록 되어 있으며, 냉각공간(12)의 물(W)이 얼고 녹는 동안 상부공간의 공기가 외부로 연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공기구멍(11a)이 형성되어 있다.
냉각공간(12)의 물주입구(19)의 상단에서 하단까지의 길이는 냉각공간(12)의 부피나 두께 등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동파방지를 위한 공간을 적절하게 확보하도록 해야 한다.
물주입구 마개(11)는 양측면에 본체(10)의 내통(15)에 형성된 안내홈(15c)에 삽입되어 슬라이딩하는 안내날개(11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벽 선단에는 물주입구(19)의 걸림턱(10b)에 걸리는 단턱(11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냉각공간(12)의 외측에는 내부에 냉각공간(12)의 얼음에 의하여 본체(10)의 외부에 이슬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통(17)을 추가로 구성하여 중간통(16)과의 사이에 이슬방지공간(13)이 형성되어 있다.
내통(15)의 하단에는 이슬배출통로(15b)가 형성되어 있는 하향돌출파이프(15a)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간통(16)에는 상기 하향돌출파이프(15a)가 삽입되는 안내파이프(16a)가 형성되어 있고, 하향돌출파이프(15a)는 그 하단에 고정너트(18)가 나사결합하여 중간통(16)을 견고하게 고정한다.
전술한 음료수병 세움 공간(14)의 직경은 시중에 판매되는 음료수병(B)의 가장 큰 지름보다 약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야 시중에서 판매되는 모든 음료수병을 음료수병 세움공간(14)에 넣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음료수병의 직경이 음료수병 세움공간(14)의 직경에 비하여 크게 작은 경우에는 삽입되는 음료수병이 기울어지고 음료수병 외부 측면이 냉각공간(12)과 많이 이격되어 냉각효과가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작은 크기의 음료수병(B')과 냉각공간(12) 사이에 삽입되는 환형의 보조얼음통(40)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얼음통(40)의 내부 직경은 사용하고자 하는 음료수병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다.
보조얼음통(40)도 내부에 물(W)이 주입되어 얼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단 부분에 물주입구 마개(41)가 구성되어 있다. 물주입구의 하단은 전술한 냉각공간(1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단에서 일정거리 아래에 형성되어 보조얼음통(40)의 내부공간 상부에 항상 빈공간을 갖도록 되어 있고 그에 따라 보조얼음통(40)의 동파를 방지하고 있다.
물주입구 마개(41)도 전술한 물주입구 마개(11)와 마찬가지로 슬라이딩방식으로 물주입구에 설치 또는 제거되도록 되어 있으며, 냉각공간의 물(W)이 얼고 녹는 동안 상부공간의 공기가 외부로 연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공기구멍(41a)이 형성되어 있다.
물주입구 마개(11)(41)의 구조는 전술한 형태 이외에도 다른 형태 또는 방식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물주입구 마개(11)(41)에 형성된 공기구멍은 냉각공간(12)의 상부벽 어느 한 위치에 형성할 수도 있다.
보조 얼음통(40)은 다양한 음료수 병, 즉 음료수 병의 외경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것을 다수 구성하여 하나의 세트로 구성하면 더욱 좋다.
또한 음료수병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 그 규격에만 맞는 맞춤형 음료수 보냉용 얼음통을 만들 수 있다. 그럴 경우에, 장시간 사무실 등에서 일하는 사람들에게 유용하다.
받침판(30)은 본체(10)를 안정되게 세울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지지구(31)는 중간통(16)을 안정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구(31)에는 관통 공(31a)을 형성하여 이슬방지공간(13)내에 있는 물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받침판(30)에 형성된 지지구(31)는 중간통(16)에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받침판(30)과 외통(17)과의 사이는 열융착 방식 등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고 나사체결방식으로 분리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음료수 보냉용 얼음통은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먼저 얼음통의 물주입구 마개(11)를 개방하여 냉각공간(12)에 물을 주입한다. 물(W)은 물주입구(19)의 하단까지만 주입되므로 냉각공간(12)의 상부공간은 항상 빈공간으로 남는다. 물주입구 마개(11)를 슬라이딩방식으로 물주입구(19)에 설치하고 본 발명의 얼음통을 냉동고 공간에 집어넣는다. 따라서 냉각공간(12) 내에 있는 물이 얼게 된다. 물(W)이 얼 때 팽창하더라도 냉각공간(12)의 상부가 빈공간이고 또 공기구멍(11a)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동파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맥주, 막걸리, 콜라, 생수 등을 마시고자 할 때에 본 발명의 얼음통을 냉동고에서 꺼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수병 세움공간(14)에 맥주병, 막걸리병 등을 삽입한다. 그러면 얼음통의 냉각공간(12)의 냉기가 음료수병에 전달되어 맥주, 막걸리 등의 음료수가 시원한 상태를 장시간 유지한다.
시원한 상태의 음료수를 본 발명의 얼음통에 넣고 마시는 경우에는 당연히 시원한 상태가 계속해서 유지되지만, 특히 음료수가 시원한 상태가 아닌 경우에도 본 발명의 얼음통은 음료수에 차가운 냉기를 그대로 전달하므로 이 경우에도 음료 수를 시원하게 하여 마실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다.
얼음통의 본체(10) 외부면에는 이슬방지공간(13)으로 인하여 외통(17)의 외면에는 이슬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사용자에게 바닥의 물기를 닦아야 하는 불편함을 주지 않는다. 또한 냉각효과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음료수병의 직경이 작은 경우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얼음통(40)을 이용하여 음료수병이 음료수병 세움공간(14)내에서 기울어짐이 없이 세울 수가 있으며 보조얼음통(40)의 냉기가 효과적으로 음료수에 전달될 수 있으므로 음료수의 시원한 상태를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냉각공간(12)과 음료수병 세움공간(14)의 온도차이에 의하여 음료수병세움공간(14) 내면에 형성되는 이슬은 음료수병세움공간(14)의 하부로 모이고 이슬배출통로(15b)를 통하여 이슬방지공간(13)의 하부로 들어간다.
이슬방지공간(13)에 모아진 이슬은 이슬배출공(10a)을 통하여 배출시키고 본 발명의 얼음통을 계속해서 재사용하면 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그러한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음료수보냉용 얼음통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음료수보냉용 얼음통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음료수보냉용 얼음통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W: 물
10; 본체 10a: 이슬배출공
10b: 걸림턱
11: 물주입구 마개 11a: 공기구멍
11b: 안내날개 11c: 단턱
12: 냉각공간 13: 이슬방지공간
14: 음료수병 세움 공간
15: 내통 15a: 하향돌출파이프
15b: 이슬배출통로 15c: 안내홈
16: 중간통 16a: 안내파이프
17: 외통 18: 고정너트
19: 물주입구 20: 손잡이
30: 받침판 31: 지지구
31a: 관통공 40: 보조 얼음통
41: 물주입구 마개 41a: 공기구멍

Claims (6)

  1. 내부에 물(W)이 주입되어 얼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냉각공간(12)과,
    상기 냉각공간(12)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보냉시키고자 하는 음료수병(B)이 삽입되는 음료수병 세움 공간(14)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보냉용 얼음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공간(12)은 내통(15)과 중간통(16)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간통(16)과의 사이에 이슬방지공간(13)을 형성하는 외통(17)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보냉용 얼음통.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공간(12)은 내통(15)과 중간통(16)에 의하여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냉각공간(12)의 상부에 물주입구(19)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보냉용 얼음통.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주입구(19)는 상단에서 일정길이 아래로 떨어진 높이까지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공기구멍(11a)이 형성된 마개(11)에 의하여 개폐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보냉용 얼음통.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15)과 중간통(16)의 하단에 이슬이 하부로 배출 되는 이슬배출통로(15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슬방지공간(13)의 상부벽에 이슬배출공(10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음료수 보냉용 얼음통.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의 음료수병 세움 공간(14)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작은 크기의 음료수병(B')을 삽입해 놓을 수 있으며 내부에 물(W)이 주입되어 어는 보조얼음통(40)이 추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보냉용 얼음통.
KR1020070106184A 2007-06-26 2007-10-22 음료수보냉용 얼음통 KR1009157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63114 2007-06-26
KR1020070063114 2007-06-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4457A true KR20080114457A (ko) 2008-12-31
KR100915787B1 KR100915787B1 (ko) 2009-09-07

Family

ID=40371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6184A KR100915787B1 (ko) 2007-06-26 2007-10-22 음료수보냉용 얼음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57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1708B1 (ko) * 2015-07-16 2019-01-24 천성욱 주류 및 음료 냉각 보관장치
KR102098111B1 (ko) * 2019-12-04 2020-04-07 신태열 이중 냉면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1456A (ja) * 2000-07-19 2002-01-31 Fujitsu General Ltd 飲料の保冷又は保温装置
KR200257054Y1 (ko) 2001-09-13 2001-12-24 민병이 용기
JP2004037009A (ja) * 2002-07-04 2004-02-05 Yoshinobu Toyomura 冷却容器
KR20040063100A (ko) * 2004-06-17 2004-07-12 박종옥 음료수 냉각상태 유지용 용기
KR200405689Y1 (ko) 2005-10-19 2006-01-11 윤명자 음료 용기용 냉각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5787B1 (ko) 2009-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233866A1 (en) Cool Cup
KR200426553Y1 (ko) 음료용 냉각컵
KR100915787B1 (ko) 음료수보냉용 얼음통
US6948333B1 (en) Combined bottles with hidden cooler
KR100930045B1 (ko) 음료용 냉각컵
KR20110003111U (ko) 음용 용기 냉장 보관장치
KR100801541B1 (ko) 냉음료 냉기유지장치
JP2003095398A (ja) 汎用ペットボトルへの装着型クラッシュアイス用ペットボトル
KR200401585Y1 (ko) 냉장용기
KR200305763Y1 (ko) 냉각용기
KR20070023914A (ko) 냉장용기
KR200393934Y1 (ko) 주류 및 음료용 보냉케이스
KR200370375Y1 (ko) 주류 및 음료용 냉장보존용기
KR20160140519A (ko) 술병 아이스박스
KR200436408Y1 (ko) 음료용기용 보냉기
KR200435219Y1 (ko) 광고면이 형성된 컵 형상의 아이스팩 케이스
KR200402281Y1 (ko) 아이스박스
KR200448121Y1 (ko) 음식 용기용 보조 냉장장치
KR101935833B1 (ko) 냉각 테이블
KR200258681Y1 (ko) 보냉 및 냉각능을 갖는 컵
KR200290483Y1 (ko) 자체 냉각기능을 가진 음료용기
KR20070000065U (ko) 개량형 음료용 냉각컵
KR200422754Y1 (ko) 보냉옷
KR200379341Y1 (ko) 결빙제가 내재되는 보냉 거치대
KR200242977Y1 (ko) 음료수용 보냉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