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5763Y1 - 냉각용기 - Google Patents

냉각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5763Y1
KR200305763Y1 KR20-2002-0031720U KR20020031720U KR200305763Y1 KR 200305763 Y1 KR200305763 Y1 KR 200305763Y1 KR 20020031720 U KR20020031720 U KR 20020031720U KR 200305763 Y1 KR200305763 Y1 KR 2003057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ainer body
beverage
cooling
slid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17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보영
Original Assignee
이보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보영 filed Critical 이보영
Priority to KR20-2002-00317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57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57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57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05Means for the attachment of labels, cards, coupon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65D25/42Integral or attached nozzles or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2Removable lids or covers guided for removal by sli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기본체와 음료용기 사이에 냉각팩을 결합시켜 음료 및 맥주 등을 냉각시키거나 저온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결합 및 해제가 간단하여 용기 내부의 세척이 용이하며, 냉장고 및 냉동실에 용기를 저장할 필요없이 냉각팩만을 저장하여 냉각시킴으로써 그 내부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냉각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에 슬라이딩홈이 상부로부터 하방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 내부로 삽입 수용되며, 음료가 저장되는 원통형상의 저장조와; 상기 저장조의 하단 일측에 마련되는 음료의 배출구가 구비되는 음료용기와; 상기 용기본체를 지지, 고정하는 받침대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결합 및 분리되고, 외주면 일측에 용기본체에 형성된 슬라이딩홈을 개방 및 폐쇄하는 날개편이 돌출구성된 덮개와; 상기 용기본체와 상기 음료용기의 사이에 개재되고, 수직방향을 갖는 압착부가 등간격으로 복수개 배열된 냉각팩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냉각용기{COOLING VESSEL}
본 고안은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본체와 음료용기 사이에 냉각팩을 결합시켜 음료 및 맥주 등을 냉각시키거나 저온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결합 및 해제가 간단하여 용기 내부의 세척이 용이하며, 냉장고 및 냉동실에 용기를 저장할 필요없이 냉각팩만을 저장하여 냉각시킴으로써 그 내부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냉각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수나 맥주 등은 그 성격에 따라 시원하게 식음하며, 이에 따라 식음자의 기호에 적합한 온도를 유지시키기 위한 여러 장치가 고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특히, 맥주 등과 같은 주정음료는 저온의 적정온도 범위내에서 보관한 상태로 식음하여야만 그 특유한 맛을 느낄 수 있다.
상기한 주정음료는 냉장고 등에 냉장되었을 때에는 냉각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나, 사용자에 의하여 냉장고에서 꺼내져 외부의 실온에 노출되어 주정음료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그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의 맛이 떨어지므로 가능한 적정온도를 유지하고 있을때 빨리 식음하여야 한다.
그러나, 주정음료같은 경우에는 많은 사람들이 모여 대화를 나누면서 오랜 시간동안 식음하기 때문에 장시간 외기에 노출된 상태로 시간이 흐르면 주정음료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어 제대로 된 맛을 느낄 수 없다.
따라서, 종래에는 주정음료를 시원하게 하여 마시기 위하여 별도의 용기에얼음을 채워넣은 후 그 용기 내부에 병을 담아 놓고 얼음을 통하여 냉각시킨 다음 별도의 컵에 따라 마셨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별도의 얼음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시간이 흐른 후에는 얼음이 녹음아버리기때문에 그 본연의 냉각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여 항상 새로이 냉동된 얼음을 필요로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냉매가 저장되는 이중용기가 고안되었다.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냉각용기를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이중용기(71)를 그 내부에 수용하는 외부용기(72)와 상기 외부용기(72)의 상측에 구비되는 덮개부(73)와 그 하측에 형성되는 받침부(74)로 구성되며, 상기 외부용기(72)의 하단지점에는 콕크(75)가 형성되며, 상기 이중용기(71)의 하단부에는 배출부(76)가 설치되며, 상기 콕크(75)와 배출부(76)는 배출가이드(77)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이중용기(71)는 냉각물질(78)을 수용하기 위하여 내부에 공간이 구비되는 이중구조로 형성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냉각용기에 있어서는, 실제 사용시에 이중용기(71)를 냉동실에서 꺼내어 식음료를 냉각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로 이중용기(71)의 핵심은 냉각물질(78)을 얼려 놓는 것에 있으므로 결국 냉장고 및 냉동실에 용기 전체를 보관할 수 밖에 없는데, 일반적으로 이러한 용기의 부피는 적게는 2000~3000CC이상에 이르므로 냉동실내에 보관이 용이하지 않으며, 또한 냉동실의 한정된 용량으로 인하여 냉동실에 보관할 수 있는 용기의 갯수 또한 극히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많은 숫자의 용기를 수용하려면 대용량의 냉동실이 필요하므로 설치비용, 설치공간 및 많은 전력량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용기본체와 음료용기의 사이에 냉각팩을 결합시켜 맥주 등의 음료를 냉각시키거나 저온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결합 및 해제가 간단하여 용기 내부의 세척이 용이하며, 냉장고 및 냉동실에 용기를 저장할 필요없이 냉각팩만을 저장하여 냉각시킴으로서 그 내부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냉각용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냉각용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냉각용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냉각용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냉각용기, 10...용기본체,
11...수납공간, 13...슬라이딩홈,
15...받침대, 30...음료용기,
31...저장조, 33...배출구,
41...냉각팩, 51...덮개,
71...이중용기, 72...외부용기,
73...덮개부, 74...받침부,
75...콕크, 76...배출부,
77...배출가이드, 78...냉각물질.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측에 슬라이딩홈이 상부로부터 하방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 내부로 삽입 수용되며, 음료가 저장되는 원통형상의 저장조와; 상기 저장조의 하단 일측에 마련되는 음료의 배출구가 구비되는 음료용기와; 상기 용기본체를 지지, 고정하는 받침대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결합 및 분리되고, 외주면 일측에 용기본체에 형성된 슬라이딩홈을 개방 및 폐쇄하는 날개편이 돌출구성된 덮개와; 상기 용기본체와 상기 음료용기의 사이에 개재되고, 수직방향을 갖는 압착부가 등간격으로 복수개 배열된 냉각팩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용기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용기본체의 외주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용기본체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음료용기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출력하는온도감지센서와; 상기 용기본체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회사의 로고나 광고성 문자 및 영상이 입력 및 저장되는 데이터 입력 및 저장부와; 상기 온도감지센서에서 출력된 신호와 데이터 입력 및 저장부에 저장된 로고나 광고성 문자 및 영상을 용기본체의 외주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포함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냉각용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냉각용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냉각용기(1)는 크게 용기본체(10)와 음료용기(30)로 구성된다.
상기 용기본체(10)는 내부에 상기 음료용기(30)가 수납되기 위한 수납공간(11)이 형성되는 원통형상체로서, 그 일측에는 슬라이딩홈(13)이 용기본체(10)의 상부로부터 하방으로 소정위치까지 절개되어 형성되며, 상기 용기본체(10)의 고정 및 지지를 위하여 그 하측부에는 받침대(15)가 구비된다. 용기본체(10)의 외주면에는 디스플레이부(16)가 장착된다.
상기 음료용기(30)는 내부에 음료를 저장하기 위한 원통형상의 저장조(31)와, 상기 저장조(31)의 하단 일측에는 저장조내의 맥주 등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33)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출구(33)의 일단에는 음료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콕 또는 밸브 등이 구비되어 배출구의 개폐에 따라 상기 음료용기(30) 내부의저장조(31)에 저장되어 있는 맥주 등이 외부로 배출 조절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33)는 인체에 무해한 스테인레스 스틸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음료용기(30)는 상기 용기본체(10)의 내부에 삽입 및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용기본체(10)의 내부 지름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용기본체(10)와 상기 음료용기(30)의 사이에 개재되는 냉각팩(41)이 구비되고, 이 냉각팩(41)에는 수직방향을 갖는 압착부(42)가 등간격으로 복수개 배열된다. 상기 냉각팩(41)은 냉각용기(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또한 상기 용기본체(10)와 음료용기(30)의 사이에 밀착되어 상기 음료용기(30)를 감싸안은 형상으로 위치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용기본체(10)와 음료용기(30)는 보냉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금속재 및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부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덮개(51)가 구비되고, 이 덮개(51)의 외주면 일측에는 용기본체(10)에 형성된 슬라이딩홈(13)을 개방 및 폐쇄하는 날개편(52)이 돌출구성된다. 날개편(52)의 자유단은 배출구(33)의 상단 과 용이하게 접촉되도록 반구형의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덮개(51)는 상기 음료용기(30)를 내부에 구비하는 용기본체(10)의 상부에 밀착 결합되어 상기 음료용기(30)의 내부에 구비되는 맥주 및 음료 등의 탄산가스 및 향이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맥주의 온도를 적정온도로 유지하고, 맥주의 탄산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용기본체(10)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음료용기(30)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출력하는 온도감지센서(80)가 구비된다.
회사의 로고나 광고성 문자 및 영상이 입력 및 저장되는 데이터 입력 및 저장부(82)가 구비된다.
온도감지센서(80)에서 출력된 신호와 데이터 입력 및 저장부(82)에 저장된 로고나 광고성 문자 및 영상을 용기본체(10)의 외주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16)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어부(84)가 구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한 냉각용기의 각 구성요소의 결합 관계를 설명한다.
상기 용기본체(10)의 내부벽에 냉각팩(41)을 설치하고 그 다음에 상기 음료용기(30)를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 및 결합시킴으로서 상기 냉각팩(41)의 안쪽에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음료용기(30)의 하단에 구비되는 배출구(33)는 상기 용기본체(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슬라이딩홈(13)에 안내되어 하단부 소정위치에 안착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음료용기(30)를 내부에 구비하는 용기본체(10)의 상부에 덮개를 씌움으로써 결합이 완료된다.
한편, 상술의 설명에서는 상기 용기본체(10)에 냉각팩을 설치한 후 음료용기(30)를 결합시켰으나, 상기 용기본체(10)에 음료용기(30)를 삽입 및 결합시킨 후에 상기 냉각팩(41)을 설치해도 무방하다. 즉, 상기 용기본체(10)에 음료용기(30)를 삽입시킨 후 상기 용기본체(10)의 내부면과 상기 음료용기(30)의 외부면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상기 냉각팩(41)을 삽입 설치한다.
또한, 상기 냉각팩(41)은 냉각효율을 높이고, 음료를 마시거나 다른 용기에음료를 부어서 식음할때의 이탈 및 탈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음료용기(30)의 외부면과 밀착되어 고정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결합 방식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한 냉각용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본 고안에 의한 냉각용기(1)를 이용하여 맥주 등의 음료를 식음할때에는 상기 냉각팩(41)을 냉동실 및 냉장실에서 꺼낸 후 상기 용기본체(10)와 음료용기(30) 사이에 끼워서 맥주 등의 음료를 식음한다.
그리고, 상기 냉각용기(1)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음료용기(30)를 상기 용기본체(10)의 상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용기본체(10)와의 결합을 해제한 후 냉각팩(41)을 꺼낸 다음 상기 냉각팩(41) 냉장고 및 냉동실에 저장하여 냉각시킨다.
따라서, 한정된 용량의 냉장고 및 냉동실에 보다 많은 수의 냉각팩(41)을 저장할 수 있으며, 줄어든 부피로 인하여 냉장고 및 냉동실 여분의 공간에는 기타 다른 식음료를 배치 및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용기(1)를 사용한 후에도 상기한 바와 같이 해제하여 간단하게 세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팩(41)은 내부에 냉각촉진제를 가지고 있어 냉동실에 저장하여 내부에 있는 냉각물질(78)를 응결시킨 후 냉동실에서 꺼내어 맥주 등의 음료를 냉각시키면 장시간 지속적인 보냉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장시간 사용으로 인하여 냉각팩(41) 내부의 냉매가 녹았을 경우에도 다시 냉동실에 넣고 냉동시킴으로써 연속 반복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은 덮개(51)의 날개편(52)이 용기본체(10)의 슬라이딩홈(13)에 삽입고정된 상태로 배출구(33)의 상단 부분을 하부로 가압지지함으로 냉각용기(1)가 이동되는 충격에 의하여 배출구(33)가 유동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덮개(51)가 용기본체(10)의 상단부분에만 결합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용기본체(10)의 형성된 슬라이딩홈(13)에 삽입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음으로 덮개(51)와 용기본체(10)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에게 새로운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용기본체(10)와 상기 음료용기(30)의 사이에 개재되는 냉각팩(41)에 수직방향을 갖는 압착부(42)가 등간격으로 복수개 배열되어 있음으로 냉각팩(41)이 해동(解凍)되어도 유지력(維持力)을 갖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온도감지센서(80)에 의하여 음료용기(30)의 온도가 감지되고, 이 감지된 온도가 제어부(84)에 의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부(16)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됨으로 사용자 및 식음자가 맥주의 온도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최상의 조건(온도)에서 맥주를 식음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데이터 입력 및 저장부(82)에 입력 및 저장된 회사의 로고나 광고성 문자 및 영상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됨으로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음료용기의 온도와 데이터 입력 및 저장부(82)에 입력 및 저장된 회사의 로고나 광고성 문자 및 영상이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반복적으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용기본체와 음료용기 사이에 냉각팩을 결합시켜 맥주 등의 음료를 냉각시키거나 저온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간단한 조작으로 결합 및 해제가 용이하여 용기 내부를 간편하게 세척할 수 있으며, 또한 냉장고 및 냉동실에 용기를 저장할 필요없이 냉각팩만을 저장하여 냉각시킴으로써 그 내부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일측에 슬라이딩홈이 상부로부터 하방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 내부로 삽입 수용되며, 음료가 저장되는 원통형상의 저장조와;
    상기 저장조의 하단 일측에 마련되는 음료의 배출구가 구비되는 음료용기와;
    상기 용기본체를 지지, 고정하는 받침대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결합 및 분리되고, 외주면 일측에 용기본체에 형성된 슬라이딩홈을 개방 및 폐쇄하는 날개편이 돌출구성된 덮개와;
    상기 용기본체와 상기 음료용기의 사이에 개재되고, 수직방향을 갖는 압착부가 등간격으로 복수개 배열된 냉각팩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외주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용기본체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음료용기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출력하는 온도감지센서와;
    상기 용기본체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회사의 로고나 광고성 문자 및 영상이 입력 및 저장되는 데이터 입력 및 저장부와;
    상기 온도감지센서에서 출력된 신호와 데이터 입력 및 저장부에 저장된 로고나 광고성 문자 및 영상을 용기본체의 외주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용기.
KR20-2002-0031720U 2002-10-24 2002-10-24 냉각용기 KR2003057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720U KR200305763Y1 (ko) 2002-10-24 2002-10-24 냉각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720U KR200305763Y1 (ko) 2002-10-24 2002-10-24 냉각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5763Y1 true KR200305763Y1 (ko) 2003-03-03

Family

ID=49331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1720U KR200305763Y1 (ko) 2002-10-24 2002-10-24 냉각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5763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945B1 (ko) 2007-04-25 2008-04-11 아이에스엠 주식회사 광고 기능을 구비한 음료 용기
KR101787915B1 (ko) * 2016-12-19 2017-11-15 신화용 자동음료공급장치
KR102081681B1 (ko) * 2019-11-13 2020-02-26 주식회사 지앤시바이오 결로 발생 저감과 온도조절이 가능한 플레이트형 보냉용기
KR102081678B1 (ko) * 2019-11-13 2020-02-26 주식회사 지앤시바이오 결로 발생 저감과 온도조절이 가능한 블록형 보냉용기
KR102203077B1 (ko) * 2019-07-08 2021-01-13 양영일 맥주컵 보냉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945B1 (ko) 2007-04-25 2008-04-11 아이에스엠 주식회사 광고 기능을 구비한 음료 용기
KR101787915B1 (ko) * 2016-12-19 2017-11-15 신화용 자동음료공급장치
KR102203077B1 (ko) * 2019-07-08 2021-01-13 양영일 맥주컵 보냉 장치
KR102081681B1 (ko) * 2019-11-13 2020-02-26 주식회사 지앤시바이오 결로 발생 저감과 온도조절이 가능한 플레이트형 보냉용기
KR102081678B1 (ko) * 2019-11-13 2020-02-26 주식회사 지앤시바이오 결로 발생 저감과 온도조절이 가능한 블록형 보냉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45776A (en) Single can cooler
US5555746A (en) Two liter insulated cooler containers
US5001907A (en) Beverage container with refrigerant gel
EP0716728B1 (en) Chilling apparatus
US6446460B1 (en) Method of chilling and consuming an alcoholic beverage and apparatus therefor
US6269653B1 (en) Portable device for refrigerating beverages
US20120305571A1 (en) Portable beverage can cooler
US5299433A (en) Pitcher having means for keeping beverage cold
US20140048510A1 (en) Carafe with cooling element
US7055706B2 (en) Drink bottle
KR200305763Y1 (ko) 냉각용기
US6035659A (en) Sanitary beverage cooler
US20040065109A1 (en) Self-cooling beverage container
KR101941708B1 (ko) 주류 및 음료 냉각 보관장치
US5201193A (en) Cooling device for beverages
JP3138983U (ja) 冷蔵容器
KR20090085779A (ko) 회전 급속 냉각용기
KR200402281Y1 (ko) 아이스박스
US20060053826A1 (en) Beverage apparatus for freezer
KR100975043B1 (ko) 초음파 급속 냉각용기
KR102022151B1 (ko) 음료 또는 주류가 수용된 피처용기의 냉기를 전달하여 차가움을 유지시켜 주는 피처용기용 냉각틀
KR200408820Y1 (ko) 음료수 및 주류 용기 냉각수단
US20220297920A1 (en) Can cooler
KR200436408Y1 (ko) 음료용기용 보냉기
KR200286314Y1 (ko) 냉매가 저장된 냉각용 이중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