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5043B1 - 초음파 급속 냉각용기 - Google Patents

초음파 급속 냉각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5043B1
KR100975043B1 KR1020080012120A KR20080012120A KR100975043B1 KR 100975043 B1 KR100975043 B1 KR 100975043B1 KR 1020080012120 A KR1020080012120 A KR 1020080012120A KR 20080012120 A KR20080012120 A KR 20080012120A KR 100975043 B1 KR100975043 B1 KR 100975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ultrasonic
cooling
rapid cool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2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6693A (ko
Inventor
양원동
Original Assignee
양원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원동 filed Critical 양원동
Priority to KR1020080012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5043B1/ko
Publication of KR20090086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6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5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5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005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combined with heat excha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12Audible, olfactory or visual signal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술이나 주스, 차, 커피, 음료수를 이른 시간에 회전체에 의하여 급속 냉각시켜주며 다 마실 때까지 차갑게 유지하는 음료수용 초음파 급속 냉각용기에 관한 것으로 합성수지, 실리콘, 고무중 선택된 어느 한 소재로 이루어진 본체 격막 부에 냉각 체가 주입되어 작동하는 초음파 급속 냉각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냉각 체가 주입된 본체 격막과 사용자가 사용시 파지하는 손잡이부와 투입된 액상 물(이하에서는 주류, 차, 음료)의 양을 외부로 표시하는 눈금 부가 개시된 몸체와 이와 분해결합되는 병 용기입구를 막아주는 마개 부와 상기 용기입구에 액상 물을 주입하는 용기 하방에 부착되어 냉각 대상 액체를 유동시켜주는 초음파 발진기 및 초음파 진동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부와 LED 램프가 작동되는 디스 플레이브로 구성되며 상기 용기는 나사 산 또는 단턱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분해 결합할 수 있는 초음파 급속 냉각용기에 관한 것이다.
초음파, 술, 음료, 냉각, 유동, 섞음

Description

초음파 급속 냉각용기 {Ultra sonic quick freezing an instrument}
본 발명은 상기하였듯이 냉각 및 무 냉각된 술이나 주스, 차, 커피, 음료수를 본원 냉각용기에 투입시키고 최단 시간에 초음파 발 생부로부터 출력된 초음파를 초음파진동에 의하여 급속 냉각시켜주며 다 마실 때까지 차갑게 유지하는 음료수용 초음파 급속 냉각용기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소주와 맥주를 비롯한 각종 술과 다양한 종류의 음료 및 차는 차갑게 냉각을 시킨 상태에서 마실 때 그 맛과 시원함을 증가하게 되므로 판매점에서는 병 또는 캔에 담긴 술을 냉장고에 넣어서 차갑게 한 상태로 판매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냉장고에 보관하면서 차갑게 하여 판매하는 술도 손님이 마시는 시간에 쉽게 냉기가 빠지게 되고 시원한 술은 처음의 한잔 또는 두잔 정도만 시원함을 느낄 수가 있었다.
특히 가정에서 술을 마시거나 급하게 손님이 방문시에 냉각된 술이나 음료가 없을 경우 이를 다시 냉장고 냉동실에 투입하여 일정온도로 하강하기 위해서는 상당히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대두 되었다.
최근 에는 술을 더욱 차갑게 마실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술병은 물론 잔까지도 냉장고에 보관 했다가 차가운 상태로 제공하고 있지만 그러한 차가운 잔 역시도 한잔 또는 두 잔을 마실 때는 시원하지만 그 후에는 냉장 혹은 냉동되지 않은 통상적
인 술잔과 같은 상태가 되므로 시원함을 느끼지 못하는 상태로 술을 마시게 되는 것이다.
본원은 합성수지, 실리콘, 고무중 선택된 어느 한 소재로 이루어진 본체 격막 부에 냉각 체 또는 냉각 체가 주입되어 작동하는 초음파 급속 냉각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냉각 체가 주입된 본체 격막과 사용자가 사용시 파지하는 손잡이부와 투입된 액상 체의 양을 외부로 표시하는 눈금 부가 개시된 몸체와 이와 분해결합하는 병 용기입구를 막아주는 마개 부와 상기 용기입구에 액상 물을 주입하는 용기 하방에 부착되어 냉각 대상 액체를 유동시켜 내용물을 빠르게 냉각시키는데 본원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하였듯이 냉장고에서 냉장처리된 술이나 음료수, 차를 계속해서 차갑게 유지시키거나 또는 비 냉장처리된 상기의 음료 및 술을 단시간 내에 냉동 수준으로 급냉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기 격막 부에 냉각 체가 주입된 내통을 냉동실에서 얼려서 냉장처리된 술이나 음료 비 냉장 처리된 술이나 음료를 급냉하여 시원하게 마실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주와 맥주를 비롯한 각종 술과 냉커피, 차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음료는 차갑게 냉장보관을 시킨 상태에서 마실 때 시원함을 더하게 되므로 판매점에서는 병 또는 캔에 담긴 술을 냉장고에 넣어서 차갑게 한 상태로 판매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고 술을 처음부터 끝까지 시원한 상태로 마시기 위한 방법으로 제안된 것은 냉각용기에 얼음을 넣고, 그 얼음이 담긴 냉각용기에 술병을 넣어서 보관하면서 한 잔씩 따라서 마실 수 있도록 한 냉각용기가 사용되고 있었으나, 이러한 종래의 냉각용기는 사용에 많은 불편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와 같은 종래의 냉각용기는 원통형의 용기 본체에 단순하게 각 얼음을 담아서 그 속에 술병을 꽂아놓을 수 있도록 한 것이므로 각 얼음을 사이의 술병을 빼서 술잔에 술을 따른 후에 술병을 다시 냉각용기에 넣으려면 각 얼음들로 인하여 술병을 냉각용기에 쉽게 꽂아 넣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냉각용기는 각 얼음과 술병이 직접 접촉되는 것이므로 술병을 냉각용기에서 뺄 때마다 술병에 묻어있던 물이 테이블에 떨어지게 되므로 각 얼음이 녹아서 테이블에 떨어진 물이 테이블 주변에 앉은 사람에게로 흐르면서 옷을 버리는 등의 문제점들이 발생하였으며 이를 뒷받침하는 선행기술로는 음료수 병이나 음료수 컵을 차갑게 유지시키기 위해 발명된 다수의 특허 또는 실용신안 문헌 등이 개시되어있다.
먼저, 실용신안등록 제20-401585호 "냉장용기"와,
실용신안등록 제20-313062호 "냉각용 용기"와,
실용신안등록 제20-290483호 "자체 냉각 기능을 가진 음료용기"와,
특허등록 제10-464960호 "아이스 용기" 등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 특허나 실용신안 음료수 병을 일정시간 냉각시키기 위해 얼음으로 냉각시키거나, 내측에 냉매를 갖는 2중 구조로 된 용기 케이스로 된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 발명들은 모두 음료수 병을 일정시간 냉각하여 음료수를 차
갑게 하여 주게 되나, 일정 부피를 가지며, 취급이 용이하지 않는 단점을 갖는 것을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 특허나, 실용신안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술이나 주스, 청량음료 등의 음료수를 다 먹기까지 냉각상태를 유지하여 주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커피나, 정종과 같이 더운 음료를 다 마시기까지 더운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종래
개발된 것보다 간편한 구조를 가지며 이로 인해 간단히 사용할 수 있는 음료 냉각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실용신안 선등록 제20-0385836호와 같이 냉매가 주입된 내통의 중앙에 술병을 삽입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한 것이 개발되었으나, 이와 같은 선등록 발명은 냉매가 주입된 내통을 냉동실에 얼려서 사용하지만, 그 내통의 외주 면을 사용
자가 손으로 잡기에는 냉동된 냉매로 인하여 너무 차가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선등록 발명은 냉매가 주입된 내통의 외주 면이 외부의 공기와 직접 접촉되므로 냉장실에서 꺼내진 내통은 내통의 외주 면에서 물방울이 생기면서 테이블에 흐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문제점은 내통의 하단에 받
침대를 구비하여 물을 받을 수 있도록 하기는 하였으나, 받침대가 내통의 하단 일부에만 끼워지는 것이므로 효율이 저하되고, 얼었던 냉각 체가 쉽게 녹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86314호에는 내부에 주정 음료 병이 수납되는 내측 수납 공간을 갖는 내 측벽과 내 측벽과 일체로 형성되며, 그 내부로 냉매 저장공간이 형성된 이중구조의 용기가 개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용기의 내측 수납 공간에 수납된 음료 병의 외주 면과 용기의 내 측벽과 면 접촉상태로 냉각 체의 냉기가 전달되어 음료 병에 저장된 주정음료나 청량음료가 장시간 저온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내부에 수납되는 유리재질의 대상용기와의 접촉으로 경미한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도 대상용기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더욱이, 대상용기와 냉각용 용기가 접촉하는 부분에서는 물방울이 맺히게 되어 냉각용 용기를 기울이게 되면, 대상용기가 이탈되어 낙하하여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하나인 '아이스 쿨러'가 한국특허공개공보 특10-2004-0006186호(공개일: 2004년01월24일)에서 공개되었으며
용기(1)의 내부에는 냉매 파이프(2)를 설치하고, 상기 용기(1)와 냉매 파이프(2)의 사이에는 얼음(3)이 채우며, 상기 용기(1)의 상부에 홀(4a)이 형성된 뚜껑(4)을 덮은 후 상기 홀(4a)에 병(5)을 수용시킨다.
그러나 상기기술은 냉매 파이프(2)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냉동실에 일정시간 동안 냉동시켜야 하고, 또 다수개의 냉매 파이프를 준비하여야 함으로 술집이나 레스토랑에서는 별도의 냉동고를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상기 용기(1)에
가득 채워지는 얼음(3)은 많은 량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상과 같은 특허나 실용신안 상의 선행기술들은 냉각효과 자체가 미흡하고 효율이 떨어지거나, 물통 등의 경우 너무 장치가 크고 가격이 증가하는 단점으로 인해 실제 활용 가능성이 의문시되거나, 사용이 불편한 단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장치의 구성이 간단하고 비용이 적게 들고 콤팩트하게 구현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실제 활용 가능성이 크고 설치 및 운영에 특별한 기술을 요하지 않으며 고장의 염려가 없는 본원의 초음파 급속 냉각용기를 필요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용기에 담긴 술이나 음료를 급속 냉각시키기 위한 초음파 급속 냉각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의 술, 음료수 등과 같이 음용할 수 있는 액체를 본원의 초음파 급속 냉각용기에 투입한 후 이를 유동하여 급속 냉각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커피나 차 음료를 제조시 본원의 초음파 장치에 의하여 빠르고 골고루 잘 혼합시킬 수 있는데 본원의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술이나 주스, 차, 커피, 음료수를 이른 시간에 회전체에 의하여 급속 냉각시켜주며 다 마실 때까지 차갑게 유지하는 음료수용 초음파 급속 냉각용기에 관한 것이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장치의 구성이 간단하고 냉각기능이 뛰어나고 예컨대) 차를 냉차(녹차, 우롱차)로 마실 때 티백으로 이루어진 차를 냉수에 넣으면 차가 잘 우러나지 않으며 냉커피를 탈 때에도 커피와 프림과 설탕이 찬물에 녹지않아 더운물로 1차로 용해하고 2차로 얼음을 투입하여 냉커피를 만들곤 하였다.
본원 발명은 실제 효과와 활용 가능성이 크고, 설치 및 운영에 특별한 기술을 요하지 않으며, 냉각 비용이 저렴하고, 급속냉각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술이나 주스, 차, 커피, 음료수를 빠른시간에 급속 냉각시켜주며 다 마실 때까지 차갑게 유지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하였듯이 술이나 주스, 커피 등과 같은 음료수를 다 마실 때까지 차갑게 유지하는 음료수용 초음파 급속 냉각용기에 관한 것이며 또 다른 목적으로는
특히 가정에서 술을 마시거나 급하게 손님이 방문시에 냉각된 술이나 음료가 없을 경우 이를 다시 냉장고 냉동실에 투입하여 일정온도로 하강하기 위해서는 상당히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대두 되었다.
일반적으로 소주와 맥주, 양주를 비롯한 주류와 각종 과일 주스, 콜라나 사이다 등의 청량음료는 차갑게 냉각해서 마실 때 특유의 제맛을 음미하게 되며, 정종이나 커피, 차 등은 따뜻하게 마셔야 특유의 제맛을 맛 볼 수 있게 되는데 따뜻한 음료를 마실 때에는 본원의 용기를 가열하여 계속해서 따뜻한 음료를 마실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상기한 종래의 냉각이나 냉각 팩의 특허나 실용신안 상의 선행기술들은 얼음을 주입하여 사용하는 것에 주목되고 있으며 이는 너무 장치가 크고 효율이 떨어지고 계속해서 각 얼음을 투입해야 하므로 그에 따라 운전비용을 상승시
킬 염려가 있거나 하는 등의 단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비하여 본원은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한번 제조하면 냉동실에 넣어 냉매나 냉각 체의 별도 주입 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장치의 구성이 간단하며 가정이나 업소 야외에서의 실제 활용도가 매우 크고, 설치 및 운영에 특별한 기술을 요하지 않을뿐더러 구조가 단순하여 잔고장의 염려가 없고, 얼음을 얼리고 붙는 일과 같은 운전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우수한 발명이며;
또한, 본원 발명의 초음파 급속 냉각용기의 작동시 용기 내부에 인설된 초음파 진동자에 의하여 용기에 투입된 액상 체의 유동과 기포를 함유시키게 되면 살균작용은 물론, 음용 될 경우 인체 내부의 수분흡수 효과를 촉진하고 신진대사를 활발
하게 유지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하였듯이 비 냉각된 술이나 주스, 차, 커피, 음료수를 이른 시간에 급속 냉각시켜주는 한편 다 마실 때까지 차갑게 유지하는 음료수용 초음파 급속 냉각 용기에 관한 것으로 합성수지, 실리콘, 고무중 선택된 어느 한 소재로 이루어진 격막 부에 냉매 및 냉각 체가 주입되고 제공하는 것이다.
이렇듯이 냉각 체가 주입된 격막과 손잡이부와 양을 표시하는 눈금 부가 개시된 몸체와 이와 분해결합되는 병 용기입구 부와 용기입구를 막아주는 마개 부와 하방에 연결된 냉각 대상 액체를 유동시켜주는 초음파 진 동부와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와 작동스위치 부를 갖고 단 턱 및 나사 산을 형성한 결합 홈을 갖는 내부용기가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용기에 담긴 술이나 음료의 용존 산소량을 높이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격막 사이에 투입된 냉매 및 냉각 체를 얼린 후 용기의 투입된 액상체 또는 액상체 케이스에게 냉기가 빠르게 전달 흡수 전달되므로 가정이나 업소 야외에서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원 용기 일측에 LED 램프를 부착하여 시각적인 이미지를 부각시키고 투입된 액상 체의 온도를 내장된 온도 센서와 온도 표시부에 의하여 사용자가 쉽게 알아볼 수 있으며 상기 용기를 냉동실에 냉각고자할 때에는 초음파 진동자 및 발진기와 PCB와 온도 표시부가 부착된 하부의 작동 부를 간편하게 분리하여 사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 본체에서 발생하는 결로가 저 면에 위치한 결로 저장부에
따로 모여지게 되어 식탁이나 테이블이 젖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이 완성됨으로써, 단시간 내에 냉각된 주류나 음료를 손쉽게 마시고 마지막 한 방울까지 시원하게 마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하였듯이 비 냉각된 술이나 주스, 차, 커피, 음료수를 이른 시간에 초음파 진 동부에 의하여 급속 냉각시켜주는 한편 다 마실 때까지 차갑게 유지하는 음료수용 초음파 급속 냉각용기에 관한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아래에서는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복잡하게 하거나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간략하게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당업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본원의 초음파 급속 냉각용기의 제조방식은 통상의 바람직한 제조방법에 모두 포함될 수 있는 것이며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원 발명의 초음파 급속 냉각용기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초음파 급속 냉각용기의 전체 사시 도로서
초음파 진동자와 직결된 PCB부에는 이를 작동시켜주는 트랜지스터와, 이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측으로 유입되는 전류의 세기를 조절하는 가변 저항 부를 포함하는 초음파 진동자 유닛(발생기)을 구비한 본원 발명의 초음파 급속 냉각용기는 절개되지않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각각이 분리 결합 된 본원의 냉각용기를 사시 도로 나타내고 이를 설명한 것이다.
본원의 냉각 용기 본체(20) 소재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에이비씨(ABC),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플라스틱(Plastic), 아크릴(Acryl)과 같은 합성수지군 이나 도자기, 실리콘, 고무, 강화유리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이를 혼합 및 결합한 2종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고 본체는 냉각 체를 투입하여 밀봉해야하므로 외통(40)및 내통(60)으로 구분되는 격막을 형성하고 바람직하게는 본체 일측에 별도의 마개를 형성하여 냉각 체를 빼거나 넣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한편 액상 체가 투입되어 냉각이나 교반 시에 압력으로 상기 액상 체가 외부로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용기를 열고 닫는 마개(140)가 설치되며
상기 용기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용기 밀폐 부재를 갖는데 밀폐 부재로는 고무나 실리콘, 테플론 합성수지 중의 소재중 선택된 탄성체로 이루어진 링 형태의 오링이 바람직하고 원형의 패킹 또한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에는 액상물을 투입하고 이를 밀폐하는 마개(140)와 이와 연통되는 마개결합부(2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용기의 상부 및 중간 공 간부를 닫거나 여는 상부 및 중간 마개결합 부(160)가 개시되며 분해결합되는 나사 산이 형성된 마개 결합부(120)를 갖게 되는데 상기 마개(140)는 상기 마개는 통상적인 숫나사로 상기 마개(140)에 형성된 상부 마개결합부(160)는 암나사 산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개(140)는 본원의 초음파 진동 부의 작동시에 투입된 액상 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고무나 실리콘, 테플론 소재의 탄성체로 이루어진 링 형태의 오링이 원형의 패킹이 마개 밀폐 부재(180)로 삽설 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마개 결합부(120)와 결합 및 분리되는 깔때기(200) 부를 갖는데 상기의 깔때기 부는 상기 냉각용기(20)의 외통 또는 내통에 형성되어 액상 체를 투입할 때 편리하게 주입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 깔때기 결합부(220)를 상기한 용기입구의 마개 결합부(120)와 나사 산으로 결합하여 사용하여 깔때기 주입 부(240)를 사용하여 냉각하고자 하는 액상 체를 외부 유출이 없이 빠르게 액상 저장부(260)로 투입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외통과 내통 사이에 위치한 냉각 체(280)로는 물에 "폴리에틸렌 글리콜 같은 열용량이 큰 물질을 녹여 냉동실에 넣어도 0도 씨에서 얼지않게 어는점을 -10도 씨 이상 내린 후 응축된 냉기를 이용하는 냉각 체(280)를 사용하거나 바람직하게는 화학물질이 물에 녹을 때나 두 화학물질이 반응할 때의"흡열반응"에 의해서 온도가 하강하는 것을 이용하는 염화암모늄(sodium polyacrylate)이나 질산 암모늄 따위를 물에 적당히 녹이면-10 씨 이상의 저온을 얻을 수 있으며 액상 또는 젤리형태로 투입되는 것이며 본원에서는 냉각효과가 뛰어난 냉매 및 냉각 체(280)라면 그 종류에 구애됨이 없이 모두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외통은 대기와의 온도 차이에 의하여 상기 냉각용기 몸체의 외통
에는 자연적으로 이슬이 맺히게 되는데 단열 부(300)는 상기 냉각용기의 냉각 열의 손실을 최대한 방지하고 결로 발생시에 결로를 최소화하여주는 기능이 있다.
또한, 본원의 냉각용기 본체(20)는 그 절개부가 각각 나누어지는데
그중 하나는 상기 용기 입구(80)와 연통 된 몸체밀폐 부재(320)로 나니 우고
상기 용기 입구(80)와 상부결합부(340)를 통하여 탈부착 되는 것이다.
또한, 냉각용기 본체(20)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한 손잡이부(360)를 구성하는데 상기 손잡이 부(360)는 상기 냉각용기 본체(20)일 측에 바람직한 어느 한곳에 설치되는 것이다.
한편, 본원의 냉각용기를 냉동실에 냉동 후 꺼내서 액상 체를 투입하여 사용시에는 투입된 액상 체의 온도와 주변온도가 상이하므로 상기와 같이 결로가 발생하여 탁자 및 테이블 등으로 흐르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결로 저장부(380)가 본체 하부에 신설되어 흐르는 결로를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
본원의 초음파는 발진 부(Generator)의 발진신호출력을 신호 증폭기에 연결하여 증폭한 후 정합 기를 통하여 출력 증폭 단에서 전력 증폭을 하고 출력 공진 회로를 통하여 초음파 진동자(Transducer)를 구동시키어 발생하는 충격파를 이용하여 투입된 액상 체의 냉각 및 혼합을 촉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원의 냉각용기 하부 작 동부(760)에는 작동 스위치(420)가 인설되어 본원의 냉각용기를 작동시키게 되며 본원의 냉각용기 내부또는 외부에는 액상 체를 빠르게 냉각 및 혼합시키는 기능을 하는 초음파 진동 부(460)가 인설되는데 냉각시 본원의 구동부를 해체하고 상기 냉각용기 본체(20)만 분리하여 냉각시키게 되며 상기 초음파 진동부(에는 상기 용기에 액상 체를 투입하거나 작동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초음파 진 동부 밀폐 부재(480)가 형성되는데 고무나 실리콘, 테플론, 합성수지 중의 소재중 선택되고 탄성체로 이루어진 링 형태의 오링이 바람직하고 원형의 패킹 또한 바람직하다 할 수 있겠다.
또한, 하부 결합 부재(540)는 상기 본체와 분리결합이 되는데 나사 산을 형성한 결합 홈 또는 단 턱 결합하는 것이며 여기에도 액상 체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오링이나 패킹으로 이루어진 하부 밀폐 부재(520)가 부착됨이 당연하다.
한편, 본원의 초음파 급속 냉각용기를 작동하기 위해서 Pcb부(560)가 본체 하부 작 동부(760)에 인설되는데 상기 PCB부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580)와 연결전선(620)으로 연통 되어 상기의 작동스위치(420)를 통하여 상기의 초음파
발진기(440)와 연통 된 초음파 진 동부(460)와 시간 조절 타이머(660), 온도 표시부(680) 온도 센서(700), Led 램프 부(720)를 동작하게 하는 것이다.
한편, 본원의 초음파 급속 냉각용기 하부 작 동부(760) 일측에는 충전부 및 D/C 입력 부(600)가 인설되어 외부 전원을 사용하여서도 작동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바람직하게는 충전가능한 배터리를 투입하여 상기 충전부 및 D/C 입력 부(600)를
통하여 충전사용도 바람직하다.
또한, 본원의 하부 작 동부(760) 밑바닥에는 완충 바닥 부재(640)가 부착되는데 본원의 초음파 급속 냉각용기의 작동시나 사용시 지지와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고무나 실리콘, 테플론, 합성수지 중의 소재중 선택되고 탄성체로 이루어진 패킹 및 단 턱이 구성된다.
또한, 본원의 초음파 급속 냉각용기 하부 작 동부(760) 일측에는 본원의 작동 시간을 조절하여 주는 시간 조절 타이머(660)가 부설되고 또한 본원의 초음파 급속 냉각용기 일측에는 냉각용기 내부에 투입된 액상 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700)와 이를 숫자나 눈금으로 나타내는 온도 표시부(680)를 갖게 되는 것이며 상기 온도 센서(700)는 액상 체가 수용된 용기 하부에 돌설되어 하부 작동 부(760)의 탈부착시 동시에 탈부착 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원의 초음파 급속 냉각용기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램프가 부착되고 상기 PCB(560)와 연결전선으로 연통 되어 작동되는 디스플레이브인 Led 램프 부(720)를 부설하여 시각적인 이미지를 부각시키고 상기 본원의 초음파 급속 냉각용기의 본체에는 눈금 표시부(740)가 각인되어 투입된 액상 체의 양을 사용자가 측정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한편, 냉동실에서 냉각된 본원의 초음파 진동 부가 부착된 냉각용기는 냉동실에서 꺼낸 후 상기의 액상 체가 수용된 케이스를 통째로 삽입하여 냉각고자 할 때에는 하부에 부착된 회전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벌집 형태의 초음파 진동자 보호망(780)이 부착됨이 바람직하고 그 위에 상기의 액상 체가 수용된 케이스를 넣고 회전을 위하여 물을 주입하여 작동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하부 작동 부(760)를 결합하는데 하부 결합 부재 (540) 및 상부 결합부(340)는 상기하였듯이 단 턱 또는 나사 산으로 간편하게 분해결합이 되는 것이며 상기의 하부 작동 부(760)를 부착하여 냉동실에 냉각을 하여도 무방하지만 냉동실에 투입시 PCB부나 초음파 진동자나 발진기와 배터리 부가 냉동되어 손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기기보호를 위해서 상기 하부 작동 부(760)를 분리하여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냉각시키고자하는 액상 체를 상기의 깔때기(200)와 결합하여 냉각을 요하는
액상 체를 투입하고 마개(140)를 잠근 후 하부 작동 부(760)의 작동스위치를 동작하거나 또는 타이머를 동작하여 초음파 발진기(440)로 부터 발생한 초음파를 초음파 진동 부(460)를 통하여 작동하여 투입된 내용물을 급속하게 냉각하는 것이며 본원의 다른 용도로는 본체를 냉동실에 넣지않고 더운물이나 전자레인지에 데우게 되면 상기 본체 격막에 투입된 냉각 체가 높은 온도를 지니게 되고 이때 데우고자 하는 액상 체를 투입하여 급격하게 데울 수도 있으며 액상 체를 다 먹을 때까지 따뜻하게 마실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용도로는 사무실에서 주로 사용하는 티백으로 이루어진 녹차나 둥글레차 옥수 수차를 더운물이 담긴 컵에 담가 차 성분이 우러나게 하여 먹는데 본원의
초음파 급속 냉각용기를 냉각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의 상부 결합부(340)를 분해 후 티백과 온수를 부은 후 작동하게 되면 단시간 내에 차의 성분이 확실하게 우러 나오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본원의 초음파 급속 냉각용기는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본원의 냉각용기 본체(20)에 격막이 없이도 제조가 가능하며 주류나 음료를 더욱 빠르게 냉각 및 혼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온에서 냉각상태의 온도를 처음 순간부터 마지막 순간까지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초음파 급속 냉각용기가 각각 분리된 것을 사시 도로 나타낸 것으로 본원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초음파 급속 냉각용기 하부 작동 부를 사시도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초음파 급속 냉각용기의 또 다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초음파 급속 냉각용기에 있어 깔때기와 마개를 나타낸 사시 도를 나타낸 것으로 깔때기 주입 부와 깔때기 결합부로 이루어진 깔때기와 상기 초음파 급속 냉각용기의 작동시 닫는 마개는 상부 마개 결합부와 마개 밀폐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사시 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초음파 급속 냉각용기에 있어 중간 마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초음파 급속 냉각용기의 하부 작 동부 블록 도를 나타낸 것으로 하부 작 동부(760)와 배터리부(580)와 연결전선(620)과 PCB부(560)와 작동 스위치(420)와 연계된 하부 작동 부(760)의 구성을 블록 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하였듯이 술이나 주스, 커피 등과 같은 음료수를 다 마실 때까지 차갑게 유지하는 음료수용 초음파 급속 냉각용기에 관한 것이며 또 다른 목적으로는
특히 가정이나 술을 마시거나 급하게 손님이 방문시 냉각된 술이나 음료가 없을 경우나 차나 음료를 상기의 액상 체를 따서 액상 체만 냉각 사용하거나 또는 수용된 케이스를 통째로 삽입하여 냉각고자 할 때에는 하부에 부착된 회전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벌집 형태의 초음파 진동자 보호망(780)이 부착됨이 바람직하고 그 위에 상기의 액상 체가 수용된 케이스를 넣고 회전을 위하여 물을 주입하여 작동되게 되는 것이며 상기의 액상 체를 쉽고 빠르게 교반이나 혼합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본원 발명은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원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초음파 급속 냉각용기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초음파 급속 냉각용기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초음파 급속 냉각용기 하부 작동 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초음파 급속 냉각용기의 또 다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초음파 급속 냉각용기에 있어 깔때기와 마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초음파 급속 냉각용기에 있어 중간 마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초음파 급속 냉각용기의 하부 작 동부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냉각 용기 본체 40:외통
60:내통 80:용기 입구
120:마개 결합부 140:마개
160:상부 및 중간 마개결합부 180:마개 밀폐 부재
200:깔때기 220:깔때기 결합부
240:깔때기 주입부 260:액상 저장부
280:냉각체 300:단열부
320:몸체 밀폐 부재 340:상부 결합부
360:손잡이 부 380:결로 저장부
420:작동스위치 440:초음파 발진기
460:초음파 진동부 480:초음파 진동부 밀폐부재
520:하부 밀폐 부재 540:하부 결합 부재
560:Pcb부 580:배터리 부
600:충전부및 D/C 입력부 620:연결전선
640:완충 바닥부재 660:시간 조절 타이머
680:온도 표시부 700:온도 센서
720: Led 램프부 740:눈금 표시부
60:하부 작동부 780:초음파 진동자 보호망

Claims (5)

  1. 냉각 용기에 있어서,
    상기용기 소재는 합성수지, 도자기, 실리콘, 고무, 강화유리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이를 혼합 및 결합한 2종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눈금 표시부(740)를 갖는 외통(40)과 용기 내부또는 외부에 인설된 초음파 진동부와;
    상기 외통(40)과 내통(60)사이에 냉매 및 냉각 체를 투입 후 냉동 사용되며;
    액상 체가 주입 및 배출되는 내통과 외통의 입구인 용기 입구(80)와;
    상기 용기를 밀폐하는 마개 (140)로 이루어지고;
    상기 용기와 결합하는 용기 밀폐 부재는 나사산 또는 단턱으로 분해 결합하고;
    상기 용기의 내통또는 외통에는 초음파 진동부(460)가 부착되어 상기 용기 내부에 투입된 액상 체를 유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급속 냉각용기.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용기 몸체는 중간에 연결 및 절개되지않은 일체형 또는 각각 분리되는 분리형이며 상기 하부 작 동부(760) 또는 냉각 용기 본체(20) 일측에는 PCB(560)부가 구성 되고 이를 연결전선(620)으로 연통 되며 초음파 진동 부(460)를 작동시키는 초음파 발진기 (440)와; 작동 시간을 조절하여 주는 시간 조절 타이머(660)와;
    냉각용기 내부에 투입된 액상 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700)와; 이를 숫자나 눈금으로 나타내는 온도 표시부(680)와; LED 램프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급속 냉각용기.
  3.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진동 부(460)를 보호하는 초음파 진동자 보호망(780)과
    상기 누수방지 수단인 초음파 진 동부 밀폐 부재(480)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급속 냉각용기.
  4.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하부 작 동부(760)에는 Pcb부(560)가 인설 되고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580)
    및 충전부 및 D/C 입력 부(600)는 연결전선(620)으로 연통 되어 작동스위치(420)
    또는 시간 조절 타이머(660)를 통하여 상기의 초음파 진 동부(460)와 ,온도 표시부(680), 온도 센서(700), Led 램프 부(720)가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급속 냉각용기.
  5.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용기입구(80)에는 상부 및 중간 공 간부를 닫거나 여는 상부 및 중간 마개결합 부(160)가 개시되며 나사 산 또는 단턱이 형성된 마개 결합부(120)와 결합 및 분리되는 깔 때 기(200)부 및 깔때기 결합부(220)가 구성되고 냉각용기 본체(20)일 측에는 손잡이부(360) 및 결로 저장부(380)가 인설되고 하부 작 동부(760) 밑바닥에는 완충 바닥 부재(640)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급속 냉각용기.
KR1020080012120A 2008-02-11 2008-02-11 초음파 급속 냉각용기 KR100975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2120A KR100975043B1 (ko) 2008-02-11 2008-02-11 초음파 급속 냉각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2120A KR100975043B1 (ko) 2008-02-11 2008-02-11 초음파 급속 냉각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6693A KR20090086693A (ko) 2009-08-14
KR100975043B1 true KR100975043B1 (ko) 2010-08-13

Family

ID=41205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2120A KR100975043B1 (ko) 2008-02-11 2008-02-11 초음파 급속 냉각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50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2918B1 (ko) * 2021-07-08 2022-09-14 주식회사 티에스시 음료 혼합효율을 높이는 차량용 컵홀더 모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8753A (ja) * 1995-08-11 1997-03-04 Yokoyama:Kk 保冷容器
KR20010081386A (ko) * 2000-02-14 2001-08-29 김태승 초음파를 이용한 캔음료 급속 냉각장치
KR20050041036A (ko) * 2003-10-29 2005-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060109653A (ko) * 2005-04-18 2006-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급속 냉각 장치 및 그 급속 냉각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8753A (ja) * 1995-08-11 1997-03-04 Yokoyama:Kk 保冷容器
KR20010081386A (ko) * 2000-02-14 2001-08-29 김태승 초음파를 이용한 캔음료 급속 냉각장치
KR20050041036A (ko) * 2003-10-29 2005-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060109653A (ko) * 2005-04-18 2006-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급속 냉각 장치 및 그 급속 냉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6693A (ko) 2009-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55746A (en) Two liter insulated cooler containers
US9670050B1 (en) Thermoelectric wine bag cooler/dispenser
US5417327A (en) Insulated modular vessel for transporting beverage containers
US5284028A (en) Ice holder incorporated within a beverage container
JPH04208379A (ja) 飲物クーラ
US5148682A (en) Ice molding device and method
US6789693B2 (en) Two-liter cooler
US7055706B2 (en) Drink bottle
WO2008002085A1 (en) Cooling cup for drink
KR100975043B1 (ko) 초음파 급속 냉각용기
US2008017367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emperature Management in the Dispensing of Bagged Fluids
KR20090085779A (ko) 회전 급속 냉각용기
US20040065109A1 (en) Self-cooling beverage container
US6035659A (en) Sanitary beverage cooler
KR101941708B1 (ko) 주류 및 음료 냉각 보관장치
WO2010012990A2 (en) Liquid container with cooling medium
KR100840436B1 (ko) 탄산가스 주입용 압력용기 일체형 냉장고
KR200305763Y1 (ko) 냉각용기
US9823007B2 (en) Beverage container chill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50118290A (ko) 이중 구조의 용기
KR200363682Y1 (ko) 냉온용기
KR200448121Y1 (ko) 음식 용기용 보조 냉장장치
US7293427B1 (en) Beverage cooling apparatus and method
KR200225883Y1 (ko) 냉각/보온기능을 갖춘 식음료 용기
KR200370375Y1 (ko) 주류 및 음료용 냉장보존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