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3682Y1 - 냉온용기 - Google Patents

냉온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3682Y1
KR200363682Y1 KR20-2004-0018073U KR20040018073U KR200363682Y1 KR 200363682 Y1 KR200363682 Y1 KR 200363682Y1 KR 20040018073 U KR20040018073 U KR 20040018073U KR 200363682 Y1 KR200363682 Y1 KR 2003636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container
cold
hea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80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배
Original Assignee
김정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배 filed Critical 김정배
Priority to KR20-2004-00180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36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36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36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88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with means for keeping liquid cool or hot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Packag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온용기에 관한 것으로, 공지의 용기에 있어서, 외부로 열이 빠져나가지못하도록 바이오세라믹과 같은 단열재로 이루어진 외피(11)와, 열전달이 용이하도록 박막으로 이루어진 스테인레스스틸 또는 알루미늄재질의 내피(12)와, 냉매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수용홈(13)과, 새로운 냉매를 주입하도록 형성된 주입구(14)와, 폐냉매를 배출하도록 형성된 배출구(15)를 갖추게 되어, 상기 수용홈(13)에 고온의 냉매나 저온의 물을 저장하여 용기를 보냉,보온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냉매주입기를 통해 간단하게 용기를 냉각 또는 온열할 수 있어 수용된 음료를 보냉,보온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냉각,온열재료를 재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냉온용기{container to maintain a definite temperature}
본 고안은 냉온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더 상세하게는 간단하게 용기를 냉각 또는 온열하여 수용된 음료를 보냉,보온할 수 있도록 한 내온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용 용기 즉 컵, 잔 등은 물론 음료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여름에는 시원한 음료를 시원하게 냉각시켜서 마시고, 겨울에는 음료를 따뜻하게 온열하여 마시는 것이 보통이다. 차갑게 해서 마시는 음료 이를테면 맥주와 같은 음료는 용기를 냉동실에 넣어서 냉각시켜서 음료를 담게 되면 일시적으로는 맥주를 시원하게 마실수는 있지만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실내온도에 의해 맥주는 최초의 시원한 맛을 유지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얼음컵을 통해 마시는 음료를 시원한 상태를 유지하여 마실 수 있으나, 상기 얼음컵은 일일이 냉동실에 일정시간이상 보관하여야만 냉동됨에 따라, 번거로우며 신속히 재사용되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간단하게 용기를 냉각 또는 온열할 수 있어 수용된 음료를 보냉,보온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냉각,온열재료를 재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수용된 음료를 보냉,보온할 수 있도록 한 냉온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냉온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냉온용기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용기, 11 --- 외피,
12 --- 내피, 13 --- 수용홈,
14 --- 주입구, 15 --- 배출구,
20 --- 주입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공지의 용기에 있어서, 외부로 열이 빠져나가지못하도록 바이오세라믹과 같은 단열재로 이루어진 외피와, 열전달이 용이하도록 박막으로 이루어진 스테인레스스틸 또는 알루미늄재질의 내피와, 냉매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수용홈과, 새로운 냉매를 주입하도록 형성된 주입구와, 폐냉매를 배출하도록 형성된 배출구를 갖추게 되어, 상기 수용홈에 고온의 냉매나 저온의 물을 저장하여 용기를 보냉,보온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냉각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냉각용기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냉각용기는 외부로 열이 빠져나가지못하도록 단열재로 이루어진 외피(11)와, 열전달이 용이하도록 박막으로 이루어진 내피(12)와, 냉매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수용홈(13)과, 새로운 냉매를 주입하도록 형성된 주입구(14)와, 폐냉매를 배출하도록 형성된 배출구(15)를 갖추게 된다.
여기서 상기 외피(11)는 단열재로 이를테면 바이오세라믹 등을 사용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내피(12)는 열전달이 용이한 재질인 스테인레스스틸 또는 알루미늄 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냉매는 별도의 장치인 냉각기를 통해 냉각된 소금물이다. 소금물의 특성상 온도가 영하로 떨어지더라도 얼지 않게 되고, 이렇게 차가워진 냉매를 본 고안의 냉각용기에 주입하여 용기에 담겨진 내용물을 보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주입구(14)는 가이드(14-1)를 갖춤에 따라, 새로운 냉매가 주입된 후 냉매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배출구(15)는 탄성가이드(15-1)를 갖춤에 따라, 주입기(20)를 통해 새로운 냉매가 주입되면서 배출구(15) 주위의 폐냉매가 외부로 유출되고, 주입이 끝난후에는 상기 탄성가이드(15-1)의 탄성에 의해 수용된 냉매가 더이상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된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냉각용기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별도의 장치인 냉각기(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냉매를 냉각시켜 저장된 저장고로부터 연결된 냉매주입기(20)를 파지한 상태에서 이 냉매주입기(20)를 주입구(14)에 삽입하여 냉매를 주입한다. 이때 수용홈(13)에 아무것도 없는 상태일 경우에는 냉매가 주입되면서 수용홈(13)에 있던 내부공기가 배출구(15)를 통해 빠져나가면서, 수용홈(13)에는 냉각된 냉매로 채워진다. 수용홈(13)에 냉매가 가득차게 되면, 냉매주입기(20)를 주입구(14)로부터 빼내게 되면 냉각용기(10)의 충전이 완료된다. 이렇게 충전된 냉각용기(10)는 맥주, 또는 음료수를 담게 되면, 수용홈(13)에 수용된 냉매가 내피(12)와 접하고 있는 상기 맥주 또는 음료수를 보냉하도록 하여, 이들 맥주 또는 음료수를 시원한 상태로 유지하여 음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냉각용기(10)가 일정시간이 지나서 냉매의 온도가 상승하였을 때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다시 새로운 냉매를 충진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냉각된 저온의 냉매를 사용하여 냉각용기로 사용하여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고온의 물을 충진하여 사용하게 되면 보온용기로서의 기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상세하게 설명된 본 고안에 의하면, 냉매주입기를 통해 간단하게 용기를 냉각 또는 온열할 수 있어 수용된 음료를 보냉,보온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냉각,온열재료를 재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공지의 용기에 있어서, 외부로 열이 빠져나가지못하도록 바이오세라믹과 같은 단열재로 이루어진 외피(11)와, 열전달이 용이하도록 박막으로 이루어진 스테인레스스틸 또는 알루미늄재질의 내피(12)와, 냉매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수용홈(13)과, 새로운 냉매를 주입하도록 형성된 주입구(14)와, 폐냉매를 배출하도록 형성된 배출구(15)를 갖추게 되어, 상기 수용홈(13)에 고온의 냉매나 저온의 물을 저장하여 용기를 보냉,보온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용기.
KR20-2004-0018073U 2004-06-25 2004-06-25 냉온용기 KR2003636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8073U KR200363682Y1 (ko) 2004-06-25 2004-06-25 냉온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8073U KR200363682Y1 (ko) 2004-06-25 2004-06-25 냉온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3682Y1 true KR200363682Y1 (ko) 2004-10-06

Family

ID=49350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8073U KR200363682Y1 (ko) 2004-06-25 2004-06-25 냉온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368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8864B1 (ko) 2010-02-01 2012-10-08 김형열 아이스 트레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88865B1 (ko) 2012-05-02 2012-10-09 김형열 아이스 트레이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8864B1 (ko) 2010-02-01 2012-10-08 김형열 아이스 트레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88865B1 (ko) 2012-05-02 2012-10-09 김형열 아이스 트레이 및 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83226A (en) Refrigerated beverage holder
US4163374A (en) Refrigeratable beverage container holder
EP0815023B1 (en) Beverage container with heating or cooling insert
US2926508A (en) Device for serving cool drinks
US20120193366A1 (en) Flexible Foam Beverage Holder
US5148682A (en) Ice molding device and method
WO2000079189A1 (en) Beverage container with ice compartment
GB2383122A (en) A temperature regulator
US20150128619A1 (en) Cooling Device for Beverages
NL2000339C2 (nl) Inrichting voor het koelen en in gekoelde toestand houden van een met drank gevulde houder.
US20140048510A1 (en) Carafe with cooling element
WO2008002085A1 (en) Cooling cup for drink
KR200363682Y1 (ko) 냉온용기
US2008017367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emperature Management in the Dispensing of Bagged Fluids
KR200472311Y1 (ko) 음료의 보냉을 위한 이송 시스템
KR101365876B1 (ko) 와인 냉각장치
KR100840436B1 (ko) 탄산가스 주입용 압력용기 일체형 냉장고
JP2006304850A (ja) 保温または保冷用の食器
KR200456604Y1 (ko) 음료 냉각기
KR101093741B1 (ko) 배달용 보냉기 냉각장치
KR200401581Y1 (ko) 스폰지 보냉용기
KR20090085779A (ko) 회전 급속 냉각용기
KR100975043B1 (ko) 초음파 급속 냉각용기
GB2434432A (en) Refrigeration unit for packaged beverages
EP1213227A1 (en) Beverage container with means to keep the contents warm or co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