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0483Y1 - 자체 냉각기능을 가진 음료용기 - Google Patents

자체 냉각기능을 가진 음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0483Y1
KR200290483Y1 KR2020020020391U KR20020020391U KR200290483Y1 KR 200290483 Y1 KR200290483 Y1 KR 200290483Y1 KR 2020020020391 U KR2020020020391 U KR 2020020020391U KR 20020020391 U KR20020020391 U KR 20020020391U KR 200290483 Y1 KR200290483 Y1 KR 2002904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outer container
drink
center
coo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03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택
Original Assignee
김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택 filed Critical 김희택
Priority to KR20200200203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04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04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0483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체 냉각기능을 가진 음료용기에 대한 것으로, 고안의 주된 목적은 청량음료나 생맥주를 담을 수 있는 중간 용기를 구성하되, 외부 용기와 내부 용기를 별도로 분리가능하도록 구성하고, 그 내부 용기의 바닥에 냉매 저장공간을 마련하여, 상기 냉매의 흡열작용으로 청량음료 또는 생맥주가 일정시간 동안 냉각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의 중간용기에는 내부 용기로부터 연장된 유출관에 콕크를 구비하여 적당량을 덜어 마실 수 있도록 하되, 그 유출관을 냉매 저장공간의 인접부분으로부터 연장하여 항상 냉매에 의해 냉각된 상태를 유지하는 부분의 음료 및 생맥주가 먼저 인출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은 원통형의 받침부(21)와; 상기 받침부의 상측에 고정된 채 상측으로 개구부(22)가 형성되고, 바닥의 중앙으로부터 측편으로 연장된 유출관(23)을 가지며, 그 끝에 배출 콕크(24)를 가지는 외부 용기(20); 상기한 외부 용기의 개구부를 통해 위로부터 삽입하되, 상단 환테부(11)가 상기한 외부 용기의 테두리에 걸리도록 고정하고, 그 내부 바닥에 원판형 냉매통(12)을 가지는 내부 용기(10); 상기한 내부 용기(10) 및 외부 용기(20)의 상단 테두리를 감합하도록 내홈부(31)를 가지며, 그 내홈부(31)에 패킹(32)이 구비되고, 그 중앙에 배기통공부(33)를 포함하는 손잡이(34)로 이루어진 뚜껑(30)으로 구성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자체 냉각기능을 가진 음료용기 {Cooling Jar}
본 고안은 자체 냉각기능을 가진 음료용기에 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보냉을 위해 외부 용기와 음료를 담는 내부 용기를 별도로 구성하고, 그 내부 용기에 냉매를 저장하여 자체적으로 소정의 냉각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름에 마시는 청량음료나 맥주 등은 시원한 느낌을 받을 수 있는 온도가 약 4℃ 내지 6℃ 의 상태로 알려져 있다.
한편, 음식점이나 생맥주집에서 청량음료 및 맥주를 손님이 앉아 있는 테이블까지 제공하고자 할 때는 별도의 냉각장치가 되어 있는 저장통이나 저장용기로부터 일정량을 인출하여 별도의 용기에 담아 제공하게 되는 바, 이와 같은 과정을 거치게 되면 통상적으로 약 약 8℃ 내지 11℃ 의 상태로 식게 되므로 탄산성분이 쉽게 방출되어 맛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특히, 생맥주의 경우 약 3000cc내지 약 5000cc 등 일정양을 중간 용기에 담아 테이블로 제공하는데 이는 일시에 마실 수 있는 양이 아니라 작은 잔 약 300cc내지 약 500cc의 잔에 덜어 여러번에 걸쳐 나누어 마시기 때문에 생맥주의 맛을 유지하는 적정온도를 지속시킨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 근래에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3000cc내지 약 5000cc의 양을 담을 수 있는 중간 용기의 구조를 내부통(1a)과 외부통(1b)으로 구성된 이중의 용기로 하여 단열을 시도한 것이 있으나 큰 효과가 없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고안의 주된 목적은 청량음료나 생맥주를 담을 수 있는 중간 용기를 구성하되, 외부 용기와 내부 용기를 따로 형성하여 그 사이에 단열을 위한 공기층을 가지도록 결합 고정하고, 그 내부 용기의 바닥에 분리형 냉매통을 내장하여, 상기 냉매의 흡열작용으로 청량음료 또는 생맥주가 일정시간 동안 냉각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는 것이다.
더 나가서 상기의 중간용기에는 내부 용기로부터 연장된 유출관에 콕크를 구비하여 적당량을 덜어 마실 수 있도록 하되, 그 유출관을 냉매통의 중앙부분으로부터 연장하여 항상 냉매에 의해 냉각된 상태를 유지하는 부분의 음료 및 생맥주가 먼저 인출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은 원통형의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상측에 고정된 채 상측으로 개구부가 형성되고, 바닥의 중앙으로부터 측편으로 연장된 유출관을 가지며, 그 끝에 배출 콕크를 가지는 외부 용기; 상기한 외부 용기의 개구부를 통해 위로부터 삽입하되, 상단 환테부가 상기한 외부 용기의 테두리에 걸리도록 고정하고, 그 내부 바닥에 원판형 냉매통을 가지는 내부용기; 상기한 내부 용기 및 외부 용기의 상단 테두리를 감합하도록 내홈부를 가지며, 그 내홈부에 패킹이 구비되고, 그 중앙에 배기통공부를 포함하는 손잡이로 이루어진 뚜껑으로 구성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음료용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음료용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음료용기를 보인 조립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음료용기를 보인 분해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내부 용기 11 : 환테부
12 : 원판형 냉매통 13 : 통공부
20 : 외부 용기
21 : 받침부 22 : 개구부
23 : 유출관 24 : 코크
30 : 뚜껑 31 : 내홈부
32 : 패킹 33 : 배기 통로부
34 : 손잡이 40 : 냉매
이하 본 고안의 상세한 구성 및 사용방법을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전체 구성을 보인 조립 단면도이고, 도 4는 분해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듯이 본 고안은 외부 용기(20)와, 내부 용기(10)와, 뚜껑(30)으로 구성된다.
외부 용기(20)는 원형의 받침부(21)를 가지며, 상기 받침부의 상측에 고정된 채 상측으로 개구부(22)가 형성되고, 바닥의 중앙으로부터 측편으로 연장된 유출관(23)을 가지며, 그 끝에 배출 콕크(24)를 가진다.
또, 내부 용기(10)는 상기한 외부 용기의 개구부를 통해 위로부터 삽입하되, 상단 환테부(11)가 상기한 외부 용기의 테두리에 걸리도록 고정하고, 내부 바닥에 별도의 원판형 냉매통(12)을 내장한다.
이때의 상기한 원판형 냉매통(12)은 그 중앙에 아래로 관통하는 통공부(13)를 형성하여 외부 용기(20)가 갖는 유출관(23)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한 뚜껑(30)은 상기한 내부 용기(10) 및 외부 용기(20)의 상단 테두리를 덮을 수 있도록 내홈부(31)를 가지며, 그 내홈부(31)에 패킹(32)이 구비되고, 그 중앙에 배기통공부(33)를 포함하는 손잡이(34)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음료용기는 평상시 내부 용기(10) 속의 원판형 냉매통(12)을 냉장고의 냉동실에 보관하여 냉매(40)가 약 -20℃ 미만의 온도를 가지도록 한다.
이때의 냉매는 여러가지가 사용될 수 있는 바, 소금물을 사용하는 경우 물에 대한 중량비 약 70% 내지 80%의 염화칼슘을 함유하는 것이다.
이는 -20℃ 미만의 온도에서 7~8시간 냉각하였을 경우, 약 4℃ ∼ 6℃의 온도를 갖는 청량음료 또는 생맥주를 그 온도로 최대 약 2시간 내지 3시간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냉각된 원판형 냉매통(12)을 내부 용기(10)의 바닥에 내장한 후, 청량음료 또는 생맥주를 담아 손님에게 제공하면 되는 것이다.
내부 용기(10)속에 담긴 내용물은 그 바닥의 원판형 냉매통(12)이 가지는 통공부(13)를 통해 배출되며, 유출관(23)에 연결된 콕크(24)를 열 경우 즉시 내용물을 따를 수 있다.
그리고 청량음료 또는 생맥주를 모두 따르고 난 후에는 뚜껑(30)을 열고 내부 용기(10)로부터 원판형 냉매통(12)을 꺼내어 세척한 후, 다시 냉동실에 보관하여 다음 차례에 사용할 수 있도록 냉각시킨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의 사이에 공기층을 갖도록 이중으로 형성하고, 그 내부의 원판형 냉매통을 분리/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내용물은 원판형 냉매통에 의해 장시간 최적의 온도를 유지해 줄 수 있는 것이며, 또 한, 내용물이 인출되는 부분을 냉매통 중앙의 통공부로 하였기 때문에 냉매 저장부 주위에서 충분히 냉각된 내용물이 먼저 인출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원통형의 받침부(21)와;
    상기 받침부의 상측에 고정된 채 상측으로 개구부(22)가 형성되고, 바닥의 중앙으로부터 측편으로 연장된 유출관(23)을 가지며, 그 끝에 배출 콕크(24)를 가지는 외부 용기(20);
    상기한 외부 용기의 개구부를 통해 위로부터 삽입하되, 상단 환테부(11)가 상기한 외부 용기의 테두리에 걸리도록 고정하고, 그 내부 바닥에 원판형 냉매통(12)을 가지는 내부 용기(10);
    상기한 내부 용기(10) 및 외부 용기(20)의 상단 테두리를 감합하도록 내홈부(31)를 가지며, 그 내홈부(31)에 패킹(32)이 구비되고, 그 중앙에 배기통공부(33)를 포함하는 손잡이(34)로 이루어진 뚜껑(30);
    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냉각기능을 가진 음료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내부 용기(10)의 원판형 냉매통(12)은 중앙을 관통하는 통공부(13)를 형성하여 그 아래로 유출관(23)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냉각기능을 가진 음료용기.
KR2020020020391U 2002-07-08 2002-07-08 자체 냉각기능을 가진 음료용기 KR2002904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391U KR200290483Y1 (ko) 2002-07-08 2002-07-08 자체 냉각기능을 가진 음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391U KR200290483Y1 (ko) 2002-07-08 2002-07-08 자체 냉각기능을 가진 음료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9316A Division KR20040005039A (ko) 2002-07-08 2002-07-08 자체 냉각기능을 가진 음료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0483Y1 true KR200290483Y1 (ko) 2002-09-28

Family

ID=73077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0391U KR200290483Y1 (ko) 2002-07-08 2002-07-08 자체 냉각기능을 가진 음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048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9248B1 (ko) * 2003-12-11 2005-11-22 김준식 대용량 삼중벽 피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9248B1 (ko) * 2003-12-11 2005-11-22 김준식 대용량 삼중벽 피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4604B2 (en) Cold beverage server method and apparatus
US4344300A (en) Chillerwell cooler
US20070125118A1 (en) Ice chest
US6446460B1 (en) Method of chilling and consuming an alcoholic beverage and apparatus therefor
KR200426553Y1 (ko) 음료용 냉각컵
US20080196443A1 (en) P.R.O. cooler or the perfectly re-engineered omni cooler
US20030029867A1 (en) Partitioned cooler
KR200290483Y1 (ko) 자체 냉각기능을 가진 음료용기
US6035659A (en) Sanitary beverage cooler
KR100930045B1 (ko) 음료용 냉각컵
KR200290484Y1 (ko) 자체 냉각기능을 가진 음료용기
KR20040005039A (ko) 자체 냉각기능을 가진 음료용기
JP2002039656A (ja) 飲食物保冷温器
KR200305763Y1 (ko) 냉각용기
KR20040005038A (ko) 자체 냉각기능을 가진 음료용기
JP2007050178A (ja) クーラー装置
KR100435821B1 (ko) 냉장용기 및 냉장방법
KR100915787B1 (ko) 음료수보냉용 얼음통
KR200370375Y1 (ko) 주류 및 음료용 냉장보존용기
TWI832265B (zh) 具保冰功能之醒酒裝置
KR200258681Y1 (ko) 보냉 및 냉각능을 갖는 컵
KR200365407Y1 (ko) 보냉기능을 갖는 맥주용기
US20220297920A1 (en) Can cooler
KR200402281Y1 (ko) 아이스박스
KR200406353Y1 (ko) 식탁용 술병 냉장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2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