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6018B1 - 보냉 보온 기능을 갖는 포장상자 - Google Patents

보냉 보온 기능을 갖는 포장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6018B1
KR101486018B1 KR20130074812A KR20130074812A KR101486018B1 KR 101486018 B1 KR101486018 B1 KR 101486018B1 KR 20130074812 A KR20130074812 A KR 20130074812A KR 20130074812 A KR20130074812 A KR 20130074812A KR 101486018 B1 KR101486018 B1 KR 101486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food storage
storage box
space
ice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4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1494A (ko
Inventor
박승희
Original Assignee
박승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승희 filed Critical 박승희
Priority to KR20130074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6018B1/ko
Publication of KR20150001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6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6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2Wrapped articles enclosed in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blocks of shock-absorbing material
    • B65D81/11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blocks of shock-absorbing material of a shape specially adapted to accommodat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2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with one or more containers located inside the external container
    • B65D81/382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with one or more containers located inside the external container the external tray being formed of foam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류나 육류 또는 이들을 가공하여 만든 제품 등을 변질 없이 안전하게 배송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식품의 냄새가 외부로 누기 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뚜껑과 본체간의 안전한 결합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보냉 보온 기능을 갖는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한 벌의 금형을 이용하여 일 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이(110.210) 형성되며 크기와 구조가 동일한 뚜껑 역할을 하는 상부상자(100)와 본체 역할을 하는 하부상자(200)를 마련하고, 상기 한 벌의 금형으로 마련된 상/하부상자의 개방된 부분을 상호 마주보게 결합하여 내부에 식품보관상자(300)와 아이스 팩(400)을 수용하도록 하는 상자본체(B)를 형성하며, 상기 상자본체에 수용되는 식품보관상자의 1/2은 상기 상부상자(100)의 공간(110)에 수용되고, 나머지 1/2의 식품보관상자는 하부상자(200)의 공간(210)에 수용되게 구성되며, 상기 상자본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결합되는 상/하부상자의 상호 마주보는 외곽 단면(120.220)에는 그 단면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상자가 상호 긴밀히 결합되는 결합부(130.230)를 형성시켜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보냉 보온 기능을 갖는 포장상자{Packing box having cold insulation and heat insulation function}
본 발명은 어류나 육류 또는 이들을 가공하여 만든 제품(이하'식품'이라 통칭함) 등을 변질 없이 안전하게 배송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식품의 냄새가 외부로 누기 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뚜껑과 본체간의 안전한 결합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보냉 보온 기능을 갖는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
육류나 어류 또는 이들을 가공하여 만든 제품들은 쉽게 변질 될 수 있기 때문에, 판매나 운반을 위해서는 주변 환경과는 단열된 상태로 만들어주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포장박스를 사용하였다.
즉, 종래의 포장박스는 단열재질로 만들어진 단열케이스본체(10)와 단열케이스 캡(12)이 외관을 구성한다. 상기 단열케이스본체(10)와 단열케이스 캡(12)은 발포수지인 스티로폼으로 만들어진 것이 대부분이다.
상기 단열케이스본체(10)와 단열케이스 캡(12)에 의해 만들어진 내부 공간(14)에는 육류나 어류 또는 이들을 가공하여 만든 제품 등 단열이 필요한 포장된 제품(16)이 직접 놓여진다. 물론, 상기 제품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내부 공간(14)에는 아이스 팩(18)이 놓여진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포장상자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상기 포장상자의 외관을 구성하는 단열케이스본체(10)와 단열케이스 캡(12)으로 이루어지는 포장상자의 내부 공간(14)에 포장된 제품(16)과 함께 아이스 팩(18)이 위치된다.
예를 들면 내부 공간(14)의 바닥에 아이스 팩(18)을 깔고 그 위에 포장된 제품(16)을 얹고 또 제품의 상면에 아이스 팩(18)을 넣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포장상자는 내부 공간(14)의 바닥에 있는 아이스 팩(18)에 포장된 제품(16)의 지지력이 약하여 운송 중 제품이 포장상자의 내부 공간(14)에서 유동되어 가지런하게 정리된 제품(16)의 난잡하게 뒤섞이면서 상품가치를 떨어트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상기 단열케이스본체(10)와 단열케이스 캡(12)간에는 결합력이 약하여 제품에서 발생하는 냄새가 외부로 누기 되는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냉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보냉의 목적을 반감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보냉 보온 기능을 갖는 포장상자는 단열케이스본체(10)를 성형해야 하는 금형과 단열케이스 캡(12)을 성형해야 하는 금형을 별도로 구비해야 함으로 그에 따른 금형비로 인한 보냉 보온 기능을 갖는 포장상자의 제조원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발명한 것으로, 그 목적은,
첫째, 한 벌의 금형으로 크기와 구조가 동일한 각각의 상/하부상자를 마련하고, 상기 마련된 상/하부상자를 상호 마주보게 결합하여 내부에 식품이 보관되는 식품보관상자와 냉기를 발산하는 아이스 팩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된 상자본체를 마련함으로써 보냉 보온 기능을 갖는 포장상자의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둘째, 상기 상/하부상자의 상호 결합되는 부분에 기밀성이 유지되며 안전하고 견고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마련함으로써 종래 문제점으로 제기되던 냄새의 외부 누기를 최소화함은 물론, 냉기의 외부 배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셋째, 상기 상자본체의 내부에 식품보관상자, 아이스 팩, 소스 팩 등을 긴밀하게 안착시킬 수 있는 각각의 안착부를 형성시킴으로써 운송 도중 상기 식품보관상자, 아이스 팩, 소스 팩 등이 유동되지 않고 안전하게 지지되며 운송되도록 한 보냉 보온 기능을 갖는 포장상자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첫째 및 둘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수단 구성은,
한 벌의 금형을 이용하여 일 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이(110.210) 형성되며 크기와 구조가 동일한 뚜껑 역할을 하는 상부상자(100)와 본체 역할을 하는 하부상자(200)를 마련하고, 상기 한 벌의 금형으로 마련된 상/하부상자의 개방된 부분을 상호 마주보게 결합하여 내부에 식품보관상자(300)와 아이스 팩(400)을 수용하도록 하는 상자본체(B)를 형성하며, 상기 상자본체에 수용되는 식품보관상자의 1/2은 상기 상부상자(100)의 공간(110)에 수용되고, 나머지 1/2의 식품보관상자는 하부상자(200)의 공간(210)에 수용되게 구성되며, 상기 상자본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결합되는 상/하부상자의 상호 마주보는 외곽 단면(120.220)에는 그 단면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상자가 상호 긴밀히 결합되는 결합부(130.230)를 형성시켜 된 보냉 보온 기능을 갖는 포장상자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상자(100.200)의 외부 측벽에는, 상기 상자본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하부상자의 상호 결합 후 그 결합 면을 증가시켜 기밀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주연부(140.240)를 상기 상/하부상자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각 상/하부상자(100.200)의 공간(110.210)에는 내부에 아이스 팩이 안착되는 아이스 팩 안착부(111.211)가 형성되고, 그 아이스 팩 안착부의 상부에는 상기 아이스 팩 안착부와 연통되는 식품보관상자가 긴밀히 안착되는 식품보관상자안착부(112.212)가 형성되며,
상기 아이스 팩 안착부와 식품보관상자안착부(112.212)간에는 아이스 팩 안착부에 안착된 아이스 팩으로부터 발산되는 냉기가 식품보관상자에 골고루 미치도록 하는 냉기통로(150.250)가 복수 곳에 형성되고,
상기 식품보관상자안착부의 측면에는 격벽(116.216)을 사이에 두고 상기 식품보관상자안착부와 상호 이격되게 소스 팩이 안착되는 소스 팩 안착부(113.213)가 형성되며,
상기 식품보관상자안착부의 타 측면에는 상기 식품보관상자를 식품보관상자안착부로부터 용이하게 인출하기 위한 식품보관상자인출부(114.214)가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삭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보냉 보온 기능을 갖는 포장상자는, 상기 목적에서 설명하였듯이, 첫째, 한 벌의 금형으로 크기와 구조가 동일한 각각의 상/하부상자를 마련하고, 상기 마련된 상/하부상자를 상호 마주보게 결합하여 내부에 식품이 보관되는 식품보관상자와 냉기를 발산하는 아이스 팩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된 상자본체를 마련함으로써 보냉 보온 기능을 갖는 포장상자의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둘째, 상기 상/하부상자의 상호 결합되는 부분에 기밀성이 유지되며 안전하고 견고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마련함으로써 종래 문제점으로 제기되던 냄새의 외부 누기를 최소화함은 물론, 냉기의 외부 배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셋째, 상기 상자본체의 내부에 식품보관상자, 아이스 팩, 소스 팩 등을 긴밀하게 안착시킬 수 있는 각각의 안착부를 형성시킴으로써 운송 도중 상기 식품보관상자, 아이스 팩, 소스 팩 등이 유동되지 않고 안전하게 지지되며 운송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보냉 보온 기능을 갖는 포장상자 단면도,
도 2a 및 2b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포장상자 분해사시도 및 결합단면도,
도 3a 및 3b는 본 발명 제2실시예의 포장상자 분해사시도 및 결합단면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 제3실시예의 포장상자 분해사시도 및 결합단면도,
도 5a 및 5b는 본 발명 제4실시예의 포장상자 분해사시도 및 결합단면도,
도 6a 및 6b는 본 발명 제5실시예의 포장상자 분해사시도 및 결합단면도,
도 7a 및 7b는 본 발명 제6실시예의 포장상자 분해사시도 및 결합단면도,
도 8a 및 8b는 본 발명 제7실시예의 포장상자 분해사시도 및 결합단면도,
도 9a 및 9b는 본 발명 제8실시예의 포장상자 분해사시도 및 결합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제1실시예의 보냉 보온 기능을 갖는 포장상자 포장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제2실시예의 보냉 보온 기능을 갖는 포장상자 포장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의 보냉 보온 기능을 갖는 포장상자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먼저 도 2a 내지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벌의 금형을 이용하여 일 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이(110.210) 형성되며 크기와 구조가 동일한 뚜껑 역할을 하는 상부상자(100)와 본체 역할을 하는 하부상자(200)를 마련하고, 상기 한 벌의 금형으로 마련된 상/하부상자의 개방된 부분을 상호 마주보게 결합하여 내부에 식품보관상자(300)와 아이스 팩(400)을 수용하도록 하는 상자본체(B)를 형성하며, 상기 상자본체에 수용되는 식품보관상자의 1/2은 상기 상부상자(100)의 공간(110)에 수용되고, 나머지 1/2의 식품보관상자는 하부상자(200)의 공간(210)에 수용되게 구성되며, 상기 상자본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결합되는 상/하부상자의 상호 마주보는 외곽 단면(120.220)에는 그 단면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상자가 상호 긴밀히 결합되는 결합부(130.230)를 형성시켜 된 보냉 보온 기능을 갖는 포장상자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상자(100.200)의 외부 측벽에는, 상기 상자본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하부상자의 상호 결합 후 그 결합 면을 증가시켜 기밀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주연부(140.240)를 상기 상/하부상자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각 상/하부상자(100.200)의 공간(110.210)에는 내부에 아이스 팩이 안착되는 아이스 팩 안착부(111.211)가 형성되고, 그 아이스 팩 안착부의 상부에는 상기 아이스 팩 안착부와 연통되는 식품보관상자가 긴밀히 안착되는 식품보관상자안착부(112.212)가 형성되며,
상기 아이스 팩 안착부와 식품보관상자안착부(112.212)간에는 아이스 팩 안착부에 안착된 아이스 팩으로부터 발산되는 냉기가 식품보관상자에 골고루 미치도록 하는 냉기통로(150.250)가 복수 곳에 형성되고,
상기 식품보관상자안착부의 측면에는 격벽(116.216)을 사이에 두고 상기 식품보관상자안착부와 상호 이격되게 소스 팩이 안착되는 소스 팩 안착부(113.213)가 형성되며,
상기 식품보관상자안착부의 타 측면에는 상기 식품보관상자를 식품보관상자안착부로부터 용이하게 인출하기 위한 식품보관상자인출부(114.214)가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보냉 보온 기능을 갖는 포장상자에서 상자본체(B)를 형성하는 상/하부상자(100.200)는 일 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이(110.210) 형성되며 동일한 크기와 구조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한 벌의 금형으로 상/하부상자(100.200) 모두를 성형할 수 있다.
따라서 금형 비 절감으로 인한 본 발명에 따른 보냉 보온 기능을 갖는 포장상자의 제조원가를 절감함은 물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한 벌의 금형으로 내부에 공간이(110.210)이 형성한 상/하부상자(100.200)를 모두 성형하여 생산할 수 있음으로 상기 한 벌의 금형으로부터 성형된 2개의 상자 즉 상/하부상자(100.200)를 상호 마주보게 결합하면 내부에 식품이 보관되는 식품보관상자(300)와 냉기를 발산되는 아이스 팩(400)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된 상자본체(B)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상자본체(B)의 내부에 수용되는 식품보관상자(300)는, 어류나 육류 또는 이들을 가공하여 만든 제품(이하'식품'이라 통칭함) 등 다양한 종류의 식품을 수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식품보관상자로서, 그 내부에는 상기의 식품들 중 해당 식품이 수용 보관된다.
그리고 상기 식품보관상자(300)의 구조는, 상기 해당 식품이 수용되는 내부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케이스와 그 본체케이스를 덮는 뚜껑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식품보관상자(300)가 상자본체(B) 내부의 공간에 수용될 때에는 식품보관상자(300)의 1/2은 상기 상부상자(100)의 공간(110)에 수용되고, 나머지 1/2의 식품보관상자(300)는 하부상자(200)의 공간(210)에 수용되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한 벌의 금형으로 동일한 크기와 구조를 갖는 각각의 상/하부상자(100.200)를 성형하여 마련되기 때문이다.
또 상기 상자본체(B)를 형성하기 위하여 결합되는 상/하부상자(100.200)의 상호 마주보는 단면(120.220)에는 그 단면(120.220)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상자(100.200)가 상호 긴밀히 결합되는 결합부(130.230)를 형성시킴으로써, 종래 보냉 보온 기능을 갖는 포장상자의 단점으로 지적되던 식품에서 발생되는 냄새가 외부로 누기 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그와 아울러 아이스 팩(400)에서 발생되는 냉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식품의 변질(부패)없이 안전하게 보관 및 운송(유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장점이 갖는 본 발명의 상/하부상자(100.200) 단면(120.220)에 형성되는 결합부(130.230)는, 돌출형 결합구(131.231)로써 그 돌출형 결합구의 길이는, 선단이 상기 단면(120.220)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결합구(131.231)의 선단 형상은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구(131.231) 상단에서 단면(120.220) 방향으로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결합구(131.231)의 길이는, 단면(120.220)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길이보다 짧게 형성시켜 시용해도 무방하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결합구(131.231)의 선단이 단면(120.220)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그 이유는 상/하부상자(100.200)의 긴밀한 결합과 냉기 및 냄새의 외부 유출을 최소화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결합구(131.231)의 선단 형상을 결합구(131.231) 상단에서 단면(120.220) 방향으로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시켰는데 그 이유는, 상/하부상자(100.200)가 상호 결합되었을 때 결합구(131.231)의 선단 경사면이 상호 결합되어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결합부 제1실시 예는,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120.220)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양분되게 형성된 내측결합구(131a.231b)와 외측결합구(131b.231b)로 이루어진 결합구(131.231)를 상기 단면(120.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단면(120.220) 두께의 1/2 두께를 갖도록 형성시키되, 상기 내측결합구(131a.231b)는 상기 상/하부상자(100.200)의 내측벽면과 나란한 면을 이루도록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외측결합구(131b.231b)는 상기 상/하부상자(100.200)의 외측벽면과 나란한 면을 이루도록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상/하부상자(100.200)의 단면(120.220)에 형성된 결합부(130.230) 즉 내측결합구(131a.231b)와 외측결합구(131b.231b)의 상호 결합방법은, 상부상자(100)에 형성된 내측결합구(131a)는 하부상자(200)에 형성된 외측결합구(231b)의 내측 면과 면 접촉되며 결합되고, 또 하부상자(200)에 형성된 외측결합구(231b)는 상부상자(100)에 형성된 내측결합구(131a)의 외측 면과 면 접촉되며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1실시 예의 결합부 구조는, 내측결합구(131a.231b)와 외측결합구(131b.231b)가 상호 면 접촉되며 결합되기 때문에 2중 결합의 형태를 이루어 결합력이 향상됨은 물론, 그에 따른 기밀성이 확보되어 종래 문제점으로 제기되던 식품에서 발생되는 냄새의 외부 누기를 최소화함은 물론, 아이스 팩에서 발생되는 냉기의 외부 배출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결합구(131a.231b)와 외측결합구(131b.231b)의 두께는, 단면(120.220) 두께의 1/2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상자본체(B)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하부상자(100.200)의 결합 후 상기 내측결합구(131a.231b)와 외측결합구(131b.231b)는 상자본체(B)의 측벽 즉 상/하부상자(100.200)의 측벽으로부터 어느 일 측으로 돌출됨이 없이 상기 측벽과 나란한 평탄면을 형성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결합부(130.230) 제2실시 예는,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부상자(100.200) 단면(120.220)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일 측에는 결합구(131.231)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동일선상의 타 측에는 상기 일 측의 결합구(131.231)가 끼워 결합되는 결합 홈(132.232)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제2실시 예의 결합부(130.230) 결합방법은, 상부상자(100)에 형성된 결합구(131)는 하부상자(200)에 형성된 결합 홈(232)에 끼워 결합되고, 또 하부상자(200)에 형성된 결합구(231)는 상부상자(100)에 형성된 결합 홈(132)에 끼워 결합됨으로 견고한 결합력이 유지되어 종래 문제점으로 제기되던 식품에서 발생되는 냄새의 외부 누기를 최소화함은 물론, 아이스 팩에서 발생되는 냉기의 외부 배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하부상자(100.200) 외부 측벽에는, 상/하부상자(100.200)의 상호 결합 후 그 결합 면을 증가시켜 기밀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주연부(140.240)를 상기 상/하부상자(100.200)와 일체로 형성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상/하부상자(100.200)의 외부 측벽에 주연부(140.240)를 형성시킨 이유는, 상/하부상자(100.200)의 상호 결합 후 접촉면적을 최대로 하여 안정적이며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식품의 냄새 및 냉기의 방출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하부상자(100.200)의 외부 측벽에 주연부(140.240)를 형성시키지 않아도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상/하부상자(100.200) 중 어느 일 측의 상자 양 측면에는,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잡이 홈(H)을 형성시키는데, 그 이유는, 상자본체(B)를 들고 이동할 때에 상자본체(B)의 파지 력을 높임과 동시에 상자본체(B)를 간편하고 용이하며 안전하게 들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본 발명의 상/하부상자(100.200) 종/횡 방향으로는 도 8a 내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부상자(100.200)를 상호 결합 후 상/하부상자(100.200)의 결합력을 더욱 견고하게 유지시키고자 결착부재(T)인 테이프로 테이핑 할 때에 테이프가 상/하부상자(100.200)에 긴밀히 접착되어 테이핑 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결착 홈(170.270)을 형성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하부상자(100.200)의 재질은, 합성수지, 발포수지, 스티로폼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면 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스티로폼이다. 그 이유는, 스티로폼은 그 재질의 특성상 단열성이 우수하고 가벼우며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하부상자(100.200) 표면에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자본체(B)를 지면에 올려놓았을 때 상/하부상자(100.200) 표면과 지면과의 접촉면을 최소화하여 이물질이 상/하부상자(100.200) 표면에 묻는 것을 최소화함은 물론, 상자본체(B)가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돌출 띠 또는 지지돌기 형태를 형성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의 상자본체(B)를 형성하는 상/하부상자(100.200)의 형상은, 평면상에서 볼 때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시키거나 도 2a 내지 도 3b 및 도 5a 내지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4각 이상의 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시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5a 및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부상자(100.200)의 사이에 상/하면이 개방된 공간확장상자(160)를 설치하여 상자본체(B)의 내부 공간을 확장하고, 상기 공간확장상자(160)의 상/하 단면에는 상기 상/하부상자(100.200)의 단면(120.220)에 형성된 결합부(130.230)와 부합하는 결합부(161)를 형성시켜 사용하면 식품보관상자(300)의 높이가 높을 것일 경우에도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상자본체(B)를 형성시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상/하부상자(100.200)의 공간(110.210) 구조는, 도 6a 내지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에 상기 아이스 팩(400)이 안착되는 아이스 팩 안착부(111.211)가 형성되고, 그 아이스 팩 안착부((111.211)의 상부에 식품보관상자안착부(112.212)가 형성되며, 상기 식품보관상자안착부(112.212)의 측면에는 소스 팩 안착부(113.213)가 형성되고, 상기 식품보관상자안착부(112.212)의 타 측면에는 식품보관상자(300)를 식품보관상자안착부(112.212)로부터 용이하게 인출하기 위한 식품보관상자인출부(115.215)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하부상자(100.200)의 내부에 아이스 팩(400)이 안착되는 아이스 팩 안착부(111.211)가 형성됨으로써 식품보관상자(300)의 상/하면을 아이스 팩(400)의 냉기에 의해 냉각시킴으로 식품보관상자(300)에 수용 보관된 식품을 변질 없이 안전하게 보관 및 운송(유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팩 안착부(111.211)에 안착된 아이스 팩(400)은, 식품보관상자 안착부(112.212)에 긴밀히 안착된 식품보관상자(300)의 상/하부 면에 의해 지지됨으로 아이스 팩 안착부(111.211) 내에서 유동됨이 없이 안전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 상기 식품보관상자(300)는, 상/하부상자(100.200)의 식품보관상자 안착부(112.212)에 긴밀히 끼워 결합됨으로 상자본체(B)의 이동 또는 운송 도중 식품보관상자(300)가 상자본체(B) 내에서 유동됨이 없이 안전하게 지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하부상자(100.200)의 아이스 팩 안착부(111.211)에는, 그 아이스 팩 안착부(111.211)에 안착된 아이스 팩(400)으로부터 발산되는 냉기가 식품보관상자(300)에 골고루 미치도록 하는 냉기통로(150.250)가 복수 곳에 형성시킴으로써 아이스 팩(400)으로부터 발생되는 냉기가 식품보관상자(300)에 골고루 분포되어 식품보관상자(300)에 수용 보관된 식품을 변질 없이 안전하게 보관 및 유통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아이스 팩 안착부((111.211)와 소스 팩 안착부(113.213)는 도 6a 및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격벽(116.216)을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게 형성시켜 사용할 수도 있고, 격벽 없이 상호 연통되게 형성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소스 팩 안착부(113.213)는 소스 팩(500)을 안전하게 지지한다.
상기 아이스 팩 안착부(111.211)와 소스 팩 안착부(113.213) 간 에는 냉기통로를 형성시켜 아이스 팩(400)의 냉기가 소스 팩에 전달되게 함으로써 소스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보관상자안착부(112.212) 타 측면에 식품보관상자인출부(115.215)를 형성시켰는데, 그 이유는, 식품보관상자안착부(112.212)에 긴밀히 끼워 결합된 식품보관상자(300)를 인출하고자 할 때에 상기 식품보관상자인출부(115.215)로 손을 넣고 식품보관상자(300)를 용이하게 들어 올려 인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단 상기 식품보관상자(300)를 인출할 때에는 상부 또는 하부상자(100.200) 중 어느 하나를 분리 후 인출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부상자(100.200)에 형성된 식품보관상자인출부(115.215)에 소스 팩을 안착시켜 사용해도 되며, 이때에는 아이스 팩 안착부(111.211)에 안착된 아이스 팩의 냉기가 소스 팩에 전달되도록 냉기통로를 형성시킴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식품보관상자인출부(115.215)에 소스 팩이 안착되지 않게 되면 상기 식품보관상자인출부(115.215)가 냉기통로 역할을 하여 아이스 팩 안착부(111.211)에 안착된 아니스 팩의 냉기가 식품보관상자(300)의 측면을 냉각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식품보관상자인출부(115.215)에 소스 팩을 안착시킬 때에는 도 6a 및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별도의 소스 팩 안착부(113.213)를 형성시키지 않아도 되며, 상기 도 6a 및 도 7a의 소스 팩 안착부(113.213)를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격벽(116.216)을 형성시키지 않고 아이스 팩 안착부(111.211)와 상호 연통되는 연통로(117.217)를 형성시켜 아이스 팩의 냉기가 식품보관상자(300)의 측면에 미치도록 함으로써 식품보관상자(300)에 수용 보관된 식품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보냉 보온 기능을 갖는 포장상자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부상자(100.200)가 결합부(130.230)를 매개로 결합되어 상자본체(B)를 형성한 상태에서 결착 홈(170.270)에 결착부재(T)인 테이프를 이용하여 종/횡 방향으로 테이핑 함으로써 상기 상자본체(B)의 내부 공간 즉 식품보관상자 안착부, 아이스 팩 안착부, 소스 팩 안착부에 안착된 각각의 식품보관상자(300), 아이스 팩(400), 소스 팩(500)은 안전하고 견고한 지지가 이루어짐은 물론, 보냉 보온이 이루어지고 식품보관상자(300)에 수용 보관된 식품은 냄새의 누기는 방지되며, 상/하부상자(100.200)의 결합한 결합력은 더욱 강해지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은 결착 홈(170.270)이 형성되지 않은 상/하부상자(100.200)를 결합부(130.230)를 매개로 결합하여 상자본체(B)를 형성한 상태에서 결착부재(T)인 테이프를 이용하여 상자본체(B)의 종/횡 방향으로 테이핑해도 무방하다.
또 본 발명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부상자(100.200)의 사이에 공간확장상자(160)를 개재시킨 상태에서 결착부재(T)인 테이프를 이용하여 상/하부상자(100.200)와 공간확장상자(160)의 각 결합라인 및 그 결합라인의 반대방향으로 테이핑하면 상/하부상자(100.200)와 공간확장상자(160)의 견고한 결합은 물론, 식품보관상자(300)에 수용 보관된 식품의 냄새 유출이 방지되고 그와 아울러 냉기의 보호력이 증가되어 식품보관상자(300)에 수용 보관된 식품의 변질을 방자할 수 있다.
단 상기 결착부재(T)는 테이프 외에도 다양한 종유의 결착밴드나 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 9a 및 도 9b 구성 중 상/하부상자(100).200)의 사이에 개재되는 공간확장상자(160)의 내측 중앙부 벽면의 상호 마주보는 면 또는 4방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지지 턱(162)을 형성시켜 사용하는데, 상기 지지 턱(162)을 형성시키는 이유는, 상부상자(100)와 공간확장상자(160)의 상부 사이에 제1 식품보관상자(300)가 위치되게 하고, 또 하부상자(200)와 공간확장상자(160)의 하부 사이에 제2 식품보관상자(300)가 위치되게 하는 방법으로 2개의 식품보관상자(300)를 위치시킬 때에 상기 2개의 식품보관상자(300)사이를 지지 턱(162)의 두께만큼 이격시켜 그 이격된 공간으로 아이스 팩 안착부(111.211)에 안착된 아이스 팩의 냉기가 위치되게 함으로써 상기 2개의 식품보관상자(300)에 수용 보관된 식품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지지 턱(162)의 상단은, 상기 상부상자(100)와 공간확장상자(160)의 상부 사이에 위치한 제1 식품보관상자(300)의 하단을 지지하고, 상기 지지 턱(162)의 하단은, 상기 하부상자(200)와 공간확장상자(160)의 하부 사이에 위치한 제2 식품보관상자(300)의 상단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2개(제1 및 제2 식품보관상자)의 식품보관상자(300)는 안전하고 견고하게 지지된다.
또 본 발명의 도 5a 및 도 5b의 공간확장상자(160) 내측 중앙부의 벽면에도 상기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갖는 지지 턱을 형성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보냉 보온 기능을 갖는 포장상자는, 한 벌의 금형으로 크기와 구조가 동일한 각각의 상/하부상자를 마련하고, 상기 마련된 상/하부상자를 상호 마주보게 결합하여 내부에 식품이 보관되는 식품보관상자와 냉기를 발산하는 아이스 팩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된 상자본체를 마련함으로써 보냉 보온 기능을 갖는 포장상자의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또 상기 상/하부상자의 상호 결합되는 부분에 기밀성이 유지되며 안전하고 견고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마련함으로써 종래 문제점으로 제기되던 냄새의 외부 누기를 최소화함은 물론, 냉기의 외부 배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상자본체의 내부에 식품보관상자, 아이스 팩, 소스 팩 등을 긴밀하게 안착시킬 수 있는 각각의 안착부를 형성시킴으로써 운송 도중 상기 식품보관상자, 아이스 팩, 소스 팩 등이 유동되지 않고 안전하게 운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200 : 상/하부상자 110.210 : 공간
111.211 : 아이스 팩 안착부 112.212 ; 식품보관상자안착부
113.213 : 소스 팩 안착부 115.215 : 식품보관상자인출부
116 216 : 격벽 120.220 : 측벽의 단면
130.230 : 결합부 131.231 : 결합구
131a.231b : 내측결합구 131b.231b : 외측결합구
132.232 : 결합 홈 140.240 : 주연부
150.250 : 냉기통로 160 : 공간확장상자
161 : 결합부 162 :지지 턱
170.270 : 결착 홈 300 : 식품보관상자
400 : 아이스 팩 500 : 소스 팩
B : 상자본체 H : 손잡이 홈
T : 결착부재

Claims (16)

  1. 한 벌의 금형을 이용하여 일 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이(110.210) 형성되며 크기와 구조가 동일한 뚜껑 역할을 하는 상부상자(100)와 본체 역할을 하는 하부상자(200)를 마련하고, 상기 한 벌의 금형으로 마련된 상/하부상자의 개방된 부분을 상호 마주보게 결합하여 내부에 식품보관상자(300)와 아이스 팩(400)을 수용하도록 하는 상자본체(B)를 형성하며, 상기 상자본체에 수용되는 식품보관상자의 1/2은 상기 상부상자(100)의 공간(110)에 수용되고, 나머지 1/2의 식품보관상자는 하부상자(200)의 공간(210)에 수용되게 구성되며, 상기 상자본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결합되는 상/하부상자의 상호 마주보는 외곽 단면(120.220)에는 그 단면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상자가 상호 긴밀히 결합되는 결합부(130.230)를 형성시켜 된 보냉 보온 기능을 갖는 포장상자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상자(100.200)의 외부 측벽에는, 상기 상자본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하부상자의 상호 결합 후 그 결합 면을 증가시켜 기밀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주연부(140.240)를 상기 상/하부상자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각 상/하부상자(100.200)의 공간(110.210)에는 내부에 아이스 팩이 안착되는 아이스 팩 안착부(111.211)가 형성되고, 그 아이스 팩 안착부의 상부에는 상기 아이스 팩 안착부와 연통되는 식품보관상자가 긴밀히 안착되는 식품보관상자안착부(112.212)가 형성되며,
    상기 아이스 팩 안착부와 식품보관상자안착부(112.212)간에는 아이스 팩 안착부에 안착된 아이스 팩으로부터 발산되는 냉기가 식품보관상자에 골고루 미치도록 하는 냉기통로(150.250)가 복수 곳에 형성되고,
    상기 식품보관상자안착부의 측면에는 격벽(116.216)을 사이에 두고 상기 식품보관상자안착부와 상호 이격되게 소스 팩이 안착되는 소스 팩 안착부(113.213)가 형성되며,
    상기 식품보관상자안착부의 타 측면에는 상기 식품보관상자를 식품보관상자안착부로부터 용이하게 인출하기 위한 식품보관상자인출부(114.21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 보온 기능을 갖는 포장상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팩 안착부(111.211)와 소스 팩 안착부(113.213) 간 에는 냉기통로(117,21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 보온 기능을 갖는 포장상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상자에 형성된 결합부(130.230)는, 상기 단면(120.220)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양분되게 형성된 내측결합구(131a.231b)와 외측결합구(131b.231b)로 이루어진 결합구(131.231)를 상기 단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단면(120.220) 두께의 1/2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되, 상기 내측결합구(131a.231b)는 상기 상/하부상자의 내측벽면과 나란한 면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외측결합구(131b.231b)는 상기 상/하부상자의 외측벽면과 나란한 면을 이루도록 형성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 보온 기능을 갖는 포장상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131.231) 길이는, 결합구 선단이 상기 단면의 중앙부위 위치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 보온 기능을 갖는 포장상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131.231)의 선단 형상은, 결합구(131.231) 상단에서 상기 단면(120.220) 방향으로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을 하는 보냉 보온 기능을 갖는 포장상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상자에 형성된 결합부(130.230)는, 상기 단면(120.220)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일 측에는 결합구(131.231)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타 측에는 상기 일 측의 결합구가 끼워 결합되는 결합 홈(132.232)을 형성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 보온 기능을 갖는 포장상자.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상자(100.200) 중 어느 일 측의 상자 양 측면에는, 손잡이 홈(H)을 형성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 보온 기능을 갖는 포장상자.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상자(100.200)의 양측에는, 상기 상/하부상자의 상호 결합 후 상/하부상자를 결착부재(T)로 결착할 때에 결착부재가 상/하부상자의 표면에 긴밀히 밀착되어 안정적인 결합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결착 홈(170.27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 보온 기능을 갖는 포장상자.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상자(100.200)의 재질은, 합성수지, 발포수지, 스티로폼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 보온 기능을 갖는 포장상자.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상자(100.200)의 사이에는, 상기 상자본체의 내부 공간을 확장시키기 위한 상/하면이 개방된 공간확장상자(160)가 설치되고, 상기 공간확장상자의 상/하 단면에는 상기 상/하부상자의 단면에 형성된 결합부와 부합하는 결합부(16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 보온 기능을 갖는 포장상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확장상자(160)의 내측 중앙부 벽면의 상호 마주보는 면 또는 4방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지지 턱(162)을 형성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 보온 기능을 갖는 포장상자.
  16. 제1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상자(100.200)의 형상은, 평면상에서 볼 때 원형 또는 4이상의 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 보온 기능을 갖는 포장상자.


KR20130074812A 2013-06-27 2013-06-27 보냉 보온 기능을 갖는 포장상자 KR101486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4812A KR101486018B1 (ko) 2013-06-27 2013-06-27 보냉 보온 기능을 갖는 포장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4812A KR101486018B1 (ko) 2013-06-27 2013-06-27 보냉 보온 기능을 갖는 포장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494A KR20150001494A (ko) 2015-01-06
KR101486018B1 true KR101486018B1 (ko) 2015-01-28

Family

ID=52475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4812A KR101486018B1 (ko) 2013-06-27 2013-06-27 보냉 보온 기능을 갖는 포장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60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57561B (zh) * 2018-05-23 2024-02-09 江西省食品发酵研究所 一种功能性食品用运输存储装置
KR102087306B1 (ko) * 2018-08-29 2020-03-11 주식회사 중부종합물산 계란포장용기
CN110937249A (zh) * 2019-11-27 2020-03-31 安徽万礼食品有限责任公司 一种冷鲜肉临时存放箱
KR102322238B1 (ko) * 2020-03-05 2021-11-09 주식회사 지본코스메틱 접이식 냉온가방
KR200493046Y1 (ko) * 2020-08-20 2021-01-22 (주)에프엠에스코리아 배송용 보냉 가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55U (ko) * 1989-05-25 1991-01-07
KR200346259Y1 (ko) * 2004-01-14 2004-03-31 문경선 공간확장이 가능한 수납박스
KR20120000801U (ko) * 2010-07-22 2012-02-02 김상희 냉장효과를 강화한 포장용 상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55U (ko) * 1989-05-25 1991-01-07
KR200346259Y1 (ko) * 2004-01-14 2004-03-31 문경선 공간확장이 가능한 수납박스
KR20120000801U (ko) * 2010-07-22 2012-02-02 김상희 냉장효과를 강화한 포장용 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494A (ko) 2015-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6018B1 (ko) 보냉 보온 기능을 갖는 포장상자
RU2347157C2 (ru) Изолированные перевозочные контейнеры
JP2021502537A (ja) 断熱輸送ボックスおよび断熱輸送ボックスの構造体
KR200471021Y1 (ko) 온도 조절이 가능한 박스형 패키징
KR101728767B1 (ko) 수송용 보냉 컨테이너
US20230358458A1 (en) Rigid Refreezable Portable Storage Container Insert
KR101910860B1 (ko) 보냉용 포장 상자
KR101703936B1 (ko) 수송용 커버식 보냉 컨테이너
KR101898908B1 (ko) 택배 박스
KR20120002901A (ko) 냉장 보관용 포장체
KR101176077B1 (ko) 보냉패널 및 이를 이용한 포장박스
KR20200000823U (ko) 보온 및 보냉이 가능한 포장박스
KR101947386B1 (ko) 보냉 포장상자
KR102224982B1 (ko) 아이스박스
JP6905286B1 (ja) 保冷型包装容器
KR101530894B1 (ko) 생선 탁송용 어(魚)상자
KR102000881B1 (ko) 용기에 걸어서 사용 가능한 아이스팩
JP2017128378A (ja) 保冷・保温運搬容器
WO2015063820A1 (ja) 断熱箱
KR200486593Y1 (ko) 냉장포장상자
JP2019107052A (ja) 飲食容器
KR101982638B1 (ko) 신선제품 운송을 위한 슈퍼칠링 패키징 시스템
KR101436266B1 (ko) 계란 배송용 아이스 박스
KR20070015320A (ko) 보냉기능을 가지는 포장박스
KR20110048314A (ko) 발포폴리스티렌 포장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