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6259Y1 - 공간확장이 가능한 수납박스 - Google Patents

공간확장이 가능한 수납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6259Y1
KR200346259Y1 KR20-2004-0001000U KR20040001000U KR200346259Y1 KR 200346259 Y1 KR200346259 Y1 KR 200346259Y1 KR 20040001000 U KR20040001000 U KR 20040001000U KR 200346259 Y1 KR200346259 Y1 KR 2003462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pace
base
storage
storag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10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경선
Original Assignee
문경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경선 filed Critical 문경선
Priority to KR20-2004-00010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62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62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62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6Collapsible or telescopic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of polygonal cross-section and all parts being permanently connected to each other
    • B65D11/1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of polygonal cross-section and all parts being permanently connected to each other of drawer-and-shell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피가 비교적 큰 물건이나 많은 량의 서류 또는 책이나 노트 등을 수납할 때 수납공간을 확장시켜 수납·휴대할 수 있는 공간확장이 가능한 수납박스에 관한 것이다.
개시한 본 고안의 공간확장이 가능한 수납박스는, 외벽에 의해 이동공간부를 가지며 그 외벽의 하단부가 변을 따라 내향으로 절곡되어 얻어진 이탈방지턱을 가지는 함체; 벽에 의해 넓은 면적의 수납공간부를 가지며 마주 바라보는 벽에 탄성걸림수단이 외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이탈방지턱에 탄성력으로 맞물려 결합되며 수납공간부의 압입력에 의해 함체의 이동공간부를 중심으로 단계적으로 수직 이동하는 베이스; 함체에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납공간부를 덮는 커버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책이나 노트 또는 서류 또는 그 외의 수납하고자 하는 물건 등의 수납 량 및 부피에 따라 수납공간을 확장 또는 축소하여 간편하게 수납 휴대할 수 있고, 또 수납공간부의 확장 또는 축소 때 베이스가 함체에 대해 유동 없이 안정되게 이동할 뿐만 아니라 미관의 산뜻함이 연출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공간확장이 가능한 수납박스{WITHDRAW FEASIBLE SPACE EXTENSION}
본 고안은 예컨대 서류나 노트, 책, 필기구 등과 같은 물건을 수납하여 보관·휴대하기 위한 여닫이형 수납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트, 책 등과 같이 부피가 비교적 큰 물건이나 많은 량의 서류 또는 그 밖에 부피가 큰 물건 등을 수납할 때 그 수납 량에 따라 수납공간을 상, 하 다단방식으로 간편하게 확장시켜 수납·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확장이 가능한 수납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류나 노트, 책 또는 필기구 등과 같은 간단한 물건을 수납하여 휴대하기 위해서는 여닫이형 화일박스를 많이 사용한다.
이와 같은 여닫이형 화일박스는 미관이 산뜻한 합성수지로서, 하부 베이스와 상부 뚜껑이 일측을 중심으로 절첩되고 그 타측으로 힌지와 같은 체결수단이 구비되어 하부 베이스에 형성된 수용부에 A4용지 또는 A5용지의 서류나 책 또는 노트 또는 그 밖의 간단한 물건 등을 안전하게 수납하여 보관하거나 휴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 많은 학생들과 직장인이 학교나 도서관 및 직장에 갈 때 간단히 휴대하는 용도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하부 베이스와 뚜껑이 동일한 두께로 구성되어 있어, 즉 커버의 공간부를 거의 활용하지 못하여 용지를 적재함에 있어서 화일박스의 두께만큼 충분히 사용하지 못하여 많은 서류를 수납하지 못한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화일박스의 공간을 유용한 공간으로 개조하고, 또 볼펜 등과 같은 필기구류를 따로 수납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안출되어 제품화되고 있으며, 그 한 예로써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43222호에 의하면, 외벽에 의해 제1 수용부가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와 절첩구에 의해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수용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2 수용부를 덮는 커버를 포함하는 휴대용 화일박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은 휴대용 화일박스는 뚜껑의 사용하지 않는 공간을 유용한 공간으로 개조하기 위해서 뚜껑을 제2 수용부를 갖는 본체와 본체를 상부에서 덮는 커버로 분할하여 구성함으로써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2 수용부에 필기구꽂이나 칸막이를 착탈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또 필기구를 위한 새로운 수납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243222호에 의한 휴대용 화일박스는 전체적으로 본체, 베이스 및 커버에 의해 제1, 제2 수용부를 분할하여, 제1 수용부에는 사이즈가 큰 A4용지 등의 서류를, 그리고 제2 수용부에는 이보다 사이즈가 작은 A5용지 등의 서류나 잡다한 영수증 등을 분할·수납하여 휴대할 수 있으나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사용하기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구조의 복잡성에 따른 가격상승의 요인으로 발생되고, 또한 본체와 베이스 또는 본체와 커버가 이루는 상기 제1, 제2수용부의 공간이 한정되어 있어 많은 량의 서류 또는 부피가 비교적 큰 책이나 노트 또는 그 밖에 부피 큰 물건들을 선택적으로 수납하여 보관 및 휴대하는데 어려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치유하면서도 구조 면에서는 보다 간소화하고 미관의 산뜻함이 연출되는 수납박스를, 그리고 신뢰성 면에서는 서류나 부피가 큰 물건 등의 수납 량에 관계없이 수납공간을 선택 조절하여 수납·휴대할 수 있는 수납박스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책이나 노트 또는 많은 량의 서류 또는 그 외의 부피가 큰 물건 등을 수납하여 휴대하고자 할 때, 수납 량 및 부피에 따라 수납공간을 선택적으로 간편하게 확장 또는 축소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확장이 가능한 수납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수납박스는 커버와 결합되어 여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함체를 기준하여 수납공간부를 가지는 베이스가 상기 수납 량 및 부피에 따라 단계적으로 수직 이동하여 걸리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달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수납공간 확장 때 수납공간부를 가지는 베이스가 함체에 대해 유동 없이 안정되게 수직 이동하도록 하는 공간확장이 가능한 수납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수납박스는 베이스가 함체의 4변을 따라 밀착되어 이동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달성된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명확해질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공간확장이 가능한 수납박스의 설명에 제공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도 1은 상기 공간확장이 가능한 수납박스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공간확장이 가능한 수납박스의 결합 단면도로서, 수납공간이 확장되기 이전 상태를 나타내어 보인 것이고,
도 3는 도 2의 공간확장이 가능한 수납박스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내어 보인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수납공간이 확장된 상태를 나타내어 보인 사용상태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함체 12 : 외벽
14 : 이탈방지턱 16 : 이동공간부
20 : 베이스 24 : 수납공간부
26 : 탄성걸림부 26a : 요철
30 : 커버 40 : 체결부재
50 : 절첩부재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공간확장이 가능한 수납박스에 의하면, 외벽에 의해 이동공간부를 가지며 상기 외벽의 하단부가 변을 따라 내향으로 절곡되어 얻어진 이탈방지턱을 가지는 함체; 벽에 의해 넓은 면적의 수납공간부를 가지며 마주 바라보는 상기 벽에 탄성걸림수단이 외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이탈방지턱에 탄성력으로 맞물려 결합되며 상기 수납공간부의 압입력에 의해 상기 함체의 외벽과 접촉되면서 상기 이동공간부를 중심하여 단계적으로 수직 이동하는 베이스; 및 상기 함체에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납공간부를 덮는 커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탄성걸림수단은 상기 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그 측단면이 상기 벽의 폭방향에 대해 다단으로 형성되어진 요철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요철들은 상기 벽의 하단부에서 상단부까지 연이어져 연속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요철들 중 상기 최상단의 철(凸)과 최하단의 철(凸)은 상기 이탈방지턱과 맞물려 상기 베이스가 상기 함체의 이동공간부를 벗어나지 못하도록 상기 벽에 대해 직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함체의 외벽 단부에 형성된 이탈방지턱과 베이스의 벽에 형성된탄성걸림수단이 서로 탄성력으로 맞물려 결합되어진 상태에서 수납공간부를 확장 또는 축소하고자 베이스를 눌러주게 되면 베이스가 함체의 이동공간부를 중심으로 수직하향 또는 수직상향 이동하여 걸리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베이스의 수납공간부가 확장 또는 축소되어짐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책이나 노트 또는 많은 량의 서류 또는 그 외의 부피가 큰 물건 등을 수납하여 휴대하고자 할 때, 수납 량 및 부피에 따라 수납공간을 선택적으로 간편하게 확장 또는 축소하여 수납 휴대할 수 있고, 또 수납공간 확장 또는 축소 때 베이스가 함체에 대해 유동 없이 안정되게 이동하여 확장 또는 축소될 뿐만 아니라 미관의 산뜻함이 연출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 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본 고안의 목적, 기타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예시할 목적으로 도시한 첨부 도면과 관련해서 본 고안에 의한 실시 예를 가지고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공간확장이 가능한 수납박스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공간확장이 가능한 수납박스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공간확장이 가능한 수납박스의 결합 단면도로서, 수납공간이 확장되기 이전 상태를 나타내어 보인 것이며, 도 3는 도 2의 공간확장이 가능한 수납박스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내어 보인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수납공간이 확장된 상태를 나타내어 보인 사용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공간확장이 가능한 수납박스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게 이동공간부(16)가 형성된 탄성력을 가지는 합성수지재의 함체(10)와, 넓은 면적의 수납공간부(24)가 형성되어 함체(10) 내에 접촉하여 결합되며 수납공간부(24)의 확장 또는 축소 때 그 함체(10)의 이동공간부(16)를 중심으로 수직 이동하여 멈추는 사각형상의 베이스(20)와, 함체(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베이스(20)의 수납공간부(24)를 덮는 커버(30)로 구성된다.
함체(10)는 사방에서 외벽(12)이 수직상향으로 돌출되어 베이스(20)가 수직 상, 하향 이동하도록 이동공간부(16)가 형성되고, 또한 외벽(12)의 하단부는 베이스(20)와 맞물려 그 베이스(2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그 변을 따라 내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이탈방지턱(14)을 갖는다.
그리고 뒤쪽의 외벽(12)에는 한 쌍의 장결합구(12b)가 형성되어 한 쌍의 절첩부재(50)의 일단이 억지끼워져 고정되고 한 쌍의 절첩부재(50)의 타단은 커버(30)에 억지끼워져 고정된다. 또 앞쪽의 외벽(12)에는 길이방향으로 한 쌍의 체결핀(12a)이 형성된다.
함체(10)와 커버(30)를 서로 분리 가능하게 체결시켜 주는 체결부재(40)에는 체결구(40a)가 형성되어 체결핀(12a)에 체결구(40a)가 끼워진 상태에서 빠지지 않게 되고, 또한 체결부재(40)의 상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걸림홈(40b)이 형성된다.
베이스(20)에는 사방에서 벽(22)이 수직상향으로 돌출되어 책, 노트, 서류 또는 그 밖의 물건 등을 수납할 수 있는 넓은 면적을 가지는 사각형상의 수납공간부(24)가 형성되고, 마주보는 좌, 우측 벽(22)의 외면에는 함체(10)의 이탈방지턱(14)과 탄성력을 가지고 맞물려 결합되는 한 쌍의 탄성걸림부(26)가 형성된다. 이탈방지턱(14)과 맞물리는 탄성걸림부(26)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벽(22)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그 측단면이 벽(22)의 폭방향에 대해 다단으로 형성되어지고 완만한 경사각을 가지는 삼각형상의 요철(26a)들로 구성된 것으로서, 그 요철(26a)들은 벽(22)의 하단부에서부터 상단부까지 연이어져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요철(26a)들 중에서 최상단의 철(凸)과 최하단의 철(凸)은 이탈방지턱(14)과 맞물려 베이스(20)가 함체(10)의 이동공간부(16)를 벗어나지 못하도록 벽(22)에 대해 직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베이스(20)의 뒤쪽 벽(22)에는 함체(10)의 장결합구(12b)에 끼워져 수직 이동함과 아울러 베이스(20)가 수직이동할 때 함체(10)에 대하여 전후좌우로 유동하지 않도록 잡아주는 한 쌍의 안내홈(22a)이 형성된다.
커버(30)에는 사방에서 외벽(32)이 수직하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그 뒤쪽의 외벽(32)에는 한 쌍의 단결합구(32b)가 형성되어 한 쌍의 절첩부재(50)의 타단이 억지끼워져 고정되는 것에 의해, 함체(10)와 커버(30)가 절첩부재(50)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절첩되도록 결합된다. 또 앞쪽의 외벽(32)에는 체결부재(40)의 걸림홈(40b)이 걸릴 수 있도록 한 쌍의 걸림핀(32a)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함체(10)와 베이스(20)가 이탈방지턱(14), 탄성걸림부(26) 및 그들의 벽과의 접촉에 의해 수직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또 함체(10)와 커버(30)가 절첩부재(5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함체(10)와 커버(30)는 다시 체결부재(40)에 의해 체결되어 공간확장이 가능한 수납박스가 조립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수납박스의 수납공간을 확장하여 노트, 책 또는 서류, 필기구 또는 부피가 큰 물건들을 수납하기 위해서는 먼저, 체결부재(40)의 걸림홈(40b)을 커버(30)의 걸림핀(32a)에서 이탈시킨 다음 커버(30)의 일측을 잡고 회동시키면 그 커버(30)가 절첩부재(50)의 절첩에 의해서 함체(10)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방이 된다. 그리고 커버(30)가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베이스(20)를 아래로 눌러주게 되면 탄성걸림부(26)의 요철(26a)들이 함체(10)의 이탈방지턱(14)과 탄성력으로 맞물려 이동하는 구조, 즉 탄성걸림부(26)의 철(凸)과 이탈방지턱(14)이 맞닿을 때 탄성력을 가지는 함체(10)의 외벽(12)이 외향으로 밀리고 이어서 탄성걸림부(26)의 요(凹)와 이탈방지턱(14)이 맞닿을 때 외벽(12)이 다시 원위치로 복원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베이스(20)가 함체(10)의 외벽(12)과 접촉하면서 이동공간부(16)를 중심으로 수직하향 이동하는 것에 의해 수납공간부(24)가 점점 확장이 된다. 이때 베이스(20)가 수직하향 이동할 때 한 쌍의 안내홈(22a)은 함체(10)의 결합구(12b)에 밀착되어 이동하게 됨으로써 베이스(20)가 함체(10)에 대하여 전후좌우로 유동하지 않고 안정되게 수직하향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베이스(20)가 계속 수직 이동하여 탄성걸림부(26)의 최상단의 철(凸)과 이탈방지턱(14)이 서로 맞닿아 맞물리게 될 경우 베이스(20)의 수직이동은 정지되고,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20)의 이동거리만큼 수납공간부(16)가 확장 된다. 여기서, 베이스(20)의 수직 이동거리는 탄성걸림부(26)의 폭과 비례한다.
이와 같이 베이스(20)의 이동에 의해 확장된 수납공간부(24)에 노트, 책 또는 많은 량의 A4용지 또는 A5 용지의 서류나 필기구 또는 그 밖의 부피가 큰 물건 등을 적재하여 수납하면 된다.
한편, 확장된 수납공간부(24)를 축소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수납박스의 확장 때와 역순으로 베이스(20)를 위로 눌러주는 것에 의해 베이스(20)가 탄성걸림부(26)의 요철(26a)들과 함체(10)의 이탈방지턱(14)에 의해 그 함체(10)의 이동공간부(16)를 중심으로 수직상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베이스(20)가 이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탄성걸림부(26)의 최하단의 철(凸)과 이탈방지턱(14)이 서로 맞닿아 맞물리게 될 경우 베이스(20)의 수직상향 이동은 정지되어 도 2와 같이 베이스(20)의 이동거리만큼 수납공간부(16)가 다시 축소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커버(30)를 닫고 함체(10)의 체결핀(12a)에 결합된 체결부재(40)의 걸림홈(40b)을 커버(30)의 걸림핀(32a)에 걸어줌으로써 베이스(20)의 수납공간부(24)가 덮어지게 된다.
한편, 비교 예로서 종래의 기술, 즉 다시 말해서 본체와 베이스 또는 본체와 커버가 이루는 상기 제1, 제2 수용부의 공간이 한정되어 많은 량의 서류 또는 부피가 비교적 큰 책이나 노트 또는 그 밖에 부피 큰 물건들을 선택적으로 수납할 수 없는 것과는 달리, 본 고안은 함체에 형성된 이탈방지턱과 베이스에 형성된 탄성걸림수단이 맞물려 결합되어진 상태에서 수납공간부를 확장 또는 축소하고자 베이스를 눌러주는 것에 의해 그 베이스가 함체를 중심으로 수직하향 또는 수직상향 이동함으로써 베이스의 수납공간부가 확장 또는 축소되어짐을 알 수가 있다.
이 결과에서 본 고안에 의하면, 책이나 노트, 필기구 또는 많은 량의 서류 또는 그 외의 수납하고자 하는 물건 등의 수납 량 및 부피에 따라 수납공간을 확장 또는 축소하여 간편하게 수납 휴대할 수 있고, 또한 수납공간부의 확장 또는 축소 때 베이스가 함체에 대해 유동 없이 안정되게 이동할 뿐만 아니라 미관의 산뜻함이 연출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본 고안의 공간확장이 가능한 수납박스에 의하면, 함체의 이탈방지턱과 베이스의 탄성걸림수단이 서로 맞물려 결합되어진 상태에서 수납공간부를 확장 또는 축소하고자 베이스를 눌러주게 것에 의해 그 베이스가 함체를 중심으로 수직하향 또는 수직상향 이동하여 수납공간을 확장 또는 축소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책이나 노트 또는 많은 량의 서류 또는 그 외의 부피가 큰 물건 등을 간편하게 수납하여 휴대할 수 있고, 또 베이스가 함체에 대해 유동 없이 안정되게 이동할 뿐만 아니라 미관의 산뜻함이 연출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1) 외벽에 의해 이동공간부를 가지며 상기 외벽의 하단부가 변을 따라 내향으로 절곡되어 얻어진 이탈방지턱을 가지는 함체;
    (2) 벽에 의해 넓은 면적의 수납공간부를 가지며 마주 바라보는 상기 벽에 탄성걸림수단이 외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이탈방지턱에 탄성력으로 맞물려 결합되며 상기 수납공간부의 압입력에 의해 상기 함체의 외벽과 접촉하면서 상기 이동공간부를 중심으로 단계적으로 수직 이동하는 베이스; 및
    (3) 상기 함체에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납공간부를 덮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확장이 가능한 수납박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걸림수단은 상기 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그 측단면이 상기 벽의 폭방향에 대해 다단으로 형성되어진 요철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확장이 가능한 수납박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요철들은 상기 벽의 하단부에서 상단부까지 연이어져 연속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확장이 가능한 수납박스.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요철들은 경사각이 완만한 삼각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확장이 가능한 수납박스.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요철들 중 상기 최상단의 철(凸)과 최하단의 철(凸)은 상기 이탈방지턱과 맞물려 상기 베이스가 상기 함체의 이동공간부를 벗어나지 못하도록 상기 외벽에 대해 직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확장이 가능한 수납박스.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수직 이동거리는 상기 탄성걸림수단의 폭과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확장이 가능한 수납박스.
KR20-2004-0001000U 2004-01-14 2004-01-14 공간확장이 가능한 수납박스 KR2003462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000U KR200346259Y1 (ko) 2004-01-14 2004-01-14 공간확장이 가능한 수납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000U KR200346259Y1 (ko) 2004-01-14 2004-01-14 공간확장이 가능한 수납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6259Y1 true KR200346259Y1 (ko) 2004-03-31

Family

ID=49344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1000U KR200346259Y1 (ko) 2004-01-14 2004-01-14 공간확장이 가능한 수납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625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018B1 (ko) * 2013-06-27 2015-01-28 박승희 보냉 보온 기능을 갖는 포장상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018B1 (ko) * 2013-06-27 2015-01-28 박승희 보냉 보온 기능을 갖는 포장상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37774B2 (en) Clipboard
US7644857B2 (en) Expandable file folder with separate cases
US9744794B2 (en) File folder
JP6780192B2 (ja) 自立型収納具
MXPA01009382A (es) Carpeta con bolsa exterior expansible.
US7252452B2 (en) Binder with front pocket
US20060231116A1 (en) Cosmetic case
US20050207827A1 (en) Binder with multi-access pocket
KR200346259Y1 (ko) 공간확장이 가능한 수납박스
US5350249A (en) Binder pocket
KR200437105Y1 (ko) 멀티형 파일케이스
WO1995023068A1 (fr) Dossier
CN220298163U (zh) 折叠式文件夹
JP3065984U (ja) 書類ホルダ―
KR200459150Y1 (ko) 다용도 서류가방
KR200442532Y1 (ko) 펜꽂이로 변형가능한 필기구케이스
CN210696369U (zh) 一种带镜子的收纳盒
KR20110004950U (ko) 필통을 겸한 필기구꽂이
JP3124900U (ja) バッグ
JP4716088B2 (ja) バッグ
GB2435012A (en) Expandable file folder with two box-shaped cases.
JP3205000U (ja) 携帯用硬貨収納具
KR200336119Y1 (ko) 종방향 절첩이 가능한 필통
AU2007100729A4 (en) Storage kit
KR20180075142A (ko) 수납함을 포함하는 접이식 달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