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4950U - 필통을 겸한 필기구꽂이 - Google Patents

필통을 겸한 필기구꽂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4950U
KR20110004950U KR2020090014698U KR20090014698U KR20110004950U KR 20110004950 U KR20110004950 U KR 20110004950U KR 2020090014698 U KR2020090014698 U KR 2020090014698U KR 20090014698 U KR20090014698 U KR 20090014698U KR 20110004950 U KR20110004950 U KR 2011000495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ft body
opening
writing instrument
side wall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46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성원
Original Assignee
지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성원 filed Critical 지성원
Priority to KR20200900146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4950U/ko
Publication of KR201100049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95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34Pencil boxes; Pencil etui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23Arrangement of fasteners with elongated profiles fastened by sli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06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outside compartm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9/00Purses, Luggage or bags convertible into objects for other use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필기구꽂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필통 및 필기구의 기능을 겸용한 구조로 구성되어 그 휴대의 간편함과 더불어 필요시 필통으로 간편하게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필통을 겸한 필기구꽂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필통 겸용 필기구꽂이는, 측벽부 및 바닥부를 가지고, 측벽부의 전방에 상하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된 연질몸체; 상기 연질몸체의 측벽부 하부를 감싸도록 부착되고, 수직방향으로 직립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가진 경질 재질로 구성되는 보강체; 및 상기 연결몸체의 절개부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질몸체는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공간은 개폐부에 의해 개폐되고, 상기 연질몸체의 상부는 상기 보강체에 대해 반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필기구꽂이, 필기구, 필통, 연질몸체, 보강체, 수납공간

Description

필통을 겸한 필기구꽂이{PENCIL STAND WITHE PENCIL CASE }
본 고안은 필기구꽂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필통 및 필기구의 기능을 겸용한 구조로 구성되어 그 휴대의 간편함과 더불어 필요시 필통으로 간편하게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필통을 겸한 필기구꽂이에 관한 것이다.
필기구꽂이는 책상 위에 배치되어 연필, 볼펜, 샤프 등과 같은 필기구를 꽂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도구이다. 이러한 필기구꽂이는 주로 장식적 효과를 갖는 필기구 꽂이의 경우는 고가인 관계로 일반인들이 많이 이용하는 은행등과 같은 장소에 비치하여 일반인들이 사용하도록 하기에는 다소 부담이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저비용으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필기구꽂이에 대한 필요가 있었으며, 그 결과 합성수지로 제작되어 탁자 등의 상면에 점착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켜 놓은 상태에서 사용될 수 있는 필기구꽂이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필기구꽂이는 단순히 필기구꽂이의 기능만을 수행할 뿐이고, 그외의 필통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여 그 사용범위가 좁은 단점이 있었고, 또한 그 휴대 내지 이동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필통 및 필기구꽂이의 기능을 겸용한 구조로 구성함에 따라 그 휴대가 용이함과 더불어 필요 시에 필통으로의 전환이 용이하여 그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필통 겸용 필기구꽂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필통 겸용 필기구꽂이는,
측벽부 및 바닥부를 가지고, 측벽부의 전방에 상하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된 연질몸체;
상기 연질몸체의 측벽부 하부를 감싸도록 부착되고, 수직방향으로 직립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가진 경질 재질로 구성되는 보강체; 및
상기 연결몸체의 절개부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질몸체는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공간은 개폐부에 의해 개폐되고, 상기 연질몸체의 상부는 상기 보강체에 대해 반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질몸체의 절개부 하부측에는 칸막이가 가로질러 연결되며, 상기 칸막이는 그 접힘 및 전개가 용이한 연질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칸막이에는 하나 이상의 보조수납포켓이 형성되며, 상기 보조수납포켓의 전면에는 투명창이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질몸체의 측벽부의 내측면 상부에는 하나 이상의 보조수납포켓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수납포켓의 개구에는 개폐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필기구꽂이 및 필통의 기능을 겸용한 구조로 구성됨에 따라 그 휴대가 용이함과 더불어 필요 시에 필통으로의 전환이 용이하여 그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장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필통은 연질몸체(10) 및 연질몸체(10)의 하부 측면을 감싸도록 부착된 보강체(20)를 포함한다.
연질몸체(10)는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부(11) 및 바닥부(12)를 가지고, 측벽부(11) 및 바닥부(12)는 직물지, 가죽, 플라스틱 등과 같은 연질 재질로 구성되며, 이에 연질몸체(10)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그 전개 및 접힘이 용이하게 구성된다. 연질몸체(10)는 그 내부에 수납공간(33)을 가지고, 이 수납공간(33)은 측벽부(11) 및 바닥부(12)에 의해 한정된다.
연질몸체(10)의 측벽부(11)는 그 전방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절개되고, 연질몸체(10)의 절개된 부분에는 개폐부(35)가 설치되며, 이 개폐부(35)에 의해 연질몸체(10)의 수납공간(33)이 개폐되고, 개폐부(35)는 슬라이더파스너(지퍼), 벨크로파스너, 스냅파스너 등과 같이 다양한 개폐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보강체(20)는 연질몸체(10)의 측벽부(11) 하부면을 감싸도록 재봉 등을 통해 부착되고, 특히 보강체(20)는 수직방향으로 직립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가진 경질의 직물지, 가죽, 플라스틱 등으로 구성된다. 이에, 본 고안은 보강체(20)에 의해 책상 위에 올려 놓을 경우 수직방향으로 견고하게 직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강체(20)가 연질몸체(10)의 측벽부(11) 하부면에 배치된 구조로 인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질몸체(10)의 상부측은 보강체(20)의 상단에서 접혀져 보강체(20)의 후면까지 반전될 수 있다.
그리고, 연질몸체(10)의 측벽부(11)의 절개된 부분 하부에는 칸막이(13)가 가로질러 제봉 등에 의해 연결된다. 칸막이(13)는 그 접힘 및 전개가 용이한 직물지, 가죽 등의 연질 재질로 구성되고, 칸막이(13)에는 하나 이상의 보조수납포켓(13a)이 형성되며, 이 보조수납포켓(13a)의 전면에는 투명창(13b)이 형성됨으로써 시간표, 메모지 등의 수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보조수납포켓(13a)의 사이즈가 클 경우에는 휴대폰 등을 수납할 수도 있다.
또한, 연질몸체(10)의 측벽부(11)의 내측면 상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보조수납포켓(21)이 형성될 수 있고, 보조수납포켓(21)의 개구부에는 벨크로파스너, 스냅파스너 등과 같은 보조개폐수단(25)이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을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필통의 기능으로 이용하고자 할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35)를 개방한 상태에서 수납공간(33) 내에 필기구 등을 수납할 수 있고, 그 후에 도 1 및 도 3과 같이 개폐부(35)를 폐쇄함으로써 연질몸체(10)의 수납공간(33)은 외부에 대해 밀폐된다.
그리고, 필기구꽂이의 기능으로 이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35)를 상부까지 완전히 개방한 후에 연질몸체(10)의 측벽부(11) 상부를 보강체(20)의 상단에서 접어 반전시키고, 이에 연질몸체(10)의 상부 내측면이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보강체(20)는 경질 재질로 구성됨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견고하게 직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에 수납공간(33)에 다양한 필기구(17)를 꽂아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은 연질몸체(10)의 측벽부(11) 상부를 보강체(20)의 후방측으로 반전시킴에 따라 필통에서 필기구꽂이로 간편하게 전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기구 꽂이로 그 기능이 전환된 경우, 수납공간(33)에 다양한 필기구(17)를 꽂아 보관할 수 있으며, 그외에도 칸막이(13)의 보조수납포켓(13a), 측벽부(11) 내측면의 보조수납포켓(21) 등에 메모지, 지우개 등과 같이 다양한 소형물품을 별도로 수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필기구 꽂이로서의 사용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통 겸용 필기구꽂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필통 겸용 필기구꽂이에서 연질몸체의 상부가 보강체의 상단에서 접혀져 반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개폐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연질몸체 11: 측벽부
12: 바닥부 13: 칸막이
20: 보강체 33: 수납공간
35: 개폐부

Claims (3)

  1. 측벽부 및 바닥부를 가지고, 측벽부의 전방에 상하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된 연질몸체;
    상기 연질몸체의 측벽부 하부를 감싸도록 부착되고, 수직방향으로 직립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가진 경질 재질로 구성된 보강체; 및
    상기 연결몸체의 절개부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질몸체는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공간은 개폐부에 의해 개폐되고, 상기 연질몸체의 상부는 상기 보강체에 대해 반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통 겸용 필기구꽂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몸체의 절개부 하부측에는 칸막이가 가로질러 연결되며, 상기 칸막이는 그 접힘 및 전개가 용이한 연질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칸막이에는 하나 이상의 보조수납포켓이 형성되며, 상기 보조수납포켓의 전면에는 투명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통 겸용 필기구꽂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몸체의 측벽부의 내측면 상부에는 하나 이상의 보조수납포켓이 형 성되고, 상기 보조수납포켓의 개구에는 개폐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통 겸용 필기구꽂이.
KR2020090014698U 2009-11-12 2009-11-12 필통을 겸한 필기구꽂이 KR2011000495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698U KR20110004950U (ko) 2009-11-12 2009-11-12 필통을 겸한 필기구꽂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698U KR20110004950U (ko) 2009-11-12 2009-11-12 필통을 겸한 필기구꽂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950U true KR20110004950U (ko) 2011-05-18

Family

ID=49294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4698U KR20110004950U (ko) 2009-11-12 2009-11-12 필통을 겸한 필기구꽂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495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4297A (ko) * 2015-09-18 2017-03-28 고쿠요 가부시키가이샤 소품류의 수납 케이스
JP2018064988A (ja) * 2017-12-26 2018-04-26 コクヨ株式会社 小物類の収納ケース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4297A (ko) * 2015-09-18 2017-03-28 고쿠요 가부시키가이샤 소품류의 수납 케이스
CN106539252A (zh) * 2015-09-18 2017-03-29 囯誉株式会社 小物件收纳具
JP2018064988A (ja) * 2017-12-26 2018-04-26 コクヨ株式会社 小物類の収納ケー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45251A (en) Binder or portfolio
KR20110004950U (ko) 필통을 겸한 필기구꽂이
JP3181115U (ja) ファスナー付きノートケース
KR200454960Y1 (ko) 샤프심 케이스 수납함이 구비된 필통
KR100944452B1 (ko) 필기구 홀더 및 필기구 홀더가 구비된 서적
KR200468000Y1 (ko) 다기능 필통
KR200183414Y1 (ko) 다용도 봉제필통
KR20110003548U (ko) 필통
JP3224722U (ja) 筆記具ケース
JP2020036969A (ja) ペンケース
JP7354656B2 (ja) 小物類収納ケース
KR200389578Y1 (ko) 휴대용 필통
KR20080001263U (ko) 완전개폐식 다용도 수납 에어필통
JP3150101U (ja) 折り畳み筆記具ケース
JP3153094U (ja) 付箋収納ケース付きペン
KR101253287B1 (ko) 변형 필통
KR200240436Y1 (ko) 필통이 부설된 서류케이스
JP7447405B2 (ja) 小物類収納ケース
JP3121185U (ja) 小物入れ
KR200440908Y1 (ko) 필기구 수납 공간을 갖는 파일박스
KR200460616Y1 (ko) 필통
CN206653778U (zh) 一种多功能书套
KR200311766Y1 (ko) 봉제필통
JP3065984U (ja) 書類ホルダ―
KR200446796Y1 (ko) 가변형 필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