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3287B1 - 변형 필통 - Google Patents

변형 필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3287B1
KR101253287B1 KR1020110093045A KR20110093045A KR101253287B1 KR 101253287 B1 KR101253287 B1 KR 101253287B1 KR 1020110093045 A KR1020110093045 A KR 1020110093045A KR 20110093045 A KR20110093045 A KR 20110093045A KR 101253287 B1 KR101253287 B1 KR 101253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opening
cover
horizontal direction
pencil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3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9648A (ko
Inventor
이성원
Original Assignee
이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원 filed Critical 이성원
Priority to KR1020110093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3287B1/ko
Publication of KR20130029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9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3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3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34Pencil boxes; Pencil etui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5Hi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incompressible or rigid rod-shaped or tubular articles
    • B65D85/2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incompressible or rigid rod-shaped or tubular articles for pencils or p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연필꽂이로 변형이 가능한 변형 필통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 필통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우측 측면에 제1개구가 형성된 제1통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좌측 측면에 제2개구가 형성된 제2통과, 상기 제1통의 제1개구의 하측과 상기 제2통의 제2개구의 하측을 결합시키는 힌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통의 제1개구와 상기 제2통의 제2개구가 밀착된 제1상태에서 상기 제1통의 제1개구와 상기 제2통의 제2개구가 상측을 향하도록, 상기 제1통 및 상기 제2통이 수직으로 직립되는 제2상태로 변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변형 필통{Pencil Case transforming its shape}
본 발명은 필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변형이 가능한 필통에 관련된 것이다.
필기구의 휴대를 위한 필통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필통은 필기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덮개나 지퍼 등을 구비하는데, 이러한 덮개 또는 지퍼 등으로 인해서 필기구를 넣고 빼는 것이 불편한 문제가 있다. 또한, 필통은 필기구를 수평방향으로 담아두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 또한 필기구를 손쉽게 꺼내 쓰는데 불편함을 초래하기도 한다.
한편, 필기구를 담아두고 빼는 과정을 수월하게 하기 위해서 필기구를 세워서 보관하는 연필꽂이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연필꽂이는 별도의 덮개를 구비하지 않고 필기구가 세워진 상태에서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보관하기 때문에 필기구를 넣고 빼는 것이 편한 장점을 가지나, 필통과 같이 필기구를 담아 이동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처럼 필통과 연필꽂이는 장점 및 단점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별도로 사용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즉, 연필꽂이는 책상에 놓아둔 채로 사용하고, 필통은 연필꽂이와는 별도로, 가방 등에 넣어서 휴대하며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연필꽂이로도 변형이 가능한 변형 필통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 필통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우측 측면에 제1개구가 형성된 제1통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좌측 측면에 제2개구가 형성된 제2통과, 상기 제1통의 제1개구의 하측과 상기 제2통의 제2개구의 하측을 결합시키는 힌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통의 제1개구와 상기 제2통의 제2개구가 밀착된 제1상태에서 상기 제1통의 제1개구와 상기 제2통의 제2개구가 상측을 향하도록, 상기 제1통 및 상기 제2통이 수직으로 직립되는 제2상태로 변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 필통은, 상황에 따라서 필통 또는 연필꽂이로 변형하여 사용이 가능하므로, 필통 및 연필꽂이의 장점을 동시에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 필통은, 필기구를 담아서 이동할 때는 필통의 형태로 사용되다가, 책상에 두고 사용할 경우에는 연필꽂이로 변형됨으로써 여러 필기구를 넣고 빼는데 높은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 필통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내지 도 6은 도 1의 변형 필통의 일부 작동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 필통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 필통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변형 필통(1)은 제1통(100), 제2통(200), 힌지부(150), 슬라이딩 셔터(210), 제1덮개(310), 제2덮개(320), 제3덮개(330), 수저통(410), 거울(420), 시간표(430), 메모지 디스펜서(440), 연필깎이(450), 서랍(460), 칸막이(470)를 구비한다.
제1통(100)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고 수평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우측 측면에는 제1개구(102)가 형성되어 있다. 제1통(100)은 수평 방향(x축 방향)의 길이(L)와 폭(W), 수직 방향(z축 방향)의 높이(H)를 가지는데, 제1통(100)의 수직 방향(z축 방향)의 높이(H)는 수평 방향(x축 방향)의 길이(L)의 1/2배에 해당된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변형 필통(1)의 제1통(100)이 연장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2를 참조하면 제1통(100)은 본체(110)와 그 본체에 수평 방향(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연장부(120)를 구비한다. 제1통(100)의 본체(110)와 연장부(120)는 그 내부 공간이 연통되어 있어서 연장부(120)가 본체(110)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돌출되면 제1통(100)의 내부 공간의 크기는 더욱 커지게 된다. 따라서 제1통(100)은 길이가 긴 필기구 또는 자 등의 물건도 문제없이 수용할 수 있다.
제2통(200)은 제1통(100)과 동일한 형상의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제1통(100)의 우측에 배치된다. 즉 제2통(200)의 수평 방향(x축 방향)의 길이 및 수직 방향(z축 방향)의 높이는 제1통(100)의 그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다. 제2통(200)은 제1통(100)에 제1개구(102)에 인접한 측면, 즉 좌측 측면에 제2개구(202)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2개구(202)는 제1통(100)의 제1개구(102)와 연결될 수 있다. 제2통(200)의 상측면에는 제3개구(204)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2통(200)의 상측면의 개구는 제2통(200)의 제2개구(202)와 연결된다.
힌지부(150)는 제1통(100)의 제1개구(102)의 하측과 제2통(200)의 제2개구(202)의 하측을 힌지 결합시킨다. 힌지부(150)는 일측이 제1통(100)에 샤프트로 결합되며, 타측이 제2통(200)에 샤프트로 결합되어 양측이 제1통(100)과 제2통(2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힌지부(150)가 제1통(100)의 제1개구(102)의 하측과 제2통(200)의 제2개구(202)의 하측을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써, 제1통(100)의 제1개구(102)와 제2통(200)의 제2개구(202) 사이의 각도는 0 도 내지 180 도로 변경이 가능하다.
슬라이딩 셔터(210)는 제2통(200)의 제3개구(204)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제3개구(204)를 개폐할 수 있다. 슬라이딩 셔터(210)는 굽어질 수 있는 유연한 소재를 구비하며, 제2통(200)의 내측면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셔터 가이드 홈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제2통(200)의 제3개구(204)를 개폐할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변형 필통(1)의 제1통(100)과 제2통(200)을 꺾어주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필기구(P)가 제1통(100)의 내부 공간과 제2통(200)의 내부 공간에 걸쳐서 수납되어 있는 경우, 제1통(100)과 제2통(200)을 꺾어줄 때 필기구(P)가 걸릴 수 있는데, 도 3과 같이 제2통(200)의 슬라이딩 셔터(210)를 내려 제2통(200)의 제3개구(204)를 개방시키면, 필기구(P)가 제1통(100) 및 제2통(200)에 걸리는 일 없이 제1통(100) 및 제2통(200)은 손쉽게 꺾여질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변형 필통(1)의 제1통(100)과 제2통(200)을 완전히 꺾어서 직립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통(100)의 좌측 측면과 제2통(200)의 우측 측면은 바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제1통(100)의 제1개구(102)와 제2통(200)의 제2개구(202)는 상측을 향하게 된다. 따라서 제1통(100)과 제2통(200)이 직립하게 되면 본 실시예의 변형 필통(1)은 연필꽂이로 사용될 수 있다.
제1덮개(310)는 제1통(100)의 좌측 측면의 상단부에 힌지 결합되며, 제1통(100)의 상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제1덮개(310)와 제1통(100)이 힌지 결합되도록, 제1덮개(310)와 제1통(100) 사이에는, 일측이 제1덮개(310)에 샤프트로 결합되고 타측이 제1통(100)에 샤프트로 결합되는 힌지부(315)가 배치된다. 제1덮개(310)의 수평 방향의 길이(L)는 제1통(100)의 수평 방향의 길이(L)와 동일하며, 그 폭(W)도 제1통(100)의 폭과 동일하다. 즉, 제1덮개(310)는 제1통(100)의 상측면과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제2덮개(320)는 제1덮개(310)의 단부에 힌지 결합되며, 제2통(200)의 상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제2덮개(320)와 제1덮개(310)가 힌지 결합되도록, 제2덮개(320)와 제2덮개(320) 사이에도 힌지부(325)가 배치된다. 제2덮개(320)의 수평 방향의 길이(L)는 제2통(200)의 수평 방향의 길이(L)와 동일하며, 그 폭도 제2통(200)의 폭(W)과 동일하다. 즉, 제2덮개(320)는 실질적으로 제1덮개(310)와도 수평 방향의 길이 및 폭이 동일하다. 제2덮개(320)도 제2통(200)의 상측면과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제3덮개(330)는 제2덮개(320)의 단부에 힌지 결합되며, 제2통(200)에 우측 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제3덮개(330)와 제2덮개(320)가 힌지 결합되도록, 제3덮개(330)와 제2덮개(320) 사이에도 힌지부(335)가 배치된다. 제3덮개(330)의 폭은 제2통(200)의 폭(W)과 동일하며, 수평 방향의 길이(H)는 제2덮개(320)의 길이(L)의 1/2, 즉 제2통(200)의 높이(H)와 동일하다. 즉, 제3덮개(330)는 제2통(200)의 우측 측면과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이와 같이, 제1 내지 제3덮개(310,320,330)는 그 길이 비가 2:2:1이 되고, 그 각각은 제1통(100)의 상측면, 제2통(200)의 상측면, 제2통(200)의 우측 측면과 크기 및 형상이 동일하여 제1통(100)의 상측면, 제2통(200)의 상측면, 제2통(200)의 우측 측면을 꼭 맞게 덮어줄 수 있다.
제1덮개(310) 내지 제3덮개(330)의 어느 일면 또는 양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실리콘 패드가 배치될 수도 있다.
수저통(410)은 제1통(100)의 내부에 끼워질 수 있는 것으로서, 내부에 수저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한다. 수저통(410)은 내부 공간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덮개(412)를 구비한다. 수저통(410)의 일측에는 자석(414)이 배치되는데, 이는 제1통(100)의 내부에 배치된 자성체(416)와 자력에 의해서 달라붙게 된다. 즉, 수저통(410)이 제1통(100)에 삽입되면 수저통(410)은 자력에 의해서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저통(410)에 자석(414)이 배치되고 제1통(100)의 내부에 자성체(416)가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수저통(410)에 자성체가 배치되고 제1통(100)에 자석이 배치될 수도 있고, 수저통(410)과 제1통(100) 둘 다에 서로 인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자석이 배치될 수 있다.
거울(420)은 제3덮개(330)의 일면에 배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거울(420)을 사용하기 위하여 별도의 거울(420)을 가지고 다닐 필요가 없다.
시간표(430)는 제2덮개(320)의 일면에 배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시간표(430)를 용이하게 열람할 수 있다. 시간표(430)를 수납하기 위하여 제2덮개(320)의 일면에는 투명 패널이 배치될 수도 있다.
메모지 디스펜서(440)는 제1통(100)의 연장부(120)에 배치되며, 메모지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과 그 공간에 수납된 메모지를 뺄 수 있도록 개구를 구비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별도의 메모지를 가지고 다닐 필요가 없다.
연필깎이(450)는 제2통(200)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제2통(200)에 슬라이딩 결합된다. 연필깎이(450)의 일측에는 돌기(452)가 형성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그 돌기를 밀어 올림으로써 연필깎이(450)를 용이하게 제2통(200)에서 분리시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별도의 연필깎이를 가지고 다닐 필요가 없다.
서랍(460)은 제2통(200)에 결합되며, 제2통(200)으로부터 돌출이 가능하다. 서랍(460)은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고 있어서, 클립, 지우개 등과 같은 물품을 보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특정 물품을 필기구(P)와는 별도로 수납함으로써 깔끔하게 보관이 가능하다.
칸막이(470)는 제2통(200)의 내부에 배치되며, 일측이 제2통(200)의 내부 하측면에 힌지로 결합된다. 따라서 칸막이(470)는 제2통(200)의 내부 하측면에 밀착될 수도 있고, 제2통(200)의 내부 하측면으로부터 직립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칸막이(470)가 직립 시에 안정적으로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칸막이(470)는 자성체를 구비하고, 제2통(200)의 내주면에서 칸막이(470)의 직립 위치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자석이 배치될 수도 있다. 칸막이(470)가 직립되면 칸막이(470)는 제2통(200)의 내부 공간을 분할할 수 있다. 칸막이(270)가 제2통(200) 내부의 공간을 분할하면, 그 내부에 수납되는 필기구(P)는 이동 범위가 제한되므로 파손의 우려가 감소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변형 필통(1)의 일부 작동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변형 필통(1)의 제1통(100)의 제1개구(102)와 제2통(200)의 제2개구(202)가 서로 밀착된 제1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제1상태는 본 실시예의 변형 필통(1)이 필통으로써 기능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제1 내지 제3덮개(310,320,330)는 제1통(100)의 상측면, 제2통(200)의 상측면, 제2통(200)의 우측 측면을 차례로 덮고 있다. 변형 필통(1)은 제1상태에서 필기구(P)가 수납될 수 있을 정도로 긴 내부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필기구(P)를 수용하여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책상에서 본 실시예의 변형 필통(1)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변형 필통(1)을 연필꽂이로 변형시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6은 사용자가 본 실시예에 따른 변형 필통(1)을 연필꽂이로 변형시킨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1통(100) 및 제2통(200)을 꺾어 수직으로 직립시킴으로써 본 실시예의 변형 필통(1)을 제2상태, 즉 연필꽂이로 변형된 상태로 만들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변형 필통(1)이 제2상태로 변형되면, 제1통(100)의 제1개구(102) 및 제2통(200)의 제2개구(202)가 상측을 향하게 되며, 그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필기구(P)도 수직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변형 필통(1)이 제2상태로 변형되면, 그 안에 수납되어 있던 필기구(P)는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필기구(P)를 집거나, 필기구(P)를 제1통(100) 또는 제2통(200)에 넣을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여러 가지 필기구(P)를 교환적으로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변형 필통(1)을 제2상태로 두어 사용하는 것이 매우 편리하다.
본 실시예의 변형 필통(1)이 제2상태에 있을 경우, 제1덮개(310) 및 제2덮개(3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통(100)과 제2통(200)의 하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제1덮개(310)의 수평 방향의 길이(L)는 제1통(100) 및 제2통(200)의 높이(H)의 2배이므로, 연필꽂이의 바닥부에 해당되는 제1통(100)의 좌측 측면과 제2통(200)의 우측 측면과 딱 맞게 된다. 제2덮개(320)의 상측에는 책(B)이 놓여질 수도 있다. 제2덮개(320)에 책(B)이 놓여지는 경우 책(B)은 제2통(200)에 의해서 수평 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되므로, 안정적으로 서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3덮개(330)가 책(B)의 측면에 기대어지면, 책(B)은 더욱 안정적으로 서 있을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변형 필통(1)은 연필꽂이로 기능하는 제2상태에서 책꽂이의 기능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2덮개(320) 위에 책(B)을 둘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제2덮개(320)를 직립시키고 제3덮개(330)가 제2통(200)의 제2개구(202)를 덮어주도록 배치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 따른 변형 필통(1)은 상황에 따라서 필통 또는 연필꽂이로 변형하여 사용이 가능하므로, 필통 및 연필꽂이의 장점을 동시에 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변형 필통(1)은, 필기구(P)를 담아서 이동할 때는 필통의 형태로 사용되다가, 책상에 두고 사용할 경우에는 연필꽂이로 변형됨으로써 여러 필기구(P)를 넣고 빼는데 높은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 필통(1)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변형 필통(1)의 제1통(100) 및 제2통(200)은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통(100) 및 제2통(200)은 누워있는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변형 필통(1)이 제1 내지 제3덮개(310,320,330)를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변형 필통(1)은 제1 내지 제3덮개를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언급된 '동일'이라는 표현이나 수치적인 표현은 고도의 정확성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주 내라면 어느 정도의 오차는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 변형 필통
100 ... 제1통
150 ... 힌지부
200 ... 제2통
310 ... 제1덮개
320 ... 제2덮개
330 ... 제3덮개

Claims (10)

  1.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우측 측면에 제1개구가 형성된 제1통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좌측 측면에 제2개구가 형성된 제2통과,
    상기 제1통의 제1개구의 하측과 상기 제2통의 제2개구의 하측을 결합시키는 힌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통의 제1개구와 상기 제2통의 제2개구가 밀착된 제1상태에서, 상기 제1통의 제1개구와 상기 제2통의 제2개구가 상측을 향하도록, 상기 제1통 및 상기 제2통이 수직으로 직립되는 제2상태로 변경이 가능하며,
    상기 제1통과 상기 제2통은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통과 상기 제2통의 수평 방향의 길이는 동일하며,
    상기 제1통과 상기 제2통의 높이는 수평 방향의 길이의 1/2이며,
    상기 제1통의 좌측 측면의 상단부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1통의 상측면에 대응되는 제1덮개와,
    상기 제1덮개의 단부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2통의 상측면에 대응되는 제2덮개와,
    상기 제2덮개의 단부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2통의 우측 측면에 대응되는 제3덮개를 구비하는 변형 필통.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덮개, 제2덮개 및 제3덮개는 각각,
    상기 제1통의 수평 방향의 길이, 상기 제2통의 수평 방향의 길이, 상기 제2통의 높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그 길이 비가 2: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필통.
  7. 삭제
  8. 삭제
  9. 수평 방향의 길이와 높이의 비가 2:1인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우측 측면에 제1개구가 형성된 제1통과,
    상기 제1통과 동일한 크기의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좌측 측면에 제2개구가 형성되며, 상측면에는 상기 제2개구에 연결된 제3개구가 형성된 제2통과,
    상기 제1통의 제1개구와 상기 제2통의 제2개구가 밀착된 제1상태에서, 상기 제1개구와 상기 제2개구가 상측을 향하면서 상기 제1통 및 상기 제2통이 수직으로 직립되는 제2상태로 변경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통의 제1개구의 하측과 상기 제2통의 제2개구의 하측을 결합시키는 힌지부와,
    상기 제1통의 좌측 측면의 상단부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1통의 상측면에 대응되는 제1덮개와,
    상기 제1덮개의 단부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2통의 상측면에 대응되는 제2덮개와,
    상기 제2덮개의 단부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2통의 우측면에 대응되는 제3덮개와,
    상기 제3개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슬라이딩 셔터를 구비하는 변형 필통.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은,
    본체와, 상기 본체에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연장부를 구비하며,
    내부에 수저를 수납할 수 있으며, 상기 제1통의 내측에 삽입 또는 이탈이 가능한 수저통과,
    상기 수저통이 상기 제1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저통과 상기 제1통이 자력에 의해서 상호 고정되도록, 상기 제1통의 및 상기 수저통 중 어느 일측에 배치되는 자석과, 상기 제1통의 및 상기 수저통 중 다른 일측에 배치되는 자석 또는 자성체와,
    상기 제2통의 내부에 배치되며, 일측이 상기 제2통의 내주면에 힌지 결합되는 칸막이와,
    상기 제2덮개의 일 측면에 배치되는 시간표와,
    상기 제3덮개의 일 측면에 배치되는 거울과,
    상기 제2통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연필깎이와,
    상기 제1통에 배치되며, 메모지를 수납하는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메모지를 뽑을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된 메모지 디스펜서와,
    상기 제2통에 돌출가능하게 슬라이딩 결합되며, 물건을 담을 수 있은 공간을 구비하는 서랍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필통.
KR1020110093045A 2011-09-15 2011-09-15 변형 필통 KR101253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3045A KR101253287B1 (ko) 2011-09-15 2011-09-15 변형 필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3045A KR101253287B1 (ko) 2011-09-15 2011-09-15 변형 필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9648A KR20130029648A (ko) 2013-03-25
KR101253287B1 true KR101253287B1 (ko) 2013-04-15

Family

ID=48179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3045A KR101253287B1 (ko) 2011-09-15 2011-09-15 변형 필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32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6327B1 (ko) * 2019-12-23 2021-04-05 (주) 서현피엠에스 케이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8053U (ko) * 1996-11-20 1998-08-05 김보순 필기구 꽂이대를 겸한 필통
KR19980032441U (ko) * 1996-12-03 1998-09-05 김강철 펜꽃이로 사용될 수 있는 필통
KR200442704Y1 (ko) * 2007-08-11 2008-12-02 천대성 메모용 흑판이 구비된 필통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8053U (ko) * 1996-11-20 1998-08-05 김보순 필기구 꽂이대를 겸한 필통
KR19980032441U (ko) * 1996-12-03 1998-09-05 김강철 펜꽃이로 사용될 수 있는 필통
KR200442704Y1 (ko) * 2007-08-11 2008-12-02 천대성 메모용 흑판이 구비된 필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6327B1 (ko) * 2019-12-23 2021-04-05 (주) 서현피엠에스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9648A (ko) 2013-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650648B (zh) 自立型收纳工具
WO2018020968A1 (ja) 筆記具ケース
KR101253287B1 (ko) 변형 필통
JP6178103B2 (ja) 画材箱
KR200490791Y1 (ko) 펜 보관용 휴대용 키트
JP3150101U (ja) 折り畳み筆記具ケース
JP6224875B1 (ja) 筆記具ケース
CN201146944Y (zh) 多功能铅笔盒
KR200442532Y1 (ko) 펜꽂이로 변형가능한 필기구케이스
JP7354656B2 (ja) 小物類収納ケース
KR100665612B1 (ko) 독서대를 갖는 책상용 필기구 수납함
KR20110004950U (ko) 필통을 겸한 필기구꽂이
JP7447405B2 (ja) 小物類収納ケース
KR20120048159A (ko) 책가방용 책꽂이
JP3224722U (ja) 筆記具ケース
KR200183414Y1 (ko) 다용도 봉제필통
JP5465961B2 (ja) 化粧料容器
KR200401948Y1 (ko) 독서대를 갖는 책상용 필기구 수납함
KR200313259Y1 (ko) 휴대용 색연필꽂이 겸용 색연필 케이스
KR101298537B1 (ko) 필기구 수납수단
KR101084050B1 (ko) 펜 케이스를 구비한 복합장
KR200441541Y1 (ko) 펜케이스
KR20150128235A (ko) 필통
KR200280741Y1 (ko) 자동차의 필기용구 보관케이스
KR960008634Y1 (ko) 분리식 필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