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8053U - 필기구 꽂이대를 겸한 필통 - Google Patents

필기구 꽂이대를 겸한 필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8053U
KR19980028053U KR2019960041037U KR19960041037U KR19980028053U KR 19980028053 U KR19980028053 U KR 19980028053U KR 2019960041037 U KR2019960041037 U KR 2019960041037U KR 19960041037 U KR19960041037 U KR 19960041037U KR 19980028053 U KR19980028053 U KR 1998002805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ting instrument
outer cylinder
pencil case
inner cylinder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10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보순
Original Assignee
김보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보순 filed Critical 김보순
Priority to KR20199600410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8053U/ko
Publication of KR199800280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8053U/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34Pencil boxes; Pencil etuis or the like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학생들이 필기구와 지우개 등의 학용품을 넣어서 휴대하고, 필요에 의해 꺼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필통을 내통과 외통으로 구성하고, 그 외통의 상단에 회전 개폐되는 뚜껑을 구비함으로서 평상시에는 학용품을 넣어서 휴대하는 필통으로 사용토록 하고, 필기구 등의 학용품을 사용할 때는 필기구 꽂이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필기구 꽂이대를 겸한 필통에 관한 것으로, 이는 개폐가능하게 뚜껑이 구비된 필통의 본체를 하단이 막힌 내통과 상하단이 모두 개방된 외통으로 2등분하여 내통의 외측에서 외통이 상하로 슬라이딩되도록 한 후, 내통의 상측 전후면에는 두줄로 엠보싱형 돌기를 형성하고, 외통의 하단은 내측으로 절곡마감부를 구성하여 필통과 필기구 꽂이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이룰 수 있는 고안이다.

Description

필기구 꽂이대를 겸한 필통
본 고안은 학생들이 필기구와 지우개 등의 학용품을 넣어서 휴대하고, 필요에 의해 꺼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필통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필기구와 지우개 등의 학용품이 담긴 필통을 내통과 외통으로 구성하고, 그 외통의 상단에 회전 개폐되는 뚜껑을 구비함으로서 평상시에는 학용품을 넣어서 휴대하는 필통으로 사용토록 하고, 필기구 등의 학용품을 사용할 때는 필기구 꽂이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필기구 꽂이대를 겸한 필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자루의 연필, 볼펜 등의 필기구와 지우개 등을 가지고 다니는 학생들은 그 필기구와 지우개 등을 필통에 넣어서 휴대하고 있으며, 이러한 필통은 수십년 전부터 다양하게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필통은 필통 본체의 상부에 뚜껑을 착탈가능하게 구비하거나 회전개폐할 수 있도록 구비함으로서 필기구 등을 한곳에 넣어서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단순한 기능만을 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필기구를 사용할 때마다 뚜껑을 열고 닫아야하는 불편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불편을 갖고 있는 필통은 학생들이 실증을 느끼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필통의 내,외부에 각종 게임을 비롯하여 유희용구를 구비하고 있으나, 이러한 유희용구의 구비는 학생들에게 호기심을 유발시키고, 구매욕구를 높이는 역할을 할 뿐, 필통의 기능은 향상시키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4-21292호와 같은 분리식 필통(공고번호 제96-8634호)이 개발되었으나, 이는 필통 본체를 상부통과 하부통으로 구비하면서 그 상부통과 하부통이 분리되도록 함으로서 상하부통을 결합하여 필기구 등을 수납 휴대할 수 있도록 하고, 필기구 등을 사용할 때는 상부통과 하부통을 분리하여 상부통에는 지우개 등을 놓을 수 있도록 하며, 하부통에는 필기구 등을 꽂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는 상부통과 하부통을 분리하여 사용함으로서 분실과 파손의 위험성이 따르는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필기구와 지우개 등의 학용품을 넣어서 휴대하고, 필요에 의해서 꺼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필통을 내통과 외통으로 구성하고, 상기 외통은 내통의 외측에서 상하로 슬라이딩되도록 하며, 그 외통의 상단에 회전 개폐되는 뚜껑을 구비함으로서 평상시에는 학용품을 넣어서 휴대하는 필통으로 사용토록 하고, 필기구 등의 학용품을 사용할 때는 뚜껑을 열고 외통을 하측으로 이동시켜 필기구 꽂이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필통 하나로 간편하게 필기구 꽂이대를 겸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필통의 외통과 내통이 각각 분실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필기구 꽂이대를 겸한 필통을 제공함에 있다.
도 1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2은 본 고안을 필통으로 사용하는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을 필통으로 사용하는 상태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도 3의 A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을 필기구 꽂이대로 사용하는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을 필기구 꽂이대로 사용하는 상태의 종단면도
도 7a, 도 7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필통, 1':필기구 꽂이대 2:내통,
3,4:돌기, 5:외통, 6:절곡마감부,
7:뚜껑, 8:힌지핀, 9:학용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필기구와 지우개 등의 학용품(9)을 수납 휴대할 수 있도록 하고, 본체의 상단에는 힌지핀(8)에 의해 뚜껑(7)이 회전 개폐되도록 구비한 필통(1)에 있어서, 상기 필통(1)의 본체를 하단이 막힌 내통(2)과 상하단이 모두 개방된 외통(5)으로 2등분하여 내통(2)의 외측에서 외통(5)이 상하로 슬라이딩되도록 한 후, 내통(2)의 상측 전후면에는 두줄로 엠보싱형 돌기(3)(4)를 형성하고, 외통(5)의 하단은 내측으로 절곡마감부(6)를 구성한다.
이때, 상기 필통(1)에 필기구 등의 학용품(9)을 수납 휴대할 때는 상기 외통(5)을 상향 이동시켜 절곡마감부(6)가 내통(2)의 엠보싱형 돌기(3)(4)의 사이에 위치토록 하고, 상기 뚜껑(7)을 닫아서 수납 휴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필통(1)을 필기구 꽂이대(1')로 사용할 때는 상기 뚜껑(7)을 열고 외통(5)을 하향 이동시켜 엠보싱형 돌기(3)(4) 사이에 위치하던 외통(5)의 절곡마감부(6)를 내통(2)의 하단에 위치토록 한 후 필기구 등의 학용품(9)을 꽂을 수 있도록 하고, 열린 뚜껑(7)에는 지우개 등을 놓을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필통을 구성하는 내통(2)과 외통(5) 및 뚜껑(7)을 모두 반원형으로 형성하면서 상측에 엠보싱형 돌기(3)(4)가 형성된 내통(2)의 외측으로 삽입하고, 그 외통(5)의 상단에는 힌지핀(8)으로 뚜껑(7)을 결합하여 외통(5)의 상단에서 뚜껑(7)이 회전 개폐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외통(5)을 상측으로 이동시켜 외통(5)의 하단에 내측으로 형성된 절곡마감부(6)가 내통(2)의 상측에 형성된 엠보싱형 돌기(3)(4) 사이에 결합되도록 하면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통(2)과 외통(5)의 결합상태가 길어지므로 뚜껑(7)을 열고 상기 내통(2)과 외통(5)내에 필기구와 지우개 등의 학용품(9)을 삽입한 후 뚜껑(7)을 닫아 필통(1)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필통(1)으로 사용하던중 그 내부의 필기구 등을 꺼내어 사용할 때는 뚜껑(7)을 열고 외통(5)을 하향 이동시켜 외통(5)의 절곡마감부(6)가 엠보싱형 돌기(3)(4)에서 이탈한 후 내통(2) 하측에 위치되도록 하면 내통(2)과 외통(5)이 겹쳐진 상태가 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내통(2)과 외통(5)의 내부에 수납된 필기구 등의 학용품(9)이 상측으로 돌출되므로 내통(2)과 외통(5)을 필기구 꽂이대(1')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이 내통(2)과 외통(5)을 필기구 꽂이대(1')로 사용할 때는 뚜껑(7)이 180℃회전되어 열린 상태이므로 그 뚜껑(7)에 지우개 등을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필기구 꽂이대(1')를 겸한 필통(1)은 상기와 같은 반원형 뿐만 아니라,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으로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방형으로도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필기구 꽂이대(1')를 겸한 필통(1)을 원형이나 장방형으로 형성하여도 상기와 같은 작용과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개폐가능하게 뚜껑이 구비된 필통의 본체를 하단이 막힌 내통과 상하단이 모두 개방된 외통으로 2등분하여 내통의 외측에서 외통이 상하로 슬라이딩되도록 한 후, 내통의 상측 전후면에는 두줄로 엠보싱형 돌기를 형성하고, 외통의 하단은 내측으로 절곡마감부를 구성하여 필통과 필기구 꽂이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평상시에는 학용품을 넣어서 휴대하는 필통으로 사용토록 하고, 필기구 등의 학용품을 사용할 때는 뚜껑을 열고 외통을 하측으로 이동시켜 필기구 꽂이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필통 하나로 간편하게 필기구 꽂이대를 겸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필통의 외통과 내통이 각각 분실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3)

  1. 필기구와 지우개 등의 학용품(9)을 수납 휴대할 수 있도록 하고, 2등분되는 본체의 상단에는 힌지핀(8)에 의해 뚜껑(7)이 회전 개폐되도록 구비한 필통(1)에 있어서,
    상기 필통(1)의 본체를 하단이 막힌 내통(2)과 상하단이 모두 개방된 외통(5)으로 2등분하여 내통(2)의 외측에서 외통(5)이 상하로 슬라이딩되도록 한 후, 내통(2)의 상측 전후면에는 두줄로 엠보싱형 돌기(3)(4)를 형성하고, 외통(5)의 하단은 내측으로 절곡마감부(6)를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필기구 꽂이대를 겸한 필통.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통(1)의 외통(5)을 상향 이동시켜 절곡마감부(6)가 내통(2)의 엠보싱형 돌기(3)(4) 사이에 위치토록 하고, 상기 뚜껑(7)을 닫아서 필기구 등의 학용품(9)을 수납 휴대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필기구 꽂이대를 겸한 필통.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통(1)의 뚜껑(7)을 열고 외통(5)을 하향 이동시켜 엠보싱형 돌기(3)(4) 사이에 위치하던 외통(5)의 절곡마감부(6)를 내통(2)의 하단에 위치토록 한 후 필기구 등의 학용품(9)을 꽂을 수 있도록 하고, 열린 뚜껑(7)에는 지우개 등을 놓을 수 있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필기구 꽂이대를 겸한 필통.
KR2019960041037U 1996-11-20 1996-11-20 필기구 꽂이대를 겸한 필통 KR1998002805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1037U KR19980028053U (ko) 1996-11-20 1996-11-20 필기구 꽂이대를 겸한 필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1037U KR19980028053U (ko) 1996-11-20 1996-11-20 필기구 꽂이대를 겸한 필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8053U true KR19980028053U (ko) 1998-08-05

Family

ID=53983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1037U KR19980028053U (ko) 1996-11-20 1996-11-20 필기구 꽂이대를 겸한 필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805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287B1 (ko) * 2011-09-15 2013-04-15 이성원 변형 필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287B1 (ko) * 2011-09-15 2013-04-15 이성원 변형 필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195382U (ko)
KR19980028053U (ko) 필기구 꽂이대를 겸한 필통
CN201102383Y (zh) 一种伸缩式毛笔
KR200441249Y1 (ko) 다목적 필기구
KR200442704Y1 (ko) 메모용 흑판이 구비된 필통
KR960008634Y1 (ko) 분리식 필통
KR200442091Y1 (ko) 스탠드 필통
KR200212980Y1 (ko) 서류케이스
KR200387206Y1 (ko) 필통
KR200313259Y1 (ko) 휴대용 색연필꽂이 겸용 색연필 케이스
KR20080003304U (ko) 수납기능을 갖는 보드용 지우개
KR200384614Y1 (ko) 필통
KR200276378Y1 (ko) 화이트 보드가 구비된 필통
KR200336119Y1 (ko) 종방향 절첩이 가능한 필통
KR200232216Y1 (ko) 소형물품 수납부를 구비한 필통
JP3086353U (ja) 筆入れ
KR200276387Y1 (ko) 지우개가루 제거기가 구비된 필통
KR200276147Y1 (ko) 필통
KR200302336Y1 (ko) 다용도 필통
KR200441541Y1 (ko) 펜케이스
KR200324188Y1 (ko) 필통
KR200380266Y1 (ko) 다용도필통
KR850000168Y1 (ko) 필통
KR200208911Y1 (ko) 필통
KR200356578Y1 (ko) 필기구 고정용 조립체 및 이를 내장하는 필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