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8235A - 필통 - Google Patents

필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8235A
KR20150128235A KR1020140055283A KR20140055283A KR20150128235A KR 20150128235 A KR20150128235 A KR 20150128235A KR 1020140055283 A KR1020140055283 A KR 1020140055283A KR 20140055283 A KR20140055283 A KR 20140055283A KR 20150128235 A KR20150128235 A KR 20150128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writing
pencil case
pencil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5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수민
이안나
김정진
박혜리
노아영
이경아
정정윤
Original Assignee
최수민
김정진
이경아
정정윤
노아영
이안나
박혜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수민, 김정진, 이경아, 정정윤, 노아영, 이안나, 박혜리 filed Critical 최수민
Priority to KR1020140055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8235A/ko
Publication of KR20150128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82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34Pencil boxes; Pencil etuis or the like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통에 관한 것으로, 상부면 및 배면이 개방된 중공 구조의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케이스 본체와; 복수 개의 필기구가 수납되도록 상부면이 개방된 구조의 수납 케이스와, 상기 수납 케이스에 수납된 필기구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수납 케이스의 배면이 연장된 필기구 지지판으로 이루어진 필기구 수용부와; 하단부가 상기 케이스 본체의 배면 단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의 개구부를 갖는 커버 몸체와, 상기 커버 몸체의 상단부에 절곡된 커버 단부를 갖는 커버 부재로 구성됨으로써, 복수 개의 필기구를 용이하게 수용하고 탈거할 수 있으며, 작은 크기를 갖기 때문에 지참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필통 {Pencil case}
본 발명은 필통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복수 개의 필기구를 수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수용된 필기구를 용이하게 탈거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필통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815396호(등록일자: 2008. 3. 13., 발명의 명칭: 분리형 필통)는 도 1을 참조하면, 다수의 수납부가 회동되는 구조를 갖는 필통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필통의 서로 직렬로 맞닿는 일측 단부의 꼭지점에 축핀을 연결하여 수평으로 90도 내지 180도로 회전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다수의 필통을 각각 회전시켜 다양한 모양으로 형상화할 수 있게 함으로써 오락기능을 겸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필통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필통의 크기를 다양한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필기구의 종류에 맞추어 필통을 선택하여 수장할 수 있음은 물론 다양한 크기의 필통을 하나 이상의 축핀에 연결하여 서로 회전되게 하여 필통으로 다양한 형태의 모양을 만들 수 있어 사용자가 필통을 사용하면서 오락도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는 반면, 필통의 크기가 크고 구성이 복잡한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815395호(등록일자: 2008. 3. 13., 발명의 명칭: 필기구 및 지우개 전용 인출구가 구비된 필통)는 일측에는 필기구(10)를 수장한 필기구 수장함(20)을 삽입할 수 있는 장홈(31)과 상기 장홈(31)의 단부로 필기구 수장함(20)을 인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필기구 인출구(32) 및 또 다른 일측에는 지우개(40)를 수장한 지우개 수장함(50)을 삽입할 수 있는 단홈(33)과 상기 단홈(33)의 단부로 지우개 수장함(50)을 인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지우개 인출구(34)를 형성하고 있는 필통(30)과, 상기 필기구 수장함(20)의 인출을 제어하도록 필기구 수장함(20)의 후방에 장착된 탄성스프링(S) 및 상기 필기구 수장함(20) 일측의 필기구 수장함 통공(21)에 장착되어 삽입을 제어하도록 필통(30)에 장착된 필기구 수장함 지지핀(71)에 의해 지지되어 상하 작동이 가능하게 탄성스프링(S)을 후방에 장착하고 있는 필기구 수장함 걸림편(72)을 단부에 형성하고 있는 필기구 작동간(70)과, 상기 지우개 수장함(50)의 인출을 제어하도록 지우개 수장함(50)의 후방에 장착된 탄성스프링(S) 및 상기 지우개 수장함(50) 일측의 지우개 수장함 통공(51)에 장착되어 삽입을 제어하도록 필통(30)에 장착된 지우개 수장함 지지핀(91)에 의해 지지되어 상하 작동이 가능하게 탄성스프링(S)을 후방에 장착하고 있는 지우개 수장함 걸림편(92)을 단부에 형성하고 있는 지우개 작동간(9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및 지우개 전용 인출구가 구비된 필통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필통의 내부에 필기구나 지우개를 수장할 수 있는 수장함을 삽입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때마다 필통의 뚜껑을 열지 않고도 간단하게 필기구나 지우개를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빠르게 인출이 가능하여 급한 상황에서도 학습메모나 업무 진행을 차질없이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는 반면, 기구적인 구성을 포함하고 있어 필통의 구성이 매우 복잡하여 제조단가가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092749호(공개일자: 2011. 8. 18., 발명의 명칭: 고정홀더가 부착되 원통형 필통)는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저면이 닫힌 원통형의 필통본체; 상기 필통본체와 자크에 의해 개폐가 가능하게 결합되는 필통뚜껑; 및 상기 필통본체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어 필기구를 고정시키는 다수개의 홀더들을 부착한 필기구 장착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홀더가 부착된 원통형 필통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필기구를 고정시켜 줄 수 있는 고정홀더가 구비된 원기둥을 사용하고, 상기 원기둥이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킴으로써 간결한 구조로 필통 안의 필기구를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구성이 매우 복잡한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 개의 필기구를 수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수용된 필기구를 용이하게 탈거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필통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면 및 배면이 개방된 중공 구조의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케이스 본체와; 복수 개의 필기구가 수납되도록 상부면이 개방된 구조의 수납 케이스와, 상기 수납 케이스에 수납된 필기구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수납 케이스의 배면이 연장된 필기구 지지판으로 이루어진 필기구 수용부와; 하단부가 상기 케이스 본체의 배면 단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의 개구부를 갖는 커버 몸체와, 상기 커버 몸체의 상단부에 절곡된 커버 단부를 갖는 커버 부재로 구성된 필통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필기구 수용부가 상기 커버 부재의 개폐에 따라 상기 케이스 본체의 하단을 기준으로 하여 회동되도록 상기 필기구 수용부의 하단부가 상기 커버 부재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구성은 복수 개의 필기구를 용이하게 수용하고 탈거할 수 있으며, 작은 크기를 갖기 때문에 지참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리형 필통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필기구 및 지우개 전용 인출구가 구비된 필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고정홀더가 부착되 원통형 필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필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 필통에 필기구가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필통(100)은 케이스 본체(10), 필기구 수용부(30) 및 커버 부재(50)로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 본체(10)는 상부면 및 배면이 개방된 중공 구조의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케이스 본체(10)는 통상적인 필통과 같이 사용자가 필기구(200)를 찾아서 탈거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필기구 수용부(30)의 필기구(200)의 상단부가 노출되어 인출이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높이가 낮은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필기구 수용부(30)는 복수 개의 필기구(200)가 수납되도록 상부면이 개방된 구조의 수납 케이스(31)와, 수납 케이스(31)에 수납된 필기구(200)를 지지하기 위하여 수납 케이스(31)의 배면이 연장된 필기구 지지판(33)으로 이루어져 있다. 필기구 수용부(30)는 다양한 구성의 필기구(200)를 수납할 수 있도록 변경이 가능하며 특히 필기구 지지판(33)은 필기구(200)의 길이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커버 부재(50)는 하단부가 케이스 본체(10)의 배면 단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의 개구부(51a)를 갖는 커버 몸체(51)와, 커버 몸체(51)의 상단부에 절곡된 커버 단부(53)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커버 부재(50)의 하단부와 필기구 수용부(30)는 연결되어 있어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커버 부재(50)를 전개하면 필기구 수용부(30)가 함께 회동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필기구(200)를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필기구 수용부(30)가 커버 부재(50)의 개폐에 따라 케이스 본체(10)의 하단을 기준으로 하여 회동되도록 필기구 수용부(30)의 하단부가 커버 부재(50)와 연결되어 있다.
이와는 반대로 사용자가 커버 부재(50)를 회동시켜 케이스 본체(10)에 결합시키면 이와 동시에 필기구 수용부(30)로 케이스 본체(10)의 내측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한정되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이 분명하다.
10 : 케이스 본체
30 : 필기구 수용부
31 : 수납 케이스 33 : 필기구 지지판
50 : 커버 부재
51 : 커버 몸체 53 : 커버 단부
100 : 필통
200 : 필기구

Claims (2)

  1. 상부면 및 배면이 개방된 중공 구조의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케이스 본체와;
    복수 개의 필기구가 수납되도록 상부면이 개방된 구조의 수납 케이스와, 상기 수납 케이스에 수납된 필기구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수납 케이스의 배면이 연장된 필기구 지지판으로 이루어진 필기구 수용부와;
    하단부가 상기 케이스 본체의 배면 단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의 개구부를 갖는 커버 몸체와, 상기 커버 몸체의 상단부에 절곡된 커버 단부를 갖는 커버 부재로 구성된 필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구 수용부가 상기 커버 부재의 개폐에 따라 상기 케이스 본체의 하단을 기준으로 하여 회동되도록 상기 필기구 수용부의 하단부가 상기 커버 부재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통.
KR1020140055283A 2014-05-09 2014-05-09 필통 KR201501282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283A KR20150128235A (ko) 2014-05-09 2014-05-09 필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283A KR20150128235A (ko) 2014-05-09 2014-05-09 필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8235A true KR20150128235A (ko) 2015-11-18

Family

ID=54838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5283A KR20150128235A (ko) 2014-05-09 2014-05-09 필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823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47450A (zh) * 2016-04-22 2016-07-13 王本 一种能够使笔立起来的文具盒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47450A (zh) * 2016-04-22 2016-07-13 王本 一种能够使笔立起来的文具盒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37070B1 (ja) ペンホルダー
US20060243622A1 (en) Marker and highlighter pen holder
US20140261532A1 (en) Cosmetic organizer
JP2007275531A (ja) 回転式収納器
KR20150128235A (ko) 필통
EP3482650A1 (en) Cosmetics case
JP6399296B2 (ja) 携帯端末装置
KR101193369B1 (ko) 외부 연필꽂이 필통
KR20140056508A (ko) 연필깎이를 구비한 연필꽂이 겸 필통
JP5452281B2 (ja) 棒状化粧料テスター
US20070056916A1 (en) Rotatable desk organizer with lid
KR100930462B1 (ko) 회전 원통식 크레용 수납장치
CN210307727U (zh) 装潢用工具箱
KR101253287B1 (ko) 변형 필통
WO2020262147A1 (ja) 棒状基材容器
KR200442091Y1 (ko) 스탠드 필통
KR200323543Y1 (ko) 크레파스 보관용 케이스부재
KR101622596B1 (ko) 필기구 꽂이
CN214449882U (zh) 一种归置笔的收纳装置
KR101979748B1 (ko) 아이브로우 메이크업 가이드
CN210054986U (zh) 一种多功能文具盒
KR20170042153A (ko) 필기구 꽂이
KR200313259Y1 (ko) 휴대용 색연필꽂이 겸용 색연필 케이스
KR20140087135A (ko) 조립식 필기구 케이스 겸용 필기구 꽂이
JP2001150869A (ja) 筆記具等の収納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