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3936B1 - 수송용 커버식 보냉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수송용 커버식 보냉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3936B1
KR101703936B1 KR1020160104173A KR20160104173A KR101703936B1 KR 101703936 B1 KR101703936 B1 KR 101703936B1 KR 1020160104173 A KR1020160104173 A KR 1020160104173A KR 20160104173 A KR20160104173 A KR 20160104173A KR 101703936 B1 KR101703936 B1 KR 101703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cover
fresh product
fresh
dry 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4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호
정운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프엠에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프엠에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프엠에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160104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39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3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393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4/00Preservation of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0Preservation of fruit or vegetabl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4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03Articles enclosed in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the whole being wrap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1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liquefied gases, e.g. liquid air
    • F25D3/105Movabl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B65D2313/02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of hook-and-loop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산물 또는 수산물을 포함하는 신선물품을 수납 운반하기 위한 수송용 커버식 보냉 컨테이너로서, 신선물품을 감쌀 수 있도록 플렉서블한 단열재질로 형성되며, 신선물품의 저면에 위치하는 하부시트와, 신선물품의 상면에 위치하는 상부시트와, 어기 신선물품의 측면을 감싸도록 상하단부가 상부시트와 하부시트에 각각 연결되고 신선물품을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측면시트를 포함하는 커버시트 및 측면시트에 형성된 복수개의 수납부에 삽입되어 수용공간으로 냉기를 발산하되, 일측면이 신선물품과 대면하는 방향에 위치하여 냉기를 발산하는 PCM(Phase change material)패키지와, PCM패키지의 타측면에 위치하는 드라이아이스를 포함하는 냉기수단을 포함하는 수송용 커버식 보냉 컨테이너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운반이 용이하고 항공료 부담을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이며, 플렉서블한 재질의 커버시트를 통하여 이루어져 신선물품의 용량 및 크기에 제약을 받지 않아 효율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수송용 커버식 보냉 컨테이너 {Cover type keeping-cold container for transport}
본 발명은 수송용 커버식 보냉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농산물 또는 수산물을 포함하는 신선물품의 신선도를 오래 유지할 수 있으며, 가벼워 항공료 등을 절감할 수 있는 수송용 커버식 보냉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지에서 재배되는 농산물 또는 수확되는 수산물을 포함하는 신선물품이 최종 소비자에게 전달되기까지에는, 포장, 운반 등을 포함하여 장시간이 소요된다. 이 때문에, 상기한 신선물품을 장시간 신선한 상태로 저장하여 운반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종래에는 상기한 신선물품을 신선한 상태로 저장, 운반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스티로폼 등으로 이루어진 스티로폼 보냉 컨테이너 박스나, 플라스틱 재질의 보냉 컨테이너박스에 신선물품을 저장하고 내부에 얼음과 같은 냉매를 채워 넣어 포장하여 이송하였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보냉 컨테이너 박스는 무게가 무거워 항공운반 시에는 항공료 부담 등으로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하드(Hard)한 재질의 규격화된 크기로 이루어져 신선물품의 용량에 따라 보관박스의 용량을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신선물품의 용량초과 시에는 복수의 보냉 컨테이너 박스에 나누어 보관하거나 신선물품의 용량이 미달될 시에는 보냉 컨테이너 박스의 내부로 충진물질을 별도로 삽입하는 등 비효율적이고 경제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밀폐력이 저하되어 신선물품의 신선도 유지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9382호
본 발명은,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운반이 용이하고 항공료 부담을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일뿐만 아니라,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신선물품의 용량 및 크기에 제약을 받지 않아 효율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어떠한 크기 및 형태의 신선물품도 기밀하게 감쌀 수 있어 밀폐력 저하를 방지함으로써 신선도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수송용 커버식 보냉 컨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농산물 또는 수산물을 포함하는 신선물품을 수납 운반하기 위한 수송용 커버식 보냉 컨테이너로서, 상기 신선물품을 감쌀 수 있도록 플렉서블한 단열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신선물품의 저면에 위치하는 하부시트와, 상기 신선물품의 상면에 위치하는 상부시트와, 어기 신선물품의 측면을 감싸도록 상하단부가 상기 상부시트와 상기 하부시트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신선물품을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측면시트를 포함하는 커버시트 및 상기 측면시트에 형성된 복수개의 수납부에 삽입되어 상기 수용공간으로 냉기를 발산하되, 일측면이 상기 신선물품과 대면하는 방향에 위치하여 냉기를 발산하는 PCM(Phase change material)패키지와, 상기 PCM패키지의 타측면에 위치하는 드라이아이스를 포함하는 냉기수단을 포함하는 수송용 커버식 보냉 컨테이너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송용 커버식 보냉 컨테이너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운반이 용이하고 항공료 부담을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이다.
둘째,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어 신선물품을 용이하게 감쌀 수 있는 커버시트를 통하여 신선물품의 용량 및 크기에 제약을 받지 않아 효율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플렉서블한 재질의 커버시트를 이용하여 어떠한 크기 및 형태의 신선물품도 기밀하게 포장하여 밀폐력 저하를 방지함으로써 신선도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넷째, PCM패키지와, PCM패키지를 냉각하고 신선물품으로 냉기를 간접적으로 보내는 드라이아이스를 포함하는 냉기수단을 통하여 PCM패키지의 성능을 장시간 유지하고 신선물품의 신선도유지를 오랫동안 할 수 있어, 농수산물을 비롯한 화학약품 등의 항공 수송용으로 적용할 수 있다.
다섯째, 커버식으로 되어 있는 커버시트를 통하여 이송파레트 위에 하부시트를 놓은 다음 수송물품의 적재 후 측면시트와 상부시트만 손쉽게 감싸면 되기 때문에, 패키징이 용이하고 수송물품의 상차, 하차 및 적재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송용 커버식 보냉 컨테이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버시트를 펼쳤을 경우를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커버시트의 다른 실시예를 펼쳤을 경우를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수납부에 수납되는 냉기수단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냉기수단을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수송용 커버식 보냉 컨테이너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송용 커버식 보냉 컨테이너(300; 이하'보냉 컨테이너'라 한다)는 농산물 또는 수산물을 포함하는 신선물품(10)을 보냉하여 수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커버시트(100)와, 냉기수단(200)을 포함한다. 이에 앞서, 상기 보내 컨테이너(300)는 신선물품을 수송하는 것을 예로 하였으나, 상기한 신선물품 외 수송 시 보냉을 필요로 하는 화학약품 등 다양한 수송물품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커버시트(100)는 상기 신선물품(10)을 감쌀 수 있도록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어, 취급 및 보관이 용이하고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운반이 용이하고 중량을 낮출 수 있어 항공료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버시트(100)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신선물품(10)의 용량 및 크기에 제약을 받지 않으며, 틈새 없이 신선물품(10)을 감쌀 수 있도록 되어 있어 밀폐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상기 냉기수단(200)의 냉기 유출을 방지하여 신선도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시트(100)는 플렉서블한 단열재질로 형성되며, 공지의 은박발포지 또는 에어캡 등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커버시트(100)는 하부시트(110)와, 상부시트(120)와, 측면시트(130)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시트(110)는 보관 및 이송하고자 하는 상기 신선물품(10)의 저면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시트(120)는 신선물품(10)의 상면에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시트(110)와 상기 상부시트(120)는 도면에서와 같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상기 신선물품(10)이 복수개의 박스가 적층된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대응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신선물품(10)의 형상에 따라 그 형상을 달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측면시트(130)는 상기 신선물품(10)의 측면을 감싸도록 상하단부가 상기 상부시트(120)와 상기 하부시트(110)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신선물품(10)을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공간(101)이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커버시트(100)는, 상기 상부시트(120)와, 상기 하부시트(110)와, 상기 측면시트(130)를 서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탈부착수단(150)을 포함한다. 상기 탈부착수단(150)은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된 상기 커버시트(100)에 결합이 용이한 벨크로(Velcro)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로 상기한 벨크로 외 지퍼 등 다양한 탈부착수단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미설명부호 20은 물품운송을 위한 이송파레트를 나타낸다.
상기 커버시트(100)는 상기 냉기수단(200)이 삽입되는 복수개의 수납부(140)가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101) 내로 상기 냉기수단(200)의 냉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면에서 상기 커버시트(100)는 상기 수납부(140)가 우면시트(133)에만 나타내고 있으나, 좌면시트(132)에도 상기 수납부(140)가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수납부(1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시트(130)에 종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그 개수와 배치형식은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시트(100,100a)는 상기 수납부(140)가 상기 좌면시트(132,)와 상기 우면시트(133,)에만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후술하는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신선물품(10)의 사방 측면에 냉기가 흐르도록 상기 측면시트(130)의 모두에 상기 수납부(140)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시트(100,100a)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140)의 형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신선물품(10)에 따라 상기 수납부(140)의 위치 및 형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2 상기 커버시트(100)의 전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커버시트(100)는 상기 하부시트(110)와, 상부시트(120)와, 측면시트(130)가 서로 일체로 연결되어 원피스(1-piece)타입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시트(100)는 조립 후 신선물품(10)의 사방 측면을 밀폐형으로 감싸도록 상기 상부시트(120), 측면시트(130) 및 하부시트(110)의 절개된 모서리에 상기 탈부착수단(150)이 결합되어 서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131, 132,133,134는 각각 전면시트, 좌면시트, 우면시트, 후면시트를 나타낸다.
도 3은 상기 커버시트(100a)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전개도로서, 도 2의 커버시트(100)와는 달리 상기 커버시트(100a)는 상기 상부시트(120a)와 상기 측면시트(130a)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하부시트(110a)는 상기 상부시트(120a) 및 측면시트(130a)와 분리되어 투피스(2-piece)타입으로 이루어져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커버시트(100a)는 조립 후 신선물품(10)의 사방 측면을 밀폐형으로 감싸도록 상기 상부시트(120a)와 상기 하부시트(110a)와 상기 측면시트(130a)에 각각 상기 탈부착수단(150)이 결합되어 서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미설명부호 131a, 132a,133a,134a는 각각 전면시트, 좌면시트, 우면시트, 후면시트를 나타낸다.
한편, 상기 커버시트(100,100a)는 상기한 바와 같이 원피스 타입 및 투피스 타입으로 형성된 경우를 실시예로 나타내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신선물품(10)의 크기 등에 따라 여러 개로 분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탈부착수단(150)을 결합하여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2 및 도 3에서 상기 커버시트(100,100a)는 상기 냉기수단(200)이 수납되는 수납부(140)가 생략되었으나, 이는 상기 커버시트(100,100a)의 전개도면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수납부(140)가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탈부착수단(150)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난 위치 외에 상기 커버시트(100,100a)가 신선물품(10)을 감쌀 수 있다면 다양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상기 탈부착수단(150)은 공지의 벨크로 결합구조로서 이의 탈부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시트(100,100a)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어 신선물품(10)의 크기와, 조립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상기한 원피스 타입 및 투피스 타입 등 다양한 형태로 용이하게 제작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한 박스형이 아닌 원통형 등 다양한 형태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수납부(140)는 상기 측면시트(130)에 형성된 삽입홀(135)을 따라 상기 신선물품(10)과 대면하는 내측에 형성된 수납주머니부(141)와, 상기 삽입홀(135)을 개폐하도록 상기 측면시트(130)에 결합하는 덮개부(142)를 포함한다. 상기 수납주머니부(141)는 메쉬망으로 형성되어 상기 냉기수단(200)으로부터 방출되는 냉기가 수용공간(101)으로 흘러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상기 덮개부(142)는, 일측이 상기 측면시트(여30)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일측을 제외한 가장자리부는 착탈수단(143)을 통하여 상기 측면시트(13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착탈수단(143)은 상기 측면시트(130)와 상기 덮개부(142)에 결합되는 벨크로 또는 지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밀폐성을 유지하고 착탈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냉기수단(200)은, 상기 측면시트(130)에 형성된 복수개의 수납부(140)에 삽입되어 상기 수용공간(101)으로 냉기를 발산하여 신선물품(10)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PCM(Phase change material)패키지와, 드라이아이스(220)와, 수용팩(230)을 포함한다.
상기 PCM패키지(210)는 일측면이 상기 신선물품(10)과 가깝게 대면하는 방향에 위치하여 냉기를 발산함으로써 상기 신선물품(10)을 쿨링(Cooling)하고 신선도가 유지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PCM패키지(210)는 내부에 공지의 PCM팩용 상변화물질, 겔상태 상변화물질, 고흡수성수지용 상변화물질 등이 삽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드라이아이스(220)는 상기 PCM패키지(210)의 타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PCM패키지(210)를 냉각하여 상기 PCM패키지(210)의 냉기 발산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신선물품(10)으로 냉기를 간접적으로 전달하여 신선물품(10)의 호흡열을 상쇄하여 신선도가 오래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용팩(230)은 내부에 상기 PCM패키지(210)와, 상기 드라이아이스(220)를 수용하여 상기 PCM패키지(210)와 상기 드라이아이스(220)를 보호하고, 상기 PCM패키지(210)와 상기 드라이아이스(220)의 보관 및 사용이 용이하도록 하고, 상기 수납부(140)로 상기 PCM패키지(210)와, 상기 드라이아이스(220)의 수납이 용이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수용팩(230)은 에어캡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PCM패키지(210)와 상기 드라이아이스(220)의 냉기를 보다 더 오래 보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측이 개방되고 상기 일측은 개폐가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 주머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용팩(230)은, 상기 드라이아이스(220)로부터 배출되는 상변화 가스(기화가스)를 상기 수용공간(101)으로 배출하는 복수개의 배출홀(231)이 형성되어, 상기 드라이아이스(220)의 기화가스가 상기 수용공간(101)으로 배출되면서 상기 수용공간(101)의 신선물품(10)을 간접적으로 냉각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냉기수단(200)은 PCM패키지(210)와, PCM패키지(210)가 보다 오래 냉기를 발산할 수 있도록 하는 드라이아이스(220)를 포함하여, 영하의 온도대역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오랜 시간 냉기를 발산할 수 있도록 하여 신선물품(10)의 신선도를 오래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기수단(200)은 신선물품(10)의 신선유지온도와 용량 등에 따라 상기 PCM패키지(210)와 드라이아이스(220)의 용량 및 개수를 변경할 수 있으며, 또한 그 배치위치를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실시예를 살펴보면, 도 6은 상기 보냉 컨테이너(300)의 평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으로, 상기 커버시트(100)의 4개측면 모두에 상기 냉기수단(200)이 위치하여 상기 신선물품(10)의 사방 측면으로 냉기가 전달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보냉 컨테이너(300)는, 상기 냉기수단(200)의 개수와 배치위치 등을 달리하여 상기 수용공간(101)으로 공급하는 냉기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보다 낮은 신선온도를 요구하는 신선물품(10)에 대해서도 신선온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냉기의 지속시간을 길게 하여 장시간 운반되는 신선물품(10)에 적용할 수 있다.
나아가,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보냉 컨테이너(300)는 상기한 측면시트(130) 외에 상기 상부시트(120)에 상기 수납부(140)를 형성하여, 상기 냉기수단(200)아 상기 신선물품(1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신선물품(10)의 상부에서도 냉기를 발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신선물품 100... 커버시트
110,110a... 하부시트 120,120a... 상부시트
130,130a... 측면시트 131,131a... 전면시트
132,132a... 좌면시트 133,133a... 우면시트
134,134a... 후면시트 135... 삽입홀
140... 수납부 141... 수납주머니부
142... 덮개부 143... 착탈수단
150.버. 탈부착수단 200... 냉기수단
210... PCM패키지 220... 드라이아이스
230... 수용팩 231... 배출홀
300... 보냉 컨테이너

Claims (11)

  1. 농산물 또는 수산물을 포함하는 신선물품을 보냉하여 수송하기 위한 수송용 커버식 보냉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신선물품을 감쌀 수 있도록 플렉서블한 단열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신선물품의 저면에 위치하는 하부시트와, 상기 신선물품의 상면에 위치하는 상부시트와, 상기 신선물품의 측면을 감싸도록 상하단부가 상기 상부시트와 상기 하부시트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신선물품을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측면시트를 포함하는 커버시트; 및
    상기 커버시트에 형성된 복수개의 수납부에 삽입되어 상기 수용공간으로 냉기를 발산하되, 일측면이 상기 신선물품과 대면하는 방향에 위치하여 냉기를 발산하는 PCM(Phase change material)패키지와, 상기 PCM패키지의 타측면에 위치하는 드라이아이스와, 상기 PCM패키지와, 상기 드라이아이스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수납부에 삽입되는 수용팩을 포함하는 냉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팩은, 상기 드라이아이스로부터 배출되는 상변화 가스를 상기 수용공간으로 배출하도록 상기 드라이아이스의 위치에 대응하여 측면으로 복수개의 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는, 상기 측면시트에 관통 형성된 삽입홀을 따라 상기 신선물품과 대면하는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팩이 삽입되며 메쉬망으로 형성된 수납주머니부와, 상기 측면시트의 외측에서 상기 삽입홀을 개폐하도록 상기 측면시트에 결합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수송용 커버식 보냉 컨테이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시트는,
    상기 상부시트와 상기 측면시트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시트는 상기 상부시트와 상기 측면시트와 분리된 투피스(2-piece)타입으로 형성되는 수송용 커버식 보냉 컨테이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시트는,
    상기 상부시트와 상기 측면시트와 상기 하부시트가 서로 일체로 연결되는 원피스(1-piece)타입으로 형성되는 수송용 커버식 보냉 컨테이너.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커버시트는,
    상기 신선물품의 사방 측면을 밀폐형으로 감싸도록 상기 하부시트와, 상기 상부시트와, 상기 측면시트에 결합되어 서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탈부착수단을 포함하는 수송용 커버식 보냉 컨테이너.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수단은, 벨크로 또는 지퍼인 수송용 커버식 보냉 컨테이너.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팩은 에어캡 재질로 형성되는 수송용 커버식 보냉 컨테이너.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일측이 상기 커버시트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일측을 제외한 가장자리부는 상기 커버시트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착탈수단이 결합되는 수송용 커버식 보냉 컨테이너.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은,
    상기 커버시트와 상기 덮개부에 결합되는 벨크로 또는 지퍼인 수송용 커버식 보냉 컨테이너.
KR1020160104173A 2016-08-17 2016-08-17 수송용 커버식 보냉 컨테이너 Expired - Fee Related KR101703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173A KR101703936B1 (ko) 2016-08-17 2016-08-17 수송용 커버식 보냉 컨테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173A KR101703936B1 (ko) 2016-08-17 2016-08-17 수송용 커버식 보냉 컨테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3936B1 true KR101703936B1 (ko) 2017-02-08

Family

ID=58155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4173A Expired - Fee Related KR101703936B1 (ko) 2016-08-17 2016-08-17 수송용 커버식 보냉 컨테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393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8653B1 (ko) * 2017-05-08 2017-10-20 주식회사 에프엠에스코리아 마이크로캡슐 상변화 물질과 에어로겔을 포함하는 단열 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패키지, 수송용 커버식 보냉 컨테이너, 롤 컨테이너 커버
KR20210007871A (ko) 2019-07-11 2021-01-20 주식회사 아라에프앤디 항공 수송용 활어 컨테이너
KR102349864B1 (ko) * 2021-06-30 2022-01-10 최동호 피씨엠 모듈 및 그 피씨엠 모듈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온도대역을 갖는 물품의 동시 수용이 가능한 보냉 패키징
KR20240157250A (ko) 2023-04-25 2024-11-01 주식회사 탑런패키징솔루션 신선물품을 운반하기 위한 조립식의 팔레트 컨테이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6169A (ja) * 1999-08-18 2001-02-27 Takashima & Co Ltd 温度計付き保冷ボックス
JP2002068326A (ja) * 2000-09-04 2002-03-08 Yamato Transport Co Ltd 保冷コンテナ
JP2002104543A (ja) * 2000-09-26 2002-04-10 Inoac Corp 車両の荷台積載用保冷カバー
KR200459382Y1 (ko) 2011-06-24 2012-03-23 정우호 포장 중량 조절이 가능한 운반용 포장박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6169A (ja) * 1999-08-18 2001-02-27 Takashima & Co Ltd 温度計付き保冷ボックス
JP2002068326A (ja) * 2000-09-04 2002-03-08 Yamato Transport Co Ltd 保冷コンテナ
JP2002104543A (ja) * 2000-09-26 2002-04-10 Inoac Corp 車両の荷台積載用保冷カバー
KR200459382Y1 (ko) 2011-06-24 2012-03-23 정우호 포장 중량 조절이 가능한 운반용 포장박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8653B1 (ko) * 2017-05-08 2017-10-20 주식회사 에프엠에스코리아 마이크로캡슐 상변화 물질과 에어로겔을 포함하는 단열 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패키지, 수송용 커버식 보냉 컨테이너, 롤 컨테이너 커버
KR20210007871A (ko) 2019-07-11 2021-01-20 주식회사 아라에프앤디 항공 수송용 활어 컨테이너
KR102349864B1 (ko) * 2021-06-30 2022-01-10 최동호 피씨엠 모듈 및 그 피씨엠 모듈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온도대역을 갖는 물품의 동시 수용이 가능한 보냉 패키징
KR20240157250A (ko) 2023-04-25 2024-11-01 주식회사 탑런패키징솔루션 신선물품을 운반하기 위한 조립식의 팔레트 컨테이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92119B2 (en) Cooler box
US8250835B2 (en) Thermally insulated, collapsible cover assembly and method of using to transport perishable produce
AU784857B2 (en) Portable container for refrigerated or frozen goods
KR101703936B1 (ko) 수송용 커버식 보냉 컨테이너
ES2177669T3 (es) Contenedor aislado para almacenamiento/transporte de productos pere cederos.
CN101415622A (zh) 运送冷却货物的容器
US20190359407A1 (en) Packaged Meal Kit
JP4878896B2 (ja) 断熱容器
KR101486018B1 (ko) 보냉 보온 기능을 갖는 포장상자
KR20120002901A (ko) 냉장 보관용 포장체
KR101728767B1 (ko) 수송용 보냉 컨테이너
KR20130058334A (ko) 다단 적층식 스티로폼 보냉 포장용기
US10955186B1 (en) Refrigerated, thermally insulated, collapsible cover assembly and method of using to transport perishable products
ES2201633T3 (es) Caja para productos a mantener frios y uso de tal caja.
US10619907B2 (en) Refrigerated, thermally insulated, collapsible cover system, assembly and method of using to transport perishable products
US20220343270A1 (en) Method and system for storing and/or transporting temperature-sensitive materials
KR102349864B1 (ko) 피씨엠 모듈 및 그 피씨엠 모듈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온도대역을 갖는 물품의 동시 수용이 가능한 보냉 패키징
KR200486593Y1 (ko) 냉장포장상자
JP2007030952A (ja) 発泡合成樹脂容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ロケット包装体の収納方法
JPS5841183Y2 (ja) 生鮮物の低温輸送用容器
CN210823432U (zh) 一种冷链食品用高效型运输柜
KR20240136680A (ko) 신선제품용 보냉 포장팩
KR101436266B1 (ko) 계란 배송용 아이스 박스
KR20220002977U (ko) 신선식품용 포장상자
US10059503B2 (en) Contoured ice pack system for a fish bo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0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0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01027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