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0894B1 - 생선 탁송용 어(魚)상자 - Google Patents

생선 탁송용 어(魚)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0894B1
KR101530894B1 KR1020130079323A KR20130079323A KR101530894B1 KR 101530894 B1 KR101530894 B1 KR 101530894B1 KR 1020130079323 A KR1020130079323 A KR 1020130079323A KR 20130079323 A KR20130079323 A KR 20130079323A KR 101530894 B1 KR101530894 B1 KR 101530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diameter
fish
wall
box
styrofo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9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5392A (ko
Inventor
양재현
Original Assignee
바다림영어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다림영어조합법인 filed Critical 바다림영어조합법인
Priority to KR1020130079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0894B1/ko
Publication of KR20150005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5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0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0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2Receptacle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live fi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생선 탁송용 어(魚)상자 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티로폼 상자 안에 소정의 생선을 적재하고 물을 주입하여 영하 40℃ 온도조건에서 물이 주입된 상자와 적재된 생선을 함께 급속 동결시킨 후 덮개를 덮고 밴딩 포장한 것을 화물 탁송 편으로 주문자에게 배송함으로써 장시간에 걸친 배송과정에서도 생선이 변질되지 않고 신선도를 유지한 채 안전하게 주문자에게 배송될 수 있는 개량된 생선 탁송용 어(魚)상자 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생선 탁송용 어(魚)상자(1)는, 상부가 개구된 장방형 또는 정방형의 상자형상으로 형성되는 스티로폼 재질의 내입상자(100)와; 하부가 개구된 장방형 또는 정방형의 상자형상으로 형성되되 개구부는 상기 내입상자(100)의 개구부에 결합될 수 있는 대응형상으로 형성되는 스티로폼 재질의 덮개(200)와; 상기 내입상자(100) 바닥면에 구비되는 스티로폼 재질의 하판(300)과; 상기 하판(300)과 상하대칭되게 형성되어 상기 내입상자(100) 상부영역에 구비되는 스티로폼 재질의 상판(300')과;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입상자(100) 내부의 좌측영역 내벽을 따라 밀착구비되는 스티로폼 재질의 좌내벽(400)과; 상기 좌내벽(400)과 좌우대칭되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입상자(100) 내부의 우측영역 내벽을 따라 밀착구비되는 스티로폼 재질의 우내벽(400')과; 판형으로 형성되되 양면에 각각 다수개의 재치바(501)를 일체로서 돌출 형성하고 상기 좌내벽(400)과 우내벽(400')의 이격부에 삽입결합되는 스티로폼 재질의 격벽(500)과; 원물(f)을 내입하고 주빙실(MR) 내부에 안치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원물상자(600)와; 상기 내입상자(100)와 상기 덮개(200)의 결합부를 밴딩포장하기 위한 포장테이프(7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생선 탁송용 어(魚)상자(1)에 의하면, 포장작업이 간편 용이하고, 제작비용이 저렴하면서도, 어상자 외부로 부터 전해지는 열기가 어상자 내면에 접한 얼음판에 먼저 전달되고 이어서 스티로폼 판넬을 거처 주빙괴에 전달되도록 구성되므로, 내부에 원물을 안치한 채 동결된 주빙괴의 해빙을 지연시켜, 장시간이 소요되는 배송기간에도 생물의 신선도를 유지한 채 원물이 안전하게 주문자에게 배송될 수 있는 개량된 생선 탁송용 어(魚)상자(1)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생선 탁송용 어(魚)상자 {Fish packing boxes for shipping}
본 발명은 생선 탁송용 어(魚)상자 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스티로폼 상자 안에 소정의 생선을 적재하고 상자안에 물을 주입하여 영하 40℃ 온도조건에서 물이 주입된 상자와 적재된 생선을 함께 급속 동결시킨 후 덮개를 덮고 밴딩 포장한 것을 화물 탁송 편으로 주문자에게 배송함으로써 장시간에 걸친 배송과정에서도 생선이 변질되지 않고 신선도를 유지한 채 안전하게 주문자에게 배송될 수 있는 개량된 생선 탁송용 어(魚)상자 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교통, 통신의 비약적인 발달에 힘입어 일일 생활권인 우리나라 국토 환경에서는 산지, 생산자, 생산품의 종류를 불문하고 주문자의 통신수단을 이용한 주문에 따라 생산자(유통업자)의 탁송수단을 활용한 배송이 이루어지는 택배산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생선 등 생물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어서 택배를 통한 유통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때 생선 등 생물 주문배송의 경우 포장재로는 가볍고 견고하며 비교적 단열성이 좋고 보온·보냉·내구성이 우수한 스티로폼 상자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스티로폼 상자 재질의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특정 시기에 배송 수요가 편중되는 경우에는 필연적으로 배송지연이 발생되고 있는바 이러한 경우 주문자가 생선 등 생물을 수령하였을 때에는 원치않게 변질된 제품을 받게 되는 경우를 간혹 겪게 된다.
이러한 배송과정에는 원물(구체적인 배송품을 원물이라 할 것이나 여기서는 생선, 생물, 원물을 같은 개념으로 혼용사용하기로 한다.)의 신선도 유지를 위해 원물을 담은 포장상자 내부 공간에 조각얼음, 드라이아이스 또는 아이스팩 등을 함께 넣어 원물의 신선도를 유지하고자 하나,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포장상자 외부로 부터 전해지는 열기로 인해 조각얼음 등의 해빙이 시작되고 녹은 물에 의해 조각얼음 등의 해빙은 가속되어 주문자가 생물을 수령하였을 때에는 이미 조각얼음 등은 모두 녹아 물이 되어있는 경우를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온도변화에 의해 생물이 변질되기도 하고 또는 물과 생물과의 직접적인 접촉으로 인해 생물 고유의 맛을 떨어뜨리기도 한다.
그렇다고 원물을 내입한 포장상자 내부 공간에 조각얼음, 드라이아이스 또는 아이스팩 등을 무한정 많은 양을 내입하여 포장함으로써 원물의 신선도를 유지한다는 것도 비용의 면 등에서 매우 비현실적이지 않을 수 없다.
근자에 들어 원물의 신선도 유지를 위한 보관 및 배송방법들이 아래와 같이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으나, 주로 보관방법에 치중되고 있을 뿐 포장작업이 번거롭고 제작비도 과다하게 소요되는 한편 탁송수단을 이용한 생선 탁송시 배송이 지연되는 경우에는 원물의 신선도를 크게 해치게 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지는 못하고 있다.
따라서, 포장작업이 간편용이하고 제작비용이 저렴하게 소요되면서도 장시간의 배송과정에도 생물의 신선도를 유지한 채 주문자에게 안전하게 배송될 수 있는 개량된 생선 탁송용 어(魚)상자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1.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007741호, 1999.2.25일자 공개, "냉동용포장상자" 2.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8019호, 2002.11.30일자 등록, "냉장박스" 3.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4851호, 2003.2.6일자 등록, "대나무통을 이용한 식품포장용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포장작업이 간편 용이하고, 제작비용도 저렴하면서, 포장상자 외부로부터 원물에 전달되는 열전도를 지연시켜, 장시간이 소요되는 배송기간에도 생물의 신선도를 유지한 채 원물이 주문자에게 안전하게 배송될 수 있는 개량된 생선 탁송용 어(魚)상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생선 탁송용 어(魚)상자(1)는,
상부가 개구된 장방형 또는 정방형의 상자형상으로 형성되는 스티로폼 재질의 내입상자(100)와; 하부가 개구된 장방형 또는 정방형의 상자형상으로 형성되되 개구부는 상기 내입상자(100)의 개구부에 결합될 수 있는 대응형상으로 형성되는 스티로폼 재질의 덮개(200)와; 상기 내입상자(100) 바닥면에 구비되는 스티로폼 재질의 하판(300)과; 상기 하판(300)과 상하대칭되게 형성되어 상기 내입상자(100) 상부영역에 구비되는 스티로폼 재질의 상판(300')과;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입상자(100) 내부의 좌측영역 내벽을 따라 밀착구비되는 스티로폼 재질의 좌내벽(400)과; 상기 좌내벽(400)과 좌우대칭되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입상자(100) 내부의 우측영역 내벽을 따라 밀착구비되는 스티로폼 재질의 우내벽(400')과; 판형으로 형성되되 양면에 각각 다수개의 재치바(501)를 일체로서 돌출 형성하고 상기 좌내벽(400)과 우내벽(400')의 이격부에 삽입결합되는 스티로폼 재질의 격벽(500)과; 원물(f)을 내입하고 주빙실(MR) 내부에 안치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원물상자(600)와; 상기 내입상자(100)와 상기 덮개(200)의 결합부를 밴딩포장하기 위한 포장테이프(7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생선 탁송용 어(魚)상자(1)에 의하면, 포장작업이 간편 용이하고, 제작비용이 저렴하면서도, 어상자 외부로 부터 전해지는 열기가 어상자 내면에 접한 얼음판에 먼저 전달되고 이어서 스티로폼 판넬을 거처 주빙괴에 전달되도록 구성되므로, 내부에 원물을 안치한 채 동결된 주빙괴의 해빙을 지연시켜, 장시간이 소요되는 배송기간에도 생물의 신선도를 유지한 채 원물이 안전하게 주문자에게 배송될 수 있는 개량된 생선 탁송용 어(魚)상자(1)가 제공된다.
도1은 본발명인 생선 탁송용 어(魚)상자의 내입상자를 설명하기 위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2는 본발명인 생선 탁송용 어(魚)상자의 하판의 사시도이다.
도3은 본발명인 생선 탁송용 어(魚)상자의 상판의 사시도이다.
도4는 본발명인 생선 탁송용 어(魚)상자의 하판 위에 좌내벽과 우내벽(우내벽의 도시는 생략)과 격벽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5는 본발명인 생선 탁송용 어(魚)상자의 격벽의 사시도이다.
도6은 본발명인 생선 탁송용 어(魚)상자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7은 본발명인 생선 탁송용 어(魚)상자의 원물상자의 사시도이다.
도8은 본발명인 생선 탁송용 어(魚)상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생선 탁송용 어(魚)상자(1)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발명의 특허출원시점에 있어서는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서로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명칭(부호)으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첨부된 도1은 본발명인 생선 탁송용 어(魚)상자의 내입상자를 설명하기 위한 절개 사시도이고, 도2는 본발명인 생선 탁송용 어(魚)상자의 하판의 사시도이고, 도3은 본발명인 생선 탁송용 어(魚)상자의 상판의 사시도이고, 도4는 본발명인 생선 탁송용 어(魚)상자의 하판 위에 좌내벽과 우내벽(우내벽의 도시는 생략)과 격벽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5는 본발명인 생선 탁송용 어(魚)상자의 격벽의 사시도이고, 도6은 본발명인 생선 탁송용 어(魚)상자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절개 사시도이고, 도7은 본발명인 생선 탁송용 어(魚)상자의 원물상자의 사시도이고, 도8은 본발명인 생선 탁송용 어(魚)상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이다.
도1 내지 도8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인 생선 탁송용 어(魚)상자(1)는,
상부가 개구된 장방형 또는 정방형의 상자형상으로 형성되는 스티로폼 재질의 내입상자(100)와; 하부가 개구된 장방형 또는 정방형의 상자형상으로 형성되되 개구부는 상기 내입상자(100)의 개구부에 결합될 수 있는 대응형상으로 형성되는 스티로폼 재질의 덮개(200)와; 상기 내입상자(100) 바닥면에 구비되는 스티로폼 재질의 하판(300)과; 상기 하판(300)과 상하대칭되게 형성되어 상기 내입상자(100) 상부영역에 구비되는 스티로폼 재질의 상판(300')과;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입상자(100) 내부의 좌측영역 내벽을 따라 밀착구비되는 스티로폼 재질의 좌내벽(400)과; 상기 좌내벽(400)과 좌우대칭되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입상자(100) 내부의 우측영역 내벽을 따라 밀착구비되는 스티로폼 재질의 우내벽(400')과; 판형으로 형성되되 양면에 각각 다수개의 재치바(501)를 일체로서 돌출 형성하고 상기 좌내벽(400)과 우내벽(400')의 이격부에 삽입결합되는 스티로폼 재질의 격벽(500)과; 원물(f)을 내입하고 주빙실(MR) 내부에 안치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원물상자(600)와; 상기 내입상자(100)와 상기 덮개(200)의 결합부를 밴딩포장하기 위한 포장테이프(7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내입상자(100) 및 덮개(200)의 형성재인 스티로폼의 두께는 배송되는 생선의 포장량에 따라 적절히 정해질 것이나 본 발명에서는 생선중량 10㎏ 내외인 경우의 포장상자의 보편적인 두께인 20㎜ 두께인 경우의 스티로폼 포장상자의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즉, 스티로폼 포장상자의 두께는 소형 포장상자인 경우 180㎜ ~ 200㎜, 중형인 경우 270㎜ ~ 300㎜, 대형인 경우에는 350㎜ ~ 400㎜ 등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내입되는 원물의 종류 및 중량에 따라 가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인 생선 탁송용 어(魚)상자(1)의 내입상자(100) 및 덮개(200)를 형성하는 스티로폼 포장상자 두께의 반(1/2)을 "a"라 하여 본 발명인 생선 탁송용 어(魚)상자(1)의 형성재인 스티로폼의 두께를 "2a"로 표현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내입상자(100)는, 상부가 개구된 장방형 또는 정방형의 스티로폼 재질의 상자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내입상자(100) 개구부의 내면쪽 1/2 폭(a)은 상부로 a폭만큼 연장되어 연장부(102)를 형성한다.
상기 내입상자(100)의 바닥면 중앙부에는 전,후면에 접하여 가로a, 세로2a, 높이2a 의 직육면체 형상의 결합돌기(103),(103')가 각각 대응되게 돌출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103)(103')에는 하판(300) 전,후변 중앙부의 결합홈(301)과 결합되어 상기 하판(300)을 상기 내입상자(100) 바닥부에 유격없이 안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덮개(200)는, 상기 내입상자(100)의 개구부 형상에 대응하여 하부가 개구된 장방형 또는 정방형의 스티로폼 재질의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입상자(100)의 개구부를 덮을 수 있게 형성된다.
상기 덮개(200)의 개구부는 스티로폼 폭(2a)의 내면쪽 1/2 폭(a)으로 a 깊이의 홈부(201)를 형성한다.
상기 덮개(200)가 상기 내입상자(100)를 덮을 때에는 상기 내입상자(100)의 연장부(102)가 상기 덮개(200)의 홈부(201)에 삽입되면서 상기 덮개(200)는 상기 내입상자(100)와 긴밀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덮개(200)의 내면 깊이는, 상기 홈부(201)의 깊이(a)와 같고, 상기 내입상자(100) 연장부(102)의 높이(a)와 동일한 a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상기 하판(300)은 스티로폼 재질로 형성되되, 도2 및 도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내입상자(100) 4면의 내면으로부터 각각 a만큼 작은 장방형 또는 정방형의 판넬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입상자(100)의 바닥 영역에 구비된다.
상기 하판(300)의 판넬 전,후변 중앙부에는 상기 내입상자(100)의 결합돌기(103)(103')를 수용할 수 있는 결합홈(301)이 각각 가로,세로 a의 크기로 각각 형성된다.
상기 하판(500)의 판넬 전,후변 중앙부에 형성된 결합홈(301)이 상기 내입상자(100) 바닥면에 형성된 결합돌기(103)(103')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하판(300)을 상기 내입상자(100) 바닥부에 유격없이 안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판(300)의 판넬에는 물의 유동이 원활할 수 있도록 임의 크기의 관통공(302)이 다수개 통공된다.
또한 상기 하판(300)은, 두께가 a인 상부의 판넬 저면에 가로,세로,높이가 a 크기인 정육면체 형상의 이격돌기(303)가 사방 4a 간격의 격자형태로 다수개 돌출 되어 일체로써 형성된다.
상기 이격돌기(303)가 사방 4a 간격의 격자형태보다 좁게 형성될 경우에는 지나치게 촘촘하여 얼음형성 공간이 작아지므로 냉각효과가 미미해지고, 상기 이격돌기(303)가 사방 4a 간격의 격자형태보다 더 넓게 형성되면 본 발명인 어상자가 외압으로부터 취약해지는 경향이 있음을 경험에 의해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 본 실시예 전체에서 언급되는 이격돌기의 크기 및 형성간격과 관통공의 크기 및 형성갯수는 상기 하판(300)에 형성되는 그것들의 크기, 형성간격 및 형성갯수의 형성기준과 같다.
한편, 상기 상판(300')은, 상기 하판(300)의 이격돌기(303)가 상부를 향하도록 상하대칭되게 상기 하판(300)을 뒤집어서 사용하면 그대로 상판(300')이 된다.
이 경우 상기 상판(300')은, 이격돌기(303')는 상부를 향하고 판넬의 평활면이 좌,우내벽(400)(400')의 상단에 얹혀져 구비되게 되는데, 상기 상판(300')의 전,후변에 형성된 결합홈(301')이 격벽(500) 상단부에 형성된 결합돌기(503)(503')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상판(300')을 상기 좌,우내벽(400)(400')의 상단에 유격없이 안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성의 편의상 상기 하판(300)과 상기 상판(300')을 서로 겸용하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따라서 상기 상판(300')의 각 구성부분의 명칭은, 도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하판(300)의 각 구성부분의 명칭에 각각 대응된다.
이때 상기 상판(300')의 이격돌기(303') 상단의 높이는 상기 내입상자(100) 개구부 상단의 높이와 일치된다.
한편, 상기 좌내벽(400)은, 도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스티로폼 재질로 된 a두께의 장방형 판넬 양단의 일정길이를 절곡하여 우측면부는 개구되고 정면부(410)와 배면부(420)와 좌측면부(430)로 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단, "ㄷ"자 형상의 절곡부보다 개구부쪽을 외향으로 약간 벌어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결합시 내입상자(100)의 각 내면과 긴밀을 유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좌내벽(400)은, 정면부(410)와 배면부(420)와 좌측면부(430)의 각 외면에는 가로,세로,높이가 a 크기인 정육면체 형상의 이격돌기(403)가 사방 4a 간격의 격자형태로 다수개 돌출 되어 일체로써 형성된다.
또한 상기 좌내벽(400)의 정면부(410)와 배면부(420)와 좌측면부(430)의 임의의 영역에는 물의 흐름을 원활히 하기 위한 관통공(402)이 다수개 통공된다.
상기 좌내벽(400)의 높이는, 상기 내입상자(100) 내면의 깊이에서 상기 스티로폼 재질 두께의 2배(4a)를 뺀 높이가 된다.
따라서 상기 내입상자(100) 내부 바닥면에 구비된 하판(300) 위에 상기 좌내벽(400)과 우내벽(400')을 안치하고 상기 좌내벽(400)과 우내벽(400')의 상단에 상기 상판(300')을 안치하였을 경우, 상기 상판(300')의 이격돌기(303') 상단의 높이와 상기 내입상자(100) 개구부의 연장부(102) 상단의 높이가 같아지게 된다.
상기 좌내벽(400)은, 좌측면부(430)의 내벽면에 다수개의 재치바(401)가 일체로서 형성된다.
상기 재치바(401)의 형성갯수는 원물상자(600)의 높이에 따라 정해진다.
상기 재치바(401)의 높이는 좌측면부(430) 내면으로부터 내입상자(100)의 중심부를 향해 a 길이만큼 돌출 형성된다.
상기 좌내벽(400)은, 정면부(410)와 배면부(420)와 좌측면부(430)의 각 외면에 돌출형성 된 이격돌기(403) 들이 상기 내입상자(100) 좌측영역의 내벽면을 따라 각각 밀착되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우내벽(400')은, 스티로폼 재질로 형성되되 상기 좌내벽(400)과 좌우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우내벽(400')의 각 구성부분의 명칭은, 상기의 좌내벽(400)의 각 구성부분의 명칭에 각각 대응되므로, 이하에서는 우내벽(400')의 각 구성부분의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상기 좌내벽의 구성부분의 도면부호에 각각 (')를 부기하여 표기함으로써 이해의 편의를 기하였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즉, 상기 우내벽(400')의 우측면부(430' 좌측면부에 대응)의 내벽에는 다수개의 재치바(401')를 일체로서 형성하고, 정면부(410')와 배면부(420')와 우측면부(430')의 각 외면에 돌출형성 된 이격돌기(403') 들이 상기 내입상자(100) 내부의 우측영역 내벽면을 따라 각각 밀착되어 구비된다.
상기 우내벽(400')은, 스티로폼 재질로 된 a두께의 장방형 판넬 양단의 일정길이를 절곡하여 좌측면부는 개구되고 정면부(410')와 배면부(420')와 우측면부(430')로 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단, "ㄷ"자 형상의 절곡부보다 개구부쪽을 외향으로 약간 벌어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결합시 내입상자(100)의 각 내면과 긴밀을 유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우내벽(400')은, 정면부(410')와 배면부(420')와 우측면부(430')의 각 외면에는 가로,세로,높이가 a 크기인 정육면체 형상의 이격돌기(403')가 사방 4a 간격의 격자형태로 다수개 돌출 되어 일체로써 형성된다.
또한 상기 우내벽(400')의 정면부(410')와 배면부(420')와 우측면부(430')의 임의의 영역에는 물의 흐름을 원활히 하기 위한 관통공(402')이 다수개 통공된다.
상기 우내벽(400')의 높이는, 상기 내입상자(100) 내면의 깊이에서 상기 스티로폼 재질 두께의 2배(4a)를 뺀 높이가 된다.
따라서 상기 내입상자(100) 내부 바닥면에 구비된 하판(300) 위에 상기 좌내벽(400)과 우내벽(400')을 안치하고 상기 좌내벽(400)과 우내벽(400')의 상단에 상기 상판(300')을 안치하였을 경우, 상기 상판(300')의 이격돌기(303') 상단의 높이와 상기 내입상자(100) 개구부의 연장부(102) 상단의 높이가 같아지게 된다.
상기 우내벽(400)은, 우측면부(430')의 내벽면에 다수개의 재치바(401')가 일체로서 형성된다.
상기 재치바(401')의 형성갯수는, 원물상자(600)의 높이에 따라 정해진다.
상기 재치바(401')는 우측면부(430') 내면으로부터 내입상자(100)의 중심부를 향해 a 길이만큼 돌출 형성된다.
상기 우내벽(400')은, 정면부(410')와 배면부(420')와 우측면부(430')의 각 외면에 돌출형성 된 이격돌기(403') 들이 상기 내입상자(100) 우측영역의 내벽면을 따라 각각 밀착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격벽(500)은, 스티로폼 재질로 형성되며, 도5 및 도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좌,우내벽(400)(400') 내면에 형성된 재치바(401)(401')에 대응되게 양면에 다수개의 재치바(501)(501')를 일체로서 형성하고 상기 내입상자(100) 좌우측 내벽면으로부터의 중앙선상에 구비되되 상기 좌내벽(400)과 우내벽(400')의 이격공간에 삽입되어 구비된다.
상기 격벽(500)의 양측 세로변 하부영역에는, 물 유동공(502)이 형성된다. 상기 물 유동공(502)은 다수개 일 수 있다.
상기 격벽(500)은, 가로폭이 a인 판넬형상이고, 세로폭은 상기 내입상자(100) 전,후면의 폭과 같고, 높이는 상기 내입상자(100)의 상단에서 내부 바닥면까지의 깊이보다 4a 만큼 작은 높이로 형성되되, 상단의 양귀부에는 2a 길이의 결합돌기(503)(503')가 상부로 a 높이만큼 연장 형성된다.
이는, 상기 내입상자(100) 바닥면에 안치된 하판(300) 위에 상기 좌내벽(400)과 우내벽(400')을 안치하고 상기 좌내벽(400)과 우내벽(400')의 상단에 상기 상판(300')을 결합할 때, 상기 상판(300')의 전,후변에 형성된 결합홈(303')이 상기 격벽(500)의 상단 양귀부에 형성된 결합돌기(503)(503')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상판(300')을 상기 좌,우내벽(400)(400')의 상단에 유격없이 결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원물상자(600)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상자형상의 페트용기(601) 내부에 생선(f 원물 原物)을 내입하고 개구부를 접착필름(602)으로 밀봉포장한 것이다.
즉, 도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세척된 장방형 또는 정방형의 페트용기(601) 내부에 원물(f)을 내입하고 용기포장기(미도시)에 의해 상기 페트용기(601)의 개구부를 접착필름(602)으로 밀봉포장함으로써 상기 원물상자(600)를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밀봉 포장에 의해 내입상자(100) 내부의 얼음이 해빙되었을 경우에도 원물(f)이 물과의 직접 접촉을 피할 수 있으므로 원물(f) 고유의 맛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원물상자(600)의 양 재치턱(603)을 상기 좌,우내벽(400)(400')의 재치바(401)(401')와 상기 격벽(500)의 재치바(501)(501')에 재치함으로써 상기 원물상자(600)를 상기 내입상자(100)의 주빙실(MR) 내부에 안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포장테이프(700)는 상기 내입상자(100)에 상기 덮개(200)를 덮고 밴딩포장하기 위해 구비된다.
상기 포장테이프(700)는 박스테이프(박스 색상의 투명테이프)이어도 무방하고 인쇄테이프(브랜드이미지, 로고 또는 광고효과 등이 인쇄된 테이프)이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내입상자(100) 내부에 적재할 적재량이 적은 경우에는, 내벽을 상기 좌내벽(400)과 우내벽(400')과 격벽(500)으로 각각 분리형성하지 않고 상하부가 개구된 중공의 사각통체내벽(미도시)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4각통체내벽(미도시) 상단에는 전후변의 중앙부에 가로,세로,높이가 a인 결합돌기(미도시)를 돌출형성한다.
상기 4각통체내벽(미도시) 상단의 결합돌기(미도시)에는 상기 상판(300')의 결합홈(301')이 결합된다.
상기 4각통체내벽(미도시) 상단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기(미도시), 그 각 외면에 형성되는 이격돌기, 관통공, 좌우측벽 내면에 돌출형성되는 재치바는 상기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본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써, 내입상자(100) 내부에 적재할 적재량이 극소량인 경우에는, 내입상자(100) 내부에 아이스팩(미도시)을 내입하고 상기 아이스팩(미도시) 상부에 원물상자(600)를 적재한 후 내입상자(100) 내부에 물을 가득 채우고 영하40℃ 조건에서 급속 냉각하여 동결시킨 후 덮개를 덮고 포장테이프(700)로 밴딩포장함으로써 본발명인 생선 탁송용 어(魚)상자의 또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완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은 본 발명인 생선 탁송용 어(魚)상자(1)의 상기 제1실시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내입상자(100) 내부 바닥면의 결합돌기(103)(103')에 하판(300)의 결합홈(301)을 결합하여 상기 하판(300)을 상기 내입상자(100) 내부 바닥면에 유격없이 안치한다.
이경우, 상기 하판(300)의 저면부에는 제6빙실(6R)이 형성되고, 상기 내입상자(100) 하부의 4내면과 상기 하판(300)의 4변 사이에는 폭a의 이격간극이 형성되게 된다.
다음 좌내벽(400)을 상기 내입상자(100) 내부의 좌측영역 내면을 따라 밀착되게 구비하고, 우내벽(400')을 상기 내입상자(100) 내부의 우측영역 내면을 따라 밀착되게 구비한다.
이경우, 상기 좌내벽(400)과 우내벽(400')은 각 외면에 돌출된 이격돌기(403)(403')에 의해 그 폭인 a만큼 상기 내입상자(100)의 4내면과 이격되게 되므로 상기 내입상자(100)의 정면부와 배면부와 좌측면부와 우측면부의 내부에는 각각 제1빙실(1R), 제2빙실(2R), 제3빙실(3R) 및 제4빙실(4R)이 형성된다.
다음 상기 내입상자(100) 내부 중앙부의 상기 좌내벽(400)과 상기 우내벽(400')의 사이간극에 격벽(500)을 삽입하여 설치한다.
다음 상기 좌,우내벽(400)(400') 내면의 재치바(401)(401')와 이에 대응되는 상기 격벽(500)의 재치바(501)(501')에 준비된 원물상자(600)를 각각 재치한다.
이때 상기 내입상자(100) 내부에 아이스팩(미도시)을 함께 내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상기 좌내벽(400)과 우내벽(400') 상단에 상판(300')을 결합하면 상기 상판(300')의 상부인 상기 내입상자(100)의 상부영역에는 제5빙실(5R)이 형성된다.
상기 상판(300')은 상기 하판(300)과 상하대칭되는 것이므로 상기 하판(300)을 뒤집어서 이격돌기(303')가 상부를 향하도록 결합하면 된다.
상기 상판(300')의 각 결합홈(301')을 상기 격벽(500) 상단 양귀부에 형성된 결합돌기(503)(503')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상판(300')을 상기 좌내벽(400)과 우내벽(400')의 상단에 유격없이 결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결합체는, 원물상자(600)가 재치된 내부 중공부와 정면부, 배면부, 좌측면부, 우측면부, 평면부 및 저면부에 각각 주빙실(MR), 제1빙실(1R), 제2빙실(2R), 제3빙실(3R), 제4빙실(4R), 제5빙실(5R) 및 제6빙실(6R)을 형성하게 된다.
다음 상기 결합체의 상판(300') 위에 물을 주입한다.
이때 주입되는 물은 상기 상판(300')의 이격돌기(303')가 잠길 때까지 주입하게 된다.
상기 상판(300') 상부에 주입되는 물은 상기 상판(300')의 관통공(302'), 상기 좌내벽(400)의 관통공(402), 상기 우내벽(400')의 관통공(402'), 상기 격벽(500)의 관통공(502), 상기 격벽(500)의 물유동공(504) 및 하판(300)의 관통공(302)을 통한 원활한 유동과 상기 상판(500') 4변의 외측영역으로 흘러너치며 유동하여 상기 주빙실(MR), 제1빙실(1R), 제2빙실(2R), 제3빙실(3R), 제4빙실(4R), 제5빙실(5R) 및 제6빙실(6R)을 가득채우게 된다.
상기와 같이 물이 채워진 결합체를, 생선의 조직은 유지되면서도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영하40℃ 조건에서 급속 냉각하여 동결시킨 후 덮개(200)를 덮고 결합부위를 포장테이프(700)로 밴딩포장함으로써 본발명인 생선 탁송용 어(魚)상자의 구성을 완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동결된 생선 탁송용 어(魚)상자는, 주빙실(MR)과 제1빙실(1R), 제2빙실(2R), 제3빙실(3R), 제4빙실(4R), 제5빙실(5R) 및 제6빙실(6R)의 물이 얼게 되므로, 원물(F)이 내입된 주빙실(MR)의 주빙괴를 둘러싸고 있는 정,배,좌,우,평,저면부의 스틸로폼면 외부를, 빙면에 의해 다시한번 둘러싸게 되는 것이므로, 내입상자(100) 외부에서 전해지는 열기로부터 원물상자를 둘러싸고 있는 주빙괴의 해빙을 지연시켜주게되어 주빙괴 속에 안치되어 있는 원물상자 속 원물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한 채 주문자에게 안전하게 배송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 언급된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인 생선 탁송용 어(魚)상자 (1)의 구성과 작용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가하는 것이 항상 가능하다. 또한 첨부된 청구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하는 것임은 극히 자명한 것이다.
1. 생선 탁송용 어(魚)상자 f : 생선,생물,원물(原物)
100 내입상자 (101은 생략됨) 102 연장부 103,103' 결합돌기
200 덮개 201 홈부
300 하판 301 결합홈 302 관통공 303 이격돌기
300' 상판 301' 결합홈 302' 관통공 303' 이격돌기
400 좌내벽 401 재치바 402 관통공 403 이격돌기
410 정면부 420 배면부 430 좌측면부
400' 우내벽 401' 재치바 402' 관통공 403' 이격돌기
410' 정면부 420' 배면부 430' 우측면부
500 격벽 501,501' 재치바 502 관통공 503,503' 결합돌기 504 물유동공
600 원물상자 601 페트용기 602 접착필름 603 재치턱
700 포장테이프
MR 주빙실 1R : 제1빙실 2R : 제2빙실 3R : 제3빙실 4R : 제4빙실 5R : 제5빙실 6R : 제6빙실

Claims (10)

  1. 상부가 개구된 장방형 또는 정방형의 상자형상으로 형성되는 스티로폼 재질의 내입상자(100)와; 하부가 개구된 장방형 또는 정방형의 상자형상으로 형성되되 개구부는 상기 내입상자(100)의 개구부에 결합될 수 있는 대응형상으로 형성되는 스티로폼 재질의 덮개(200)와; 상기 내입상자(100) 바닥면에 구비되는 스티로폼 재질의 하판(300)과; 상기 하판(300)과 상하대칭되게 형성되어 상기 내입상자(100) 상부영역에 구비되는 스티로폼 재질의 상판(300')과;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입상자(100) 내부의 좌측영역 내벽을 따라 밀착구비되는 스티로폼 재질의 좌내벽(400)과; 상기 좌내벽(400)과 좌우대칭되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입상자(100) 내부의 우측영역 내벽을 따라 밀착구비되는 스티로폼 재질의 우내벽(400')과; 판형으로 형성되되 양면에 각각 다수개의 재치바(501)를 일체로서 돌출 형성하고 상기 좌내벽(400)과 우내벽(400')의 이격부에 삽입결합되는 스티로폼 재질의 격벽(500)과; 원물(f)을 내입하고 주빙실(MR) 내부에 안치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원물상자(600)와; 상기 내입상자(100)와 상기 덮개(200)의 결합부를 밴딩포장하기 위한 포장테이프(7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 탁송용 어(魚)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300)은, 상기 내입상자(100) 4면의 내면으로부터 각각 a만큼 작은 스티로폼 재질의 장방형 또는 정방형의 판넬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입상자(100)의 바닥 영역에 구비되되, 상기 하판(300)의 판넬의 전,후변 중앙부에는 상기 내입상자(100)의 결합돌기(103)(103')를 수용할 수 있는 가로,세로 a크기의 결합홈(301)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하판(300)의 판넬에는 물의 유동이 원활할 수 있도록 임의 크기의 관통공(302)이 다수개 통공되고, 상기 하판(300)의 판넬 저면에는, 가로,세로,높이가 a 크기인 정육면체 형상의 이격돌기(303)가 사방 4a 간격의 격자형태로 다수개 돌출되어 일체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 탁송용 어(魚)상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300')은, 상기 하판(300)과 상하대칭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 탁송용 어(魚)상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내벽(400)은, 상기 내입상자(100) 내면의 깊이에서 상기 스티로폼 재질 두께의 2배(4a)를 뺀 높이의 스티로폼 재질로 된 a 두께의 장방형 판넬 양단의 일정길이를 절곡하여 우측면부는 개구되고 정면부(410)와 배면부(420)와 좌측면부(430)로 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좌측면부(430)의 내벽면에는 다수개의 재치바(401)가 일체로서 형성되고, 상기 정면부(410)와 배면부(420)와 좌측면부(430)의 임의의 영역에는 물의 흐름을 원활히 하기 위한 관통공(402)이 다수개 통공되고, 각 외면에는 가로,세로,높이가 a 크기인 정육면체 형상의 이격돌기(403)가 사방 4a 간격의 격자형태로 다수개 돌출되어 일체로써 형성되어, 정면부(410)와 배면부(420)와 좌측면부(430)의 각 외면에 돌출형성 된 이격돌기(403) 들이 상기 내입상자(100) 좌측영역의 내벽면을 따라 각각 밀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 탁송용 어(魚)상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내벽(400')은, 상기 좌내벽(400)과 좌우대칭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 탁송용 어(魚)상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내벽(400)과 상기 우내벽(400')은, "ㄷ"자 형상의 절곡부보다 개구부쪽이 외향하여 약간 벌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 탁송용 어(魚)상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500)은, 가로폭은 a이고, 세로폭은 상기 내입상자(100) 전,후면의 폭과 같고, 높이는 상기 내입상자(100)의 상단에서 내부 바닥면까지의 깊이보다 4a 만큼 작은 높이의 스티로폼 재질의 판넬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좌,우내벽(400)(400')에 형성된 재치바(401)(401')에 대응되게 양면에 다수개의 재치바(501)(501')를 일체로서 돌출 형성하고, 양측 세로변 하부영역에는 한 개 또는 다수개의 물 유동공(502)이 형성되고, 상단의 양귀부에는 2a 길이의 결합돌기(503)(503')가 상부로 a 높이만큼 연장 형성되어, 상기 내입상자(100) 좌우측 내벽면으로부터의 중앙선상인 상기 좌내벽(400)과 우내벽(400')의 이격공간에 삽입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 탁송용 어(魚)상자
  8. 상부가 개구된 장방형 또는 정방형의 상자형상으로 형성되는 스티로폼 재질의 내입상자(100)와; 하부가 개구된 장방형 또는 정방형의 상자형상으로 형성되되 개구부는 상기 내입상자(100)의 개구부에 결합될 수 있는 대응형상으로 형성되는 스티로폼 재질의 덮개(200)와; 상기 내입상자(100) 바닥면에 구비되는 스티로폼 재질의 하판(300)과; 상기 하판(300)과 상하대칭되게 형성되어 상기 내입상자(100) 상부영역에 구비되는 스티로폼 재질의 상판(300')과; 전후변의 상단 중앙부에 가로,세로,높이가 a인 결합돌기(미도시)를 돌출형성하고, 각 외면에는 가로,세로,높이가 a 크기인 정육면체 형상의 이격돌기(미도시)가 사방 4a 간격의 격자형태로 다수개 돌출되고, 좌우측벽 내면에는 각각 다수개의 재치바가 돌출형성된 스티로폼 재질의 중공의 4각통체내벽(미도시)과; 원물(f)을 내입하고 주빙실(MR) 내부에 안치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원물상자(600)와; 상기 내입상자(100)와 상기 덮개(200)의 결합부를 밴딩포장하기 위한 포장테이프(7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 탁송용 어(魚)상자
  9. 삭제
  10. 제1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입상자(100)의 내부에는 물을 가득 채우고 영하40℃ 조건에서 급속 냉각하여 동결시킨 후 덮개(200)를 덮고 포장테이프(700)로 밴딩포장하여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 탁송용 어(魚)상자
KR1020130079323A 2013-07-06 2013-07-06 생선 탁송용 어(魚)상자 KR101530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9323A KR101530894B1 (ko) 2013-07-06 2013-07-06 생선 탁송용 어(魚)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9323A KR101530894B1 (ko) 2013-07-06 2013-07-06 생선 탁송용 어(魚)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5392A KR20150005392A (ko) 2015-01-14
KR101530894B1 true KR101530894B1 (ko) 2015-06-22

Family

ID=52477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9323A KR101530894B1 (ko) 2013-07-06 2013-07-06 생선 탁송용 어(魚)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08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473B1 (ko) * 2019-12-20 2021-09-01 (주)페이퍼월드 분할가능한 내부공간을 가지는 음식물 포장용 상자
USD993703S1 (en) 2023-02-10 2023-08-01 Luhao Leng Spring modu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9108Y1 (ko) * 2003-01-09 2003-03-29 강용호 신선도 유지용 포장박스
KR20070015320A (ko) * 2005-07-30 2007-02-02 나철주 보냉기능을 가지는 포장박스
JP2007523803A (ja) * 2003-07-07 2007-08-23 ロドニー・エム・デリフィールド 断熱輸送コンテナ
KR20100058235A (ko) * 2008-11-24 2010-06-03 지피에스코리아(주) 보냉 보온 기능을 갖는 포장상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9108Y1 (ko) * 2003-01-09 2003-03-29 강용호 신선도 유지용 포장박스
JP2007523803A (ja) * 2003-07-07 2007-08-23 ロドニー・エム・デリフィールド 断熱輸送コンテナ
KR20070015320A (ko) * 2005-07-30 2007-02-02 나철주 보냉기능을 가지는 포장박스
KR20100058235A (ko) * 2008-11-24 2010-06-03 지피에스코리아(주) 보냉 보온 기능을 갖는 포장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5392A (ko) 2015-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98215B2 (en) Method of packing a temperature controlled product
US523581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and distributing materials
US3236206A (en) Package for shipping tropical fish
US9045278B2 (en) Insulated shipping contain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2007118972A (ja) 定温保冷ボックスと定温保冷方法
KR101486018B1 (ko) 보냉 보온 기능을 갖는 포장상자
KR101530894B1 (ko) 생선 탁송용 어(魚)상자
WO2014067927A1 (en) Container for temperature sensitive materials
KR200456979Y1 (ko) 보냉 포장상자
KR20120002901A (ko) 냉장 보관용 포장체
KR20200000823U (ko) 보온 및 보냉이 가능한 포장박스
JP2007030952A (ja) 発泡合成樹脂容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ロケット包装体の収納方法
KR200488477Y1 (ko) 제품 배송용 단열 용기
KR200472662Y1 (ko) 포장용 보냉 박스
JP5959705B1 (ja) 蓄冷熱材の使用方法、包装体、及び蓄冷熱材
KR101513214B1 (ko) 발포폴리스티렌 포장상자
JP2000159271A (ja) 保冷容器
WO2015063820A1 (ja) 断熱箱
JP4781913B2 (ja) 発泡樹脂製保冷容器及び保冷方法
KR200465407Y1 (ko) 냉장유지보조품 보관부가 분리구획된 공기튜브식 보조용기
KR20070015320A (ko) 보냉기능을 가지는 포장박스
JP2016052910A (ja) 製氷可能な発泡箱
JP2547635Y2 (ja) 鮮度保持用輸送容器
KR200488834Y1 (ko) 식품보관용 냉장용기
KR20110086315A (ko) 수산물 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