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662Y1 - 포장용 보냉 박스 - Google Patents

포장용 보냉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662Y1
KR200472662Y1 KR2020120003934U KR20120003934U KR200472662Y1 KR 200472662 Y1 KR200472662 Y1 KR 200472662Y1 KR 2020120003934 U KR2020120003934 U KR 2020120003934U KR 20120003934 U KR20120003934 U KR 20120003934U KR 200472662 Y1 KR200472662 Y1 KR 2004726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body
wall
box
spou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39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6675U (ko
Inventor
김대웅
김정
Original Assignee
김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 filed Critical 김정
Priority to KR20201200039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662Y1/ko
Publication of KR201300066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6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6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6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02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ice, e.g. ice-boxes
    • F25D3/06Movable containers
    • F25D3/08Movable containers portable, i.e. adapted to be carried person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Zo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산물, 농산물, 축산물, 유제품 등과 같이 신선도를 유지해야 하는 식품 또는 냉장/냉동을 요하는 기타 제품의 유통 시, 해당 상품을 안전하게 포장하여 일정 시간 동안 신선도 또는 냉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포장용 보냉 박스에 관한 것으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포장용 보냉 박스는, 측부와 바닥부 전체가 서로 일정 간격을 갖는 내벽과 외벽의 이중벽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벽과 외벽의 사이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부의 내벽과 외벽 사이에 위치한 중공부의 상부를 덮는 상판이 형성되며, 중앙부에 상기 측부 및 바닥부의 내벽에 의해 형성된 수납공간을 갖는 제1 박스 몸체; 및 상기 제1 박스 몸체와 동일한 구조로 상기 제1 박스 몸체와 한 쌍을 이루는 제2 박스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의 제1 지점에는 상기 중공부로 통하는 주입구를 갖는 돌출 주둥이가 형성되고, 상기 상판의 제2 지점에는 상기 돌출 주둥이에 대응하는 삽입 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박스 몸체와 상기 제2 박스 몸체의 결합 시, 상기 제1 박스 몸체의 돌출 주둥이가 상기 제2 박스 몸체의 삽입 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2 박스 몸체의 돌출 주둥이가 상기 제1 박스 몸체의 삽입 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포장용 보냉 박스{Cooling Box for Packing}
본 고안은 포장용 보냉 박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산물, 농산물, 축산물, 유제품 등과 같이 신선도를 유지해야 하는 식품 또는 냉장/냉동을 요하는 기타 제품의 유통 시, 해당 상품을 안전하게 포장하여 일정 시간 동안 신선도 또는 냉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포장용 보냉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동 또는 냉장을 요하는 제품을 수용하기 위한 포장박스는 농산물, 수산물, 축산물, 유제품 등과 같은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하거나, 백신(vaccine) 등의 의료품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보관하거나 운송하기 위하여 필요한 포장 수단이다.
최근 인터넷과 택배 산업의 발달로 인해 일반 가정에서도 온라인상으로 소량의 냉장/냉동 제품을 주문하고, 주문된 냉장/냉동 제품을 택배로 배송 받는 형태의 운송 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나, 소량으로 주문된 모든 냉장/냉동 제품을 일반가정에 냉장/냉동차를 이용하여 운반하는 것은 비용 상 불가능한 실정이다. 따라서 소량의 냉장/냉동 제품을 냉장/냉동차를 이용하지 않고 일정 시간 이상 냉장/냉동된 상태로 고객에게 운반할 수 있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초창기에는 일반적인 박스 형태로 일정시간 동안 냉장/냉동된 상태로 운반하기 위해 박스 안에 얼음을 채우는 방식을 사용 하였으나, 일반 가정으로 운반되면 박스내에 물이 차거나 그 물이 흘러내려 제품의 가치를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내부에 고 흡수성 폴리머 재를 소정량 수용한 상태로 제작된 아이스 팩(Ice Pack)을 얼음 대신 사용함으로써 용해가 되더라도 밖으로 흘러넘치는 일이 없어 냉장/냉동 제품의 가치를 신선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었다.
하지만, 상기한 아이스 팩도 박스의 바닥에 깔거나 박스에 냉장/냉동 제품을 채우고 그 위에 올려놓고 사용하기 때문에 외관상 보기 좋지 않을 뿐더러 냉장/냉동 제품이 수납될 공간이 부족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박스와 아이스 팩이 별도로 구분되어 있어서 고객입장에서는 가정에서 배달 받은 냉장/냉동 제품을 사용한 후 아이스 팩이 쓰레기가 되어 이를 처리하는 데 소요되는 부대비용 및 환경오염의 문제가 발생하였고, 운송업자는 냉장/냉동 제품을 박스에 채워 넣을 때 해당 제품과 아이스 팩을 동시에 구비하고 포장해야 하는 작업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보냉 유지 물질과 제품을 격리하여 제품만의 별도 수납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고, 보냉 유지 물질로 물을 주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박스와 뚜껑의 구조에 차이를 두지 않고 한 쌍의 동일한 구조로 만들고, 그 한 쌍의 박스와 뚜껑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면서 결합 시 서로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며, 보냉 박스로 반복적인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된, 포장용 보냉 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포장용 보냉 박스는, 측부와 바닥부 전체가 서로 일정 간격을 갖는 내벽과 외벽의 이중벽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벽과 외벽의 사이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부의 내벽과 외벽 사이에 위치한 중공부의 상부를 덮는 상판이 형성되며, 중앙부에 상기 측부 및 바닥부의 내벽에 의해 형성된 수납공간을 갖는 제1 박스 몸체; 및 상기 제1 박스 몸체와 동일한 구조로 상기 제1 박스 몸체와 한 쌍을 이루는 제2 박스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의 제1 지점에는 상기 중공부로 통하는 주입구를 갖는 돌출 주둥이가 형성되고, 상기 상판의 제2 지점에는 상기 돌출 주둥이에 대응하는 삽입 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박스 몸체와 상기 제2 박스 몸체의 결합 시, 상기 제1 박스 몸체의 돌출 주둥이가 상기 제2 박스 몸체의 삽입 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2 박스 몸체의 돌출 주둥이가 상기 제1 박스 몸체의 삽입 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돌출 주둥이의 주입구를 개폐하는 뚜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은 상기 제1 또는 제2 박스 몸체의 세로 또는 가로 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지점일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돌출 주둥이 및 상기 삽입 홈은 각각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바닥부의 내벽과 외벽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체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 주둥이의 주입구를 통해 상기 중공부내로 보냉 물질이 충진elf 수 있고, 상기 보냉 물질은 물이 주입되어 얼음으로 냉동될 수 있다.
상기 보냉 물질은, 예를 들어, 물, 고흡수성 수지,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각각을 사용하거나, 물과 고흡수성 수지의 혼합물 또는 물과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박스 몸체는, 일 예로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다른 예로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플라스틱 재질은, 일 예로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폴리에틸렌(PE, poly ethylene),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폴리염화비닐(PVC, polyvinyl chloride), 폴리스틸렌(PS, polystyren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다른 예로 열경화성 플라스틱으로 페놀수지(phenol resin), 요소수지(urea resin), 멜라민수지(melamine resin), 에폭시수지(epoxy resin)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양한 측면에 따르면, 보냉 유지 물질과 제품을 완벽히 격리하므로 서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제품만의 별도 수납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보냉 유지 물질로 주위의 물을 주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누구나 이용하기 쉽고 친환경적이며 별도의 보냉제 구입 등이 필요 없고, 박스와 뚜껑의 구조에 차이를 두지 않고 한 쌍의 동일한 구조로 만들어 제조 공정 및 비용이 단축되고, 돌출 주둥이 및 삽입 홈의 특징에 의해 별도의 결합 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박스와 뚜껑간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면서 양자 결합 시 서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환경 친화적으로 반복적인 재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보냉 박스에서 수납용 박스 또는 덮개용 박스로 사용되는 박스 몸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박스 몸체의 세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도 1의 C-C선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도 1의 박스 몸체 2개를 한 쌍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보냉 박스를 구성하는 것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8은 도 6의 D-D선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였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 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보냉 박스에서 수납용 박스(또는 박스라 칭함) 또는 덮개용 박스(또는 뚜껑이라 칭함)로 사용되는 박스 몸체(100,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박스 몸체(100,100')의 세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도 1의 C-C선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보냉 박스에서 수납용 박스 또는 덮개용 박스로 사용되는 박스 몸체(100,1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히 도 2를 참조로 보면, 이중벽으로서의 외벽(110)과 내벽(120), 및 외벽(100)과 내벽(100')간의 상부를 덮는 상판(1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외벽(110), 내벽(120), 및 상판(130)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서로 구분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제조 방식에 따라 서로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다른 구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외벽(110)은 바닥부를 이루는 바닥면(111)과 그 바닥면(111)의 측부를 둘러싸는 측면(112)을 가지고 상부가 개방된 구조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내벽(120)은 바닥부를 이루는 바닥면(121)과 그 바닥면(121)의 측부를 둘러싸는 측면(122)을 가지고 상부가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어 외벽(110)의 내측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외벽(110)과 내벽(120)은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갖는 이중벽의 구조로 형성되어, 그 외벽(110)과 내벽(120)의 사이에 중공부(14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판(130)은 외벽(110)과 내벽(120)간의 상부를 덮어 중공부(140)를 밀폐하도록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박스 몸체(100,100')는 측부와 바닥부 전체의 내벽(120)과 외벽(110) 사이에 중공부(140)가 형성되고, 중앙부에 내벽(120)의 바닥면(121)과 측면(122)에 의해 둘러싸인 수납공간(150)이 형성되며, 그 수납공간(150)의 상부가 개방된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전술된 상판(130)의 일측(이하 제1 지점이라 칭함)에는 중공부(140)로 통하는 주입구(161)를 갖는 돌출 주둥이(160)가 형성되고, 돌출 주둥이(160)의 주입구(161)를 개폐하는 뚜껑(162)이 형성되며, 그 상판(130)의 타측(이하 제2 지점이라 칭함)에는 돌출 주둥이(160)에 대응하는 삽입 홈(170)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뚜껑(162)은 일반적으로 음료수 병 등에 많이 사용되는 돌려서 빼고 끼는 트위스트형 뚜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삽입 홈(170)은 예를 들어 돌출 주둥이(160)와 동일한 형태 및 크기의 돌출체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형태 및 크기로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 따른 돌출 주둥이(160)와 삽입 홈(170)이 형성되는 위치로서의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은 박스 몸체(100,100')의 세로 또는 가로 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지점일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돌출 주둥이(160)와 삽입 홈(170)은 박스 몸체(100,100')의 가상의 세로 중심선(10)에 대해 서로 대칭인 곳의 상판(300) 부위에 각각 형성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박스 몸체(100,100')에 돌출 주둥이(160) 및 삽입 홈(170)이 각각 하나씩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2개 이상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박스 몸체(100,100')의 바닥부를 형성하는 내벽(120)의 바닥면(121)과 외벽(110)의 바닥면(111) 사이에는 이들(111,121)간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체(180)가 형성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내벽(120)의 바닥면(121)의 하면 양측에 중심선(10)과 평행하게 2개의 지지체(181,182: 18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돌출 주둥이(160)의 주입구(161)를 통해 중공부(140)내로 보냉 물질이 충진될 수 있는데, 보냉 물질은 예를 들어 물, 고흡수성 수지,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각각을 사용하거나, 물과 고흡수성 수지의 혼합물 또는 물과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물을 보냉 물질로 중공부(140)내에 충진하고 얼음 상태로 냉동시켜 사용할 수 있는 특장점이 있으므로, 보냉 물질이 얼음 상태에서 일부 또는 전부가 물로 녹으면 일정 시간 동안 시원한 식수 등으로 사용할 수 있고, 필요 시 물을 필요한 양만큼 재충진하고 얼음 상태로 다시 냉동시켜 반복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박스 몸체(100,100')는 일 예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거나, 다른 예로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플라스틱 재질은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폴리에틸렌(PE, poly ethylene),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폴리염화비닐(PVC, polyvinyl chloride), 폴리스틸렌(PS, polystyren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거나, 열경화성 플라스틱으로 페놀수지(phenol resin), 요소수지(urea resin), 멜라민수지(melamine resin), 에폭시수지(epoxy resin)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도 1의 박스 몸체 2개를 한 쌍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보냉 박스를 구성하는 것을 설명하는 사시도로, 도 6은 한 쌍의 박스 몸체(100,100')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한 쌍의 박스 몸체(100,100')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6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박스 몸체(이하 제1 박스 몸체라 칭함)(100) 및 그 제1 박스 몸체(100)와 동일한 구조의 다른 하나의 박스 몸체(이하 제2 박스 몸체라 칭함)(100')를 구비하고, 한 쌍을 이루는 제1 박스 몸체(100)와 제2 박스 몸체(100')를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보냉 박스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박스와 뚜껑의 구조에 차이를 두지 않고 한 쌍의 동일한 구조로 만들기 때문에 제조 공정 및 비용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을 이루는 제1 박스 몸체(100)와 제2 박스 몸체(100')의 결합 시 제1 박스 몸체(100)의 돌출 주둥이(160)가 제2 박스 몸체(100')의 삽입 홈(170')에 삽입되고, 제2 박스 몸체(100')의 돌출 주둥이(160')가 제1 박스 몸체(100)의 삽입 홈(170)에 삽입되어 결합되기 때문에, 제1,2 박스몸체(100,100')의 결합 후 서로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돌출 주둥이 및 삽입 홈의 특징에 의해 별도의 결합 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박스와 뚜껑간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면서 양자 결합 시 서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100': 박스 몸체
110: 박스 몸체의 외벽
111: 외벽의 바닥면
112: 외벽의 측면
120: 박스 몸체의 내벽
121: 내벽의 바닥면
122: 내벽의 측면
130: 박스 몸체의 상판
140: 중공부
150: 수납공간
160; 돌출 주둥이
161: 주입구
162: 뚜껑
170: 삽입 홈
180,181,182: 지지체

Claims (12)

  1. 측부와 바닥부 전체가 서로 일정 간격을 갖는 내벽과 외벽의 이중벽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벽과 외벽의 사이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부의 내벽과 외벽 사이에 위치한 중공부의 상부를 덮는 상판이 형성되며, 중앙부에 상기 측부 및 바닥부의 내벽에 의해 형성된 수납공간을 갖는 제1 박스 몸체; 및
    상기 제1 박스 몸체와 동일한 구조로 상기 제1 박스 몸체와 한 쌍을 이루는 제2 박스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의 제1 지점에는 상기 중공부로 통하는 주입구를 갖는 돌출 주둥이가 형성되고, 상기 상판의 제2 지점에는 상기 돌출 주둥이에 대응하는 삽입 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박스 몸체와 상기 제2 박스 몸체의 결합 시, 상기 제1 박스 몸체의 돌출 주둥이가 상기 제2 박스 몸체의 삽입 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2 박스 몸체의 돌출 주둥이가 상기 제1 박스 몸체의 삽입 홈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은 상기 제1 또는 제2 박스 몸체의 세로 또는 가로 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지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보냉 박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주둥이의 주입구를 개폐하는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보냉 박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주둥이 및 상기 삽입 홈은 각각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보냉 박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내벽과 외벽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보냉 박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주둥이의 주입구를 통해 상기 중공부내로 보냉 물질이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보냉 박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냉 물질은 물이 주입되어 얼음으로 냉동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보냉 박스.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냉 물질은 물, 고흡수성 수지,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각각을 사용하거나, 물과 고흡수성 수지의 혼합물 또는 물과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보냉 박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박스 몸체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보냉 박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재질은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폴리에틸렌(PE, poly ethylene),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폴리염화비닐(PVC, polyvinyl chloride), 폴리스틸렌(PS, polystyren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보냉 박스.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재질은 열경화성 플라스틱으로 페놀수지(phenol resin), 요소수지(urea resin), 멜라민수지(melamine resin), 에폭시수지(epoxy resin)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보냉 박스.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박스 몸체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보냉 박스.
KR2020120003934U 2012-05-11 2012-05-11 포장용 보냉 박스 KR2004726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934U KR200472662Y1 (ko) 2012-05-11 2012-05-11 포장용 보냉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934U KR200472662Y1 (ko) 2012-05-11 2012-05-11 포장용 보냉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675U KR20130006675U (ko) 2013-11-20
KR200472662Y1 true KR200472662Y1 (ko) 2014-05-13

Family

ID=51489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3934U KR200472662Y1 (ko) 2012-05-11 2012-05-11 포장용 보냉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66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823U (ko) 2018-10-16 2020-04-24 이용숙 보온 및 보냉이 가능한 포장박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9303B1 (ko) * 2021-05-03 2021-12-14 김성기 냉장기능을 구비한 아이스박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03474U (ko) * 1979-12-29 1981-08-13
JP2003014354A (ja) * 2001-07-02 2003-01-15 Yoko Tanaka 熱い物がすぐに冷凍できる容器
JP2004123146A (ja) * 2002-09-30 2004-04-22 Kyoraku Co Ltd 二重壁容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03474U (ko) * 1979-12-29 1981-08-13
JP2003014354A (ja) * 2001-07-02 2003-01-15 Yoko Tanaka 熱い物がすぐに冷凍できる容器
JP2004123146A (ja) * 2002-09-30 2004-04-22 Kyoraku Co Ltd 二重壁容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823U (ko) 2018-10-16 2020-04-24 이용숙 보온 및 보냉이 가능한 포장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675U (ko) 2013-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96053B1 (en) Insulated shipping contain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0989460B2 (en) Temperature controlled product shipper
CA2645714A1 (en) Ice holding device
KR200472662Y1 (ko) 포장용 보냉 박스
WO2014067927A1 (en) Container for temperature sensitive materials
KR20200000823U (ko) 보온 및 보냉이 가능한 포장박스
KR101947386B1 (ko) 보냉 포장상자
KR20130058334A (ko) 다단 적층식 스티로폼 보냉 포장용기
WO2017049338A1 (en) Multi-compartmental foldable container
JP6854142B2 (ja) 果実輸送箱
KR101530894B1 (ko) 생선 탁송용 어(魚)상자
KR102319485B1 (ko) 친환경 포장박스
KR101569517B1 (ko) 포장용기 내부에 포크보관부를 구성한 플라스틱시트 성형 포장용기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80003115U (ko) 제품 배송용 단열 용기
US11247835B2 (en) Collection and feeding bottle container
KR101513214B1 (ko) 발포폴리스티렌 포장상자
EP3381833B1 (en) Kimchi packing container having flexibility and standard form
KR20070015320A (ko) 보냉기능을 가지는 포장박스
KR101646059B1 (ko) 냉장 및 냉동 보관용 저장용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하는 배송 대상물의 분류방법
CN105758082A (zh) 冷链保存运输箱
KR101982638B1 (ko) 신선제품 운송을 위한 슈퍼칠링 패키징 시스템
KR20100129820A (ko) 아이스 팩 기능이 내장된 물품 수납 상자
KR101137963B1 (ko) 수박 포장 상자
JP2016052910A (ja) 製氷可能な発泡箱
JP2018095305A (ja) 断熱容器を用いた輸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