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4228A - 조리기구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조리기구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4228A
KR20220034228A KR1020227005250A KR20227005250A KR20220034228A KR 20220034228 A KR20220034228 A KR 20220034228A KR 1020227005250 A KR1020227005250 A KR 1020227005250A KR 20227005250 A KR20227005250 A KR 20227005250A KR 20220034228 A KR20220034228 A KR 20220034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oking vessel
cooking
container
appli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5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미르 테라니
재커리 로즈너
Original Assignee
라곰 키친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곰 키친 컴퍼니 filed Critical 라곰 키친 컴퍼니
Priority to KR20202370000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1672U/ko
Publication of KR20220034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42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47J27/13Tie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47J36/08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for draining liquids from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20Perforated bases or perforated containers to be placed inside a cooking utensil ; Draining baskets, inserts with separation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 A47J43/288Spatulas; Scrapers; Multi-purpose hand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1Saucepan, frying-pan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kers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조리기구 어셈블리는, 내부, 외부, 용기 측벽 및 외부로부터 바깥으로 연장된 긴 손잡이를 포함하는 조리 용기, 커버, 및 긴 손잡이 위의 용기 측벽 및 커버 중 적어도 하나에 개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리기구 어셈블리
관련출원에 대한 상호참조
본 출원은 2019년 7월 17일에 출원된 미국 출원 16/513,966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일부 계속 출원이며, 이의 내용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조리기구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기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구는 부피가 커서 보관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특히 상이한 종류의 요리 준비가 예상되는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다양하게 상이한 요리 준비를 가능하게 하려면, 주로 독립적으로 판매되는 수많은 조리기구 품목이 필요한 것이 일반적이다. 이들 상이하고 독립적인 조리기구 품목은 자주 다른 조리기구 품목과 항상 잘 작동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야채를 조리하려면, 팬, 커버, 조리하는 동안 식품을 조작하는 기구, 사용하지 않을 때 기구가 조리대 위에 놓이지 않도록 하는 스푼 받침대, 그리고 잠재적으로 찜기, 이중 냄비 등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하게 상이한 조리 환경에 적응할 수 있고 다용도이며 다양한 요리 준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조리기구 어셈블리가 필요하다. 다수의 필수 가전 제품을 포함하고 조리기구를 적절하게 사용하기 위해 추가 구성 요소가 필요하지 않은, 조리기구 어셈블리가 또한 필요하다.
본 발명은 조리 용기, 커버, 및 선택적으로 기구를 포함하는 조리기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리기구 어셈블리는, 다양하게 상이한 조리 작업을 보조하기 위해, 보조 용기, 삼발이 및/또는 다른 구성품 피스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리 용기는 바람직하게는 바닥, 및 바닥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측벽을 포함하고, 내부와 외부를 갖는다. 조리 용기는 단일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거나 적층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내부 및 외부에 동일하거나 다른 재료가 있고 선택적으로 그 사이에 층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래딩 재료는, 조리 용기의 바닥 내부에 열 분포를 고르게 보조하는 구리 또는 알루미늄 층을 포함하는 조리 용기의 바닥에 사용될 수 있으며, 동시에 조리 용기 내부에 선호되는 조리 표면을 제공한다.
긴 손잡이는 조리 용기의 측벽에서 연장된다. 긴 손잡이는 바람직하게는, 기구 및 체결 부재의 손잡이를 중첩시키거나 안착시키기 위해, 상부 표면 상의 표면, 채널, 홈통 또는 기타 지지 구조를 포함한다. 포스트, 함몰부, 애퍼처, 자석, 자기 요소 등과 같이 바람직한 연장 속성의 체결 부재는, 조리 용기에 대해 원하는 위치에 기구를 유지하기 위해, 애퍼처, 함몰부, 연장부 또는 포스트, 자석, 자기 요소 등의 바람직한 성질로 대향하는 해당 체결 부재를 기구 상에서 체결한다. 기구는, 조리 용기에 기구를 배치하고 고정하기 위해, 도그, 그루브 등과 같은 다른 특징부를 선택적으로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조리 용기 손잡이는, 손상된 경우 교체를 위해, 탈착식일 수 있거나 탈착식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조리 용기는 손잡이 위의 영역에서 측벽의 상부 에지의 일부를 따라 절개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절개부의 치수는, 바람직하게는 기구가 조리 용기의 체결 부재에 체결되는 경우에 벽에 대응하는 기구 부분의 치수와 일치한다. 따라서, 기구의 도구는 조리 용기의 내부 위로 유지되고, 기구 손잡이는, 기구가 조리 용기에 체결될 경우에 조리 용기의 긴 손잡이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조리 용기의 측벽의 상부 에지는 하나 이상의 추가 절개부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절개부로부터 쏟아지는 것을 위해 측벽 상의 주둥이와 연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액체를 쏟아내기 위한 주둥이는, 바람직하게는 손잡이에 직각인 조리 용기 측벽의 적어도 하나의 상부 에지에 있는 절개부로부터 바깥으로 연장된다.
조리 용기는, 바람직하게는 긴 손잡이 반대의 측벽 상에 지지 손잡이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것은, 두 손으로 조리 용기를 들어 올리거나 부을 수 있도록, 추가 지원을 제공한다.
커버는, 바람직하게는 상부 표면, 상부 표면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커버 손잡이, 조리 용기 상의 커버를 위치 설정하고 유지하기 위한 립, 및 선택적으로 상부 표면 주위에서 하향 연장되는 림을 포함한다. 커버가 림을 포함하는 경우, 립은 림 상에 오목한 에지 형태일 수 있고, 커버가 에지에서 비교적 평평한 경우, 립은 돌출부로서 커버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림의 립은, 사용 또는 보관 중에 조리 용기 내부에 끼워맞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커버 상부의 내부 표면은 텍스처링되어, 커버 상부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다시 조리 용기로 물방울의 적하를 용이하게 하는 드립 표면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커버의 일부를 따라,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커버의 립에 갭이 제공되며, 이는 조리 용기의 측벽 에지에 있는 절개부에 치수가 대응하여, 커버가 위에 있는 조리 용기의 체결 부재와 체결하는 경우에 기구가 용기 안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조리 용기와 커버는, 다양한 위치에서 커버가 조리 용기에 위치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조리 용기와 커버는 모두 둥근 모서리가 있는 정사각형의 일반적인 형태일 수 있으므로, 커버는 네 개의 위치 중 임의의 위치에 정렬된 갭으로 조리 용기에 위치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조리 용기 및 커버는 원형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조리 용기 상의 커버 갭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표시자를 포함한다.
제1 위치에서, 커버의 갭은 긴 손잡이 위의 조리 용기 벽의 절개부와 정렬된다. 이 위치에서, 커버의 갭과 조리 용기의 절개부가 협력하여, 덮인 조리 용기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기구가 연장되며, 이때 기구는 조리 용기에 체결된다. 이 위치에 있을 경우에, 커버 립은, 직각 측벽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서 주둥이형 절개부를 닫고, 비록 완전히 밀봉하지 않더라도 조리기구 어셈블리를 실질적으로 닫는다.
제2 위치에서, 커버의 갭은 손잡이에 직각인 조리 용기의 주둥이형 절개부와 일렬로 위치한다. 이 제2 위치에서, 커버의 갭과 조리 용기의 절개부가 정렬되어 개구부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유체가 커버가 있는 조리기구 어셈블리로부터 쏟아질 수 있다. 손잡이에 직각인 조리 용기의 반대 측면에 주둥이형 절개부가 또한 형성되는 경우에, 제4 커버 위치가 대향하는 주둥이형 절개부와 정렬한다.
제3 위치에서, 커버의 갭은 절개부가 없는 조리 용기의 부분과 일렬로 위치해서, 조리 용기 상의 기구 없이 조리 용기 상의 커버를 실질적으로 밀봉한다.
기구는, 바람직하게는 도구 및 손잡이를 포함한다. 도구는, 수행되는 요리 작업에 따라 터너, 국자, 주걱, 스크레이퍼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적합한 도구이거나 조리기구와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들의 모음일 수 있다. 기구의 손잡이는 바람직하게는 조리 용기의 손잡이와 협력하도록, 즉 조리 용기 손잡이의 상부 표면에 수용되어 손잡이와 중첩시키거나 그 위에 안착할 수 있는 형상을 갖는다.
도구 말단 근처, 말단부 근처, 또는 그 사이에 위치한 기구 손잡이 상의 체결 협력 부재는, 조리 용기 상의 기구를 정렬하고 유지하기 위해, 조리기구 용기 상의 체결 부재와 협력한다. 협력 부재는, 조리 용기 손잡이 상에 기구를 적절하게 위치시키기 위해, 물리적 요소, 예컨대 포스트, 도그, 함몰부, 애퍼처, 채널, 또는 다른 협력 체결 부재, 예컨대 자성 부재일 수 있다. 추가 체결 부재는 또한 원하는 대로 기구, 즉 협력 부재가 체결되는 경우에 조리 용기의 내부 측벽에 인접하게 놓이도록 위치한 기구 손잡이의 바닥에 있는 도그에 통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조리기구 어셈블리는 찜기, 이중 냄비 등과 같은 보조 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용기는, 바람직하게는 바닥, 바닥을 둘러싸는 측벽, 및 조리 용기의 내부 바닥으로부터 보조 용기를 위로 들어올리기 위한 하나 이상의 다리를 포함하며, 여기서 보조 용기의 형상은 일반적으로 조리 용기의 형상과 순응한다. 보조 용기가 찜기인 경우, 바닥 및/또는 측벽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개구부가 존재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벽을 따라 하나 이상의 개구부 행과 바닥에 있는 개구부 패턴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보조 용기는, 조리기구 어셈블리에 대해 보조 용기를 조작하기 위해 손잡이가 제공될 수도 있다.
보조 용기의 측벽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보조 용기가 조리 용기에 위치하고 기구가 조리 용기 위에 위치하고 커버가 체결되는 경우에, 기구가 보조 용기의 내부로 연장되도록 하는 절개부를 포함한다. 이렇게 하면 조리 시 조리기구에 기구를 배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관을 위해 조리기구 어셈블리의 전체를 조립할 수 있다. 물론, 보조 용기의 측벽이 충분히 짧은 경우, 즉 보조 용기가 내부에 있고 커버가 체결된 상태로 조리 용기에 기구를 위치시킬 때 기구가 측벽 위에 있는 경우라면, 보조 용기의 측벽은 절개부가 필요하지 않다.
일부 실시예에서, 조리기구 어셈블리는 또한 삼발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삼발이는 상부 표면 및 바닥 표면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삼발이의 상부 표면은, 삼발이에서 조리 용기의 움직임을 최소화하는 오목한 표면을 생성하기 위해, 조리 용기의 측면으로 약간 상승한 조리 용기의 외부 바닥의 윤곽에 대략 순응한다. 바닥 표면은 조리대나 테이블 위에 안착시키기 위해 평평한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삼발이는 목재, 고온 폴리머 또는 기타 적절한 재료로 만들어지고, 도마로 사용될 수 있다. 오목한 상부 표면은 육즙을 만드는 고기와 같은 음식을 자를 때 사용할 수 있고, 여기서 육즙은 상부 표면에서 흘러내리지 않거나, 삼발이는 음식 준비를 위해 평평한 절단 표면을 제공하기 위해 평평한 바닥 표면이 위로 향하도록 뒤집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유사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부분을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고려할 때 더 잘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도면은 어떠한 방식으로든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고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기 위해 제공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라 닫힌 구성의 조리기구 어셈블리의 상부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라 닫힌 구성의 조리기구 어셈블리의 정면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에 따라 닫힌 구성의 조리기구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다.
도 1d는 본 발명에 따라 닫힌 구성의 조리기구 어셈블리의 대안적인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1e는 제2 위치에서 도 1d의 조리기구 어셈블리의 대안적인 구성을 예시한다.
도 1f는 제3 위치에서 도 1d의 조리기구 어셈블리의 대안적인 구성을 예시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구 어셈블리의 분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구 어셈블리의 대안적인 구성의 분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구 어셈블리의 조리 용기의 상부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구 어셈블리의 조리 용기의 하부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구 어셈블리의 조리 용기의 대안적인 구성의 상부도이다.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구 어셈블리의 조리 용기의 대안적인 구성의 하부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구 어셈블리의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구 어셈블리의 커버의 하부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구 어셈블리의 커버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구 어셈블리의 커버의 대안적인 구성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구 어셈블리의 보조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구 어셈블리의 보조 용기의 대안적인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구 어셈블리의 삼발이의 사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구 어셈블리용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7b는 구성품 부분을 나타낸 조리기구 어셈블리용 기구의 대안적인 사시도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음 설명은,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지 않고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조리기구 어셈블리(2)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구 어셈블리(2)는 조리 용기(4), 커버(6), 및 선택적으로 기구(8)를 포함한다. 조리기구 어셈블리(2)는 또한 보조 용기(10), 삼발이(12) 및/또는 유사한 추가 구성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리 용기(4)는 냄비, 팬, 웍, 더치 오븐, 그릴 팬, 로스팅 팬, 압력솥, 스톡 포트, 캐서롤, 슬로우 쿠커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용기로서 기능할 수 있으며, 바닥(9)과 연속적인 측벽(13)을 갖는다. 조리 용기(4)는 스테인리스강, 탄소강, 구리, 주철, 주조 알루미늄, 에나멜 처리된 알루미늄, 합금, 실리케이트, 세라믹, 합금, 복합 재료 또는 층뿐만 아니라 이들 또는 다른 재료의 조합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조리 용기(4)는 주조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다.
조리 용기(4)는 약 0.25 쿼트 내지 약 40 쿼트, 바람직하게는 약 0.5 쿼트 내지 약 20 쿼트,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 쿼트 내지 약 10 쿼트,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 쿼트 내지 약 8 쿼트와 같이, 임의의 적합한 용량을 가질 수 있다
조리 용기(4)는 바람직하게는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 및 외부를 포함하고, 도 3c 및 도 3d에 나타낸 대안적인 구성을 갖는다. 본원 및 설명 전반에 걸쳐 나타낸 대안적인 구성은, 번호가 매겨진 구성에 대해 상이한 형상을 갖지만 (참조) 번호가 매겨진 구성과 유사하게 기능하는 조리기구 어셈블리 구성품을 예시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그리고 중복된 번호 매기기를 피하기 위해, 대안적인 구성은 일반적으로 참조되고 번호가 지정되지 않으며, 번호가 매겨진 구성의 구조적 특징과 연관된 참조 번호가 대안적인 구성에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내부는,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퍼플루오로알콕시 알칸(PFA), 산화망간 폴리스티렌, 산화아연 폴리스티렌, 플루오르화 실란 등을 포함하는 비점착성 코팅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특히 내부 바닥 표면은, 원하는 경우에 선, 융기선, 격자, 동심원 등과 같은 특징부를 포함하여 텍스처링 될 수도 있다.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3d의 대안적인 구성으로, 조리 용기(4)의 외부 바닥 표면(18)은 평평하거나 융기 또는 함몰 특징부로 패턴화될 수 있고, 조리 용기(4)의 내부 바닥 표면 상의 열 분포를 개선하기 위한 재료의 층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긴 손잡이(16)는 바람직하게는 조리 용기(4)의 측벽(13)으로부터 연장된다. 긴 손잡이(16)는 임의의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임의의 적합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지만, 긴 손잡이는 목재, 스테인리스강, 실리콘, 고온 폴리머, 탄소강, 구리, 주철, 주조 알루미늄, 에나멜 처리된 알루미늄, 합금 등, 및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긴 손잡이(16)의 상부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기구 손잡이(29)를 중첩시키기 위한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중첩 표면 또는 홈통(20)을 포함한다.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2b에 나타낸 대안적인 구성으로, 중첩 표면(20)은 바람직하게는 오목하고, 기구(8) 손잡이(29)의 형상 또는 곡률의 음각을 형성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첩 표면(20)은, 기구 손잡이(29), 그리고 가능하게는 도구(30)의 일부분 또는 기구 손잡이(29)에서 기구(8)의 도구(30)로의 전이부를 그 위에 안착시키도록 하는 한, 임의의 적절한 곡률 또는 기하형상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조리 용기 긴 손잡이(16)는, 기구(8)와 체결하기 위해 그리고 조리 용기(4)와 적절한 체결로 기구(8)를 유지하기 위해, 포스트 형태로 나타낸 체결 부재(24)를 또한 포함한다. 조리 용기(4) 상의 체결 부재(24)는 기구(8) 상의 협력 결합 부재(22)와 연동한다. 나타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는, 조리 용기(4) 상에 기구(8)를 적절하게 위치시키기 위해, 긴 손잡이(16) 상의 포스트(24)를 수용하는 애퍼처(22)를 기구(8) 상에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포스트(24)는 기구(8) 상의 원형 애퍼처(22)와 함께 원통형이지만, 포스트/애퍼처에 대한 임의의 적합한 형상이 사용될 수 있다.
긴 손잡이(16) 위의 조리 용기(4)의 측벽(13) 일부의 상부 에지에는 절개부(15)가 형성되어, 기구(8)의 손잡이(29)가 긴 손잡이(16) 상에 안착되는 경우에 조리 용기(4)의 내부로 연장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관련하여, 절개부(15)는, 적절한 정렬로 위치하는 경우에 커버(6) 상의 갭(14)과 협력하여, 조리 용기(4) 상의 커버(6)를 조리 용기의 긴 손잡이(16) 상에 안착하는 기구(8)로 밀봉한다. 이와 같이, 조리 용기(4) 상의 절개부(15)의 크기와 형상, 및 커버(6) 상의 갭(14)은, 기구(8)가 조리 용기 손잡이(16) 상에 안착하는 경우에 이를 통과하는 기구(8) 부분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한다.
바람직한 조리 용기(4)는, 외부로 각진 주둥이(26)에서 종결되는 조리 용기(4)의 측벽(13)의 상부 에지에 적어도 하나의 추가 절개부(17)를 또한 포함한다. 추가 절개부(17)는 바람직하게는, 긴 손잡이(16) 위의 절개부(15)의 크기 및 형상에 대략 순응하는, 조리 용기 긴 손잡이(16) 위의 절개부(15)에 직각으로 위치한다. 주둥이(26)는, 보다 완전하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커버(6)가 제거되거나 커버(6)가 적절한 정렬로 조리 용기(4) 상에 위치하면서 조리 용기(4) 밖으로 액체를 붓도록 조정된다.
도 3a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도 3c에 나타낸 대안적인 구성으로, 조리 용기(4)는 외부로 각진 주둥이(26, 26')에서 종결하는 두 개의 측면 절개부(17, 17')를 가지며, 조리 용기(4)의 각 측면 상의 하나는 조리 용기 긴 손잡이(16)와 연관된 절개부(15)에 직각이다.
바람직한 조리 용기(4)는, 또한 지지 손잡이(27)를 포함한다. 지지 손잡이(27)는, 바람직하게는 긴 손잡이(16) 반대에 있는 조리 용기(4)의 측벽(13) 상에 위치하고, 측벽(13)으로부터 바깥으로 연장되며, 도 1a, 1c, 2a, 2b 및 3a 내지 3d에 나타낸 바와 같다. 지지 손잡이(27)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지만,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U자형"인 것이 바람직하고, 엠보싱 또는 디보싱된 로고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d 및 도 2a와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6)는, 보관될 경우나 음식 준비 동안을 포함하여, 조리 용기(4)와 보조 용기(10) 모두에 끼워지도록 설계된다. 커버(6)는 스테인리스강, 탄소강, 구리, 주철, 주조 알루미늄, 에나멜 처리된 알루미늄, 유리와 같은 실리케이트, 도자기와 같은 세라믹, 및 이들의 조합, 복합재 및 합금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커버(6)는 조리 용기(4)와 동일한 재료로 제조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에서 주조 알루미늄으로 제조된다.
커버(6)는 바람직하게는 상부 표면(5)을 포함하고, 상부 표면(5)을 둘러싸는 연속적인 측벽(36)을 포함할 수 있고, 도 4a 내지 도 4d에 나타낸 바와 같다. 측벽(36)은 임의의 깊이를 가질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볶음, 압력 조리, 끓이기, 브로일링, 튀김, 로스팅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조리 방법을 용이하게 하는 적절한 깊이를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측벽(36)은 로스팅을 허용하기에 충분한 깊이이다.
립(38)은 바람직하게는 측벽(36)의 내부 둘레 또는 원주의 적어도 대부분을 따라 오목한 에지를 형성하며, 도 4c 및 4d에 나타낸 바와 같다. 대안적으로, 측벽(36)이 없는 대체로 평평한 커버는, 커버(6)의 바닥 표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립(38)을 가질 수 있다. 어느 경우든, 립(38)은 바람직하게는 조리 용기(4) 내부에 끼워맞춤되며, 도 1a-d 및 도 2a와 2b에 나타낸 바와 같다. 커버(6)의 립(38)은, 조리 용기(4) 상의 커버(6)의 확실한 끼워맞춤을 보장하는 높이를 갖고, 조리 용기(4)는, 조리 용기(4) 상에 커버(6)의 위치/지지를 돕기 위해 측벽(13)의 내부에 레지를 가질 수 있다.
커버(6)의 내부의 밑면은, 유체의 응결을 돕기 위한 드립 표면(4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그 다음 조리 중에 조리 용기(4) 내로 다시 떨어질 수 있다. 드립 표면(40)은 바람직하게는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융기된 범프를 포함하지만, 형성부는 도 4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6)의 상부 내부 표면 상의 임의의 융기 또는 함몰 패턴일 수 있으며, 이는 조리 용기(4) 내로의 응결 및 물방울 적하를 촉진한다.
커버(6)용 손잡이(28)는, 커버(6)가 조리 용기(4)로부터 들어올려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커버(6)의 상부 표면(5)의 일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손잡이(28)는 커버(6)의 상부 표면(5)의 중심에 위치하며, 도 3a 및 3c에 나타낸 바와 같다. 손잡이(28)는 버섯 모양 또는 다른 장식 모양의 돌기와 같이 단일 상향 연장 돌기이거나 또는 더 무거운 커버를 지지하기 위한 "U자형" 손잡이일 수 있다.
도 4c 및 도 4d의 대안적인 구성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갭(14)은 바람직하게는 커버(6)의 립(38) 부분에 위치한다. 갭(14)은 커버(6)를, 각각 다른 기능을 제공하는 상이한 위치에서 조리 용기(4) 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
제1 위치에서, 커버(6) 상의 갭(14)은 조리 용기 긴 손잡이(16)와 연결된 절개부(15)와 정렬되어 개구부를 생성하고, 이를 통해 기구(8)는, 기구(8)가 조리 용기(4)와 커버에 체결되고 커버(6)가 조리 용기(4)에 배치되는 경우에 연장된다. 이 위치에서 조리기구 어셈블리는 거의 완전히 밀봉되며, 기구는 조리 용기와 체결되고 개구부를 통해 연장된다.
제2 위치에서, 커버(6) 상의 갭(14)은 조리 용기(4) 상의 측면 절개부(17)와 일렬로, 바람직하게는 절개부(15)에 직각으로 배치된다. 이 제2 위치에서, 커버(6)의 갭(14)과 조리 용기(4)의 측면 절개부(17)가 정렬되어 증기 방출용 개구부를 형성하고 이로부터 커버(6)가 있는 상태에서 조리하는 동안에 유체가 쏟아질 수 있다. 물론, 커버(6)의 갭(14)이 측면 절개부(17)와 정렬되고 커버(6)가 단 하나의 갭(14)을 갖는 경우에, 커버(6)의 벽(36)에 있는 립(38)은 절개부(15)를 닫아서 기구(8)가 제거되어야 한다.
제3 위치에서, 커버(6) 상의 갭(14)은, 손잡이(27) 위의 절개부(15)에 대향하는 조리 용기(4)의 부분과 같이, 절개부(15) 또는 측면 절개부(17)가 없는 조리 용기(4)의 부분에 배치되어, 조리기구 어셈블리를 밀봉한다. 이 위치에서, 커버(6)의 벽(36) 상의 립(38)은, 절개부(15)와 절개부(15)에 직각인 임의의 측면 절개부(17)를 닫아 버린다. 제3 위치는 조리용 조리 용기(4)와 커버(6) 사이에 실질적으로 밀봉된 환경을 생성한다. 도 1d 내지 도 1f는 도 1d 및 도 2b의 조리기구 어셈블리의 대안적인 구성에서 제1, 제2 및 제3 위치를 나타낸다.
제2 측면 절개부(17')가 제1 측면 절개부(17) 반대에 배치되는 경우에, 커버(6)는 제4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는 제2 위치와 유사하지만 제2 측면 절개부(17')를 통해 붓는 것을 허용한다.
물론, 커버(6)와 조리 용기(4)는 갭(14)과 절개부(15, 17) 등의 다양한 조합을 갖는 임의의 수의 측면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기구(8), 붓기, 벤팅, 밀봉 등을 위한 개구부의 다양한 조합을 생성한다. 추가적으로, 커버(6)는 사용자가 조리 용기(4) 상에 커버(6)를 적절하게 위치시키는 것을 허용하는 표시 또는 물리적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기구(8)는 일반적으로 도 7a 및 대안적인 구성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잡이(29)와 도구(30)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손잡이(29)는 바람직하게는 조리 용기(4)의 긴 손잡이(16)에 중첩되거나 안착되는 크기 및 형상을 갖는다.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구 손잡이(29)의 바람직한 손잡이(29)는 대응하는 오목한 곡률을 갖는 긴 손잡이(16)의 홈통(20)과 짝을 이루는 볼록한 곡률을 갖는다. 대안적인 바람직한 실시예는 조리 용기 긴 손잡이(16)의 평평한 상부 표면에 안착하는 평평한 기구 손잡이(29)를 포함한다.
도구(30)는 수행되는 조리 작업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도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구(30)는 터너, 국자, 주걱, 휘스크 등일 수 있고 목재, 고온 폴리머, 유리 충전 나일론,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료, 실리콘, 스테인리스강, 탄소강, 구리, 주철, 주조 알루미늄, 합금 등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여 조리 환경에 적합한 임의의 적합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손잡이(29)는, 손잡이(29)와 도구(30)가 연속적인 일체형 구조인, 도구(30)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거나, 목재, 스테인리스강, 실리콘, 고온 폴리머, 유리 충전 나일론,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료, 탄소강, 구리, 주철, 주조 알루미늄, 에나멜 알루미늄, 합금 등,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다른 적합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손잡이(29)와 도구(30)는 기구(8)를 형성하기 위해 결합되는 상이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조리기구 어셈블리(2)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또한 보조 용기(1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용기(10)는 바람직하게는 조리 용기(4)와 함께 조리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보조 용기(10)는 액체의 제거, 기류 촉진, 온도 조절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찜기, 이중 냄비, 체, 소쿠리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보조 용기(10)는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적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는 조리 용기(4)와 동일한 형상이다.
도 2a 및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2b 및 도 5b에 나타낸 대안적인 구성으로, 보조 용기(10)는 바람직하게는 찜기 바스켓이다. 보조 용기(10)는, 바람직하게는 바닥 표면(11) 및 바닥 표면(11)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측벽(32)을 포함한다. 보조 용기(10)의 바람직한 바닥 표면(11)은 실질적으로 평평하고, 보조 용기(10)는 도 1a-d 그리고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리기구 어셈블리(2) 내에 끼워지는 한 임의의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보조 용기(10)는 임의의 적절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지만, 보조 용기(10)는 바람직하게는 적절한 스테인리스 강 재료, 알루미늄 또는 다른 적절한 금속, 또는 다른 고온 폴리머 또는 실리콘으로 만들어진다.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보조 용기(10)가 찜기인 경우에, 이는 바람직하게는 바닥 표면(11) 상에 그리고 측벽(32)의 하나 이상의 표면을 따라 복수의 개구부(42)를 포함한다. 개구부(42)는 도 2a 및 도 5a에 나타낸 장식 패턴과 같은 장식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지만, 개구부(42)는 유체를 순환시키면서 찐 음식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찜기, 이중 냄비 등의 형태의 바람직한 보조 용기(10)는, 바닥 표면(11) 아래로 연장된 하나 이상의 다리(34)를 포함하여 조리 중에 조리 용기(4)의 내부 바닥(9) 위로 보조 용기(10)의 내부 표면(11)을 유지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보조 용기(10)는 세 개 이상의 다리를 포함하며, 네 개의 다리가 더 적합한 것으로 간주된다. 또한, 바람직한 보조 용기(10)는, 기구(8)가 조리 용기(4)에 장착되는 것을 허용하고, 보조 용기(10)는 그 내부에 있고 커버(6)가 그 위에 있으며, 충분히 짧은 측벽(32)으로 인해, 기구(8)는 측벽(32) 위에 안착하거나 측벽(32) 내에 갭(미도시)을 사용하여 기구(8)를 수용하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조리기구 어셈블리(2)는 선택적으로 또한 삼발이(12)를 포함할 수 있다. 삼발이(12)는 상부 및 하부를 가지며, 상부는 바람직하게는 오목하고 일반적으로 조리 용기(4)의 바닥 외부와 일치한다. 도 1a 내지 도 1d 그리고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리 용기(4)는 삼발이(10)의 상부에 놓이고 삼발이(10)의 바닥은 조리대, 테이블 등에 안착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삼발이(10)의 바닥 표면은 실질적으로 평평하고 목재, 폴리머, 유리, 세라믹 등과 같은 재질로 만들어지며 도마로서도 작용할 수 있다.
특정 예시적인 실시예가 설명되고 첨부된 도면에 나타나 있지만, 그러한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변형, 수정 및/또는 대안이 당업자에게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나타내고 설명된 특정 구성 및 배열로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모든 변형, 수정 및/또는 대안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속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다음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포함한"은 청구범위에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추가 요소를 포함하도록 의도된 개방 말단 전이 용어이다. 또한, 이 문서에서 긍정적으로 식별된 임의의 특징 또는 요소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특징부 또는 요소로서 구체적으로 배제될 수 있음을 또한 유의한다.

Claims (19)

  1. 조리기구 어셈블리로서,
    내부, 외부, 용기 측벽, 및 상기 외부로부터 바깥으로 연장된 긴 손잡이를 포함하는 조리 용기;
    커버; 및
    상기 커버가 상기 조리 용기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커버와 상기 조리 용기 측벽 사이에 정의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구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손잡이와 도구가 있는 기구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기구의 손잡이는 상기 조리 용기의 긴 손잡이와 연동하면서, 상기 커버가 상기 조리 용기 상에 있을 경우에 상기 도구는 상기 조리 용기의 내부에 안착되는, 조리기구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갭을 포함하고, 이를 통해, 상기 커버가 상기 조리 용기 상에 있고 상기 기구가 상기 긴 손잡이 상에 안착하는 경우에 상기 기구의 일부가 연장 가능한, 조리기구 어셈블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측벽은 상기 긴 손잡이 위로 절개부를 포함하고, 이를 통해, 상기 커버가 상기 조리 용기 상에 위치하고 상기 기구가 상기 긴 손잡이 상에 안착하는 경우에 상기 기구의 일부가 연장 가능한, 조리기구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갭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 측벽은 상기 긴 손잡이 위의 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갭과 절개부는 상기 개구부를 생성하기 위해 정렬되도록 조정되는, 조리기구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기구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기구의 일부는, 상기 커버가 상기 조리 용기 상에 위치하고 상기 커버가 상기 긴 손잡이에 대해 안착하는 경우에, 상기 개구부를 통해 연장 가능한, 조리기구 어셈블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용기는, 상기 긴 손잡이 위 이외의 상기 용기 측벽 상에 하나 이상의 측면 절개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리기구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다음 위치를 포함한 상이한 위치 각각에서 상기 조리기구 어셈블리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다음 위치는,
    상기 커버의 갭이 상기 용기 측벽의 절개부와 정렬하는 제1 위치; 및
    상기 커버의 갭이 상기 조리 용기 상의 상기 하나 이상의 측면 절개부 중 하나와 정렬하는 제2 위치를 포함하는, 조리기구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위치는 제3 위치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커버 상의 갭은, 절개부 또는 측면 절개부가 없이 상기 조리 용기의 일부와 정렬하는, 조리기구 어셈블리.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측면 절개부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된 주둥이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리기구 어셈블리.
  11. 제5항에 있어서,
    기구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조리 용기는 상기 기구와 체결하기 위한 체결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리기구 어셈블리.
  12. 제1항에 있어서,
    보조 용기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보조 용기는 바닥 표면, 및 상기 바닥 표면으로부터 상향 연장된 측벽을 포함하는 조리기구 어셈블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용기는 상기 바닥 표면 및/또는 상기 측벽 중 하나 이상에 복수의 개구부를 갖는 찜기를 포함하는, 조리기구 어셈블리.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용기는 상기 바닥 표면으로부터 연장된 하나 이상의 다리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조리 용기의 내부 바닥 표면 위로 상기 보조 용기의 바닥 표면을 상승시키는, 조리기구 어셈블리.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밑면에 드립 표면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리기구 어셈블리.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긴 손잡이에 대향하여 상기 조리 용기로부터 바깥으로 연장된 지지 손잡이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리기구 어셈블리.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긴 손잡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기구 상의 대응하는 체결 부재와 연동하는, 조리기구 어셈블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 및 상기 대응하는 체결 부재 중 하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연장부를 수용하도록 조정된 함몰부 또는 애퍼처를 포함하는, 조리기구 어셈블리.
  19. 조리기구 어셈블리로서,
    내부, 외부, 용기 측벽, 및 상기 외부로부터 바깥으로 연장된 긴 손잡이를 포함하는 조리 용기;
    커버;
    상기 커버가 상기 조리 용기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커버와 상기 조리 용기 측벽 사이에 정의되는 개구부; 및
    상기 커버가 상기 조리 용기 상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개구부를 통해 연장된 기구와 체결할 수 있는 긴 손잡이 상에 배치된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조리 기구 어셈블리.
KR1020227005250A 2019-07-17 2020-07-17 조리기구 어셈블리 KR202200342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37000034U KR20230001672U (ko) 2019-07-17 2020-07-17 조리기구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513,966 2019-07-17
US16/513,966 US11278148B2 (en) 2019-07-17 2019-07-17 Cookware assembly
PCT/US2020/042498 WO2021011859A1 (en) 2019-07-17 2020-07-17 Cookware assembly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37000034U Division KR20230001672U (ko) 2019-07-17 2020-07-17 조리기구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4228A true KR20220034228A (ko) 2022-03-17

Family

ID=7418082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37000034U KR20230001672U (ko) 2019-07-17 2020-07-17 조리기구 어셈블리
KR1020227005250A KR20220034228A (ko) 2019-07-17 2020-07-17 조리기구 어셈블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37000034U KR20230001672U (ko) 2019-07-17 2020-07-17 조리기구 어셈블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3) US11278148B2 (ko)
EP (1) EP3952703A4 (ko)
JP (2) JP2022541553A (ko)
KR (2) KR20230001672U (ko)
CN (1) CN214433659U (ko)
AU (1) AU2020314949B2 (ko)
CA (1) CA3170778A1 (ko)
WO (1) WO20210118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36967A3 (en) * 2018-10-22 2024-04-24 Meyer Intellectual Properties Limited Cookware handle for housing electronic components
RU2746836C1 (ru) 2020-03-04 2021-04-21 Кирилл Витальевич Авдюнин Способ отделения невулканизированной резиновой смеси от металлического корда в браке/отходах обрезиненного металлического корда
US20230309753A1 (en) * 2022-03-30 2023-10-05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ware with utensil rest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0418A (en) * 1980-06-12 1982-01-12 Busbey Sylvia S Cookware with drainage lid
DE8521152U1 (de) 1985-07-23 1985-10-31 Fa. Ilse Dragonja, 5974 Herscheid Kochgeschirr
US5924592A (en) * 1992-12-21 1999-07-20 Hieronymus; John R. Unitable utensils and container handles
JPH0736944U (ja) 1993-12-17 1995-07-11 一人 川野辺 お玉置付き鍋
US5943947A (en) * 1997-01-22 1999-08-31 21St Century Cookware Inc. Cooking apparatus having special ports
US5819640A (en) * 1997-05-13 1998-10-13 Cuomo; Thomas M. Chafer structure and assembly for use in food service
US6182557B1 (en) * 1999-10-22 2001-02-06 Peter J. Wilk Auxiliary cooking surfaces
US6360654B1 (en) * 2001-02-16 2002-03-26 Randall Cornfield Multi-purpose cookware
US20040250690A1 (en) 2003-01-09 2004-12-16 Thomas Restis Cooking vessel and lid therefor
US6796221B1 (en) * 2003-03-14 2004-09-28 Harold Cangioli Cookware with propping assembly
US6852953B1 (en) * 2004-02-13 2005-02-08 Wen-Ching Lee Multi-functional electric oven
RU2264152C1 (ru) 2004-04-27 2005-11-20 Саркисов Ян Георгиевич Крышка для сковороды
US6973871B1 (en) * 2004-07-21 2005-12-13 Tsann Kuen Enterprise Co., Ltd. Electrical toaster
FR2883149A1 (fr) 2005-03-18 2006-09-22 Seb Sa Articles culinaires empilables, couvercle et spatule adaptes
WO2011070601A1 (en) 2009-12-11 2011-06-16 Lumenflon S.P.A. Assembly of a cooking vessel and a cooking utensil
US8746497B2 (en) * 2011-08-11 2014-06-10 Atlantic Promotions Inc. Cooking vessel and utensil
US20130306646A1 (en) * 2012-05-17 2013-11-21 Meyer Intellectual Properties Ltd. Nested Cookware Set
US10165893B2 (en) * 2013-01-15 2019-01-01 Alice Gail Smith Cookware item with spoon receiving recess
TWM488276U (zh) 2014-06-18 2014-10-21 xian-zhen Chen 多功能鍋具
US20160066743A1 (en) * 2014-09-10 2016-03-10 Mark Prommel Cooking Pot with Straining Lid and Spoon Support
US9756980B1 (en) * 2016-03-02 2017-09-12 George T. C. Li Invertible electric roasting oven and method of use
US10687671B2 (en) * 2017-03-21 2020-06-23 Meyer Intellectual Properties Limited Cookware article and utensil hand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0314949B2 (en) 2024-05-23
US11517135B2 (en) 2022-12-06
US20220322865A1 (en) 2022-10-13
US20220192409A1 (en) 2022-06-23
AU2020314949A1 (en) 2022-03-10
CA3170778A1 (en) 2021-01-21
KR20230001672U (ko) 2023-08-17
US20210015291A1 (en) 2021-01-21
JP3244155U (ja) 2023-10-16
EP3952703A4 (en) 2022-12-28
EP3952703A1 (en) 2022-02-16
JP2022541553A (ja) 2022-09-26
CN214433659U (zh) 2021-10-22
WO2021011859A1 (en) 2021-01-21
US11278148B2 (en) 202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86124B2 (en) Cookware assembly
US11517135B2 (en) Cookware assembly
AU2015100774A4 (en) Multifunctional Cookware
US11666178B2 (en) Grease strainer for cooking apparatus
US8991640B2 (en) Extending pot
US5924592A (en) Unitable utensils and container handles
US6196120B1 (en) Steamer insert, steamer assembly and method
US20160066743A1 (en) Cooking Pot with Straining Lid and Spoon Support
US20220265086A1 (en) Apparatus for cooking bacon and the like inside microwave ovens
JP2018525183A (ja) 調理はね防止デバイス及び方法
US20140197186A1 (en) Cookware Item with Spoon Receiving Recess
US5992308A (en) Cooking vessel
JP3194420U (ja) 多機能調理器
KR20120031863A (ko) 두 가지-기능의 취사 도구 뚜껑
US20170303743A1 (en) Cooking apparatus with strainer
KR20110037387A (ko) 조리용기의 뚜껑 및 구이판과 전골냄비의 겸용이 가능한 조리기기
KR20170122967A (ko) 회전 냄비
TW201703700A (zh) 烹飪器具
US20050279698A1 (en) Integrated cooker-strainer
KR102489365B1 (ko) 다용도 조리용기용 뚜껑
CN218588827U (zh) 一种备料盘
CN212546614U (zh) 锅具
CN211093328U (zh) 锅具
US20240108171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grease from foodstuff during preparation
US20240000267A1 (en) Apparatus for spill preven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