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7387A - 조리용기의 뚜껑 및 구이판과 전골냄비의 겸용이 가능한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용기의 뚜껑 및 구이판과 전골냄비의 겸용이 가능한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7387A
KR20110037387A KR1020090094809A KR20090094809A KR20110037387A KR 20110037387 A KR20110037387 A KR 20110037387A KR 1020090094809 A KR1020090094809 A KR 1020090094809A KR 20090094809 A KR20090094809 A KR 20090094809A KR 20110037387 A KR20110037387 A KR 20110037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pot
cooking
roasting plate
cooking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4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재봉
Original Assignee
손재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재봉 filed Critical 손재봉
Priority to KR1020090094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7387A/ko
Priority to PCT/KR2009/005847 priority patent/WO2011043506A1/ko
Publication of KR20110037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73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용기의 뚜껑 및 구이판과 전골냄비의 겸용이 가능한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용기의 뚜껑으로 사용하면서도 전골냄비 및 고기를 굽는 구이판으로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조리용기의 뚜껑 및 구이판과 전골냄비의 겸용이 가능한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용기의 뚜껑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기 구이판으로도 사용할 수 있고 전골냄비와 같이 끓이는 조리용기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조리용기의 뚜껑 및 구이판과 전골냄비의 겸용이 가능한 조리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 방향으로는 오목면(1)이 형성되고 타측 방향으로는 볼록면(2)이 형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끝단에는 일정 높이로 양측면에 제1, 2플랜지부(3, 4)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뚜껑으로 사용 시 조리용기(F)의 상단에 제2플랜지부(4)가 걸리도록 형성된 뚜껑체(5)와, 상기한 뚜껑체(5)를 가열장치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구이판 또는 냄비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조리용기 뚜껑, 전골냄비, 구이판, 구이판 및 전골냄비와 겸용이 가능한 조 리용기 뚜껑, 조리용기의 뚜껑 및 구 이판과 전골냄비의 겸용이 가능한 조리기기

Description

조리용기의 뚜껑 및 구이판과 전골냄비의 겸용이 가능한 조리기기{COOKING TOOL THAT USE AS PAN AND ROAST PLATE AND COVER OF COOKWARE}
본 발명은 조리용기의 뚜껑 및 구이판과 전골냄비의 겸용이 가능한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용기의 뚜껑으로 사용하면서도 전골냄비 및 고기를 굽는 구이판으로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조리용기의 뚜껑 및 구이판과 전골냄비의 겸용이 가능한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에서 사용하는 조리용기는 각 기능별로 전골냄비, 양수냄비 등 여러 가지로 구분되고 각각의 조리용기는 그 상면을 덮을 수 있는 뚜껑이 필요하게 된다.
즉, 상기한 조리용기의 뚜껑은 각각의 조리용기의 상면을 덮을 수 있게 형성되고, 조리용기에 맞게 형성하게 되는 것으로서, 뚜껑은 금속재질 또는 유리재질 등으로 제작하게 된다.
상기한 조리용기는 사용하는 용도별로 각 가정에 여러 가지 종류를 구비하게 되는 바, 국을 끓이는 용도, 전골요리를 하는 용도, 찌개를 끓이는 용도 및 용량별로 다양한 조리용기를 구비하게 된다.
물론, 상기한 조리용기로는 고기 등을 구워서 먹기가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각 가정에서는 별도로 고기를 굽는 용도로 구이판을 구비하고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각 가정에서 조리용기를 각 용도별로 구비하고 각각의 조리용기에 맞는 뚜껑을 구비하게 됨과 아울러 고기구이 용도로 구이판을 별도 구비하게 되면, 부피가 커서 보관하기가 어렵고 이로 인해 주방이 매우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조리용기의 뚜껑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기 구이판으로도 사용할 수 있고 전골냄비와 같이 끓이는 조리용기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조리용기의 뚜껑 및 구이판과 전골냄비의 겸용이 가능한 조리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 방향으로는 오목면이 형성되고 타측 방향으로는 볼록면이 형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끝단에는 일정 높이로 양측면에 제1, 2플랜지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뚜껑으로 사용 시 조리용기의 상단에 제2플랜지부가 걸리도록 형성된 뚜껑체와, 상기한 뚜껑체를 가열장치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구이판 또는 냄비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뚜껑체를 조리용기의 뚜껑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수단을 통해 구이판 및 냄비로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하나의 뚜껑 체를 여러 용도로 사용하여 주방을 단순화할 수 있고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하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의 뚜껑 및 구이판과 전골냄비의 겸용이 가능한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와 단면도로서, 일측 방향으로는 오목면(1)이 형성되고 타측 방향으로는 볼록면(2)이 형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끝단에는 일정 높이로 양측면에 제1, 2플랜지부(3, 4)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뚜껑으로 사용 시 조리용기(F)의 상단에 제2플랜지부(4)가 걸리도록 형성된 뚜껑체(5)와, 상기한 뚜껑체(5)를 가스렌지의 삼발이(S)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구이판 또는 전골냄비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뚜껑체(5)의 볼록면(2)에는 뚜껑으로 사용할 때 손잡이 역할을 하도록 손잡이부(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손잡이부(6)에는 구이판으로 사용할 때에는 마늘을 넣을 수 있는 투입부(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뚜껑체(5)를 구이판으로 사용할 때 기름이 흘러내리도록 제1플랜지(3)에 기름배출홈(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지지수단은 가스렌지의 삼발이(S)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홈(H)에 하단링(9)이 끼워져 지지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상단링(10)이 일정높이로 연장 형성되어 있는 지지대(11)와, 상기한 상단링(10)이 끼워져 뚜껑체(5)를 지지하도록 오목면(1)과 볼록면(2)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링형태의 고정홈(12)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상기한 지지대(11)의 한쪽이 기울어지도록 높이를 설정하거나 또는 고정홈(12)을 기울어지게 형성하게 되면 구이판으로 사용 시 기름배출홈(8)측을 낮게 할 수 있어 기름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구이판으로 사용 시 뚜껑체(5)를 보다 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끝단에 손잡이판(13)을 형성해도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먼저 도 2와 같이 뚜껑체(5)를 구이판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지지대(11)를 가스렌지의 삼발이(S)에 올려놓고 홈(H)에 하단링(9)을 끼워 고정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오목면(1)이 아래를 향하도록 뚜껑체(5)를 지지대(11)에 올려놓고 고정홈(12)에 지지대(11)의 상단링(10)을 끼워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게 되는바, 이렇게 볼록면(2)이 위를 향하도록 설치하게 되면 볼록면(2)에 고기를 놓고 구워먹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볼록면(2)에 고기를 놓게 되면 고기에서 나오는 기름이 흘러내리게 되고 이는 제1플랜지(3)에 걸리면서 모여 기름배출홈(8)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볼록면(2)을 올록볼록하게 형성하게 되면 고기를 구울 때 고기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뚜껑체(5)를 전골냄비로 사용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가스렌지의 삼발이(S)에 올려 놓여진 지지대(11)의 상단링(10)에 뚜껑체(5)의 볼록면(2)이 아래를 향하도록 한 후 볼록면(2)의 고정홈(12)을 상단링(10)에 맞춰서 고정시키게 된다.
뚜껑체(5)의 볼록면(2)이 아래를 향하도록 지지대(11)에 올려 놓게 되면, 국물과 내용물을 저장할 수 있는 냄비의 형태가 되는바, 제2플랜지(4)는 국물 등이 흘러 넘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손잡이부(6)가 아래면을 향하고 있는바, 손잡이부(6)의 투입부(7)는 열이 모이는 역할을 하게 됨으로써 뚜껑체(5)의 가열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는 뚜껑체(5)만을 사용하여 조리용기의 뚜껑으로 사용하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서, 조리용기(프라이팬 등)(F)의 상부에 뚜껑체(5)를 올려 놓게 되면 뚜껑체(5)의 오목면 끝단에 형성된 제2플랜지부(4)가 조리용기(F)의 상단에 걸리게 됨으로써, 일반적인 조리용기의 뚜껑처럼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의 뚜껑 및 구이판과 전골냄비의 겸용이 가능한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뚜껑체를 뒤집어서 전골냄비로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뚜껑체를 조리용기에 뚜껑으로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오목면 2: 볼록면
3: 제1플랜지 4: 제2플랜지
5: 뚜껑체 6: 손잡이부
7: 투입부 8: 기름배출홈
9: 하단링 10: 상단링
11: 지지대 12: 고정홈
13: 손잡이판 F: 프라이팬(조리용기)
S: 가스렌지 삼발이 H: 홈

Claims (7)

  1. 일측 방향으로는 오목면이 형성되고 타측 방향으로는 볼록면이 형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끝단에는 일정 높이로 양측면에 제1, 2플랜지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뚜껑으로 사용 시 조리용기의 상단에 제2플랜지부가 걸리도록 형성된 뚜껑체와, 상기한 뚜껑체를 가열장치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구이판 또는 냄비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의 뚜껑 및 구이판과 전골냄비의 겸용이 가능한 조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뚜껑체의 볼록면에는 뚜껑으로 사용할 때 손잡이 역할을 하도록 형성된 손잡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의 뚜껑 및 구이판과 전골냄비의 겸용이 가능한 조리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손잡이부에 형성되어 구이판으로 사용할 때에는 마늘을 넣을 수 있도록 구성된 투입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의 뚜껑 및 구이판과 전골냄비의 겸용이 가능한 조리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뚜껑체를 구이판으로 사용할 때 기름이 흘러내리도록 제1플랜지에 형성된 기름배출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의 뚜껑 및 구이판과 전골냄비의 겸용이 가능한 조리기기.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한 지지수단은 가스렌지의 삼발이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홈에 하단링이 끼워져 지지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상단링이 일정높이로 연장 형성되어 있는 지지대와, 상기한 상단링이 끼워져 뚜껑체를 지지하도록 오목면과 볼록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링형태의 고정홈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의 뚜껑 및 구이판과 전골냄비의 겸용이 가능한 조리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한 뚜껑체를 구이판으로 사용 시 한쪽으로 기울어지도록 지지대의 한쪽이 낮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의 뚜껑 및 구이판과 전골냄비의 겸용이 가능한 조리기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한 뚜껑체를 구이판으로 사용 시 한쪽으로 기울어지도록 고정홈을 기울어지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의 뚜껑 및 구이판과 전골냄비의 겸용이 가능한 조리기기.
KR1020090094809A 2009-10-06 2009-10-06 조리용기의 뚜껑 및 구이판과 전골냄비의 겸용이 가능한 조리기기 KR2011003738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809A KR20110037387A (ko) 2009-10-06 2009-10-06 조리용기의 뚜껑 및 구이판과 전골냄비의 겸용이 가능한 조리기기
PCT/KR2009/005847 WO2011043506A1 (ko) 2009-10-06 2009-10-13 조리용기의 뚜껑 및 구이판과 전골냄비의 겸용이 가능한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809A KR20110037387A (ko) 2009-10-06 2009-10-06 조리용기의 뚜껑 및 구이판과 전골냄비의 겸용이 가능한 조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387A true KR20110037387A (ko) 2011-04-13

Family

ID=43856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4809A KR20110037387A (ko) 2009-10-06 2009-10-06 조리용기의 뚜껑 및 구이판과 전골냄비의 겸용이 가능한 조리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10037387A (ko)
WO (1) WO2011043506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084B1 (ko) * 2011-11-09 2013-06-07 박지정 직화구이용 불판
KR101325614B1 (ko) * 2011-11-04 2013-11-06 박지정 직화구이용 불판
CN109157113A (zh) * 2018-11-12 2019-01-08 宁波锦宇电器有限公司 一种可炸食物的慢炖锅
KR102447673B1 (ko) 2021-05-14 2022-09-26 이승준 고기 불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317Y1 (ko) * 1999-07-13 2000-02-15 김유식 구이기능을갖는남비
KR200214949Y1 (ko) * 2000-10-06 2001-02-15 홍기홍 가마솥 뚜껑 구이판
KR20030011123A (ko) * 2003-01-10 2003-02-06 류기상 구이판겸용 솥
KR200318145Y1 (ko) * 2003-03-19 2003-06-27 강성웅 전골요리 겸용 돌 구이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614B1 (ko) * 2011-11-04 2013-11-06 박지정 직화구이용 불판
KR101272084B1 (ko) * 2011-11-09 2013-06-07 박지정 직화구이용 불판
CN109157113A (zh) * 2018-11-12 2019-01-08 宁波锦宇电器有限公司 一种可炸食物的慢炖锅
CN109157113B (zh) * 2018-11-12 2024-05-07 宁波锦宇电器有限公司 一种可炸食物的慢炖锅
KR102447673B1 (ko) 2021-05-14 2022-09-26 이승준 고기 불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43506A1 (ko) 2011-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03099B2 (en) Multifunction electrical cooking appliance
US20130298781A1 (en) Portable Passive Convection Cooking Oven
US11986124B2 (en) Cookware assembly
US11517135B2 (en) Cookware assembly
KR20110037387A (ko) 조리용기의 뚜껑 및 구이판과 전골냄비의 겸용이 가능한 조리기기
US2429282A (en) Cooking utensil
JP3194420U (ja) 多機能調理器
KR101530070B1 (ko) 구이 및 탕이 가능한 다용도 조리기구
CA3082478A1 (en) Cooking appliance with integral drain
US1998920A (en) Cooking utensil
TW201703700A (zh) 烹飪器具
KR20120017341A (ko) 전기 그릴
RU11062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на пару
KR101131780B1 (ko) 다기능 조리기구
KR200479981Y1 (ko) 다목적 조리 기구
KR102485949B1 (ko) 다용도 조리용기
KR200455898Y1 (ko) 조리기구의 바닥면 구조
KR200369953Y1 (ko) 음식물의 조리용기
CN217447366U (zh) 一种多功能陶瓷炉
KR20170064679A (ko) 분리형 복합 조리기구를 이용하는 로스팅 장치
KR102114976B1 (ko) 다용도 가마솥
KR100903036B1 (ko) 조리용기의 넘침방지구조
KR101413463B1 (ko) 교체형 조리기구
CN208551125U (zh) 锅具及电磁烹饪设备
KR101825153B1 (ko) 조리용 다기능 로스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