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8281B1 - 건지개가 부설된 냄비 - Google Patents

건지개가 부설된 냄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8281B1
KR101458281B1 KR1020120130801A KR20120130801A KR101458281B1 KR 101458281 B1 KR101458281 B1 KR 101458281B1 KR 1020120130801 A KR1020120130801 A KR 1020120130801A KR 20120130801 A KR20120130801 A KR 20120130801A KR 101458281 B1 KR101458281 B1 KR 101458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handle
pot body
net
p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0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3992A (ko
Inventor
김동하
김지혜
Original Assignee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30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8281B1/ko
Publication of KR20140063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3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8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8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18Boilers or utensils with sieves inserted therein, e.g. potato-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20Perforated bases or perforated containers to be placed inside a cooking utensil ; Draining baskets, inserts with separation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지개가 부설된 냄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음식물을 삶거나 데칠 때 등의 조리 시 음식물을 냄비에서 건져내기가 간편하고 용이하고, 아울러 냄비 속의 물만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따라낼 수 있도록 하는 건지개 일체형 냄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망체(10)와 손잡이(11)로 이루어진 건지개(1)와 냄비본체(20)와 손잡이(21)로 이루어진 냄비(2)로 구성되어 상기 망체(10)가 냄비본체(20)의 내부로 삽입 장착되며, 상기 건지개의 손잡이(11) 양측에 받침돌기(12)가 형성되고, 상기 냄비의 손잡이(21) 양측에 상기 받침돌기(12)와 대응하여 결합되는 받침홈(22)이 형성되어 받침돌기(12)와 받침홈(22)을 받침점으로 하는 시소 운동으로 망체(10)를 냄비본체(20)의 내부에서 상승시키거나 냄비본체(20)의 내부로 삽입시키도록 이루어진 건지개가 부설된 냄비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건지개가 부설된 냄비{Pot with draining spoon}
본 발명은 건지개가 부설된 냄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지개가 냄비 속으로 삽입 안착되는 상태로 탈부착 가능하기 때문에 각종 음식물을 삶거나 데칠 때 등의 조리 시 음식물을 냄비에서 건져내기가 간편하고 용이하고, 아울러 냄비 속의 물만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따라낼 수 있는 건지개 일체형 냄비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종류의 조리기구는 그 각각의 용도 및 기능이 국한되어 있으므로 조리대상물에 따라 가장 적합한 조리기구를 선택 및 사용하여 조리하게 된다.
예를 들어 냄비를 이용하여 시금치 등의 나물을 데치거나 멸치국물을 내거나 국수를 삶거나 할 때 해당 요리에 적정한 조리시간이 지나면 냄비 속에서 나물, 국수와 같은 음식물 또는 멸치와 같은 건더기를 건지개를 이용하여 일일이 건져내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주방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냄비와 건지개는 조리상의 목적 및 편익에 따라 그 크기를 각기 달리하여 제각각 제공되므로 조리 시 두 가지를 동시에 사용하여 조리대상물이나 건더기를 반복적으로 건져야 하는 등 그에 따른 상당한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있다.
또한, 여러 종류를 한곳에 비치 및 보관하는 조리기구의 특성상 제각각 사용공간을 불필요하게 많이 차지하므로 공간효율성이 극히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20351호(2003.03.08)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4402호(2004.10.08)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감안 및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각종 음식물이나 건더기를 냄비에서 건져내기 간편하고 용이한 건지개 일체형 냄비를 개발하고자 부단한 노력을 기울여 오던 중 본 발명을 창안하여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냄비에서 조리대상물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건져낼 수 있도록 하는 건지개 일체형 냄비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해결 과제 및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양태는 망체(10)와 손잡이(11)로 이루어진 건지개와 냄비본체(20)와 손잡이(21)로 이루어진 냄비로 구성되어 상기 망체(10)가 냄비본체(20)의 내부로 삽입 장착되며, 상기 건지개의 손잡이(11) 양측에 받침돌기(12)가 형성되고, 상기 냄비의 손잡이(21) 양측에 상기 받침돌기(12)와 대응하여 결합되는 받침홈(22)이 형성되어 받침돌기(12)와 받침홈(22)을 받침점으로 하고, 건지개의 손잡이(11)를 힘점으로 하고, 망체(10)를 작용점으로 하는 지렛대작용에 의해 상기 건지개의 손잡이(11)가 상기 냄비의 손잡이(21)에 대해 벌려지거나 오므려지면서 망체(10)를 냄비본체(20)의 내부에서 상승시키거나 냄비본체(20)의 내부로 삽입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지개가 부설된 냄비를 제공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음식물을 삶거나 데칠 때 그 음식물만을 또는 냄비 속에 부유하는 건더기만을 냄비에서 간편하고 용이하게 건져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냄비와 건지개가 탈부착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선택 및 용도에 따라 냄비 또는 건지개 단독으로도 사용이 가능하여 활용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냄비의 손잡이(21) 상면에, 상기 건지개의 손잡이(11)가 상기 냄비의 손잡이(21)에 대해 오므려질 때 상기 건지개의 손잡이(11)가 삽입 밀착되도록 상기 건지개의 손잡이(11)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손잡이홈(23)을 형성함으로써 건지개를 이용하여 각종 음식물 또는 건더기를 냄비 속에서 들어올린 상태로 건지개의 손잡이와 냄비의 손잡이를 함께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으므로 냄비 속의 물을 한층 간편하고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 상기 냄비본체(20)의 일측에 냄비 속에 담긴 액체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유도 및 안내하는 배출유로(24)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 상기 망체(10)의 테두리 칼라가 상기 냄비본체(20)의 테두리 상단에 걸림 안착되도록 냄비본체(20)의 테두리 상단 폭보다 망체(10)의 테두리 칼라 폭을 더 크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 상기 받침홈(22)은 상기 받침돌기(12)가 안정적으로 삽입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방으로 갈수록 호형으로 휘어지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의 해결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은 냄비에 건지개가 포개진 상태로 결합되어 그 각각의 손잡이를 이용한 지렛대작용 및 시소 운동에 의해 건지개의 망체가 냄비본체의 내부에서 상승하거나 그 자중에 의해 냄비본체의 내부로 저절로 삽입되므로 냄비에서 조리대상물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건져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관 및 운반 시 그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어 공간효율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건지개와 냄비를 일체로 겸비 및 병치하여 사용은 물론 휴대 및 보관의 편의성 및 공간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등 하나의 물품으로 두 가지 물품 기능을 겸용하여 동시에 사용 및 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기능성 및 활용성을 극대화하며, 그에 따른 경제성을 제고하는 등 사용상의 편익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지개가 부설된 냄비를 건지개와 냄비로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지개가 부설된 냄비의 건지개와 냄비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지개가 부설된 냄비의 건지개와 냄비의 결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구성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지개가 부설된 냄비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지개가 부설된 냄비는 크게 건지개(1)와 냄비(2)로 구성되어 있다.
건지개(1)는 스테인리스 스틸제로 메쉬의 크기가 가로세로 약 1mm 정도로 이루어지고 하방으로 갈수록 점차 그 직경의 크기가 오목하게 작아지는 형태의 망체(10)와, 사용 시 파지가 편리하고 용이하도록 망체(10)의 일측면에서 외부로 돌출되게 손잡이(11)로 구성되어 있고, 그 손잡이(11)의 양측에는 망체(10)가 냄비본체(20)의 내부에서 상승되거나 이와 반대로 냄비본체(20)의 내부로 삽입되는 시소 운동 시 받침점을 기능 및 역할을 위한 받침돌기(1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망체(10)의 상단 테두리 칼라가 냄비본체(20)의 테두리 상단에 걸림 안착되도록 냄비본체(20)의 테두리 상단 폭보다 망체(10)의 테두리 칼라 폭이 더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건지개의 손잡이(11)는 냄비의 손잡이(21)에 대해 시소 운동이 가능하도록 망체(10)의 상면에 대해 적어도 10도 이상의 각도로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즉, 건지개(1)를 냄비(2)와 결합 시 그 망체(10)가 자중에 의해 냄비본체(20) 내부로 자연스럽게 삽입되며, 이때 망체(10)의 테두리 칼라가 냄비본체(20)의 테두리 상단에 걸리면서 안착되고, 손잡이(11)는 상방으로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냄비(2)는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합금, 세라믹 등의 재질로 하방으로 갈수록 점차 그 직경의 크기가 작아지는 형태의 냄비본체(20)와, 사용 시 파지가 편리하고 용이하도록 냄비본체(20)의 일측면에서 외부로 돌출되게 손잡이(21)로 구성되어 있고, 그 손잡이(21)의 양측 즉, 건지개의 받침돌기(12)와 대향하는 측면에 받침돌기(12)가 삽입 결합되어 건지개(1)를 받쳐주면서 그 망체(10)가 냄비본체(20)의 내부에서 상승되거나 이와 반대로 냄비본체(20)의 내부로 삽입되는 시소 운동 시 받침점을 기능 및 역할을 하는 받침홈(22)이 받침돌기(12)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받침홈(22)은 받침돌기(12)가 쉽게 이탈됨 없이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방으로 갈수록 호형으로 휘어지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21)의 상면에는 건지개의 손잡이(11)가 하강하여 오므려질 때 삽입 밀착되도록 건지개의 손잡이(11)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손잡이홈(23)이 형성되어 있다.
즉, 건지개(1)를 냄비(2)의 상부에 안착 결합한 상태에서 건지개(1)로 조리대상물 또는 건더기를 냄비(2) 속에서 들어올리기 위해 건지개의 손잡이(11)를 하방으로 내릴 때 그 건지개의 손잡이(11)가 냄비의 손잡이홈(23)에 삽입 밀착되면서 상호 간의 틈새 간격 없이 동일한 외곽면을 형성하므로 건지개의 손잡이(11)와 냄비의 손잡이(21)를 함께 안정적이고 수월하게 파지할 수 있어 냄비(2) 속의 물만을 한층 간편하고 용이하게 따라낼 수 있다.
또한, 냄비본체(20)의 일측 즉, 손잡이(21)와 간섭이 없는 반대쪽 측면에 냄비본체(20) 내부에 담긴 물 등의 액체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유도 및 안내하는 배출유로(24)가 냄비본체(20)의 테두리에서 외향으로 움푹하게 패여 외경이 확장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냄비의 손잡이(21)는 냄비본체(20)의 상면에 대해 수평한 형태로 형성되어 받침돌기(12)와 받침홈(22)을 받침점으로 하고, 건지개의 손잡이(11)를 힘점으로 하고, 망체(10)를 작용점으로 하는 지렛대작용에 의해 건지개의 손잡이(11)가 냄비의 손잡이(21)에 대해 벌려지거나 오므려지면서 망체(10)를 냄비본체(20)의 내부에서 상승시키거나 냄비본체(20)의 내부로 삽입시킬 수 있다.
이러한 냄비(2)는 냄비본체(20)와 손잡이(21)가 주물 방식으로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고, 마모 및 부식에 강하도록 세라믹 코팅 처리를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지재가 부설된 냄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지개(1)가 냄비(2)의 상부에 포개지는 형태로 결합된 상태에서는 건지개의 손잡이(11)가 상방으로 비스듬하게 경사진 형태를 유지하게 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건지개의 손잡이(11)를 하강시키면 받침돌기(12)와 받침홈(22)을 받침점으로 하는 시소 운동에 의해 망체(10)가 냄비본체(20) 내부에서 들어 올려지게 된다.
이렇게 되면 망체(10)의 형태적 특성상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체(10)와 냄비본체(20) 사이에 이격된 틈새 공간이 발생하여 그 틈새 공간을 통해 냄비본체(20) 속의 물만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국수를 삶거나 멸치로 국물을 낼 경우 건지개(1)를 냄비(2)에 결합한 상태로 망체(10)에 국수나 멸치를 넣고 소정 시간 조리한 후 건지개(1)를 냄비(2)에서 분리하여 들어올리면 국수나 멸치만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건져낼 수 있고, 또 건지개의 손잡이(11)를 가압하는 조작을 통해 국수나 멸치를 들어올린 상태로 냄비(2) 속의 물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따라낼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건지개(1)와 냄비(2)가 포개진 상태를 이루므로 비사용 시 등에 그 전체의 부피가 최소화된 상태를 유지하여 사용자가 들거나 보관하기가 매우 편리한 데다 불필요하게 차지하는 두 물품의 부피를 축소할 수 있으므로 공간효율성 및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다.
게다가 건지개(1)와 냄비(2) 본연의 기능을 사용자의 선택이나 용도에 따라 자연스럽게 분리하여 동시에 얻을 수 있어 그에 따른 경제성은 물론 기능성 및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 건지개 2: 냄비
10: 망체 11: 손잡이
12: 받침돌기
20: 냄비본체 21: 손잡이
22: 받침홈 23: 손잡이홈
24: 배출유로

Claims (5)

  1. 망체(10)와 손잡이(11)로 이루어진 건지개(1)와 냄비본체(20)와 손잡이(21)로 이루어진 냄비(2)로 구성되어 상기 망체(10)가 냄비본체(20)의 내부로 삽입 장착되며,
    상기 건지개의 손잡이(11) 양측에 받침돌기(12)가 형성되고, 상기 냄비의 손잡이(21) 양측에 상기 받침돌기(12)와 대응하여 결합되는 받침홈(22)이 형성되어 상기 받침돌기(12)와 받침홈(22)을 받침점으로 하는 시소 운동으로 망체(10)를 냄비본체(20)의 내부에서 상승시키거나 냄비본체(20)의 내부로 삽입시키도록 이루어진 건지개가 부설된 냄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냄비의 손잡이(21) 상면에, 상기 건지개의 손잡이(11)가 상기 냄비의 손잡이(21)에 대해 오므려질 때 상기 건지개의 손잡이(11)가 삽입 밀착되도록 상기 건지개의 손잡이(11)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손잡이홈(23)이 형성된 건지개가 부설된 냄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냄비본체(20)의 일측에 냄비 속에 담긴 액체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유도 및 안내하는 배출유로(24)가 형성된 건지개가 부설된 냄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망체(10)의 테두리 칼라가 상기 냄비본체(20)의 테두리 상단에 걸림 안착되도록 냄비본체(20)의 테두리 상단 폭보다 망체(10)의 테두리 칼라 폭이 더 크게 형성된 건지개가 부설된 냄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홈(22)은 상기 받침돌기(12)가 안정적으로 삽입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방으로 갈수록 호형으로 휘어지게 형성된 건지개가 부설된 냄비.
KR1020120130801A 2012-11-19 2012-11-19 건지개가 부설된 냄비 KR101458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801A KR101458281B1 (ko) 2012-11-19 2012-11-19 건지개가 부설된 냄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801A KR101458281B1 (ko) 2012-11-19 2012-11-19 건지개가 부설된 냄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3992A KR20140063992A (ko) 2014-05-28
KR101458281B1 true KR101458281B1 (ko) 2014-11-04

Family

ID=50891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0801A KR101458281B1 (ko) 2012-11-19 2012-11-19 건지개가 부설된 냄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82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125B1 (ko) * 2015-08-25 2016-03-07 진정락 다용도 로스팅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7124B1 (ko) * 2015-10-20 2017-03-16 박봉오 건지개가 구비된 냄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57038A (en) * 1997-01-15 1999-09-28 Shimazaki; Junji John Cooking pot with reversible multi-function top
KR20120115346A (ko) * 2009-12-31 2012-10-17 마스트라드 에스. 아. 간편한 취급성을 갖는 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57038A (en) * 1997-01-15 1999-09-28 Shimazaki; Junji John Cooking pot with reversible multi-function top
KR20120115346A (ko) * 2009-12-31 2012-10-17 마스트라드 에스. 아. 간편한 취급성을 갖는 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125B1 (ko) * 2015-08-25 2016-03-07 진정락 다용도 로스팅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3992A (ko) 2014-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76977B1 (en) Multifunctional cookware
KR101404429B1 (ko) 포개질 수 있는 조리기구 집합
CN105979827B (zh) 烹饪容器的盖的支撑装置和烹饪容器的关闭组件
US20200085228A1 (en) Kettle With Removable Tea Steeper
KR101458281B1 (ko) 건지개가 부설된 냄비
US20080072768A1 (en) Food steamer
EP3213664B1 (en) Cooking vessel having detachable handle
KR20130002112U (ko) 접이식 주방용기
CN212326110U (zh) 一种组合锅
CN204797639U (zh) 一种多功能油炸锅
CN208524539U (zh) 电水壶
KR20150004092U (ko) 조리용 용기 뚜껑
CN206453666U (zh) 压力锅的热锅合盖结构
CN204889587U (zh) 多功能锅
CN204378850U (zh) 蒸煮并用式电子锅
CN202335759U (zh)
CN213850049U (zh) 一种带蒸盘的锅
CN217488378U (zh) 一种多用锅套装
CN208640374U (zh) 蒸笼和烹饪厨具
KR102253113B1 (ko) 캠핑용 더치오븐 세트
KR101146362B1 (ko) 조리용기
KR102655243B1 (ko) 적층식 조리기구 세트
CN202341753U (zh) 电炖锅
KR20120108693A (ko) 손잡이 탈?착이 자유로운 다기능 후라이팬
US9357876B2 (en) Small batch cann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