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7124B1 - 건지개가 구비된 냄비 - Google Patents

건지개가 구비된 냄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7124B1
KR101717124B1 KR1020150145745A KR20150145745A KR101717124B1 KR 101717124 B1 KR101717124 B1 KR 101717124B1 KR 1020150145745 A KR1020150145745 A KR 1020150145745A KR 20150145745 A KR20150145745 A KR 20150145745A KR 101717124 B1 KR101717124 B1 KR 101717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handle
detachable
hook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5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봉오
Original Assignee
박봉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봉오 filed Critical 박봉오
Priority to KR1020150145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71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7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7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18Boilers or utensils with sieves inserted therein, e.g. potato-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20Perforated bases or perforated containers to be placed inside a cooking utensil ; Draining baskets, inserts with separation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지개가 구비된 냄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냄비 내부에 건지개가 구비되어 음식을 삶거나 데칠 때 뜨거운 물만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여 조리가 간편하고, 내부에 구비된 건지개는 채망과 손잡이를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채망만을 단독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건지개가 구비된 냄비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제안하는 건지개가 구비된 냄비는 일면이 개방된 오목한 형상으로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가 구비된 냄비;와 상기 냄비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되 상기 개방된 일면의 테두리에 안착할 수 있도록 안착수단이 형성되는 채망과 채망에서 착탈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구비된 착탈손잡이로 구성되는 건지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건지개가 구비된 냄비{Pot with draining spoon}
본 발명은 건지개가 구비된 냄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냄비 내부에 건지개가 구비되어 음식을 삶거나 데칠 때 뜨거운 물만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여 조리가 간편하고, 내부에 구비된 건지개는 채망과 손잡이를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채망 만을 단독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건지개가 구비된 냄비에 관한 것이다.
요리를 하기 위하여 다양하게 주방에서 사용되는 주방용품 중 냄비는 음식을 데치거나 삶는 등의 용도로 사용한다. 그리고 음식을 데치거나 삶을 때에는 반드시 냄비에 물과 함께 수용되어 조리작업이 진행되기 때문에 추후에 뜨거운 물을 배출해야 한다.
그러나, 물 배출작업시 물과 동시에 음식이 버려질 수 있으며, 음식이 버려지지 않도록 조심한다 하더라도 배출되는 뜨거운 물에 데여 화상을 입을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써, 대한민국 특허공개 0020351호(2003년03월08일)에는 소쿠리 일체형 냄비에 있어서, 냄비본체의 주벽을 이루고 있는 상단부와, 냄비본체의 바닥을 이루고 있는 하단부로 구성된 냄비와; 상기 냄비본체의 상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스테인레스 스틸제 망으로 주벽과 바닥이 형성된 소쿠리; 및 상기 냄비본체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냄비부착구와, 상기 소쿠리의 망체와 착탈가능한 연결고리로 결합되는 소쿠리부착구와, 상기 냄비부착구 및 소쿠리부착구의 사이에 결합되어 상하로 회동되는 회동구와, 이들 각각을 결합시키는 결합핀으로 구성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쿠리 일체형 냄비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소쿠리 일체형 냄비는 냄비와 소쿠리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냄비에 음식을 삶거나 데친 후 물을 배출할 때에는 기존의 냄비와 동일한 형태로 물을 배출해야 하기 때문에 음식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단점이 있으며, 반복사용시 결합부재가 손상되어 소쿠리가 냄비에서 탈락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소쿠리는 뜨거운 상태에서 꺼낼 때 단독사용이 불가능하고 도구 등을 이용하여 꺼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의 기술로써,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0115346호(2012년10월17일)에는 간편한 취급성을 갖는 기구에 있어서, 저부(bottom) 및 공간을 한정하기 위하여 상기 저부에 결합된 주변 벽(peripheral wall)을 구비한 베이스(base)를 포함하는 기구로서, 상기 벽은 상기 저부의 실질적인 반대측에 있는 테두리와 상기 테두리의 근처에 있되 서로 실질적으로 대향된 두 개의 관통개구들(through-openings)을 구비하고, 상기 기구는 상기 공간 내에 수용되기에 적합한 용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용기는 상기 관통개구들의 각각의 개구 내에 각각 수용되기에 적합하고 또한 서로 실질적으로 대향된 두 개의 주변 러그들(peripheral lugs)을 구비하고, 관통개구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테두리에서 상기 러그들 중의 하나를 위한 수용 노치 내에서 개방되며, 상기 기구는 파지 장치(grasping device) 및 고정 요소(fixing element)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지 장치에는 파지 장치가 수용하는 러그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기에 적합한 지지 부분(support portion)이 제공되고, 상기 고정요소는 러그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이는 위치에 파지 장치를 유지시키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간편한 취급성을 갖는 기구는 물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음식을 수용한 용기의 무게로 인해 베이스에서 탈거될 수 있는 단점이 있고, 오랜 기간 사용하다보면 용기와 베이스 사이의 러그가 손상되어 용기가 제대로 회전하지 못하여 물이 용이하게 배출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냄비에 건지개를 구비하여 음식을 삶거나 데친 후에 음식을 용이하게 건질 수 있도록 하는 건지개가 구비된 냄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건지개는 채망에서 손잡이가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건지개를 단독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효율성을 높이는 건지개가 구비된 냄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채망 하단에는 바닥과 일정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도록 받침돌기가 구비되어 음식을 수용한 망채가 바닥에 닿는 것을 방지하여 식품을 위생적으로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 건지개가 구비된 냄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건지개가 구비된 냄비는 일면이 개방된 오목한 형상으로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가 구비된 냄비;와 상기 냄비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되 상기 개방된 일면의 테두리에 안착할 수 있도록 안착수단이 형성되는 채망과 채망에서 착탈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구비된 착탈손잡이로 구성되는 건지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냄비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건지개의 채망은 냄비 수용공간의 내벽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수용될 수 있는 너비로 형성한다.
상기 건지개의 채망 하단에는 채망이 바닥과 맞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단에서 돌출된 받침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건지개의 채망은 물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배출유로는 채망에서 상부로 돌출되되 기울기를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건지개의 채망 내벽에는 체결홈이 형성된 체결부재가 부착고정되고, 착탈손잡이는 양측으로 돌출된 착탈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착탈돌기가 상기 체결홈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부재에 걸림으로 인해 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지개가 구비된 냄비에 의하면, 냄비에 건지개를 구비하여 음식을 삶거나 데친 후에 음식이 수용된 건지개를 냄비에서 분리하도록 하여 음식을 간편하게 삶거나 데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건지개는 채망과 손잡이가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채망을 단독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채망 하부에 바닥과 일정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도록 받침돌기가 형성되어 식품이 위생적으로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건지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건지개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건지개를 나타내는 단면도.
본 발명은 건지개가 구비된 냄비에 있어서, 일면이 개방된 오목한 형상으로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가 구비된 냄비;와 상기 냄비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되 상기 개방된 일면의 테두리에 안착할 수 있도록 안착수단이 형성되는 채망과 채망에서 착탈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구비된 착탈손잡이로 구성되는 건지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냄비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건지개의 채망은 냄비 수용공간의 내벽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수용될 수 있는 너비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건지개의 채망 하단에는 채망이 바닥과 맞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단에서 돌출된 받침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건지개의 채망은 물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배출유로는 채망에서 상부로 돌출되되 기울기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건지개의 채망 내벽에는 체결홈이 형성된 체결부재가 부착고정되고, 착탈손잡이는 양측으로 돌출된 착탈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착탈돌기가 상기 체결홈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부재에 걸림으로 인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건지개가 구비된 냄비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건지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건지개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건지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건지개가 구비된 냄비의 일실시예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냄비(100)와 건지개(200)로 이루어져 있으며 뚜껑(30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냄비(100)는 음식을 끓이거나 삶는데 사용되는 일반적인 냄비(100)로써, 일면이 개방된 오목한 형상으로 내부에는 빈공간으로 이루어진 수용공간(130)이 형성된다.
상기 냄비(100)의 일측면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돌출된 손잡이(150)가 구성된다.
상기 건지개(200)는 냄비(100)의 수용공간(130)에 수용되어 음식을 끓이거나 데친 후 용이하게 음식을 꺼내는 역할을 수행한다. 건지개(200)는 냄비(100)와 비슷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음식을 수용하거나 인출할 수 있도록 냄비(100)의 개방된 일면과 동일한 면이 개방된다.
상기 건지개(200)는 채망(210)과 상기 채망(210)에서 착탈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구비된 착탈손잡이(230)로 구성된다.
상기 채망(210)은 개방된 일면을 제외한 모든 면이 그물코를 형성한 메쉬망으로 이루어져 있다. 채망(210)은 수용공간(130)에 완전히 수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냄비(100)의 테두리(110)에 안착할 수 있는 안착수단(212)을 형성한다. 안착수단(212)은 측면으로 일정한 폭이 형성된 채망(210)의 테두리로 냄비(100)의 테두리(110)에 안착된다.
상기 채망(210)은 테두리(110)에 안착된 상태에서 냄비(100)의 수용공간(130)의 내벽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수용될 수 있는 너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채망(210)이 냄비(100)의 내벽과 맞닿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상호 맞닿아 발생하는 긁힘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채망(210)에 수용된 음식이 균일하게 삶거나 데쳐질 수 있다.
상기 채망(210)에는 물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유로(214)가 형성된다. 배출유로(214)는 채망(210)의 안착수단(212)에서 상부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되, 물이 좀 더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기울기를 갖도록 구성한다. 배출유로(214)의 기울기는 채망의 내부방향이 아닌 외부방향으로 기울기를 갖도록 구성한다.
상기 채망(210)은 싱크대 등의 바닥에 안착시켰을 때 바닥과 채망(210)의 하단이 맞닿지 않도록 받침돌기(216)를 형성한다. 받침돌기(216)는 채망(210)의 내부에 수용된 음식과 싱크대 등의 바닥과 맞닿는 것을 방지하므로 위생적으로 음식을 보관할 수 있다.
상기 받침돌기(216)는 채망(210)의 하단에서 돌출된 형태로 형성하며, 안정적으로 채망(210)을 받칠 수 있도록 복수개 형성한다.
상기 채망(210)은 일측면에서 착탈손잡이(230)가 착탈될 수 있도록 체결부재(218)를 부착고정한다.
상기 체결부재(218)는 평면상으로 'ㄷ' 형상으로 형성되며 채망(210)의 내벽에 부착고정하면 체결부재(218)와 채망(210)의 내벽 사이에 체결홈(218a)이 형성된다. 체결홈(218a)으로 착탈손잡이(230)의 착탈돌기(238)가 관통하여 체결부재(218)에 검림체결되어 착탈손잡이(230)가 채망(210)에 장착된다.
상기 착탈손잡이(230)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채망(210)이 냄비(100)에 안착수용되었을 때 냄비(100)의 손잡이(150)와 동일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착탈손잡이(230)는 냄비(100)의 손잡이(150)의 끝단과 동일한 위치에 착탈손잡이(230)의 끝단이 위치할 수 있도록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한다. 착탈손잡이(230)는 냄비(100)의 수용공간(130)에 수용되었을 때 냄비(100)의 손잡이(150)와일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한다.
상기 착탈손잡이(230)는 채망(210)에서 착탈될 수 있도록 양측으로 돌출된 착탈돌기(238)가 형성된다.
상기 착탈돌기(238)가 체결홈(218a)을 관통할 수 있도록 착탈손잡이(230)를 양측에서 가압한다. 착탈돌기(238)가 체결홈(218a)을 관통하고 난 뒤 착탈손잡이(230)의 가압을 중단하면 복원력에 의해 착탈돌기(238)가 체결부재(218)에 걸림체결된다.
상기 착탈손잡이(230)를 양측에서 다시 가압하면 체결부재(218)에 체결되어 있던 착탈돌기(238)가 체결부재(218)에서 탈락하여 체결홈(218a)에 위치하고 그 상태에서 착탈돌기(238)를 체결홈(218a)에서 인출하여 착탈손잡이(230)를 탈거할 수 있다.
상기 착탈손잡이(230)를 탈거하면 채망(210)은 단독사용이 가능하여 음식을 수용한채로 음식을 물에 씻는 용도 등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채망(210)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뚜껑(300)은 냄비(100)의 개방된 일면은 폐쇄하는 것으로서, 냄비(100)의 테두리(110)에 대응하는 너비로 형성되어 음식 조리시 냄비(100)의 개방된 일면을 폐쇄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지개가 구비된 냄비는 냄비(100)의 수용공간(130)에 건지개(200)를 수용한다, 이후, 음식을 건지개(200) 내에 수용한 채로 음식을 삶거나 데친다.
상기 음식이 삶거나 데쳐진 후 손잡이(150)와 착탈손잡이(230)를 동시에 사용자가 손으로 잡으면 냄비(100)에서 채망(210)이 비스듬히 경사진 형태로 냄비(100)에서 이격된다. 상기 이격된 공간에서 냄비(100) 내에 잔류하던 물을 배출시킨다. 냄비(100) 내에 물이 많을 때에는 채망(210)의 배출유로(214)를 통해서도 물이 배출된다.
이후, 냄비(100)와 건지개(200)를 분리하여 건지개(200)를 꺼내 음식을 외부로 노출시킨다. 건지개(200)의 채망(210)과 착탈손잡이(230)를 분리하여 음식을 채망(210)에 보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냄비 110 : 테두리 130 : 수용공간
150 : 손잡이 200 : 건지개 210 : 채망
212 : 안착수단 214 : 배출유로 216 : 받침돌기
218 : 체결부재 218a : 체결홈 230 : 착탈손잡이
238 : 착탈돌기

Claims (5)

  1. 일면이 개방된 오목한 형상으로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가 구비된 냄비;와
    상기 냄비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되 상기 개방된 일면의 테두리에 안착할 수 있도록 안착수단이 형성되는 채망과 채망에서 착탈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구비된 착탈손잡이로 구성되는 건지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냄비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건지개의 채망은 냄비 수용공간의 내벽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수용될 수 있는 너비로 형성되며,
    상기 건지개의 채망 하단에는 채망이 바닥과 맞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단에서 돌출된 받침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건지개의 채망은 물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유로를 형성하되, 상기 배출유로는 채망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기울기를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기울기는 채망의 외부방향으로 기울기를 가지며,
    상기 건지개의 채망 내벽에는 체결홈이 형성된 체결부재가 부착고정되고, 착탈손잡이는 양측으로 돌출된 착탈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착탈돌기가 상기 체결홈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부재에 걸림으로 인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지개가 구비된 냄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0145745A 2015-10-20 2015-10-20 건지개가 구비된 냄비 KR101717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745A KR101717124B1 (ko) 2015-10-20 2015-10-20 건지개가 구비된 냄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745A KR101717124B1 (ko) 2015-10-20 2015-10-20 건지개가 구비된 냄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7124B1 true KR101717124B1 (ko) 2017-03-16

Family

ID=58497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5745A KR101717124B1 (ko) 2015-10-20 2015-10-20 건지개가 구비된 냄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71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6581A (ko) 2017-11-17 2019-05-27 임성준 물버림 냄비
KR102380450B1 (ko) 2021-03-18 2022-03-29 최혁 채반이 구비된 냄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57038A (en) * 1997-01-15 1999-09-28 Shimazaki; Junji John Cooking pot with reversible multi-function top
KR20100030481A (ko) * 2008-09-10 2010-03-18 정유진 조리용기
KR20130006887U (ko) * 2012-03-03 2013-12-02 이병대 조리용기 손잡이
KR20140063992A (ko) * 2012-11-19 2014-05-28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지개가 부설된 냄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57038A (en) * 1997-01-15 1999-09-28 Shimazaki; Junji John Cooking pot with reversible multi-function top
KR20100030481A (ko) * 2008-09-10 2010-03-18 정유진 조리용기
KR20130006887U (ko) * 2012-03-03 2013-12-02 이병대 조리용기 손잡이
KR20140063992A (ko) * 2012-11-19 2014-05-28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지개가 부설된 냄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6581A (ko) 2017-11-17 2019-05-27 임성준 물버림 냄비
KR102380450B1 (ko) 2021-03-18 2022-03-29 최혁 채반이 구비된 냄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08275C1 (ru) Кухонная посуда, включающая в себя крышку, имеющую ручку с опорой для кухонной принадлежности
US7325695B2 (en) Dish rack with water drainage mechanism
US6732636B1 (en) Angel hair pasta basket
EP1709873A2 (en) Holder for baked goods
US20080251472A1 (en) Cooking caddy
US20140251930A1 (en) Dish drying rack and tray assembly
KR101717124B1 (ko) 건지개가 구비된 냄비
US20150164268A1 (en) Combination Lid and Utensil Holder
US20110179954A1 (en) Multi-purpose basket
KR101587937B1 (ko) 조리용기 손잡이
US9220363B2 (en) Grilling utensil that doubles as a removable handle
TWI571319B (zh) 濾除裝置
JP5356846B2 (ja) 鍋等用箸置き具
JP3361015B2 (ja) ホルダー付きまな板およびまな板ホルダー
KR101452153B1 (ko) 주방용 조리기구
KR20170105835A (ko) 뜰채가 구비된 냄비
KR200331309Y1 (ko) 후라이팬
JPH0637799Y2 (ja) 揚物器
KR20180119876A (ko) 세척수의 배수기능을 가진 믹싱볼
JPS6037063Y2 (ja) 軽便調理用具
KR100937551B1 (ko) 밥주걱
KR20090010538U (ko) 차 우림구
KR20180089072A (ko) 수납된 식도구의 고정이 용이한 식판 뚜껑.
JP3122914U (ja) 玉杓子立具
KR20240003824A (ko) 조리기구에 거치 가능한 조리기구용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