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0450B1 - 채반이 구비된 냄비 - Google Patents

채반이 구비된 냄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0450B1
KR102380450B1 KR1020210035082A KR20210035082A KR102380450B1 KR 102380450 B1 KR102380450 B1 KR 102380450B1 KR 1020210035082 A KR1020210035082 A KR 1020210035082A KR 20210035082 A KR20210035082 A KR 20210035082A KR 102380450 B1 KR102380450 B1 KR 102380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pot
present
locking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5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혁
Original Assignee
최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혁 filed Critical 최혁
Priority to KR1020210035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04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0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0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18Boilers or utensils with sieves inserted therein, e.g. potato-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47J36/08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for draining liquids from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2Kitchen sif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채반이 구비된 냄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냄비의 내부에 바구니 형태의 채반을 구비하되, 냄비를 기울여도 채반은 기울지 않도록 함으로써 냄비를 기울여 물을 버리더라도 채반에 담긴 내용물은 쏟아지지 않는 채반이 구비된 냄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채반이 구비된 냄비는, 내부 양측 상부에 축이 돌출 형성된 냄비 본체; 다수의 배출공을 가지는 바구니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부 양측에 '∩' 모양의 걸림홈이 구비되어 냄비 본체의 양 축에 걸림홈이 각각 결합됨으로써 시소 운동하는 채반; 을 포함하되, 상기 채반은 양측에 수평의 안내 홈을 관통 형성하고, 상기 걸림홈은 채반과 별도의 몸체로 구비된 걸림부에 형성하되, 그 일측에 채반의 안내 홈에 끼워지는 목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채반이 구비된 냄비는 냄비를 기울여도 그 내부의 채반은 기울지 않아 신속 간편하게 물만 버릴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채반을 좌우로 회동시킬 수 있어 음식물에 묻은 수분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채반이 구비된 냄비{The pot in which tray}
본 발명은 채반이 구비된 냄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냄비의 내부에 바구니 형태의 채반을 구비하되, 냄비를 기울여도 채반은 기울지 않도록 함으로써 냄비를 기울여 물을 버리더라도 채반에 담긴 내용물은 쏟아지지 않는 채반이 구비된 냄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냄비는 상부가 개방된 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음식물과 물을 넣고 끓이거나 삶는데 사용한다. 그리고 바구니 형태의 채반은 냄비에 삽입되어 삶거나 데친 음식물을 물로부터 쉽게 건져낼 수 있다.
이러한 냄비와 채반은 각각 제조되어 사용되므로 그 크기가 서로 달라 냄비 크기 대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우며 각각 사용공간을 차지해 공간 효율성도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냄비가 특허 제10-1458281호로 등록되었는바, 그 구조를 살펴보면, 망체와 손잡이로 이루어진 건지개와 냄비 본체와 손잡이로 이루어진 냄비로 구성되어 상기 망체가 냄비 본체의 내부로 삽입 장착되며, 상기 건지개의 손잡이 양측에 받침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냄비의 손잡이 양측에 상기 받침돌기와 대응하여 결합되는 받침홈이 형성되어 받침돌기와 받침홈을 받침점으로 하고, 건지개의 손잡이를 힘점으로 하고, 망체를 작용점으로 하는 지렛대작용에 의해 상기 건지개의 손잡이가 상기 냄비의 손잡이에 대해 벌려지거나 오므려지면서 망체를 냄비본체의 내부에 상승시키거나 냄비본체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의 냄비는 냄비에 건지개가 포개진 상태로 결합되어 그 각각의 손잡이를 이용한 지렛대작용 및 시소 운동에 의해 건지개의 망체가 냄비 본체의 내부에서 상승하거나 그 자중에 의해 냄비 본체의 내부로 저절로 삽입되므로 냄비에서 조리대상물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건져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관 및 운반 시 그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어 공간효율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나, 손잡이가 하나이므로 내용물이 많거나 냄비가 큰 경우 무거워 취급이 어렵고, 냄비를 살짝 기울이면 괜찮으나 많이 기울면 건지개 또한 기울어져 내용물이 쏟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KR 등록특허공보 제10-1458581호(2014.10.29) KR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20351호(2003.03.08) KR 등록특허공보 제10-1717124호(2017.03.10) KR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58410호(2018.06.01)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냄비를 기울여도 그 내부의 채반은 기울지 않도록 함으로써 채반 내의 음식은 쏟아지지 않고 물만 신속 간편하게 버릴 수 있는 채반을 구비한 냄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채반이 구비된 냄비는,
내부 양측 상부에 축이 돌출 형성된 냄비 본체;
다수의 배출공을 가지는 바구니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부 양측에 '∩' 모양의 걸림홈이 구비되어 냄비 본체의 양 축에 걸림홈이 각각 결합됨으로써 시소 운동하는 채반;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채반은 양측에 수평의 안내 홈을 관통 형성하고,
상기 걸림홈은 채반과 별도의 몸체로 구비된 걸림부에 형성하되, 그 일측에 채반의 안내 홈에 끼워지는 목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부는 측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여 걸림부가 안내 홈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채반의 안내 홈은 일측 상부에 단턱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채반은 반원형의 손잡이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축은 확장된 걸림턱부를 결합하되, 걸림턱부는 축과 나선 결합되어 냄비 본체의 내벽으로부터 걸림턱부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채반이 구비된 냄비는 냄비를 기울여도 그 내부의 채반은 기울지 않아 신속 간편하게 물만 버릴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냄비를 양손으로 들 수 있어 큰 냄비에도 사용할 수 있고, 채반을 냄비에 포개어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채반을 좌우로 회동시킬 수 있어 음식물에 묻은 수분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채반이 구비된 냄비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채반이 구비된 냄비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축과 걸림부의 구조를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채반이 구비된 냄비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축과 걸림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채반이 구비된 냄비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채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걸림부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축과 걸림부의 구조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채반의 안내 홈을 도시한 요부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채반이 구비된 냄비의 사용상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채반이 구비된 냄비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채반이 구비된 냄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채반이 구비된 냄비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축과 걸림부의 구조를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채반이 구비된 냄비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축과 걸림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채반이 구비된 냄비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채반이 구비된 냄비(100)는 내부 양측 상부에 축(12)이 돌출 형성된 냄비 본체(10); 다수의 배출공(21)을 가지는 바구니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부 양측에 '∩' 모양의 걸림홈(22)이 구비되어 냄비 본체(10)의 양 축(12)에 걸림홈(22)이 각각 결합됨으로써 시소 운동하는 채반(20); 을 포함한다.
상기 냄비 본체(10)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냄비와 같이 상부가 개구된 통 형상을 가지며 양측 외측면에 양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11)가 구비된다. 이러한 냄비 본체(10)는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면 상부에 서로 대칭되는 축(12)이 돌출 형성되는데, 양 축(12)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며, 축 방향이 서로 일치하도록 한다.
상기 채반(20)은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구니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배출공(21)이 관통 형성되어 음식은 담기고 물은 배출공(21)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채반(20)의 양측 상부 외측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 모양의 걸림홈(22)이 구비되어 냄비 본체(10)의 축(12)에 각각 끼워져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기 채반(2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12)을 중심으로 시소 운동을 하며, 걸림홈(22)이 채반(20)의 상부에 위치하므로 채반(20)은 자중에 의해 항시 개구된 부위가 상부를 향하게 된다. 즉, 냄비 본체(10)를 기울이더라도 채반(20)은 기울지 않아 내부에 담긴 내용물은 쏟아지지 않으며 냄비 본체(10)를 기울임으로써 냄비 본체(10)에 담긴 물만 신속 간편하게 쏟아 버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채반(20)은 반원형의 손잡이(29)가 설치되는데, 손잡(29)이 양단이 채반(20)에 축 결합됨으로써 회동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손잡이(29)를 쉽게 젖힐 수 있으며, 필요시 손잡이(29)를 잡고 들어올리는 방법에 의해 채반(20)은 냄비 본체(10)로부터 이탈된다. 채반(20)의 걸림홈(22)이 '∩' 으로 형성됨으로써 채반(20)을 냄비 본체(10)에 삽입하면 걸림홈(22)이 축(12)에 얹혀져 끼워지고, 들어올리면 이탈되므로 매우 손쉽게 장착 및 탈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축(12)은 확장된 걸림턱부(13)를 결합할 수 있다. 걸림턱부(13)는 걸림홈(22)보다 넓은 사이즈로 형성하여 걸림홈(22)이 걸림턱부(13)에 걸림으로써 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이는 채반(20)의 원활한 회동을 위해 냄비 본체(10)와의 간격을 충분히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간격으로 인해 채반(20)은 측 방향으로 유동하게 되나 걸림턱부(13)에 걸림홈(22)이 걸림으로써 이탈하지 않게된다. 그리고 걸림턱부(13)는 축(12)과 나선 결합되어 냄비 본체(10)의 내벽으로부터 걸림턱부(13)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제조가 용이토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채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걸림부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축과 걸림부의 구조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채반의 안내 홈을 도시한 요부 확대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채반이 구비된 냄비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채반이 구비된 냄비(100)는 채반(20)의 음식에 묻은 물기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채반(20)은 양측에 수평의 안내 홈(25)을 관통 형성하고, 상기 걸림홈(22)은 채반(20)과 별도의 몸체로 구비된 걸림부(23)에 형성하되, 그 일측에 채반(20)의 안내 홈(25)에 끼워지는 잘록한 목부(24)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양 안내 홈(25)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며, 안내 홈(25)의 일측 상부에 단턱(25')이 형성되어 걸림부(23)의 목부(24)가 살짝 걸림되도록 한다. 단턱(25')이 상부에 형성됨으로써 목부(24)에 얹혀진 안내 홈(25)은 단턱(25')에 걸림되어 움직이지 않지만, 채반(20)을 살짝 들어올리면 목부(24)가 안내 홈(25)의 하단에 위치하면서 단턱(25')으로부터 쉽게 벗어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23)의 목부(24)는 측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여 걸림부(23)가 안내 홈(25)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채반(20)은 손잡이를 잡고 좌우 방향으로 왕복 회동시키면 채반(20) 내의 음식에 묻은 물기가 원심력에 의해 사방으로 퍼지게 되고, 결국 채반(20)의 배출공(21)을 통해 배출되며 냄비 본체(10)에 담기게 된다. 이와 같이 채반(20)이 냄비 본체(10)에 삽입된 상태에서 물기가 배수되므로 외부로 튀지 않고 냄비 본체(10)에 담긴 상태를 유지하며, 냄비 본체(10)를 기울여 수집된 물을 쏟아 버린다.
10 : 냄비 본체 11, 29 : 손잡이
12 : 축 13 : 걸림턱부
20 : 채반 21 : 배출공
22 : 걸림홈 23 : 걸림부
24 : 목부 25 : 안내 홈
25' : 단턱 100 : 냄비

Claims (5)

  1. 내부 양측 상부에 축(12)이 돌출 형성된 냄비 본체(10); 다수의 배출공(21)을 가지는 바구니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부 양측에 '∩' 모양의 걸림홈(22)이 구비되어 냄비 본체(10)의 양 축(12)에 걸림홈(22)이 각각 결합됨으로써 시소 운동하는 채반(20); 을 포함하며,
    상기 채반(20)은 양측에 수평의 안내 홈(25)을 관통 형성하고,
    상기 걸림홈(22)은 채반(20)과 별도의 몸체로 구비된 걸림부(23)에 형성하되, 그 일측에 채반(20)의 안내 홈(25)에 끼워지는 목부(24)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채반이 구비된 냄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목부(24)는 측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여 걸림부(23)가 안내 홈(25)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채반이 구비된 냄비.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반(20)의 안내 홈(25)은 일측 상부에 단턱(25')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채반이 구비된 냄비.
  4. 삭제
  5. 삭제
KR1020210035082A 2021-03-18 2021-03-18 채반이 구비된 냄비 KR102380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082A KR102380450B1 (ko) 2021-03-18 2021-03-18 채반이 구비된 냄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082A KR102380450B1 (ko) 2021-03-18 2021-03-18 채반이 구비된 냄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0450B1 true KR102380450B1 (ko) 2022-03-29

Family

ID=80997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5082A KR102380450B1 (ko) 2021-03-18 2021-03-18 채반이 구비된 냄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045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03316A (ja) * 1989-02-18 1992-06-18 フイスレル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煮沸容器
KR20030020351A (ko) 2003-02-10 2003-03-08 박승록 소쿠리 일체형 냄비
KR101458581B1 (ko) 2013-04-25 2014-11-0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수식-문자열 변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식-문자열 변환 방법
KR101717124B1 (ko) 2015-10-20 2017-03-16 박봉오 건지개가 구비된 냄비
KR20170122967A (ko) * 2016-04-28 2017-11-07 윤동원 회전 냄비
KR20180058410A (ko) 2016-11-24 2018-06-01 손병준 냄비뚜껑
KR20180119876A (ko) * 2017-04-26 2018-11-05 엄기환 세척수의 배수기능을 가진 믹싱볼
KR20190027121A (ko) * 2017-09-06 2019-03-14 유지열 채반과 결합하는 바가지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03316A (ja) * 1989-02-18 1992-06-18 フイスレル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煮沸容器
KR20030020351A (ko) 2003-02-10 2003-03-08 박승록 소쿠리 일체형 냄비
KR101458581B1 (ko) 2013-04-25 2014-11-0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수식-문자열 변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식-문자열 변환 방법
KR101717124B1 (ko) 2015-10-20 2017-03-16 박봉오 건지개가 구비된 냄비
KR20170122967A (ko) * 2016-04-28 2017-11-07 윤동원 회전 냄비
KR20180058410A (ko) 2016-11-24 2018-06-01 손병준 냄비뚜껑
KR20180119876A (ko) * 2017-04-26 2018-11-05 엄기환 세척수의 배수기능을 가진 믹싱볼
KR20190027121A (ko) * 2017-09-06 2019-03-14 유지열 채반과 결합하는 바가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00451B2 (en) Device and method for removing solids and liquids from a pot
US6167799B1 (en) Tamale and vegetable steaming device
AU2015100678A4 (en) Pot and infuser thereof
KR102380450B1 (ko) 채반이 구비된 냄비
US5367775A (en) Skimming ladle
CA2808634A1 (en) Colander-bowl assembly
CN107223032B (zh) 蔬菜甩水器
KR101139309B1 (ko) 넘침방지 냄비뚜껑
US6536603B1 (en) Pot having a lid
JP2008302188A (ja) お玉杓子
US20130233868A1 (en) Produce Washing Bowl
KR200493601Y1 (ko) 수란제조기
KR102509331B1 (ko) 다용도 채반
KR20180136681A (ko) 세척수의 배수기능을 가진 믹싱볼
KR20180119876A (ko) 세척수의 배수기능을 가진 믹싱볼
JP2008113989A (ja) ジューサー
JP6761994B2 (ja) アイスペール
JP2002345659A (ja) 食品保存容器
KR101229406B1 (ko) 곡물 세척 용기
FR3098802A1 (fr) Bac pour collecte de déchets à double couvercle muni d’un dispositif de retenue des couvercles
EP3937738B1 (fr) Machine de preparation de boissons infusees munie d'un panier filtre relevable
JP7407763B2 (ja) 飲料用カップの蓋
KR200281725Y1 (ko) 닭튀김용 탈유기
JP2020185435A (ja) アイスペール
JPH0866312A (ja) きゅうす、ティーポット等の茶こし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