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7121A - 채반과 결합하는 바가지 - Google Patents

채반과 결합하는 바가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7121A
KR20190027121A KR1020170113756A KR20170113756A KR20190027121A KR 20190027121 A KR20190027121 A KR 20190027121A KR 1020170113756 A KR1020170113756 A KR 1020170113756A KR 20170113756 A KR20170113756 A KR 20170113756A KR 20190027121 A KR20190027121 A KR 20190027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aging portion
engaging
bowl
coupling
bar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열
조성민
Original Assignee
유지열
조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지열, 조성민 filed Critical 유지열
Priority to KR1020170113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7121A/ko
Publication of KR20190027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71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8Pails for kitchen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4Devices for washing vegetabl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바가지;
상기 바가지의 하부에 구성한 받침대;
상기 바가지의 상부에 구성한 결합부;
상기 바가지의 내부에 결합하는 채반;
상기 채반의 상부에 상기 바가지의 결합부와 결합하는 채반결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반과 결합하는 바가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채반과 결합하는 바가지{The bowl with wicker tray}
본 발명은 채반이 부착되어있는 바가지에 관한 것으로 채반과 바가지가 일체로 구성되어 곡식이나 과일을 세척과 탈수가 용이하게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에서는 채반이 있는 냄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면류를 삶고 삶아낸 물을 제거하여 면류만을 잔류시키기 위한 채반이 형성된 면류용 냄비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면류를 삶을 때에는 냄비에 물을 붓고 가열하여 면류를 투입한후 면이 익으면 면류와 물을 함께 채반에 쏟아 물을 배출시킨 후 면류를 헹구기 위한 그릇에 면을 옮겨담고, 다시 찬물을 부어 면을 헹구고 또 다시 채반에 받쳐 물을 빼낸 뒤 헹구기와 물빼기의 과정을 수회 반복적으로 되풀이 하고 있다.
냄비에 면을 삶아 냄비를 기울려 면류가 유실되지 아니하도록 주의를 기울여가면서 면과 물을 분리하고 헹구는 과정에서도 세심하게 주의하여 반복하여야 하는데 이때 필연적으로 면류는 배출되는 물과 함께 유실되기 때문에 면류의 헹굼이어렵고 또한, 조리 후 유실된 면류 찌꺼기를 제거하여야 하는 이중의 수고가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종래의 도에 따르면 냄비본체(1)를 기울여서 개구부 테두리(3)에 부착되어있는 차단판(10)이 있고 차단판에 통공(12)이 구성되어있어서 면류를 삶아낸 후에 물을 쏟아부어도 면류가 소실되지 아니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면류뿐만 아니라 과일이나 곡식 및 채소를 세척한 후에 물을 쏟아내고자 하는 경우에도 세척과 동시에 세척한 과일이나 곡식 및 채소가 유실되지 않도록 하는 도구가 필요하다.
1.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공보 20-0391537(2005.08.03) 2. 대한민국특허청 특허등록번호 10-1236248(2013.02.22)
세척을 한 후에 세척한 내용물이 유실되지 않도록 하면서 물을 빼내는 것이다.
세척과 탈수가 용이하게 하는 한편 필요에 따라 탈부착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바가지;
상기 바가지의 하부에 구성한 받침대;
상기 바가지의 상부에 구성한 결합부;
상기 바가지의 내부에 결합하는 채반;
상기 채반의 상부에 상기 바가지의 결합부와 결합하는 채반결합부;로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채반은 상기 바가지와 동일한 구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바가지의 상기 결합부와 상기 채반의 상기 채반결합부는 각각 두 개의 개소에 구성되되, 반원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결합부와 상기채반결합부의 구성은 미끄럼 마찰을 일으키며 회전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바가지의 상기 결합부와 상기 채반결합부와의 구성이 결합한 후에 이탈되지 않도록 요철을 구성하되 상기 결합부에는 요부를 구성하고 상기 채반결합부에는 철부를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바가지와 상기 채반이 착탈시에 용이하게 착탈하도록 상기 결합부의 요부에는 상기 채반결합부의 철부가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삽입홈을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채반에는 하부에 홀이 구성하여 채반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채반의 외부 하부에 받침대를 구성하여 바가지와 이격하여 물이 빠지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의 최하부에는 홀을 구성하여 세척하는 과정에서 홈부에 물기가 있을 경우에는 하부로 물이 빠져나가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채반과 바가지를 결합하여 세척을 반복하면서 또는 세척 후 물을 탈수하면서 채반에 담겨진 곡식,과일 및 채소 등을 유실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와 번거롭지 않도록 하고 세척시간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다.
제1도는 채반과 결합하는 바가지를 보이는 도이다.
제2도는 채반과 바가지를 이격시켜놓은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3a도는 채반을 보이는 도이다.
제3b도는 채반의 이면을 보이는 도이다.
제3c도는 채반결합부의 상세부분을 보이는 도이다.
제4a도는 바가지의 내부를 보이는 도이다.
제4b도는 바가지의 이면을 보이는 도이다.
제4c도는 바가지의 결합부를 상세히 보이는 도이다.
제5도는 채반과 결합하는 바가지의 사용 상태도이다.
제6도는 종래의 기술을 보이는 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하여 도면에 따라 하기와 같이 구성한다.
도1 및 도2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바가지;(200)
상기 바가지의 상부에 구성한 결합부(230);
상기 바가지의 하부에 구성한 받침대(221,222,223,224);
상기 바가지의 내부에 결합하는 채반(100);
상기 채반의 상부에 상기 바가지의 결합부와 결합하는 채반결합부(130);를 가지는 것으로 채반과 결합하는 바가지를 구성한다.
상기 채반(100)은 상기 바가지(200)와 동일한 형상의 구성이되 채반은 내부에 장착하므로 바가지보다 보다 작은 형상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바가지의 상기 결합부(230)와 상기 채반의 상기 채반결합부(130)는 각각 두 개의 개소에 구성되되, 반원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결합부와 상기 채반결합부의 구성은 미끄럼 마찰을 일으키며 회전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바가지의 상기 결합부(230)와 상기 채반결합부(130)와의 구성이 결합한 후에 이탈되지 않도록 요철을 구성하되 상기 결합부(230)에는 요부(231)를 구성하고 상기 채반결합부(130)에는 철부(131)를 구성한다.
상기 바가지(200)와 상기 채반이 착탈시에 용이하게 착탈하도록 상기 결합부의 요부(231)에는 상기 채반결합부의 철부가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삽입홈(233)을 구성한다.
도3a, 도3b, 도3c에 따라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채반(200)에는 하부에 통공(110)이 구성되어 과일이나 채소를 세척하고 난 후에 물기를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에 홀을 통하여 물이 흘러나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채반의 외부 하부에 채반 받침대(121,122,123,124)를 구성하여 바가지와 채반을 서로 이격시켜 구성하여 많은 물은 회전시켜 쏟아낸 후에 약간의 물기가 있는 것에는 바가지와 채반을 이격시켜 구성하기 위하여
채반 받침대(121,122,123,124)를 두는 것이다. 또한 받침대는 바가지와 채반을 원활하게 회전하기 위한 것이다.
채반결합부(130)는 결합부의 하부의 중앙에 돌기인 철부(131)를 구성한다.
도4a, 도4b, 도4c에 따라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외부에 구성된 바가지에 관한 것이다.
도4a에서는 바가지의 좌우측면에 결합부(230)에서는 바가지의 요부(231)와 채반의 철부(131)를 결합할 때 또는 이격하여 분리할 때에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1홈부(233)를 구성한다.
도4b에서는 바가지의 이면을 보이는 도로써 바가지 받침대(221,222,223,224)가 구성된 것을 보이는 도이다.
바가지가 받침대를 통하여 일정한 자세를 유지하든지 아니면 바가지 가운데 일부분을 평면으로 구성하기도 한다.
도4c는 결합부를 보다 확대하여 보이는 도이다.
결합부의 하부에 제2홈부(234)를 구성하여 물기가 있는 경우에 용이하게 하부로 흘러 내려가도록 하는 것이다.
도5는 곡식이나 채소 및 과일을 세척하고 난 후에 물을 쏟아붓고자 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것으로 채반 결합부의 철부(131)가 바가지의 결합부의 요부(231)를 타고 이동하는 모습을 보이는 도이다.
채반과 바가지에는 미끄럼 마찰의 형태로 회전하기 위하여 채반의 회전부(132)와 채반의 회전부에 대응되는 바가지의 회전부 (232)가 유선형 곡선으로 구성되어있다.
미끄럼 마찰을 줄이면서 원할하게 회전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 냄비본체 3: 개구부 테두리 10: 차단판 12:통공
100:채반 110:통공 121,122,123,124:채반 받침대 130:채반결합부 131:철부 132:회전부 200:바가지 221,222,223,224:바가지 받침대 230:결합부 231:요부 232:채반의 회전부에 대응되는 바가지의 회전부 233:제1홈부 234:제2홈부

Claims (8)

  1. 바가지;
    상기 바가지의 하부에 구성한 받침대;
    상기 바가지의 상부에 구성한 결합부;
    상기 바가지의 내부에 결합하는 채반;
    상기 채반의 상부에 상기 바가지의 결합부와 결합하는 채반결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반과 결합하는 바가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반은 상기 바가지와 동일한 구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반과 결합하는 바가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가지의 상기 결합부와 상기 채반의 상기 채반결합부는 각각 두 개의 개소에 구성되되, 반원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결합부와 상기채반결합부의 구성은 미끄럼 마찰을 일으키며 회전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반과 결합하는 바가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가지의 상기 결합부와 상기 채반결합부와의 구성이 결합한 후에 이탈되지 않도록 요철을 구성하되 상기 결합부에는 요부를 구성하고 상기 채반결합부에는 철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반과 결합하는 바가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가지와 상기 채반이 착탈시에 용이하게 착탈하도록 상기 결합부의 요부에는 상기 채반결합부의 철부가 용이하게 착탈할 수있도록 삽입홈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반과 결합하는 바가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반에는 하부에 홀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반과 결합하는 바가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반의 외부 하부에 받침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반과 결합하는 바가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최하부에는 홀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반과 결합하는 바가지.

KR1020170113756A 2017-09-06 2017-09-06 채반과 결합하는 바가지 KR201900271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756A KR20190027121A (ko) 2017-09-06 2017-09-06 채반과 결합하는 바가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756A KR20190027121A (ko) 2017-09-06 2017-09-06 채반과 결합하는 바가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121A true KR20190027121A (ko) 2019-03-14

Family

ID=65759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756A KR20190027121A (ko) 2017-09-06 2017-09-06 채반과 결합하는 바가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712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0450B1 (ko) * 2021-03-18 2022-03-29 최혁 채반이 구비된 냄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1537Y1 (ko) 2005-05-19 2005-08-03 주식회사 유앤아이씨 채반이 형성된 면류용 냄비
KR101236248B1 (ko) 2007-03-22 2013-02-22 프로그레시브 인터네셔널 코퍼레이션 접이식 채반 및 그릇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1537Y1 (ko) 2005-05-19 2005-08-03 주식회사 유앤아이씨 채반이 형성된 면류용 냄비
KR101236248B1 (ko) 2007-03-22 2013-02-22 프로그레시브 인터네셔널 코퍼레이션 접이식 채반 및 그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0450B1 (ko) * 2021-03-18 2022-03-29 최혁 채반이 구비된 냄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811896A (en) Splashless dishpan, basin and the like
US9756984B2 (en) Container
KR20190027121A (ko) 채반과 결합하는 바가지
US20130233868A1 (en) Produce Washing Bowl
US1276018A (en) Spoon-holder for cups, &c.
CN201977624U (zh) 厨房用沥水架
CN204722902U (zh) 一种多功能果蔬清洗盆
US20060231554A1 (en) Combined salad bowl drainer
CN205094248U (zh) 新沥水篮
US1702737A (en) Juice extractor
CN208388484U (zh) 一种清洗机中的果蔬清洗装置
US20100213203A1 (en) Drinking vessel with receptacle for drippings
CN205018901U (zh) 一种滤水筛
US1602291A (en) Dishwashing device
US20200229651A1 (en) Compact Vegetable and Fruit Washer
CN204909221U (zh) 一种沥水碗架
TWM564421U (zh) Drain container structure
KR101524730B1 (ko) 스마트 워시 볼
TWM527291U (zh) 洗滌籃結構
CN107951419A (zh) 可滤水的洗菜盆
US1605238A (en) Tableware drainer
CN208160556U (zh) 一种家用淘洗盆
TWM470087U (zh) 具旋轉開口之食物容器
CN109875431A (zh) 多功能切菜板
CN206995154U (zh) 一种组合式洗菜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