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4730B1 - 스마트 워시 볼 - Google Patents

스마트 워시 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4730B1
KR101524730B1 KR1020140047891A KR20140047891A KR101524730B1 KR 101524730 B1 KR101524730 B1 KR 101524730B1 KR 1020140047891 A KR1020140047891 A KR 1020140047891A KR 20140047891 A KR20140047891 A KR 20140047891A KR 101524730 B1 KR101524730 B1 KR 101524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wl
lid
contents
smart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7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미
장용희
Original Assignee
이정미
장용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미, 장용희 filed Critical 이정미
Priority to KR1020140047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47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4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4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4Devices for washing vegetabl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8Pails for kitchen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워시 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그릇의 상부에 채반형태의 뚜껑을 결합시켜 그릇에 담긴 과일, 채소, 쌀 등을 씻을 때 물이 넘쳐 물과 함께 내용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손으로 일일이 씻지 않을 수 있으며 채반에 따로 옮기거나 바닥에 흘리지 않고 바로 보관할 수 있는 스마트 워시 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 워시 볼{Smart wash bowl}
본 발명은 스마트 워시 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그릇의 상부에 채반형태의 뚜껑을 결합시켜 그릇에 담긴 과일, 채소, 쌀 등을 씻을 때 물이 넘쳐 물과 함께 내용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손으로 일일이 씻지 않을 수 있으며 채반에 따로 옮기거나 바닥에 흘리지 않고 바로 보관할 수 있는 스마트 워시 볼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과일, 채소, 쌀 등을 씻을 때 바가지 또는 그릇에 담고 물을 받아 손을 사용해 세척하고, 오수를 배출할 때 바가지 또는 그릇을 기울이고 내용물이 배출되지 않도록 손을 사용해 내용물을 막아야했다.
이때, 바가지 또는 그릇에서 오수를 완전히 배출시키기 위해 기울이다가 내용물이 쏟아지거나 오수를 완전히 배출시키지 못해 오수가 잔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바가지 상부에 채반을 삽탈자재토록 한 대한민국실용신안공보 제20-1990-0000163호 채반이 결합되는 바가지는 세척 후 오수를 충분히 배출할 수 있으나 채반과 바가지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평평한 형태의 채반을 따로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있었고 바가지만으로도 그 역할을 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6665호 체반용기는 외주연 상단으로 환봉형상으로 되는 틀체를 형성하고 상기 틀체에 망사형상의 체가 일정깊이를 이루면서 형성되도록 하고 하단면에 지지구를 환설하여서 되는 체반과 상기 체반을 결합하기 위한 용기로서 체반과 용기를 착탈자재하도록 하여 채소류나 과일류를 세척하여 유수되는 물기를 저장하는데 용이함은 물론 체반용기를 운반시 견고하게 체반과 용기가 결합된 상태로 용기내의 물이 외부로 유출됨이 없이 안전하게 운반되도록 하고 식탁에서 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여 위생상 청결한 상태에서 취식을 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용기에서 물이 넘칠 때 물과 함께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고 손을 사용해 채소류나 과일류를 세척해야만 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뚜껑이 없는 그릇 및 채반은 캠핑 등 외출시 각각 구비하여야 하고 내용물을 담아서 보관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KR 20-1990-0000163 Y1U KR 20-02666665 Y1U KR 10-0754252 B1P
본 발명의 목적은 과일, 채소, 쌀 등을 씻을 때 물이 넘쳐 물과 함께 내용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손으로 일일이 씻지 않아도 되는 스마트 워시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과일, 채소, 쌀 등을 씻은 후 채반에 따로 옮기거나 바닥에 흘리지 않고 오염물질이 묻지 않도록 바로 보관할 수 있는 스마트 워시 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캠핑 등 외출시 내용물을 담을 그릇 및 채반을 따로 구비하지 않고 그릇에 내용물을 보관한 상태에서 사용가능한 스마트 워시 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채소, 과일 및 쌀을 담고 세척시 내용물의 물기만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스마트 워시 볼에 있어서, 상부에서 일정두께의 면적에 다수의 통공(111)이 형성되는 홈부(110)가 배치되고 상기 홈부(110)에서 돌출되는 돌출부(120)가 마련되는 그릇(100)과; 양밑단에 손잡이를 겸하고 상기 그릇(100)의 돌출부(120)가 삽입되는 통공(211)이 형성되는 고리부(210)를 이용해 상기 그릇(100)의 상단부에서 결합되는 다수의 홈(201)이 형성된 채반형태의 뚜껑(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그릇(100)은 상기 홈부(110)의 양끝단에서 상부를 향해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돌출형성되고 부채꼴 모양에 오목한 형태의 손잡이부(130)가 마련되며, 상기 손잡이부(130)에 다수의 통공(13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뚜껑(200)은 상단 외주연에 일정높이로 돌출된 받침부(220)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220)에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돌기(221)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그릇(100)의 상단부와 상기 뚜껑(200)의 하단부는 외주연의 직경과 형상이 동일하다.
본 발명의 스마트 워시 볼은 그릇과 뚜껑을 결합하거나 각각 따로 사용할 수 있으며, 그릇만을 사용하여도 그릇에 마련된 홈부에 의해 과일, 채소, 쌀 등을 씻을 때 물이 넘쳐 물과 함께 내용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워시 볼은 그릇과 뚜껑을 결합하면 손으로 일일이 씻지 않고 손잡이부를 잡고 흔들고 뒤집는 동작만으로 내용물을 쉽게 씻어낼 수 있으며 오염물질이 묻지 않도록 바로 보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워시 볼은 그릇과 뚜껑을 분리하여 뚜껑에 내용물을 담으면 내용물을 별도의 그릇에 따로 옮기지 않고 바닥에 흘릴 염려가 적은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워시 볼은 캠핑 등 외출시 내용물을 담은 그릇, 내용물을 담을 그릇 및 채반을 따로 준비하지 않고 내용물을 담고 물을 뿌려 세척한 후 뚜껑 또는 그릇에 담아 간단하게 취식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릇과 뚜껑을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릇과 뚜껑을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시 볼이 뒤집힌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릇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참조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릇(100)과 뚜껑(200)을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릇(100)과 뚜껑(200)을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시 볼이 뒤집힌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릇(100)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 워시 볼은 채소 및 과일, 특히 딸기나 방울토마토, 쌀 등의 알맹이가 작은 것들을 씻을 때 내용물을 바닥에 흘릴 염려 없이 물기만을 제거하기 위해,
상부에서 일정두께의 면적에 다수의 통공(111)이 형성되는 홈부(110)가 배치되고 상기 홈부(110)의 중간부 좌우면에서 수직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20)가 마련되는 그릇(100)과,
양밑단에 손잡이를 겸하고 상기 그릇(100)의 돌출부(120)가 삽입되는 통공(211)이 형성되는 고리부(210)를 이용해 상기 그릇(100)의 상단부에서 결합되는 채반 형태의 뚜껑(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그릇(100)에는 상기 홈부(110)의 외주연 양끝단에서 상부를 향해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돌출형성되고 부채꼴 모양에 오목한 형태의 손잡이부(130)가 마련되며, 상기 손잡이부(130)에는 다수의 통공(13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뚜껑(200)은 상단 외주연에 일정높이로 돌출된 받침부(220)가 형성되며, 상기 받침부(220)의 일정간격 이격되어 돌기(221)가 마련된다.
상기 그릇(100)은 내부가 오목한 그릇 모양으로 이루어지되, 하단면보다 상단면의 폭이 넓은 형태로 이루어지고, 뚜껑(200)을 분리한 상태에서 채소, 과일, 쌀 등을 담고 물을 뿌려 세척할 수 있으며, 세척 후 오수를 버리기 위해 그릇(100)을 기울이지 않아도 상부에 일정두께의 면적에 다수의 통공(111)이 마련된 홈부(110)를 통해 물이 빠져나가 물이 넘치지 않고, 일정량만 담아지도록 하여 내용물이 물과 함께 쏟아지는 일이 없도록 한다.
이때, 상기 그릇(100)을 기울였을 때 상기 홈부(110)의 외주연 양끝단부에서 상부를 향해 일정각도로 기울여서 돌출형성되고 부채꼴 모양이 오목한 형태의 손잡이부(130)에 의해 내용물이 쏟아지지 않도록 하고, 쌀알보다 작은 다수의 통공(131)이 배수구 역할을 하여 물은 빠지고 쌀과 같은 작은 내용물이 빠져나가는 일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그릇(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130)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상기 손잡이부(130)가 형성되지 않을 경우에도 홈부(110)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111)을 통해 물이 빠져나가 일정량의 물만 그릇내에 있을 수 있으므로 그릇내의 내용물이 그릇밖으로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130)가 형성되지 않는 그릇(100)은 캠핑시 다른 캠핑용품과 함께 포개어 가방 등에 보관하여 이동하기 편리하게 마련된다.
또한, 상기 그릇(100)에 돌출부(120)는 도 1과 같이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와 더불어, 상기 그릇(100)의 상부 테두리에 단턱을 형성하여 뚜껑(200)의 고리부(210)와 결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릇(100)에는 내주연을 따라 돌출된 다수의 라인(101)을 형성하여 쌀 등을 씻을 때 라인(101)과 내용물이 마찰을 일으켜 깨끗하게 씻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뚜껑(200)은 내부가 오목하고 전면 및 바닥면에 다수의 홈(201)이 마련되는 채반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그릇(100)의 외주면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20)가 삽입되는 통공(211)이 형성되고 절첩식으로 이루어진 고리부(210)를 이용하여 그릇(100)의 상부에서 결합되는바, 채반의 역할뿐만 아니라 뚜껑의 역할까지 하게 된다.
이때, 상기 그릇(100)에 내용물을 넣고 뚜껑(200)을 상부에 올려놓고 뚜껑(200)의 고리부(210)를 접어 그릇(100)의 돌출부(120)를 고리부(210)에 마련된 통공(211)에 끼워넣어 그릇(100)과 뚜껑(200)을 결합한 후 물을 뚜껑(200) 위에서 뿌리면 물이 뚜껑(200)에 형성된 다수의 홈(201)을 통해 그릇(100)에 담겨 내용물을 일일이 손으로 씻지 않아도 되고 뚜껑(200)의 고리부(210) 혹은 그릇(100)의 손잡이부(130)를 잡고 흔들어 씻고 기울여 물기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그릇(100)의 상단부와 상기 뚜껑(200)의 하단부는 외주연의 직경과 형상이 동일하도록 하여 그릇과 뚜껑이 완전히 결합될 수 있도록 하며, 그릇과 뚜껑을 뒤집어 그릇내의 물을 배출시킬때에 그릇내의 내용물이 그릇과 뚜껑 사이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뚜껑(200)에는 하단 테두리부분에 탄력을 가진 패킹을 삽입하여 그릇(100)과 결합시 결합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스마트 워시 볼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릇(100)과 뚜껑(200)이 결합된 상태에서 물기를 제거하기 위해 뒤집었을 때 내용물은 뚜껑(200) 안에 담기고 물은 뚜껑(200)의 전면 및 바닥면에 마련된 홈(201)을 통해 빠져나가게 된다.
이때, 상기 스마트 워시 볼은 채반 형태의 뚜껑(200)이 마련됨으로써, 내용물을 따로 채반에 옮기지 않아도 되고, 내용물을 씻다가 떨어뜨릴 염려가 없게 된다.
또한, 상기 스마트 워시 볼은 그릇(100)의 돌출부(120)와 상기 돌출부(120)가 삽입되는 뚜껑(200)의 고리부(210)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되어 흔들고 뒤집을 경우에도 내용물이 빠져나오지 않아 내용물을 바닥에 흘리지 않고 간단히 씻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마트 워시 볼은 뒤집힌 상태에서 뚜껑(200)의 고리부(210)를 펼쳐 고리부(210)의 통공(211)으로부터 그릇(100)의 돌출부(120)를 빼내 뚜껑(200)과 그릇(100)을 분리하면 상기 뚜껑(200)에 마련된 받침부(220)의 돌기(221)에 의해 내용물이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함으로써, 뚜껑(200) 밑에 오염물질이 묻지 않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그릇(100)과 뚜껑(200)이 분리된 상태에서 고리부(210)는 뚜껑(200)의 손잡이 역할을 하게 되며, 상기 뚜껑(200)을 뒤집어서 채반으로 사용시 고리부(210)를 잡고 뚜껑(200)을 흔들어 내용물에 묻어있는 물기를 털어내게 되면 흐르는 물이 손에 닿지 않고 간단히 물기를 없애 식탁에 바로 놓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뚜껑(200) 상부에 그릇(100)을 덮어놓을 경우. 상기 그릇(100)은 뚜껑(200)에 담긴 내용물에 먼지 등 오염물질이 묻지 않게 하는 덮개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뚜껑(200)은 상단부 외주연에 형성된 받침부(220)가 일정높이로 돌출형성되어 내측면이 받침부(220)보다 낮은 면을 형성하는바, 다른 그릇 또는 다른 스마트 워시 볼을 뚜껑(200) 상부로 쌓을 경우 받침부(220)에 의해 미끄러지지 않고 차곡차곡 쌓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스마트 워시 볼은 도면에서와 같이 원형으로 이루어지거나, 냉장고, 선반 등에 수납하기 편리할 수 있도록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크기를 다양하게 하여 재료의 크기나 부피에 따라 선택하여 쓸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릇(100)의 홈부(110)에 마련된 통공(111), 손잡이부(130)에 마련된 통공(131) 및 뚜껑(200)의 홈(201)은 그 크기를 다양하게 하여 활용도에 따라 선택하여 쓸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마트 워시 볼은 그릇(100)과 뚜껑(200)이 각각 사용가능하고, 상기 그릇(100)만을 사용하여도 과일, 채소, 쌀 등을 씻을 때 그릇(100)에 마련된 홈부(110)를 통해 물이 빠져나와 물이 넘쳐 물과 함께 내용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워시 볼은 상기 그릇(100)과 뚜껑(200)을 결합하면 손으로 일일이 씻지 않고 손잡이부(130)를 잡고 흔드는 동작만으로 내용물을 쉽게 씻을 수 있으며 오염물질이 묻지 않게 바로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워시 볼은 그릇(100)과 뚜껑(200)을 분리하여 뚜껑(200)에 내용물을 담으면 내용물을 별도의 그릇 및 채반에 따로 옮기지 않아 바닥에 흘릴 염려가 적은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워시 볼은 캠핑 등 외출시 내용물을 담은 그릇, 내용물을 담을 그릇 및 채반을 따로 준비하지 않고 내용물을 담고 물을 뿌려 세척한 후 뚜껑(200) 또는 그릇(100)에 담아 간단하게 취식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100 : 그릇 101 : 라인
110 : 홈부 111 : 통공
120 : 돌출부
130 : 손잡이부 131 : 통공
200 : 뚜껑 201 : 홈
210 : 고리부 211 : 통공
220 : 받침부 221 : 돌기

Claims (4)

  1. 채소, 과일 및 쌀을 담고 세척시 내용물의 물기만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스마트 워시 볼에 있어서,
    상부에서 일정두께의 면적에 다수의 통공(111)이 형성되는 홈부(110)가 배치되고 상기 홈부(110)에서 돌출되는 돌출부(120)가 마련되는 그릇(100)과;
    양밑단에 손잡이를 겸하고 상기 그릇(100)의 돌출부(120)가 삽입되는 통공(211)이 형성되는 고리부(210)를 이용해 상기 그릇(100)의 상단부에서 결합되는 다수의 홈(201)이 형성된 채반형태의 뚜껑(20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워시 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릇(100)은 상기 홈부(110)의 양끝단에서 상부를 향해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돌출형성되고 부채꼴 모양이 오목한 형태의 손잡이부(130)가 마련되며,
    상기 손잡이부(130)에 다수의 통공(13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워시 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200)은 상단 외주연에 일정높이로 돌출된 받침부(220)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220)에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돌기(221)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워시 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릇(100)의 상단부와 상기 뚜껑(200)의 하단부는 외주연의 직경과 형상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워시 볼.
KR1020140047891A 2014-04-22 2014-04-22 스마트 워시 볼 KR101524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7891A KR101524730B1 (ko) 2014-04-22 2014-04-22 스마트 워시 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7891A KR101524730B1 (ko) 2014-04-22 2014-04-22 스마트 워시 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4730B1 true KR101524730B1 (ko) 2015-06-01

Family

ID=53490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7891A KR101524730B1 (ko) 2014-04-22 2014-04-22 스마트 워시 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47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47149A (zh) * 2015-06-24 2015-12-16 李哲 一种洗菜盆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7541U (ko) * 1985-08-05 1987-02-19
JPH0685221U (ja) * 1993-05-14 1994-12-06 中国パール販売株式会社 洗浄兼用食品用容器
KR200266665Y1 (ko) * 1999-06-10 2002-03-04 김옥형 체반용기
KR20140093391A (ko) * 2013-01-18 2014-07-28 김진홍 채반 깔개 및 덮개용 종이세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7541U (ko) * 1985-08-05 1987-02-19
JPH0685221U (ja) * 1993-05-14 1994-12-06 中国パール販売株式会社 洗浄兼用食品用容器
KR200266665Y1 (ko) * 1999-06-10 2002-03-04 김옥형 체반용기
KR20140093391A (ko) * 2013-01-18 2014-07-28 김진홍 채반 깔개 및 덮개용 종이세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47149A (zh) * 2015-06-24 2015-12-16 李哲 一种洗菜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6886B2 (en) Over sink kitchen work station
US20140246445A1 (en) Angled collapsible container
US9924839B2 (en) Portable fruit and vegetable washer
KR20200139944A (ko) 치킨 무 국물을 따를수 있는 용기
KR101524730B1 (ko) 스마트 워시 볼
US3367529A (en) Bus box
AU2004230954A1 (en) Dual chamber salad container
US20100213203A1 (en) Drinking vessel with receptacle for drippings
JP2011067569A (ja) 手付きザルとその蓋になる手付きボウル
JP2017032419A (ja) 流動性材料移動用の容器、スタンド
JP2018196647A (ja) 上部開口容器
KR200266665Y1 (ko) 체반용기
US10791877B2 (en) Food washing assembly
KR101657451B1 (ko) 음식물 쓰레기 걸름망체
KR200472938Y1 (ko) 기능성 도마
KR20190057955A (ko) 종이 믹스컵
KR200423118Y1 (ko) 서랍식 다목적 밀폐 용기
KR200300655Y1 (ko) 바구니가 부설된 용기
KR20180000697U (ko) 수납형 물받이를 갖는 물이 빠지는 위생 수저통
KR20180002154U (ko) 수저통
KR20150011991A (ko) 티백 고정대가 있는 종이컵
TWM417893U (en) Container for cleansing articles
KR20140004854U (ko) 식기 건조망용 위생덮개
CA2863435C (en) Freezer bag filler
JPH0571152A (ja) 流し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