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4391B1 - 용기와 착탈식 손잡이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용기와 착탈식 손잡이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4391B1
KR101244391B1 KR1020100080564A KR20100080564A KR101244391B1 KR 101244391 B1 KR101244391 B1 KR 101244391B1 KR 1020100080564 A KR1020100080564 A KR 1020100080564A KR 20100080564 A KR20100080564 A KR 20100080564A KR 101244391 B1 KR101244391 B1 KR 101244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detachable
plate
pressing plate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0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1866A (ko
Inventor
김대영
Original Assignee
김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영 filed Critical 김대영
Priority to KR1020100080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4391B1/ko
Publication of KR20120021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1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4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4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2Bowl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1Saucepan, frying-pan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와 착탈식 손잡이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냄비나 후라이팬 등의 용기와 착탈식 손잡이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보편화된 용기와 착탈식 손잡이의 결합구조는 용기의 내면과 외면을 이용하여 손잡이를 착탈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었다. 그래서 뚜껑을 열어야만 손잡이를 착탈할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서 본 발명은 용기의 외부에서 손잡이를 착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용기는 몸체(1) 상부 전체를 외부로 돌출시켜 착탈판(2)을 두었고, 착탈식 손잡이는 받침대(3)와 누름판(7) 사이에 공간을 두어 착탈구(10)를 이루게 하였다. 그래서 본 발명은 용기 몸체(1)의 착탈판(2)에 착탈식 손잡이의 착탈구(10)를 결합, 분리되게 함으로써 용기의 외부에서 착탈할 수 있게 하였다.
본 발명은 용기의 외부에서 손잡이를 착탈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뚜껑을 열지 않고도 착탈할 수 있는 등의 편리한 점이 있다.

Description

용기와 착탈식 손잡이의 결합구조 {Combination structure of the cooking vessel and detachable handles}
본 발명은 용기와 착탈식 손잡이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냄비나 후라이팬 등의 용기와 착탈식 손잡이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냄비나 후라이팬에 있어서 용기에 고정되어 있는 손잡이는 설걷이할 때나 수납할 때 불편한 점이 있어서 그 동안 여러 가지 형태의 착탈식 손잡이가 개발되었다.
그 중에서도 실용화 된 것으로 대표적인 것이 프랑스 Tefal사의 Magic Hands 모델이 있었고 근래에는 국내에서도 이와 유사한 제품들이 개발되어 상품화 되었다.
그러나 이들의 용기와 착탈식 손잡이의 결합구조를 살펴보면 공통적으로 용기의 내면과 외면을 이용하여 착탈한다는 점인데 이러한 착탈 방식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첫째, 손잡이를 착탈하기 위해서는 착탈되는 부분이 용기의 내면에도 위치하기 때문에 뚜껑을 열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조리 후 착탈식 손잡이를 용기에 결합시켜 용기를 이동시킬 때 용기 내면에서 결합된 부분에 용기 안의 음식물이 묻을 수가 있다는 것이다. 특히 국물이 많은 우리나라 음식의 특성상으로 볼 때 이러한 현상이 심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이들 제품은 주로 뚜껑이 필요 없고 국물이 없는 음식을 조리하는 후라이팬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설령 냄비로 사용한다 하더라도 이러한 문제점이 있어서 사용하기에 불편한점이 있었다.
10-0450890,KR 10-0716595,KR 20-0424066,KR 10-0791807,K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뚜껑을 열지 않고도 착탈식 손잡이를 착탈할 수 있으며 조리 후 용기를 이동시킬 때 용기와 결합된 착탈식 손잡이 부분에 음식물이 묻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용기 외부에서 착탈식 손잡이를 착탈할 수 있게 하였다.
이를 위해 용기는 몸체(1)의 상부 전체를 외부로 돌출시켜 착탈판(2)을 두었고 착탈식 손잡이는 받침대(3)와 누름판(7) 사이에 공간을 두어 착탈구(10)를 이루게 하였다.
그래서 본 발명은 용기의 착탈판(2)에 착탈식 손잡이의 착탈구(10)를 결합, 분리시켜 용기의 외부에서 착탈할 수 있게 하였다.
본 발명은 용기의 외부에서 손잡이를 착탈하게 되어 있어 뚜껑을 열지 않고도 착탈할 수 있으며 조리 후 용기를 이동시킬 때도 용기와 결합된 착탈식 손잡이 부분에 음식물이 묻지 않아 사용하기 편리할 뿐만 아니라 위생적이다.
도1은 용기의 평면도
도2는 용기의 정면도
도3은 용기의 단면도
도4는 착탈식 손잡이의 평면도
도5는 착탈식 손잡이의 정면도
도6은 착탈식 손잡이의 측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실시 부분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윗턱형 실시 부분 단면도
도9는 본 발명의 아랫턱형 실시 부분 단면도
본 발명은 냄비나 후라이팬의 착탈되는 부분의 구성이 같고 착탈식 손잡이는 이들에게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냄비로 설명하고자한다.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냄비는 도1,2,3과 같이 스텐이나 알미늄 재질로 된 몸체(1)의 상부 전체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고, 이 외부로 돌출된 부분이 착탈판(2)을 이루고 있다. 착탈판(2)은 착탈식 손잡이의 착탈구(10)와 결합되는 부분으로 몸체(1) 상부의 외부 전체를 돌출시킨 것은 냄비의 어느 방향에서나 착탈할 수 있게 함이다.
착탈식 손잡이는 편의상 몸체(1)의 착탈판(2)과 결합되는 착탈부와 결합 후 이동시킬 때 사용되는 손잡이부로 나누어 볼 수가 있는데 도4,6에서 볼 때 착탈부는 누름판(7)까지의 앞 쪽 부분이고 손잡이부는 누름판(7) 뒤쪽의 손잡이(14) 부분이다.
착탈부를 살펴보면 도6과 같이 손잡이(14)와 일체로 되어 있으면서 도4,5와 같이 서로 떨어져 있는 2개의 받침대(3) 위에 각각 누름판축(4)이 서 있는데 누름판축(4) 상부에는 키축공(5)이 나 있다.
2개의 받침대(3)를 서로 떨어지게 둔 것은 냄비 몸체(1)의 착탈판(2)과 결합시켜 이동시킬 때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함과 동시에 냄비 몸체(1)가 원형이기 때문에 착탈판(2)에 결합시킬 때 양 받침대(3) 사이에 공간을 두어 냄비 몸체(1)에 닿지 않게 하고 또한 크기가 다른 여러 개의 냄비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함이다.
받침대(3)와 손잡이(14)는 금속이나 열경화성 수지로 할 수 있으나 누름판축(4)은 금속재로 한다.
양쪽 누름판축(4)에는 도5,6과 같이 스프링(6)이 삽입되어 있고 그 위에는 누름판(7)이 양쪽에 있는 이동공(8)을 통하여 받침대(3)와 수평되게 누름판축(4)에 삽입되어 양쪽 누름판축(4)과 연결되어 있으며 누름판(7)의 아랫면에는 압착판(9)이 부착되어 있다.
누름판(7)은 위치상으로 착탈판(2) 윗부분에 있기 때문에 결합할 때 냄비 몸체(1)에 닿지 않아서 받침대(3)와 달리 1개의 판으로 하였고 또한 양쪽 받침대(3) 사이에 놓이게 될 착탈판(2) 부분도 압착하게 하여 착탈판(2)의 압착되는 부분이 좀 더 많게 하였다.
이동공(8)을 통하여 누름판축(4)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되는 누름판(7)은 금속재이고 압착판(9)은 실리콘이나 고무계통 재질로 한다.
누름판(7) 위에는 도6과 같이 누름쇠(11)와 직각으로 된 누름키(12)가 누름판(7) 윗면과 맞닿게 누워 있는데 누름쇠(11)와 누름키(12)는 도4,5와 같이 양쪽의 키축(13)을 통하여 누름판축(4)의 키축공(5)에 삽입되어 있다.
누름쇠(11)와 누름키(12), 키축(13)은 일체로 된 금속재이다.
이렇게 구성된 착탈부는 도6과 같이 받침대(3)와 누름판(7) 사이의 공간이 착탈구(10)를 이루게 된다. 착탈구(10)는 냄비 몸체(1)의 착탈판(2)과 착탈식 손잡이를 결합,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손잡이부를 살펴보면 앞쪽의 양쪽 받침대(3)와 일체로 되어 있는 손잡이(14)에는 도4,6과 같이 아랫부분 중앙에 올림구(19)가 있고 올림구(19) 위쪽 끝에서 손잡이 윗면까지 올림쇠공(18)이 나 있으며 올림쇠공(18)에는 올림쇠(15)가 삽입되어 있고 올림쇠(15) 상부는 올림쇠머리(16)로, 하부는 올림쇠발(17)로 이루어져 있다.
올림쇠(15)는 결합된 냄비 몸체(1)와 착탈식 손잡이를 분리시킬 때 누름쇠(12)를 밀어 올리는 역할을 하는데 올림쇠(15)와 올림쇠머리(16)는 일체로 되어 있고 이들은 금속재이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은 냄비 몸체(1)의 착탈판(2)에 착탈식 손잡이의 착탈구(10)를 결합, 분리함으로써 착탈하게 되는데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결합할 때를 살펴보면 도6의 상태에서 손잡이(14)를 잡고서 착탈구(10) 내에 몸체(1)의 착탈판(2)이 들어가게 하여 양쪽 받침대(3) 위에 착탈판(2)을 앉히고 엄지손가락으로 누름쇠(11)를 손잡이(14) 방향으로 누르면 된다.
누름쇠(11)를 누르면, 양쪽 누름판축(4)의 키축공(5)에 삽입되어 있는 키축(13)이 회전하면서, 누름쇠(11)는 손잡이(14) 방향으로 누으면서 누름쇠(11)와 직각으로 된 누름키(12)는 끝 부분이 키축공(5)쪽으로 이동하여 서게 되어 누름판(7)을 눌러주게 된다. 그러면 누름판(7)은 아래에 있는 스프링(6)을 누르면서 이동공(8)을 통하여 양쪽 누름판축(4)을 따라 누름키(12)가 이동한 만큼 즉 누름키(12)의 높이만큼 아래로 내려가게 되어 밑면에 부착되어 있는 압착판(9)을 통하여 양쪽 받침대(3) 위에 놓인 착탈판(2)을 압착하게 된다.
도7과 같이 누름쇠(11) 끝부분이 올림쇠머리(16)에 닿아 완전히 눕게 되면 누름키(12)의 끝 면이 누름판(7)의 윗면과 맞닿아 누름키(12)가 완전히 서게 되고, 누름판(7)이 압착판(9)을 통하여 양쪽 받침대(3)에 놓인 착탈판(2)을 압착하게 되어 받침대(3)와 누름판(7)이 이루는 착탈구(10)를 통한 착탈판(2)에 대한 압착이 완료된 상태가 된다.
그러면 누름판(7) 아래에서 눌려 있는 스프링(6)의 반발력은 누름판(7) 위를 누르고 있는 누름키(12)의 억제력으로 제어되어 이 상태가 유지되게 되어 냄비를 이동시킬 수가 있다.
냄비를 이동시킨 뒤나 필요시에 몸체(1)의 착탈판(2)과 결합된 착탈식 손잡이를 분리할 때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몸체(1)와 결합된 착탈식 손잡이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손잡이(14)를 잡고서 손잡이(14) 밑부분에 위치하게 되는 손가락으로 올림구(19) 내에 있는 올림쇠발(17)을 위로 밀어 올리면 된다.
올림쇠발(17)을 위로 밀어 올리면 올림쇠(15)가 올림쇠공(18)을 따라 위로 올라가면서 올림쇠머리(16)가 누름쇠(11)를 누름판축(4) 방향으로 밀어 올리게 되고 그러면 누름판(7) 윗면에 서 있던 누름키(12)가 넘어지면서 즉 누름키(12)의 밑면이 누름판(7)의 윗면과 떨어지면서 누름판(7)을 누르고 있던 누름키(12)의 억지력이 해제되어 누름판(7)은 스프링(6)의 반발력에 의해 위로 올라가게 된다.
누름판(7)이 위로 올라가면서 누름키(12)의 높이 면이 누름판(7)의 윗면과 맞닿아 완전히 눕게 되면 누름키(12)와 직각인 누름쇠(11)는 완전히 서게 되어 착탈구(10)는 도6과 같이 압착 이전의 상태가 되어서 착탈식 손잡이의 착탈구(10)는 몸체(1)의 착탈판(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누름쇠(11)를 위로 밀어 올리고 나서 올림쇠발(17)을 밀어 올렸던 손가락을 떼면 올림쇠(15)는 중력에 의하여 올림쇠공(18)을 따라 아래로 내려와 도6과 같이 원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냄비 몸체(1)와 착탈식 손잡이를 결합, 분리할 수 있는 본 발명은 손잡이를 양수로도 편수로도 할 수가 있는데 양수, 편수 모두 착탈부와 손잡이부로 이루어져 있다. 통상적으로 작은 냄비에 사용되는 편수는 한쪽 손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한 손으로 잡기에 편하게 도시된 손잡이(14)의 뒷부분이 보다 길쭉하게 되어 있을 뿐이고 착탈부도 같아서 여기에서는 양수 손잡이로 도시하였다.
그리고 양수 손잡이는 2개로 이루어져 있으나 나머지 1개도 도4,5,6과 같기 때문에 편의상 1개만 도시하였다.
양수 손잡이를 사용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좌우 양손에 각각 손잡이(14)를 잡고서 양쪽 손잡이(14)의 착탈구(10)에 몸체(1)의 착탈판(2)이 들어가게 하여 착탈판(2)을 받침대(3) 위에 얹고서 양쪽 엄지손가락으로 양쪽 손잡이(14)의 누름쇠(11)를 누르면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몸체(1)의 착탈판(2)과 양쪽 손잡이(14)의 착탈구(10)가 결합되어 냄비를 이동시킬 수 있고, 반대로 각각의 올림쇠발(17)을 밀어 올리면 몸체(1)의 착탈판(2)이 양쪽 손잡이의 착탈구(10)로부터 분리되게 되어 착탈을 할 수 있게 된다.
착탈식 손잡이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사용하기에 편리하면서도 안전성이 확보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조리 후 냄비와 착탈식 손잡이를 결합하여 뜨거운 음식물이 든 냄비를 이동시키는 동안 냄비와 착탈식 손잡이가 분리되면 사고로 이어질 수가 있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본다면 본 발명은 3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가 있다. 그것은 도1∼7과 같은 기본형과 도 8과 같은 윗턱형 그리고 도9와 같은 아랫턱형이 있다. 윗턱형과 아랫턱형은 기본형보다 특히 편수에 있어서 안전성을 좀 더 확보하기 위하여 냄비 몸체(1)의 착탈판(2) 끝부분의 위쪽과 아래쪽에 턱을 둔 것이다.
윗턱형은 냄비 몸체(1)의 착탈판(2) 끝부분 위쪽으로 윗턱(20)이 형성되어 있고 착탈식 손잡이의 누름판(7) 아랫면에는 윗턱골(21)이 나 있어 도8과 같이 몸체(1)의 착탈판(2)에 착탈식 손잡이의 착탈구(10)를 결합시켰을 때 착탈판(2)의 윗턱(20)이 누름판(7)의 윗턱골(21)에 들어가게 하여 편수 손잡이에 있어서 좀 더 안전성을 확보할 수가 있다.
아랫턱형은 윗턱형과는 반대로 냄비 몸체(1)의 착탈판(2) 끝부분 아래쪽으로 아랫턱(22)이 형성되어 있고 착탈식 손잡이의 양쪽 받침대(3)에는 아랫턱골(23)이 나 있어 도9와 같이 몸체(1)의 착탈판(2)에 착탈식 손잡이의 착탈구(10)를 결합시켰을 때 착탈판(2)의 아랫턱(22)이 받침대(3)의 아랫턱골(23)에 들어가게 하여 편수 손잡이에 있어서 좀 더 안전성을 확보할 수가 있다.
그리고 몸체(1)의 착탈판(2)과 착탈식 손잡이의 착탈구(10)를 분리시킬 때 손가락으로 올림쇠(15)를 밀어올려 누름쇠(11)를 밀어올리는 방법 외에 Latch를 사용할 수도 있다.
공지된 바와 같이 Latch는 내부의 스프링을 이용하여 장롱 등의 문 위쪽과 아래쪽에 설치하여 문을 고정시킬 때 사용되는 일종의 고정쇠인데 올림쇠(15) 역할을 하게 되는 고정쇠는 위에서 누르면 아래쪽으로 내려와 고정이 되고 보턴을 누르면 고정쇠가 다시 위쪽으로 올라가 고정된 것이 해제된다.
이러한 Latch를 올림쇠(15) 대신에 손잡이(14)의 올림쇠(15) 자리에 매설하고 냄비와 착탈식 손잡이를 결합시킬 때는 누름쇠(11)를 누르면 올림쇠(15) 역할을 하는 고정쇠가 누름쇠(11)를 따라 아래로 내려가 고정되고 냄비와 착탈식 손잡이를 분리시킬 때는 보턴을 누르면 내부 스프링의 반발력으로 고정쇠가 위로 올라가면서 누름쇠(11)를 밀어 올리게 되어 올림쇠(15)가 누름쇠(11)를 밀어 올리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져 편리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그러나 Latch는 기존에 다른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이여서 여기서는 올림쇠(15)로 설명을 하였다.
1몸체 2착탈판 3받침대 4누름판축 7누름판 10착탈구
11누름쇠 12누름키 15올림쇠

Claims (3)

  1. 용기에 착탈가능한 착탈식 손잡이 결합구조에 있어서 착탈식 손잡이는 손잡이(14)에 올림쇠(15)가 매설되어 있고, 손잡이(14) 앞쪽으로는 손잡이(14)와 일체로 된 2개의 받침대(3)가 말굽자석 모양으로 돌출되어있고 받침대(3)에는 누름판축(4)이 각각 서 있으며 누름판축(4)에는 스프링(6)이 끼워진 위에 누름판(7)이 누름판(7)의 가로 양쪽에 나 있는 이동공(8)으로 받침대(3)와 수평되게 끼워져 있어 누름판(7)과 받침대(3) 사이의 공간이 착탈구(10)를 이루고 있으며, 누름판(7) 위에는 누름쇠(11)와 직각으로 된 누름키(12)가 누워 있는데 누름키(12)는 가로 양쪽 끝에 키축(13)이 있고 키축(13)은 양쪽 누름판축(4) 상부의 키축공(5)에 삽입되어 있어 누름쇠(11)를 손잡이(14) 방향으로 누르면 누름쇠(11)가 손잡이(14) 방향으로 누으면서 누름키(12)가 키축(13)을 따라 회전하여 누름판(7)을 누르면서 서게되어 누름판(7)이 양쪽 누름판축(4)을 따라 하강하여, 용기 몸체(1) 상부 전체가 외부로 돌출되어 착탈판(2)을 갖는 용기에 착탈가능한 착탈식 손잡이 결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착탈식 손잡이의 누름판(7) 아랫면에 윗턱골(21)이 나 있어 용기 몸체(1)의 착탈판(2) 끝 위쪽으로 윗턱(20)이 형성되어 있는 용기에 착탈가능한 착탈식 손잡이 결합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착탈식 손잡이의 받침대(3) 윗면에 아랫턱골(23)이 나 있어 용기 몸체(1)의 착탈판(2) 끝 아래쪽으로 아랫턱(22)이 형성되어 있는 용기에 착탈가능한 착탈식 손잡이 결합구조.
KR1020100080564A 2010-08-18 2010-08-18 용기와 착탈식 손잡이의 결합구조 KR101244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0564A KR101244391B1 (ko) 2010-08-18 2010-08-18 용기와 착탈식 손잡이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0564A KR101244391B1 (ko) 2010-08-18 2010-08-18 용기와 착탈식 손잡이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1866A KR20120021866A (ko) 2012-03-09
KR101244391B1 true KR101244391B1 (ko) 2013-03-19

Family

ID=46130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0564A KR101244391B1 (ko) 2010-08-18 2010-08-18 용기와 착탈식 손잡이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43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327A (ko) * 2000-06-28 2000-11-06 임준기 화상 치료용 연고제 및 거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960B1 (ko) * 2012-11-30 2013-09-06 문제구 조리용기용 탈,부착 손잡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3798A (ko) * 2002-11-20 2004-05-27 최정호 조리용기용 손잡이
KR20070000036U (ko) * 2006-12-12 2007-01-05 김대영 전방향 착탈식 손잡이
KR100791807B1 (ko) 2007-06-20 2008-01-07 김대영 전방향 착탈식 손잡이 및 용기 구조
KR200442547Y1 (ko) 2007-03-12 2008-11-19 서정덕 주방기구의 손잡이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3798A (ko) * 2002-11-20 2004-05-27 최정호 조리용기용 손잡이
KR20070000036U (ko) * 2006-12-12 2007-01-05 김대영 전방향 착탈식 손잡이
KR200442547Y1 (ko) 2007-03-12 2008-11-19 서정덕 주방기구의 손잡이 결합구조
KR100791807B1 (ko) 2007-06-20 2008-01-07 김대영 전방향 착탈식 손잡이 및 용기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327A (ko) * 2000-06-28 2000-11-06 임준기 화상 치료용 연고제 및 거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1866A (ko) 2012-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60640B2 (en) Countertop appliance having detachable base
JP5970616B2 (ja) 調理容器用着脱式取っ手
KR20180018606A (ko) 주방기구 배치부를 갖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뚜껑을 포함하는 조리기구
KR101312368B1 (ko) 조리용기용 손잡이 착탈장치
KR101244391B1 (ko) 용기와 착탈식 손잡이의 결합구조
WO2021088716A1 (zh) 一种可放置锅铲的平底锅
KR20150064336A (ko) 접시 및 받침판 기능이 되는 뚜껑
KR100791807B1 (ko) 전방향 착탈식 손잡이 및 용기 구조
KR101452153B1 (ko) 주방용 조리기구
WO2008072863A1 (en) Detachable handles and structure of the vessels
KR101202930B1 (ko) 조리용기의 탈,부착 손잡이
CN201595676U (zh) 水壶
KR20160075283A (ko) 누르개가 구비된 국자
EP3505027A1 (en) An adjustable detachable handle for pans
KR101261280B1 (ko) 집게형 착탈 손잡이용 주방용기
JP3136410U (ja) 鍋敷
KR101147177B1 (ko) 뚜껑의 손잡이
KR20130003072U (ko) 넘침 방지 증기배출 뚜껑 손잡이
KR20120110802A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101231906B1 (ko) 탈,부착되는 보조손잡이를 갖는 가열되는 조리용기
CN207428921U (zh) 一种智能锅具
KR20130006920U (ko) 교환 국자
KR200346609Y1 (ko) 가열 조리기구의 착탈식 손잡이
JP3150212U (ja) 乳幼児の食事に適する米飯成型器
KR20120050943A (ko) 탈착식 조리용기 멀티 집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