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5283A - 누르개가 구비된 국자 - Google Patents

누르개가 구비된 국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5283A
KR20160075283A KR1020140185112A KR20140185112A KR20160075283A KR 20160075283 A KR20160075283 A KR 20160075283A KR 1020140185112 A KR1020140185112 A KR 1020140185112A KR 20140185112 A KR20140185112 A KR 20140185112A KR 20160075283 A KR20160075283 A KR 20160075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acle
coupling
pusher
bag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5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민경
Original Assignee
권민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민경 filed Critical 권민경
Priority to KR1020140185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5283A/ko
Publication of KR20160075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52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 A47J43/281Cooking spoons; La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 A47J43/282Spoons for serving ice-c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국자(scoop)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목한 형태의 수용부가 형성되고, 수용부 상부 둘레의 한쪽 끝에 자루가 형성되고, 자루의 상부에 손잡이가 형성된 국자에 있어서, 손잡이의 전면에 세로로 결합홈을 형성하고, 수용부의 위에 별도로 누르개를 형성하고, 누르개의 한쪽 끝에 결합봉을 형성하고, 결합봉의 상부에 엄지걸이를 형성하여, 누르개와 수용부의 방향이 일치하도록 결합봉을 결합홈에 끼워 결합함으로써, 엄지걸이를 아래로 누르거나 위로 밀어 올리는 조작에 의해 누르개가 결합홈을 따라 상승, 하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특히 면발을 떠 옮기기에 용이하도록 구성한 누르개가 구비된 국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누르개가 구비된 국자{A SCOOP HAVING A PUSH BAR}
본 발명은 국자(scoop)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목한 형태의 수용부가 형성되고, 수용부 상부 둘레의 한쪽 끝에 자루가 형성되고, 자루의 상부에 손잡이가 형성된 국자에 있어서, 수용부 안에 담긴 음식물을 누르는 누르개를 구비하여 면발을 떠 옮기기에 용이하도록 구성한 국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자는 국물이 포함된 음식물을 냄비에서 떠서 다른 그릇으로 옮겨 담는데 사용한다. 이러한 국자는 오목한 형태의 수용부가 형성되고, 수용부 상부 둘레의 한쪽 끝에 자루가 형성되고, 자루의 상부에 손잡이가 형성된 것이 일반적인 형태로, 사용자는 손잡이를 잡고 수용부를 음식물 속으로 집어넣은 다음 수용부 내부에 음식물이 담기면 국자를 꺼내고, 다른 그릇에 수용부에 담긴 음식물을 쏟아놓는 방식으로 사용한다.
그런데 국수와 같이 국물과 면발이 있는 음식인 경우 국자로 면발을 떠 담아도 국물이 묻은 면발이 미끄러워 대게 수용부 밖으로 빠져나가기 때문에 일반적인 국자로는 면발을 떠 옮기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에는 수용부 상부 둘레에 톱니 형태의 면발걸이가 형성된 국자가 제시되기도 하였으나, 가락국수와 같이 굵고 매끈한 면발에는 실효성이 낮은 단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국자의 구성에 면발을 잡아주는 별도의 구성을 추가해야 한다. 그런데 국자는 음식물에 사용하는 기구인 만큼 반드시 위생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내재된 용수철이나 힌지(hinge)와 같이 음식물이 끼기 쉬운 조밀한 구조라든가 겉으로 드러나지 않게 내부에 숨은 터널(tunnel) 구조는, 세척이 까다로워 음식물이 낀 채로 잔존할 여지가 크고 그로 인해 세균이 증식하는 위생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는 반드시 지양해야 한다.
그리고 국자를 대게 한 손으로 사용하는 만큼 추가되는 구성 또한 한 손으로 쉽게 조작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본 발명이 제시하는 국자는 오목한 형태의 수용부가 형성되고, 수용부 상부 둘레의 한쪽 끝에 자루가 형성되고, 자루의 상부에 손잡이가 형성된 국자에 있어서, 손잡이의 전면에 세로로 결합홈을 형성하고, 수용부의 위에 별도로 누르개를 형성하고, 누르개의 한쪽 끝에 결합봉을 형성하고, 결합봉의 상부에 엄지걸이를 형성하여, 누르개와 수용부의 방향이 일치하도록 결합봉을 결합홈에 끼워 결합함으로써, 엄지걸이를 아래로 누르거나 위로 밀어 올리는 조작에 의해 누르개가 결합홈을 따라 상승, 하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국자를 사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국자의 손잡이를 한 손으로 쥔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으로 엄지걸이를 위로 밀어 올려 누르개를 상승시키면 누르개와 수용부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면서 수용부에 국물과 면발을 담을 수 있게 된다. 수용부 안에 면발을 담은 후 엄지손가락으로 엄지걸이를 아래로 누르면 누르개가 하강해 면발을 누르게 되고, 누르는 힘을 유지하면서 국자를 들어올린다. 이때 수용부에 담긴 면발은 누르개가 적절한 힘으로 누르고 있기 때문에 국자를 옮기는 동안 수용부 밖으로 빠져나가지 않는다. 다른 그릇에 면발을 담을 때에는 다시 엄지걸이를 위로 밀어 올려 누르개를 상승시켜 면발을 수용부 밖으로 쏟는다.
본 발명이 제시하는 국자는 누르개를 상승, 하강시키는 단순하고 직관적인 사용법으로 면발을 눌러 수용부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므로, 면발을 떠 옮기기에 용이하고 국자를 잡은 한 손으로도 조작할 수 있어 몸이 불편한 사람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누르개 일체는 국자에 고정되지 않고 간단히 분리, 결합이 가능한 별도의 구성으로, 그 결합 원리가 결합봉을 결합홈에 끼우는 단순한 것이며 결합 구조가 전부 겉으로 드러나는 개방된 구조이므로, 음식물이나 이물질이 낀 채로 잔존할 여지가 없고 세척 시 누르개 일체와 국자를 분리해 각각 세척할 수 있어 위생적이며 세척 후 건조에도 유리하다.
도 1 : 본 발명이 제시하는 국자의 결합 사시도.
도 2 : 본 발명이 제시하는 국자의 결합 측단면도.
도 3 : 본 발명이 제시하는 국자의 결합 평면도.
도 4 : 본 발명이 제시하는 국자의 분해 사시도.
도 5 : 본 발명이 제시하는 국자의 두 번째 실시 예시도.
도 6 : 본 발명이 제시하는 국자의 적절한 사용 예시도.
본 발명이 제시하는 국자는 두 가지 실시예를 통해 구현할 수 있으며, 두 가지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는 도 1부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11), 자루(12), 손잡이(13), 결합구(13-1), 결합홈(13-2), 손가락걸이(13-4)가 형성된 국자(10)와, 누르개(20), 결합봉(21), 엄지걸이(24)가 형성된 누르개(20) 일체로 구분된다.
국자(10)는 음식물을 담는 오목한 형태의 수용부(11)를 형성하고, 수용부(11) 상부 둘레의 한쪽 끝에 자루(12)를 적절한 길이로 상향 돌출 형성한다.
자루(12)의 상부에 손잡이(13)를 형성하고, 손잡이(13)의 전면에 세로로 결합홈(13-2)을 형성한다.
결합홈(13-2)은 손잡이(13)의 상부 끝까지 이어져 결합구(13-1)를 형성한다.
결합홈(13-2)의 폭과 깊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결합봉(21)을 끼워 안정적으로 결합시키면서 결합봉(21)이 상하로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적당한 여유 간격이 형성되는 크기로 형성하는데, 결합홈(13-2)에 끼운 결합봉(21)이 결합홈(13-2) 밖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결합홈(13-2) 전면의 폭은 결합봉(21)의 지름보다 조금 좁게 한다.
상술한 손잡이(13)의 후면 하부에 손가락걸이(13-4)를 형성한다. 손가락걸이(13-4)는 대게 국자(10)를 잡은 손의 셋째나 넷째, 다섯째 손가락을 걸쳐서 국자(10)의 안정적인 파지를 돕는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손가락걸이(13-4)는 기역자 형태를 가지지만 반드시 그래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국자(10)의 파지를 돕는 기능성이나 디자인적 고려에 따라 비교적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음이 자명하다.
누르개(20)는 수용부(11)의 위에 별도로 형성하는데, 수용부(11) 둘레보다 조금 작게 형성하는 것이 수용부(11) 밖으로 늘어진 면발을 자르지 않고 안정적으로 눌러 떠 옮기기에 유리하다. 그러나 누르개(20)가 반드시 수용부(11)보다 작아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누르개(20) 역시 면발을 누르는 기능성이나 디자인적 고려에 따라 비교적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음이 자명하다.
누르개(20)의 한쪽 끝에 결합봉(21)을 형성하는데, 수용부(11)와 자루(12)의 경우와 다르게 결합봉(21)의 하부 끝이 드러나도록 누르개(20)가 결합봉(21)의 옆면과 이어지게 형성한다. 이것은 결합봉(21)과 결합홈(13-2)을 결합시킬 때 결합봉(21)의 하부 끝이 결합구(13-1)를 통과해야하기 때문이다.
결합봉(21)의 적절한 길이는 자루(12)보다는 길고 손잡이(13)와 자루(12) 길이의 합보다는 짧아야 하며, 손가락걸이(13-4)에 손가락을 걸고 국자를 잡았을 때 엄지손가락의 위치와 평균적인 상하 동작 범위를 고려해 결정한다. 결합봉(21)의 굵기는 상술한 결합홈(13-2)과 결합했을 때 안정적이며 부드러운 상하 동작이 가능하도록 결합홈(13-2)보다 조금 가늘게 형성한다.
결합봉(21)의 상부에는 누르개(20) 방향으로 엄지걸이(24)를 형성한다. 엄지걸이(24)는 주로 엄지손가락으로 아래로 누르거나 위로 밀어 올리기 용이하도록 고리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유리하지만, 상술한 손가락걸이(13-4)나 누르개(20)와 마찬가지로 누르개(20)를 조작하는 기능성이나 디자인적 고려에 따라 비교적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음이 자명하다.
이상과 같이 형성한 국자(10)와 누르개(20) 일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르개(20)와 수용부(11)의 방향이 일치하도록 결합봉(21)의 하부 끝을 결합구(13-1)에 맞춰 통과시켜 결합봉(21)을 결합홈(13-2)에 끼워 결합시킨다.
결합봉(21)과 결합홈(13-2) 사이에 적절한 여유 간격이 있다면 결합봉(21)은 엄지손가락으로 엄지걸이(24)를 아래로 누르거나 위로 밀어 올리는 조작에 의해 결합홈(13-2)을 따라 부드럽게 상하로 움직이게 되고, 그에 따라 결합봉(21)과 이어진 누르개(20) 역시 상승, 하강하게 되면서 누르개(20)와 수용부(11) 사이의 간격이 커졌다 줄었다 하게 된다.
국자(10)와 결합된 누르개(20) 일체를 국자(10)에서 분리하려면, 결합 과정과는 반대로 엄지걸이(24)를 잡고 결합봉(21)을 위로 밀어 올려 결합홈(13-2)에서 완전히 분리시킨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를 설명하였고, 이어서 두 번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11), 자루(12), 손잡이(13), 결합레일(13-3), 손가락걸이(13-4)가 형성된 국자(10)와, 누르개(20), 누름자루(22), 결합부재(23), 엄지걸이(24)가 형성된 누르개(20) 일체로 구분된다.
국자(10)는 음식물을 담는 오목한 형태의 수용부(11)를 형성하고, 수용부(11) 상부 둘레의 한쪽 끝에 자루(12)를 적절한 길이로 상향 돌출 형성한다.
자루(12)의 상부에 손잡이(13)를 형성하고, 손잡이(13)의 전면에 세로로 결합레일(13-3)을 형성하고, 후면 하부에는 손가락걸이(13-4)를 형성한다.
결합레일(13-3)은 후술할 결합부재(23)를 끼울 수 있도록 돌출된 부위로, 결합레일(13-3)의 폭은 손잡이(13)보다 좁게 형성한다.
수용부(11)의 위에 별도로 누르개(20)를 형성하고, 누르개(20)의 한쪽 끝에 누름자루(22)를 형성하고, 누름자루(22)의 상부에 결합레일(13-3)의 돌출 부위에 대응되는 형태의 홈을 가진 결합부재(23)를 형성하고, 결합부재(23)의 전면에 엄지걸이(24)를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두 번째 실시예의 세부 사항은 첫 번째 실시예와 상당 부분 동일하지만, 첫 번째 실시예에서 결합홈(13-2)과 결합봉(21)을 형성한 것과 다르게 두 번째 실시예는 결합레일(13-3)과 누름자루(22)와 결합부재(23)를 형성한 점이 다르다.
이러한 구성의 차이에 따라 국자(10)와 누르개(20) 일체의 결합 방식도 차이가 있다. 첫 번째 실시예는 결합봉(21)을 결합구(13-1)를 통과시켜 결합홈(13-2)에 끼우는 방식이지만, 두 번째 실시예는 결합부재(23)를 결합레일(13-3)에 끼우는 방식이다. 그러나 결합 후에 엄지걸이(24)의 조작에 따라 누르개(20)가 상승, 하강하는 것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상의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을 위해 제공된 것으로, 발명을 상술한 형태 그대로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라면 발명의 정신과 필수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잘 알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제공된 설명이 아니라 본 출원의 청구항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 국자 11 : 수용부
12 : 자루 13 : 손잡이
13-1 : 결합구 13-2 : 결합홈
13-3 : 결합레일 13-4 : 손가락걸이
20 : 누르개 21 : 결합봉
22 : 누름자루 23 : 결합부재
24 : 엄지걸이

Claims (3)

  1. 오목한 형태의 수용부(11)가 형성되고, 수용부(11) 상단 둘레의 한쪽 끝에 자루(12)가 형성되고, 자루(12)의 상부에 손잡이(13)가 형성된 국자에 있어서,
    손잡이(13)의 전면에 세로로 결합홈(13-2)을 형성하고,
    수용부(11)의 위에 별도로 누르개(20)를 형성하고, 누르개(20)의 한쪽 끝에 결합봉(21)을 형성하고, 결합봉(21)의 상부에 엄지걸이(24)를 형성하여,
    누르개(20)와 수용부(11)의 방향이 일치하도록 결합봉(21)을 결합홈(13-2)에 끼워 결합되도록 한 누르개가 구비된 국자.
  2. 오목한 형태의 수용부(11)가 형성되고, 수용부(11) 상단 둘레의 한쪽 끝에 자루(12)가 형성되고, 자루(12)의 상부에 손잡이(13)가 형성된 국자에 있어서,
    손잡이(13)의 전면에 세로로 결합레일(13-3)을 형성하고,
    수용부(11)의 위에 별도로 누르개(20)를 형성하고, 누르개(20)의 한쪽 끝에 누름자루(22)를 형성하고, 누름자루(22)의 상부에 결합부재(23)를 형성하고, 결합부재(23)의 전면에 엄지걸이(24)를 형성하여,
    누르개(20)와 수용부(11)의 방향이 일치하도록 결합부재(23)를 결합레일(13-3)에 끼워 결합되도록 한 누르개가 구비된 국자.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손잡이(13)의 후면 하부에 손가락걸이(13-4)를 형성한 누르개가 구비된 국자.
KR1020140185112A 2014-12-20 2014-12-20 누르개가 구비된 국자 KR201600752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5112A KR20160075283A (ko) 2014-12-20 2014-12-20 누르개가 구비된 국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5112A KR20160075283A (ko) 2014-12-20 2014-12-20 누르개가 구비된 국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5283A true KR20160075283A (ko) 2016-06-29

Family

ID=56365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5112A KR20160075283A (ko) 2014-12-20 2014-12-20 누르개가 구비된 국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528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87086A (zh) * 2018-10-15 2019-01-11 富士胶片电子材料(苏州)有限公司 一种可升降桶槽内取样装置
WO2023028642A1 (en) * 2021-08-30 2023-03-09 NISKA Retail Robotics Pty ltd A robotic arm ice cream scooping mechanis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87086A (zh) * 2018-10-15 2019-01-11 富士胶片电子材料(苏州)有限公司 一种可升降桶槽内取样装置
WO2023028642A1 (en) * 2021-08-30 2023-03-09 NISKA Retail Robotics Pty ltd A robotic arm ice cream scooping mechanis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87112B2 (en) Utensil with grip feature
ITTO20090093U1 (it) Scodella di articolo culinario, in particolare spremiagrumi, centrifuga per insalata o grattugia
CN105266601B (zh) 包括具有带器具靠置架的手柄的盖子的厨具
KR102356485B1 (ko) 일회용 접이식 식사도구
KR101379001B1 (ko) 취사용기용 돌솥뚜껑
KR20160075283A (ko) 누르개가 구비된 국자
KR101382931B1 (ko) 한 손으로 따는 병따개
JP2016538904A (ja) 吸着脚を備えた台所用装置
KR200465367Y1 (ko) 조리용 냄비
CN204722908U (zh) 一种厨房用具
CN203388743U (zh) 一种面条漏勺
CN202553571U (zh) 炒锅
KR101261280B1 (ko) 집게형 착탈 손잡이용 주방용기
CN204525546U (zh) 一种厨房用刀辅助工具
KR200490252Y1 (ko) 국자 어셈블리
CN211269962U (zh) 烹饪器具
CN214778274U (zh) 一种便于套垃圾袋的垃圾桶
KR20110007276U (ko) 레토르트 식품 파우치용 압출기
KR101227783B1 (ko) 잡기 편하고 위생적이며 다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다기능 젓가락
CN205514254U (zh) 防止勺子滑落的挂钩
CN201617593U (zh) 汤勺
KR101147177B1 (ko) 뚜껑의 손잡이
KR100937551B1 (ko) 밥주걱
JP3206908U (ja) トング
CN205568560U (zh) 一种立交式变形杠杆多功能餐具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