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7783B1 - 잡기 편하고 위생적이며 다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다기능 젓가락 - Google Patents

잡기 편하고 위생적이며 다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다기능 젓가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7783B1
KR101227783B1 KR1020120093454A KR20120093454A KR101227783B1 KR 101227783 B1 KR101227783 B1 KR 101227783B1 KR 1020120093454 A KR1020120093454 A KR 1020120093454A KR 20120093454 A KR20120093454 A KR 20120093454A KR 101227783 B1 KR101227783 B1 KR 101227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ck
chopsticks
food
pair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3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영민
Original Assignee
문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영민 filed Critical 문영민
Priority to KR1020120093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77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7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7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47G21/103Cho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6Combined or separable sets of table-service utensils; Oyster knives with openers; Fish servers with means for removing bo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021/002Table-ware collapsi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A47G2400/025Avoiding contact with unclean surfaces

Abstract

본 발명은 잡기 편하고 위생적이며 다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다기능 젓가락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젓가락 및 집게 사용 시 사용자 손의 크기에 따라 잡는 위치를 조절하여 최상의 상태로 잡기 편하게 하고, 또한 젓가락 및 집게를 바닥에 놓았을 때 청결을 위하여 스틱(stick)부가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하는 받침대 역할 및 가이드(guider)역할 그리고 스토퍼(stopper)기능을 하는 받침대부를 구성하고 또한 휴대나 보관할 수 있는 기능 및 병따개 기능을 구비하여 사용이 편리하도록 젓가락 및 집게 그리고 숟가락 등 다양한 기능을 할 수 있는 제품을 함께 보유하도록 하여 상품성을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각종 형태의 음식물을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음식물이 직접 접촉되는 스틱부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형 및 교체 기능을 갖추면서 사용함으로써 제품의 다양성 및 편리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다기능 젓가락에 관한 것이다.
스틱부와 손잡이부 사이에 경사각을 주어 맞닿는 부분을 길게 형성하여 접점면적을 넓혀 음식물의 많은 부분을 집게하고 스틱의 안쪽면에 요철을 형성하여 집을 때 음식물이 미끄러지질 않도록 하고 동일한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스틱부(A)와:
몸체의 중앙에 사용자의 손의 크기에 따라 잡는 위치를 조절하여 최상의 상태로 잡기 편하게 하고 또한 젓가락 및 집게를 바닥에 놓았을 때 청결을 위하여 스틱부가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하는 받침대 역할 및 가이드(guider)역할 그리고 스토퍼(stopper)기능을 구비한 손잡이부(B)와:
한 쌍의 스틱부 와 손잡이부가 유동 가능하도록 자체 탄력을 갖고 손잡이부와의 연결부분에 경사각을 주어 유동 폭을 넓히고 손바닥 안쪽면에 안착 될 때 편안한 정도의 크기의 환 형으로 이루어지며 일체형으로 연결된 연결고리부(C):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젓가락.

Description

잡기 편하고 위생적이며 다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다기능 젓가락{Catching hygienic and easy-to-use, versatile multifunction chopsticks}
본 발명은 잡기 편하고 위생적이며 다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다기능 젓가락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젓가락 및 집게 사용 시 사용자 손의 크기에 따라 잡는 위치를 조절하여 최상의 상태로 잡기 편하게 하고, 또한 젓가락 및 집게를 바닥에 놓았을 때 청결을 위하여 스틱(stick)부가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하는 받침대 역할 및 가이드(guider)역할 그리고 스토퍼(stopper)기능을 하는 받침대부를 구성하고 또한 휴대나 보관할 수 있는 기능 및 병따개 기능을 구비하여 사용이 편리하도록 젓가락 및 집게 그리고 숟가락 등 다양한 기능을 할 수 있는 제품을 함께 보유하도록 하여 상품성을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각종 형태의 음식물을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음식물이 직접 접촉되는 스틱부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형 및 교체 기능을 갖추면서 사용함으로써 제품의 다양성 및 편리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다기능 젓가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섭취하기 위해서 주로 아시아권에서는 분리되어 있는 한 쌍의 스틱으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젓가락을 사용하여 왔다.
그리고 종래의 기술을 검토하여 보니 스틱부(A)를 길이방향으로 일자형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져 음식물을 집을 때 집는 부분에 힘이 스틱의 끝 부분에 집중되어 있다. 또한, 손잡이부(B)를 잡기 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며, 수저를 위생적으로 청결하지 않은 식탁이나 바닥 또는 다른 음식통 위에 따로 놓고 사용하던지 받침대를 별도로 구비하여 사용하여 왔고 아울러 스틱부가 벌려 있는 채 보관하기에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인 집게 등은 손잡이 부분이 약간 날카로운 보통 평철로 이루어져 있고 손바닥 안에 움켜잡기에는 매우 불편한 크기로 이루어져 있어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젓가락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1개를 분실하면 사용할 수 없고 많은 사람이 대중음식점 등 수저보관함에서 사용하려는 젓가락의 짝을 찾아 식사하기에는 매우 힘들며, 그리고 젓가락질에 익숙하지 않은 외국인이나 어린이의 경우에는 서로 분리된 일반적인 젓가락으로 한 손에 쥐인 상태로 음식물을 집는 것이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다. 또한, 젓가락질에 익숙한 사람들도 일반젓가락 사용 시 음식물을 집어 이동시 음식물을 떨어뜨리는 경우가 종종 있고 콩자반이나 어묵 등 물렁물렁한 음식물을 집을 때 잘 안 집어져 몇 번 시도하다 보면 손가락이나 손목에 무리가 가는 것을 느끼게 되어 일반젓가락을 움직여 음식물을 집는 것이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다.
그리고 숟가락과 젓가락이 각각의 기능으로 따로 사용하여 왔지만 한 예로 젓가락으로 음식물을 섭취하고 나서 밥이나 국을 섭취하기 위하여 일반젓가락은 별도의 젓가락 받침대나 위생적으로 청결하지 않은 식탁이나 바닥 또는 다른 음식통 위에 따로 놓고 숟가락을 집어야 하고 이러한 반복적인 동작도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다.
또한, 집게로 사용 시 보통 평철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집게를 사용하다 보면 손잡이 부분이 약간 날카로워 한 손으로 움켜잡기가 힘들고, 움푹 들어간 곳이나 깊숙한 공간의 음식물을 집어야 할 때 스틱의 길이가 짧아 길이가 긴 집게가 필요한 것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청구항1부터 청구항 17까지 발명한 부분을 설명한 대로 잡기 편하고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젓가락을 창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기능 젓가락으로 왼손, 오른손 구분없이 최상의 상태로 잡기 편하게 하고 잡는 부분 즉 손잡이부에 힘이 더 가해져 크기 및 무게가 많이 나가는 음식물도 정확하게 집을 수 있으며 떨어뜨리는 경우는 많이 줄어들며, 받침대가 형성되어 있어 위생적으로 음식을 먹을 수 있으며, 보관대를 설치하여 부피를 줄여 보관 및 휴대시 용이하도록 하고 숟가락과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신속성, 편리성을 겸비한 효과 및 다양한 용도의 제품군을 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대표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젓가락의 스틱(stick)부 변형 예를 도시한 계통도이며, 유동스틱부(D)를 활용하여 변형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1a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젓가락을 나타내는 조립상태 및 분리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1b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젓가락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1c는 다기능 젓가락의 스틱부를 최대한 오므렸을 때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1d는 다기능 젓가락을 식탁의 바닥 면에 놓인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1e는 다기능 젓가락의 잡는 방법 및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젓가락의 스틱(stick)부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a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젓가락의 스틱부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3b는 다기능 젓가락의 스틱부의 변형 예를 식탁이나 바닥 면에 놓인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4a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젓가락의 스틱부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4b는 다기능 젓가락의 스틱부의 변형 예를 최대한 길이방향으로 늘린 상태로 하여 오므렸을 때를 나타낸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5~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젓가락의 손잡이부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8a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젓가락의 연결고리부(C)내의 가이드링(80)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8b는 도8a 단면W-W' 이용하여 병뚜껑 제거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실시 예이다.
도9a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젓가락의 숟가락용도로 사용할 때 숟가락 부분을 나타내는 조립상태 및 분리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9b는 스틱지지부(G)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0a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젓가락을 숟가락용도로 사용할 때 숟가락 거치대A형(H)의 숟가락과 조립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10b는 숟가락 거치대A형의 조립상태 및 분리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11a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젓가락을 숟가락용도로 사용할 때 숟가락 거치대B형(I,J)의 조립상태 및 분리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11b는 다기능 젓가락으로 숟가락 거치대B형을 잡는 방법과 숟가락 사용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1a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젓가락을 나타내는 조립상태 및 분리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1b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젓가락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1c는 다기능 젓가락의 스틱부를 최대한 오므렸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1d는 다기능 젓가락을 식탁의 바닥면에 놓인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1e는 다기능 젓가락의 잡는 방법 및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다기능 젓가락은 도1a와 같이 동일한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스틱부(A)를 구비하고 바로 연결되어 손잡이부(B)를 구성하고 상호 연결되도록 환 형으로 이루어진 연결고리부(C)로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스틱부(A)에는 도면1c에 도시한 스틱부에 경사각을 주어 맞닿는 부분을 길게 형성하여 접점A 면적을 넓혀 음식물의 많은 부분을 집게하고 스틱의 안쪽면에 요철을 형성하게 하여 집을 때 음식물이 미끄러지질 않도록 하였고,
중앙의 손잡이부(B)는 도면1e에 도시한 사용자의 손가락이 안착 되는 위치(61,70)를 안내하고, 또한 젓가락 및 집게를 바닥에 놓았을 때 청결을 위하여 스틱부가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하는 받침대 역할 및 한 쌍의 스틱이 음식물에 향해갈수록 비틀어지거나 엇갈리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stopper)역할을 하는 받침대(60,61)가 형성되어 있으며, 한편 도1a 단면 T-T'에 도시한 것은 몸체(20)의 지름을 다르게 하여 받침대가 연결고리부 방향으로 가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받침대에 키이홈을 내어 키이(64)를 삽입하여 손가락에 힘을 가해서 받침대(61)에 안착 될 때 스틱(stick)부쪽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하고, 휴대하거나 보관하기 위하여 받침대(61)에 보관봉(62)을 형성하여 받침대(61)와 보관봉(62)에 나사를 내어 결합하도록 하고 보관홈통(63)을 형성하여 몸체(20)의 안쪽면과 보관봉 안쪽면이 맞닿는 부분의 폭을 보관홈통의 두께보다 약간 적게 하여 보관홈통에 손잡이 부분을 만들어 받침대(61)쪽으로 밀어 넣어 안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휴대나 보관할 시는 보관홈통(63)을 도면1c에 도시한 부분에 끼워 넣어 별도의 휴대용 케이스를 만들어 휴대 나 보관이 용이하도록 형성하였다.
또한, 손가락 거치대(70)의 유동돌기(71)와 조임너트(72)를 형성하여 사용자 손의 크기에 따라잡는 위치를 도1b에 도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조절하여 최상의 상태로 잡기 편한 위치에 고정하게 하고 유동돌기(71)와 조임너트(72) 결합부분에 나사를 내어 손가락으로 조여 고정시켜 나갈 때 조임너트(72) 표면에 널링(Knurling)가공을 하여 미끄러지질 않게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유동돌기(71) 나사가공 부분에 몸체(20)의 길이방향으로 2,3군데 갈라지게 하여 조임너트로 조여 나갈 때 유동돌기 나사부분 안쪽이 몸체(20)면과 밀착되면서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d에 도시한 대로 손가락거치대(70)의 유동돌기(71)와 조임 너트(72)의 크기를 식탁면에 놓았을 때 받침대 높이보다 낮은 크기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연결고리부(C)에는 상기 한 쌍의 스틱부(A)가 음식물을 집어 움직일 때 도1c에 도시한 접점A면까지 유동하고 원상태로 복귀 가능하도록 자체 탄력을 갖도록 형성하고 또한 손바닥 안쪽면에 안착 될 때 편안한 정도의 크기의 환 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가이드링(80)은 한 쌍의 스틱부(A)가 음식물에 향해갈수록 비틀어지거나 엇갈리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2차 방지하기 위한 기능 및 도1c에 도시한 접점C면까지 유동하고 원상태로 복귀 가능하도록 자체 탄력을 갖도록 환 형으로 형성하면서 연결고리부의 역할을 보충하게 하고 환형의 둥근 부분의 가운데에 양면에 홈을 파서 도8b에 도시한 대로 병따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젓가락을 사용하여 음식물을 파지할 경우 사용자 손의 크기에 따라 잡는 위치를 조절하여 최상의 상태로 왼손, 오른손 어느 쪽이나 잡기 편하게 하고 젓가락 및 집게를 바닥에 놓았을 때 청결을 위하여 스틱부가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하여 정확하고 손쉽게 그리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젓가락의 스틱부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젓가락은 스틱부를 상호 평행하게 형성하고 안쪽 면에 요철를 형성하게 하여 집을 때 음식물이 미끄러지질 않도록 하였고 도면1c에 도시한 스틱부의 접점A 면적이 작아 가벼운 음식(일반적으로 면 종류 음식)이나 어린이들이 사용하기에는 매우 적합하며, 그리고 휴대나 보관할 시는 보관홈통(65)을 도1c에 도시한 부분에 끼워 넣어 별도의 휴대용 케이스를 만들어 휴대 및 보관 시 용이하도록 하였다.
도3a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젓가락의 스틱부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3b는 다기능 젓가락의 스틱부의 변형 예를 식탁이나 바닥면에 놓인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젓가락은 일체형으로 하여 환봉에서 평철로 변환된 부분에는 최대한 폭을 가지도록 제작하고 한 쌍의 스틱부(A)에는 도1c에 도시한 스틱부에 경사각을 주어 맞닿는 부분을 길게 하여 접점A 면적을 넓혀 음식물의 많은 부분을 집게하고 스틱의 양쪽이나, 안쪽면에 요철를 형성하게 하여 집을 때 음식물이 미끄러지질 않도록 하고 그리고 휴대나 보관할 시는 보관홈통(66)을 도면1c에 도시한 부분에 끼워 넣어 별도의 휴대용 케이스를 만들어 휴대 및 보관 시 용이하도록 하였다.
도4a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젓가락의 스틱부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4b는 다기능 젓가락의 스틱부의 변형 예를 최대한 길이방향으로 늘린 상태로 하여 오므렸을 때를 나타낸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젓가락은 유동스틱부(D)의 가이드PIPE(90)와 조임너트(91) 및 조리부(E)의 집게형부재(92,93)로 형성하여 단면U-U'에 도시한 대로 스틱부(A) 안쪽면에 홈을 내어 유동스틱부(D)가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때 안쪽면 U-U' 지점에 가이드PIPE(90) 구경 안쪽으로 요철을 내어 가이드구실을 할 수 있도록 하고 가이드PIPE(90)와 조임너트(91) 결합부분에 나사를 내어 손가락으로 조여 고정시켜 나갈 때 조임너트(91) 표면에 널링(Knurling)가공을 하여 미끄러지질 않게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가이드PIPE(90)의 나사가공 부분에 몸체(50)의 길이방향으로 2,3군데 갈라지게 하여 조임너트로 조여 나갈 때 가이드PIPE(90)의 나사부분 안쪽면이 몸체(50)면과 밀착되면서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틱부(A) 바깥면에 도 4a, 도4b에 도시한 MARK는 사용이 용이하도록 최대길이 및 최소 길이로 움직일 수 있도록 표시되어 있다.
또한, 조리부(E)는 다양한 제품군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조리부 와 가이드 PIPE
(90)와 연결은 단면V-V' 도시한 대로 프레스 가공하여 일체형으로 되도록 한다.
도4a,도4b의 조리부(E)는 집게용으로 도시를 하였으며 집게형부재(92,93)는 양쪽면이나, 안쪽면에 요철를 형성하게 하여 집을 때 음식물이 미끄러지질 않도록 형성하였다.
도4b의 집게형부재(92,93) 접점A 와 가이드링(80)의 접점C 가 오므렸을 때 일치되도록 형성하였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젓가락의 손잡이부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다기능 젓가락의 몸체(20,30,40,50)에 손잡이부의 받침대(60)만 양쪽에 설치만 하여 사용해도 기능상 문제가 없음을 도시한 것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젓가락의 손잡이부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다기능 젓가락을 개인용 휴대나 부피를 줄일 필요가 없는 공용으로 사용할 시는 받침대(61)를 받침대(60)로 교체 및 보관봉(62)과 보관홈통(66)을 없앤 상태로 사용하면 보다 심플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젓가락의 손잡이부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다기능 젓가락을 특성상 스틱부의 길이가 긴 제품이나 받침대 역할이 필요 없을시 손가락거치대(70)의 유동돌기(71)와 조임너트(72)를 양쪽에 형성하여 사용하여도 기능상 문제가 없음을 도시한 것이다.
도8a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젓가락의 연결고리부(C)의 가이드링(8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다기능 젓가락의 연결고리부(C)의 가이드링(80)을 모든 다기능 젓가락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음식물 파지시 작동기능 보완 및 병뚜껑 제거 기능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연결고리부(C)에 가이드링(80)을 형성하여도 기능상 문제가 없음을 도시한 것이다.
도8b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젓가락의 연결고리부(C)의 가이드링(80)을 도8a 단면W-W' 이용하여 병뚜껑 제거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실시 예이다.
도9a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젓가락의 숟가락용도로 사용할 때 숟가락 부분을 나타내는 조립상태 및 분리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젓가락을 숟가락용도로 사용할 시 도9a와 같이 조리부(F)에는 다양한 용도의 제품군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숟가락 부재(100)로 도시하였고, 스틱지지부(G)의 입구 쪽 중앙부분에 스틱부(A)가 삽입될 때 용이하게 스틱부의 지름보다 크게 스틱지지부 몸체(101)를 형성하고 스틱부 앞 부분이 끼워질 때 안내 역할을 하는 가이드판(102)과 가이드 판을 잡아주는 고정핀(104), 너트(105), 스프링(103)으로 형성하여 가이드 판이 외벽면에 따라 안쪽으로 밀착 끼워질 때 가이드 판이 스프링(103)의 힘으로 스틱부(A)의 요철이 되어져 있는 내면에 밀착되어 고정을 시키고 몸체 양끝단을 스틱부(A)의 지름보다 약간 작게 환 형으로 형성하고 굴곡면을 따라 몸체의 중앙부분과 합쳐지도록 형성되었다.
조리부(F)와 스틱지지부(G)의 연결은 일체형이나 리벳가공 등 여러 가지 공법으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형성한다.
도9b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젓가락의 숟가락 용도로 사용할 때 스틱지지부(G)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젓가락을 숟가락용도로 사용할 시 실시 예는 도1e와 같이 잡은 상태로 다기능 젓가락의 스틱부(A)를 오므리게 하여 스틱지지부(G)에 밀어 넣어 스틱부 끝단이 닿은 상태에서 잡은 손을 놓으면 연결고리부의 자체 탄력 힘으로 스틱부(A) 바깥 면이 스틱지지부(G) 안쪽의 외벽에 밀착되어 1차 고정 역할을 하며 가이드 판(102)의 외벽면을 따라 안쪽으로 밀착 끼워질 때 가이드 판의 요철부분이 스프링(103)의 힘으로 스틱부(A)의 요철이 되어져 있는 내면에 밀착되어 2차 고정을 시키게 형성되었다.
이렇게 조립된 상태로 손잡이부에 약간 이상의 힘을 주진 않는 상태에서는 숟가락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도10a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젓가락을 숟가락용도로 사용할 때 숟가락 거치대A형(H)의 숟가락과 조립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10b는 숟가락 거치대A형의 조립상태 및 분리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젓가락을 숟가락용도로 사용할 때 숟가락 거치대A형(H)은 도10b와 같이 판재(110,111,112,113)를 형성하고, 숟가락부재(100)를 안내하는 환봉(114,115,116)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식탁의 바닥 면에 고정하는 흡착판(118) 및 고정볼트(117)로 형성한다.
먼저, 숟가락을 숟가락거치대A형(H)에서 사용할 시 실시 예는 숟가락거치대A형(H)의 흡착판(118)의 안쪽면에 식사시 항시 있는 물을 약간 묻혀 식탁의 바닥 면에 숟가락거치대A형(H)의 흡착 판이 밑으로 가게 하여 붙이고 약간 힘을 주어 눌러 고정시킨다. 그리고 난 후 도1e와 같이 잡은 상태로 집게형 젓가락의 스틱부(A)를 오므린 상태로 스틱지지부(G)에 밀어 넣어 스틱부 끝단이 닿은 상태에서 잡은 손을 놓으면 연결고리부의 자체 탄력 힘으로 스틱부(A) 바깥면이 스틱지지부(G) 안쪽의 외벽에 밀착되어 1차 고정 역할을 하며 가이드 판(102)의 외벽면에 따라 안쪽으로 밀착 끼워질 때 가이드 판의 요철부분이 스프링(103)의 힘으로 스틱부(A)의 요철이 되어져 있는 내면에 밀착되어 2차 고정을 시키게 되고 이렇게 조립된 상태로 다시 잡아 손잡이 부를 누르지 말고 연결고리부 방향으로 30도 이상 들어올리면서 사용자 몸쪽으로 빼내면 숟가락 사용이 가능하게 형성되었다.
그리고 숟가락을 숟가락 거치대A형(H)에 보관할 시 실시 예는 결합 되어 있는 숟가락의 숟가락부재(100)의 앞쪽을 30도 이상 밑으로 기울게 하여 환봉(125,126)의 안내에 따라 밀어 넣으면서 판재(113) 안쪽 면에 숟가락부재 앞쪽 윗면을 닿게 하고, 집게형 젓가락에 결합 된 숟가락을 잡은 상태에서 연결고리부 방향으로 서서히 아래로 낮추면서 판재(121)의 굴곡면에 따라 내려가면서 고정되게 형성한다. 이때 판재(121) 굴곡면의 중앙(볼록하게 나온 부분)에는 스틱지지부(G)의 폭보다 약간 작게 하고 홈을 내어 갈라지게 형성하고 안착 되는 부분은 스틱지지부(G)의 폭과 같게 형성하면서 고정시킨다.
그 다음 다기능 젓가락 손잡이부을 약간 오므려 들게 힘을 주어 빼내면 숟가락부재(100)의 뒤쪽 면이 환봉(124)에 닿으면서 더 이상 숟가락부재(100)가 움직이질 못하면서 자연스럽게 빠지게 되어 다기능 젓가락 본연의 기능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형성하였다.
이런 연속성으로 숟가락과 젓가락 기능을 하면서 식사를 마친 후 청소 및 세척을 할 경우에는 스틱부(A)의 한쪽 다리부분을 흡착판의 요철 되어 구멍이 난 부분에 끼워 넣어 들어올리면 숟가락거치대A형(H)이 분리되게 형성하였다.
도11a는 본 발명에 따른 집게형 젓가락을 숟가락용도로 사용할 때 숟가락 거치대B형(I,J)의 조립상태 및 분리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11b는 다기능 젓가락으로 숟가락 거치대B형을 잡는 방법과 숟가락 사용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젓가락을 숟가락용도로 사용할 때 숟가락 거치대B형(I,J)은 도10b와 같이 덮개(I)에 판재(127,128)로 형성하고 숟가락 거치대B형(J)에 판재(120,121,122,123)로 형성하고, 숟가락부재(100)를 안내하는 환봉(124,125,126)으로 이루어지게 형성한다.
먼저, 숟가락을 숟가락거치대B형을 사용할 시 실시 예는 도11b에 도시한 대로 옛날에 성냥갑에서 성냥개비를 낼 때와 비슷하게 한 손으로 스틱지지부 반대쪽에 있는 덮개(I)를 잡고 숟가락거치대B형(J)의 스틱지지부 반대쪽에 있는 판재(120)의 바깥 중앙에 중지로 밀어내면서 도11b와 같이 반쯤 열리게 하고 또 다른 한 손으로 다기능 젓가락을 잡은 상태에서 다기능 젓가락의 스틱부(A)를 오므린 상태로 스틱지지부(G)에 밀어 넣어 스틱부 끝단이 닿은 상태에서 잡은 손을 놓게 되면 연결고리부의 자체 탄력 힘으로 스틱부(A) 바깥면이 스틱지지부(G) 안쪽의 외벽에 밀착되어 1차 고정 역할을 하며 가이드 판(102)의 외벽면을 따라 안쪽으로 밀착 끼워질 때 가이드 판의 요철부분이 스프링(103)의 힘으로 스틱부(A)의 요철이 되어져 있는 내면에 밀착되어 2차 고정을 시키게 되고 이렇게 조립된 상태로 다시 잡아 손잡이부를 누르지 말고 연결고리부 방향으로 30도 이상 들어올리면서 사용자몸쪽으로 빼내면 숟가락 사용이 가능하게 형성되었다.
그리고 숟가락을 숟가락 거치대B형에 보관할 시 실시 예는 한 손으로 결합 되어 있는 숟가락의 숟가락부재(100)의 앞쪽을 30도 이상 밑으로 기울게 하여 환봉(125,126)의 안내에 따라 판재(123) 안쪽면에 숟가락부재 앞쪽 윗면을 닿게 하고 밀어 넣고, 집게형 젓가락에 결합한 숟가락을 잡은 상태에서 연결고리부 방향으로 서서히 아래로 낮추면서 판재(121)의 굴곡면에 따라 내려가면서 고정되게 형성한다. 이때 판재(121) 굴곡면의 중앙(볼록하게 나온 부분은 스틱지지부(G)의 폭보다 약간 작게 하고 홈을 내어 갈라지게 형성하고 안착 되는 부분은 스틱지지부(G)의 폭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면서 고정시킨다. 그러면서 판재(121)의 윗면과 아래면 끝 부분에 안쪽으로 작은 환 형으로 라운딩처리를 하여 덮개(127)로 닫을 때 윗면과 아래 면이 판재(121)의 작은 환 형으로 라운딩처리된 안쪽으로 들어가게 하여 덮게 와 숟가락 거치대B형이 빠지지 않게 하고 받침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형성하였다.
그 다음 다기능 젓가락 손잡이부을 약간 오므려 들게 힘을 주어 빼내면 숟가락부재(100)의 뒤쪽 면이 환봉(124)에 닿으면서 더 이상 숟가락부재(100)가 움직이질 못하면서 자연스럽게 빠지게 되어 다기능 젓가락 본연의 기능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형성하였다.
또한, 덮개(I)의 윗면과 아래면 끝 부분에 안쪽으로 작은 환 형으로 라운딩처리를 하여 손잡이 가이드 및 받침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형성하였다.
이런 연속성으로 숟가락과 젓가락 기능을 하면서 식사를 하게 하였고 숟가락거치대B형은 개인의 휴대용이나 야외에서 사용할 때 적합하도록 형성하였다.
대표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젓가락의 스틱(stick)부 변형 예를 도시한 계통도이며, 유동스틱부(D)를 활용하여 변형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조리부 및 스틱지지부(G)의 변형 예는 대표도에 도시한 조리부(F)에 다양한 제품(200,210,230,240,300,301,310,311,321)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조리부(F)와 스틱지지부(G) 또는 유동스틱부(D) 연결은 일체형이나 리벳가공 등 여러 가지 공법으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형성한다.
A : 스틱(stick)부
B : 손잡이부
C : 연결고리부
D : 유동스틱부
E : 조리부
F : 조리부
G : 스틱지지부
H : 숟가락 거치대A형
I : 덮개(spoon case)
J : 숟가락 거치대B형
몸체 : 20,30,40,50
받침대 : 60,61
보관봉 : 62
보관홈통 : 63,65,66
키이 : 64
손가락거치대 : 70
유동돌기 : 71
조임너트 : 72,91
가이드링 : 80
가이드PIPE : 90
집게형부재 : 92,93
숟가락 부재 : 100
스틱지지부 몸체 : 101
가이드판 : 102
스프링 : 103
고정핀 : 104
너트 : 105
판재 : 110,111,112,113,120,121,122,123,127,128
환봉 : 114,115,116,124,125,126
고정볼트 : 117
흡착판 : 118
다양한 제품 : 200,210,220,230,240,300,301,310,311,320,321

Claims (17)

  1. 스틱부와 손잡이부 사이에 경사각을 주어 맞닿는 부분을 길게 형성하여 접점 면적을 넓혀 음식물의 많은 부분을 집게하고 스틱부의 안쪽면에 요철을 형성하여 집을 때 음식물이 미끄러지질 않도록 하고 동일한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스틱부(A)와:
    한 쌍의 스틱부(A)와 연결고리부(C)를 연결하는 몸체의 중앙부로서, 손가락이 안착되는 위치를 안내하고 스틱부(A)가 바닥에 닿지 않게 하며 스틱부(A)가 비틀어지거나 엇갈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스틱부(A)들과의 경계에 환형 받침대가 끼워진 손잡이부(B)와:
    한 쌍의 스틱부와 손잡이부가 유동 가능하도록 자체 탄력을 갖고 손잡이부와의 연결부분에 경사각을 주어 유동 폭을 넓히고 손바닥 안쪽 면에 안착 될 때 편안한 정도의 크기의 환형으로 이루어지며 일체형으로 연결된 연결고리부(C):로 이루어지며,
    환형 받침대가 연결고리부 방향으로 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몸체의 지름을 다르게 하며,
    환형 받침대에 키이홈을 내어 손가락이 환형 받침대에 힘을 가해서 안착될 때 스틱부 방향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키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젓가락.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B)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안착 되는 위치를 안내하고, 또한 젓가락 및 집게를 바닥에 놓았을 때 청결을 위하여 스틱부가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하는 받침대 역할 및 한 쌍의 스틱이 음식물에 향해갈수록 비틀어지거나 엇갈리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stopper)역할을 하고 환 형으로 이루어진 받침대(61)와, 받침대가 연결고리부 방향으로 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몸체의 지름을 다르게 한 것과, 또한 받침대(61)에 키이홈을 내어 손가락이 받침대(61)에 힘을 가해서 안착 될 때 스틱부 방향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키이(64)와 연결고리부(C)를 마주보는 받침대(61)의 일면 내측에 형성된 나사 홈에 나사산이 형성된 보관봉(62)이 결합되어 있고, 젓가락을 휴대 보관 시 스틱부 말단에 끼워두기 위한 보관홈통(63)이 보관봉(62)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젓가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B)에는 손가락거치대(70)의 유동돌기(71)와 조임너트(72)를 형성하여 사용자 손의 크기에 따라 길이 방향으로 조절하여 최상의 상태로 잡기 편한 위치에 고정하게 하고 유동 돌기(71)와 조임 너트(72) 결합부분에 나사를 내어 손가락으로 조여 고정시켜 나갈 때 조임너트(72) 표면에 널링(Knurling)가공을 하여 미끄러지질 않게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유동돌기(71) 나사가공 부분에 몸체(20)의 길이방향으로 2,3군데 갈라지게 하여 조임너트로 조여 나갈 때 유동돌기 나사부분 안쪽이 몸체 면과 밀착되면서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손가락거치대(70)의 유동돌기(71)와 조임너트(72)의 크기를 식탁 면에 놓았을 때 받침대 높이보다 낮은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젓가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리부(C)에는 한 쌍의 스틱부(A)가 음식물에 향해 갈수록 비틀어지거나 엇갈리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2차 방지하기 위한 기능 및 접점C면까지 유동하고 원상태로 복귀 가능하도록 자체 탄력을 갖도록 환 형으로 형성하면서 연결고리부의 역할을 보충하게 하고 환형의 둥근 부분의 가운데에 양면에 홈을 파서 병따개 기능을 하는 가이드링(8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젓가락.
  6. 제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스틱부(A)가 접점A면에 접할 때 환 형으로 이루어진 받침대(60,61)가 접점B면에 동시에 접하도록 크기 및 몸체의 경사각이 정하여 지는 것과 가이드링(80)이 접점C면에 동시에 접하도록 크기 및 몸체의 경사각이 정하여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젓가락.
  7. 제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스틱부(A)를 상호 평행하게 형성하고 안쪽면에 요철을 형성하게 하여 집을 때 음식물이 미끄러지질 않도록 하고 그리고 휴대나 보관할 시는 보관홈통(65)을 형성하여 한 쌍의 스틱부(A)의 앞 부분에 끼워 넣어 휴대 및 보관 시 용이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젓가락.
  8. 제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스틱부(A)를 일체형으로 하여 환봉에서 평철로 변환된 부분에는 최대한 폭을 가지도록 제작하고, 스틱(stick)부에 경사각을 주어 맞닿는 부분을 길게 하여 접점A 면적을 넓혀 음식물의 많은 부분을 집게하고 스틱의 양쪽이나, 안쪽면에 요철를 형성하게 하여 집을 때 음식물이 미끄러지질 않도록 하고 그리고 휴대나 보관할 시는 보관홈통(66)을 형성하여 한 쌍의 스틱부(A)의 앞 부분에 끼워 넣어 휴대 및 보관 시 용이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젓가락.
  9. 제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스틱부(A)에는 스틱부(A) 안쪽면에 홈을 내어 유동스틱부(D)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때 가이드PIPE(90) 구경 안쪽으로 요철을 내어 가이드구실을 할 수 있도록 하고 가이드PIPE(90)와 조임너트(91) 결합부분에 나사를 내어 손가락으로 조여 고정시켜 나갈 때 조임너트(91) 표면에 널링(Knurling)가공을 하여 미끄러지질 않게 형성하고 아울러 가이드PIPE(90) 나사가공 부분에 몸체(50)의 길이방향으로 2,3군데 갈라지게 하여 조임너트로 조여 나갈 때 가이드PIPE(90) 나사부분 안쪽면이 몸체(50)면과 밀착되면서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지고 그리고 스틱부(A) 바깥면에 MARK로 최대길이 및 최소 길이로 움직일 수 있도록 표시하고, 또한 조리부(E)와 가이드PIPE(90)와 연결은 프레스 가공하여 일체형으로 되도록 하고 집게형부재(92,92)는 양쪽면이나, 안쪽면에 요철을 형성하게 하여 집을 때 음식물이 미끄러지질 않도록 형성하고 최대 길이로 연장하고 집게형부재(92,92) 접점A 와 가이드링(80)의 접점C가 오므렸을 때 일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젓가락.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스틱부(A)에 연결되는 일측 입구 쪽 중앙부분에 스틱부(A)가 삽입될 때 용이하도록 스틱부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된 몸체(101), 스틱부(A) 앞 부분이 끼워질 때 안내 역할을 하는 가이드판(102), 가이드판(102)을 잡아주는 고정핀(104), 너트(105) 및 스프링(103)으로 구성되며,
    가이드판(102)이 외벽면을 따라 안쪽으로 밀착 끼워질 때 가이드판(102)이 스프링(103)의 힘으로 스틱부(A)의 요철이 되어져 있는 내면에 밀착되어 고정되고 몸체(101) 양끝 단이 스틱부(A)의 지름보다 작게 환 형으로 형성되고 굴곡면을 따라 몸체(101)의 중앙부분과 합쳐지도록 형성된 스틱지지부(G); 및
    스틱지지부(G)의 몸체(101) 타측에 고정 결합되어 음식물을 이동 조작하기 위한 조리부(F);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기능 젓가락.
  14. 가이드판(102)이 외벽면을 따라 안쪽으로 밀착 끼워질 때 가이드판(102)이 스프링(103)의 힘으로 스틱부(A)의 요철이 되어져 있는 내면에 밀착되어 고정되고 몸체(101) 양끝 단이 스틱부(A)의 지름보다 작게 환 형으로 형성되고 굴곡면을 따라 몸체(101)의 중앙부분과 합쳐지도록 형성된 스틱지지부(G) 및 스틱지지부(G)의 몸체(101) 타측에 고정 결합되어 음식물을 이동 조작하기 위한 조리부(F)를 보관 및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로서, 판재(110,111,112,113), 숟가락 부재(100)를 안내하는 환봉(114,115,116), 식탁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흡착판(118) 및 고정볼트(117)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숟가락 거치대.
  15. 가이드판(102)이 외벽면을 따라 안쪽으로 밀착 끼워질 때 가이드판(102)이 스프링(103)의 힘으로 스틱부(A)의 요철이 되어져 있는 내면에 밀착되어 고정되고 몸체(101) 양끝 단이 스틱부(A)의 지름보다 작게 환 형으로 형성되고 굴곡면을 따라 몸체(101)의 중앙부분과 합쳐지도록 형성된 스틱지지부(G) 및 스틱지지부(G)의 몸체(101) 타측에 고정 결합되어 음식물을 이동 조작하기 위한 조리부(F)를 보관 및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로서, 판재(127,128)로 이뤄진 덮개(I)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숟가락 거치대.
  16. 삭제
  17. 삭제
KR1020120093454A 2012-08-27 2012-08-27 잡기 편하고 위생적이며 다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다기능 젓가락 KR101227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454A KR101227783B1 (ko) 2012-08-27 2012-08-27 잡기 편하고 위생적이며 다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다기능 젓가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454A KR101227783B1 (ko) 2012-08-27 2012-08-27 잡기 편하고 위생적이며 다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다기능 젓가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7783B1 true KR101227783B1 (ko) 2013-01-29

Family

ID=47842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3454A KR101227783B1 (ko) 2012-08-27 2012-08-27 잡기 편하고 위생적이며 다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다기능 젓가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77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041U (ko) 2015-12-02 2017-06-12 주식회사 이앤지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
RU2803765C1 (ru) * 2023-02-15 2023-09-19 Радмила Дмитриевна Пустова Палочки для еды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5841Y1 (ko) * 1996-12-20 1999-06-15 윤석수 집게형 간편 젓가락
KR200359824Y1 (ko) * 2004-05-19 2004-08-21 주식회사 아이엔피 젓가락
KR200377102Y1 (ko) * 2004-11-30 2005-03-08 윤석수 집게형 젓가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5841Y1 (ko) * 1996-12-20 1999-06-15 윤석수 집게형 간편 젓가락
KR200359824Y1 (ko) * 2004-05-19 2004-08-21 주식회사 아이엔피 젓가락
KR200377102Y1 (ko) * 2004-11-30 2005-03-08 윤석수 집게형 젓가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041U (ko) 2015-12-02 2017-06-12 주식회사 이앤지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
RU2803765C1 (ru) * 2023-02-15 2023-09-19 Радмила Дмитриевна Пустова Палочки для ед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8563B2 (en) Combination chopstick utensil
AU2009100480A4 (en) 5 in 1 eating utensil
US8672377B2 (en) Eating utensil
US20130133206A1 (en) Utensils With Raised Working End When Resting
US8782907B2 (en) All-in-one multipurpose eating utensil adapted to be separated into pieces
US20130200643A1 (en) Chopsticks utensil
US20120272527A1 (en) Combination chopstick utensil
KR101227783B1 (ko) 잡기 편하고 위생적이며 다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다기능 젓가락
US20190208940A1 (en) Elevated utensil
KR101903942B1 (ko) 숟가락 반지
GB2412082A (en) Dishware carrier
KR102230850B1 (ko) 식사도구
KR101231979B1 (ko) 음식용기용 집게
RU199849U1 (ru) Столовый прибор для европейской и азиатской кухни
CN211748618U (zh) 一种便捷连体筷
US20180028006A1 (en) Article manipulation apparatus
CN216256529U (zh) 一种新型陶瓷调料碟
KR200470810Y1 (ko) 배식용 위생 집게
KR20120001487U (ko) 지지부가 구비된 숟가락과 젓가락
CN214760768U (zh) 一种抓取稳固的防烫夹
CN211022311U (zh) 一种热式破壁机辅助杯体操作的结构
JP3094030U (ja) 食べ物皿の補助具
KR20130122873A (ko) 파지가 용이한 식사도구
KR200216445Y1 (ko) 젓가락
KR200484348Y1 (ko)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