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1979B1 - 음식용기용 집게 - Google Patents

음식용기용 집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1979B1
KR101231979B1 KR1020100097074A KR20100097074A KR101231979B1 KR 101231979 B1 KR101231979 B1 KR 101231979B1 KR 1020100097074 A KR1020100097074 A KR 1020100097074A KR 20100097074 A KR20100097074 A KR 20100097074A KR 101231979 B1 KR101231979 B1 KR 101231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container
tongs
food
extension piece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7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5522A (ko
Inventor
박정주
Original Assignee
박정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주 filed Critical 박정주
Priority to KR1020100097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1979B1/ko
Publication of KR20120035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5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1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1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10Devices for gripping or lifting hot cooking utensils, e.g. pincers, separate pot handles, fabric or like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이 담겨져 무거운 음식용기를 안정되게 집을 수 있으며, 특히 집게의 두부가 과도하게 음식용기의 내부로 삽입되지 않아 위생적이며 청결하게 사용될 수 있음과 아울러 그 구조가 단순하여 제조가 용이함에 따라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힌지(1) 결합되어 종단을 서로 이격시키거나 근접시킬 때 음식용기(B)의 단부를 집도록 된 두부(3)들이 벌어지거나 서로 근접되도록 된 한 쌍의 집게봉(2)들을 가지는 음식용기용 집게에 있어서; 상기한 집게봉(2)들 중 음식용기(B)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두부를 가진 집게봉(2)의 두부는 음식용기(B)의 상단 외측모서리의 상단과 외측면을 지지하도록 "ㄱ" 자 형상으로 절곡된 절곡요홈(5)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절곡요홈(5)의 하부로 연장형성된 연장편(6)이 구비되며, 상기 연장편(6)의 종단에는 상기 음식용기(B)의 외주면을 지지하도록 된 집게부리(7)가 구비된 음식용기용 집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음식용기용 집게{The Tongs}
본 발명은 음식점 등에서 뜨거운 뚝배기 또는 뜨거운 냄비와 같은 음식용기를 옮기기 위해 사용되는 집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이 담겨져 무거운 음식용기를 안정되게 집을 수 있으며, 특히 집게의 두부가 과도하게 음식용기의 내부로 삽입되지 않아 위생적이며 청결하게 사용될 수 있음과 아울러 그 구조가 단순하여 제조가 용이함에 따라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음식용기용 집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음식이 담겨 있는 음식용기(예컨데 뚝배기 혹은 냄비)와 같은 음식용기를 조리용구에서 테이블로 옮기기 위해 사용되는 집게는 주로 내식성이 강한 알루미늄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집게는 한국실용신안등록제20-398738호(명칭: 음식용기용 집게)가 있으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집게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힌지 결합되어 종단을 서로 이격시키거나 근접시킬 때 음식용기의 단부를 집도록 된 두부가 벌어지거나 서로 근접되도록 된 한 쌍의 집게봉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집게봉들의 손잡이가 위치된 단부를 손으로 파지한 후 파지한 손을 움켜쥐면 상기 손잡이 위치된 단부가 서로 맞닿아지면서 타단에 위치된 두부들이 서로 근접되어 상기 두부들의 사이에 음식용기의 단부가 위치되도록 하여 집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음식용기용 집게는 음식용기의 측부가 경사져 있을 경우, 예를 들면 음식용기용 뚝배기의 경우에는 두부의 사이에 끼여 집어지는 음식용기가 안정되게 집은 상태를 유지할 수 없어 집게에서 이탈되는 비안정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음식용기가 집게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사용자가 과도한 힘을 부여하고는 있으나, 이는 사용자에게 무리한 힘을 사용하게 함으로써 신체가 쉽게 피로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음식용기를 집기 위하여 두부가 음식용기의 내부로 과도하게 삽입되는 경우가 있어, 음식을 비위생적으로 운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용기를 집을 때 집어지는 지점을 2개로 하여 무게중심을 2개로 분산할 수 있어 적은 힘으로도 음식이 담겨져 무거운 음식용기를 안정되게 집을 수 있으며, 특히 집게의 두부가 과도하게 음식용기의 내부로 삽입되지 않아 위생적이며 청결하게 사용될 수 있음과 아울러 그 구조가 단순하여 제조가 용이함에 따라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음식용기용 집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식용기용 집게는 힌지 결합되어 종단을 서로 이격시키거나 근접시킬 때 음식용기의 단부를 집도록 된 두부들이 벌어지거나 서로 근접되도록 된 한 쌍의 집게봉들을 가지는 음식용기용 집게에 있어서;
상기한 집게봉들 중 음식용기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두부를 가진 집게봉의 두부는 음식용기의 상단 외측모서리의 상단과 외측면을 지지하도록 "ㄱ" 자 형상으로 절곡된 절곡요홈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절곡요홈의 하부로 연장형성된 연장편이 구비되며, 상기 연장편의 종단에는 상기 음식용기의 외주면을 지지하도록 된 집게부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집게부리는 상기 연장편에서 분기된 2개의 원형판형상의 밀착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음식용기용 집게는 음식용기의 상단은 음식용기의 내측과 외측에서 고정지지하고 음식용기의 하부는 상기 집게부리가 음식용기측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지지하도록 되어 있어 최종적으로 음식용기를 음식용기의 상단 외측과 내측상단 및 하부외측의 3개 지점에서 각각 지지함에 따라 음식용기를 적은 힘으로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곡요홈에 의해 음식용기의 외측상단 모서리의 상단과 외측면이 지지됨에 따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함은 물론 두부가 음식용기의 내부로 과도하게 진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음식을 위생적이고 청결하게 운반할 수 있다.
또한 집게봉이 단일체로 이루어짐은 물론 외형이 단조로워 주물제작이 용이함에 따라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용기용 집게를 보인 측면예시도.
도 2는 도 1에서 도시된 본 실시예에 의한 음식용기용 집게의 정면을 보인 예시도.
도 3은 도 1에서 도시된 본 실시예에 의한 음식용기용 집게를 구성하는 일 집게봉을 보인 측면 예시도.
도 4는 도 3에서 도시된 집게봉의 정면을 보인 예시도.
도 5 및 도 6은 도 1에서 도시된 본 실시예의 음식용기용 집게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음식용기용 집게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용기용 집게를 보인 도면으로서, 본 실시예에 의한 음식용기용 집게는 힌지(1) 결합되는 한 쌍의 집게봉(2)들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집게봉(2)들의 일단은 손잡이(3)가 위치되고, 타단은 음식용기(B)의 상단 일부를 사이에 끼워 압박하면서 집을 수 있도록 된 두부(4)가 위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손잡이(3) 부위를 손으로 파지한 후 오므리면 상기 두부(4)들이 서로 오므라들면서 음식용기(B)의 단부를 맞잡는 형식으로 집어 운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두부(4)들은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두부(4)들은 절곡되어 맞닿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에서 손잡이(3)는 손으로 파지할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표면이 파형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한 음식용기용 집게에서는 상기한 집게봉(2)들 중 음식용기(B)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두부를 가진 집게봉(2)의 두부는 음식용기(B)의 상단 외측모서리의 상단과 외측면을 지지하도록 "ㄱ" 자 형상으로 절곡된 절곡요홈(5)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절곡요홈(5)에 의해 음식용기(B)의 외측상단 모서리의 상단과 외측면이 동시에 지지됨에 따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음식용기(B)의 내측을 지지하는 두부(4)가 음식용기(B)의 내부로 과도하게 진입되는 것이 방지되어 음식을 위생적이고 청결하게 운반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음식용기용 집게에서는 상기 절곡요홈(5)의 하부로 연장형성된 연장편(6)이 구비되며, 상기 연장편(6)의 종단에는 상기 음식용기(B)의 외주면을 지지하도록 된 집게부리(7)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연장편(6)은 상기 절곡요홈(5)의 하부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되 곡면형태로 연장되어 연장편(6)이 용기(B)의 외주면과 밀착되지 않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한 집게부리(7)는 상기 연장편(6)에서 분기된 2개의 원형판형상의 밀착판(8)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음식용기(B)의 상단은 두부(4) 및 절곡요홈(5)에 의해 내측과 외측에서 고정지지되고 음식용기의 하부는 상기 집게부리(7)의 밀착판(8)에 의해 음식용기(B)측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지지하도록 되어 있어, 최종적으로 음식용기(B)를 상단외측과 내측상단 및 외측하부의 3개 지점에서 각각 지지함에 따라 음식용기를 적은 힘으로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즉 적은 힘으로도 안정적으로 음식용기를 집어서 운반할 수 있어 사용자의 손에 무리한 부하가 않아 건강을 훼손하지 않는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봉(2)이 단일체로 이루어짐은 물론 외형이 단조로워 주물제작됨에 따라 생산성의 향상으로 소비자에게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의한 음식용기용 집게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 및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용기(B)의 상단을 상기 두부(3) 및 절곡요홈(5)의 사이에 끼우고 손잡이(3) 부위를 오므리면 상기 두부(3)와 절곡요홈(5)가 힌지(1)를 축으로 하여 오므라져 음식용기(B)의 상단 일부가 압박을 받아 집혀지게 된다.
이때 음식용기(B)의 하부 외측면은 연장편(6)의 단부에 형성된 집게부리(7)의 밀착판(8)들에 의해 지지된다.
물론 상기 밀착판(8)들이 음식용기(B)의 외주면을 2지점에서 지지하게 됨에 따라 측방향으로 틀어지거나 흔들리는 것이 방지되어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음식용기(B)를 두부(4) 및 절곡요홈(5)에 의해 상단내측과 상단외측에서 고정지지되고 음식용기의 하부외측은 상기 집게부리(7)의 밀착판(8)에 의해 지지함에 따라 음식용기(B)를 상단외측과 내측상단 및 외측하부의 3개 지점에서 각각 지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음식용기(B)를 힘의 분산에 의해 적은 힘으로도 안정적으로 집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두부(4) 및 절곡요홈(5)이 음식용기(B)를 집을 때, 상기 절곡요홈(5)이 음식용기(B)의 외측상단 모서리의 상단과 외측면을 동시에 지지하면서 집게되어 음식용기(B)의 내부로 두부(4)가 과도하게 진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두부(4)에 의해 음식이 비위생적으로 훼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1 : 힌지, 2 : 집게봉,
3 : 손잡이, 4 : 두부,
5 : 절곡요홈, 6 : 연장편,
7 : 집게부리, 8 : 밀착판,
B : 음식용기.

Claims (2)

  1. 힌지 결합되어 종단을 서로 이격시키거나 근접시킬 때 음식용기의 단부를 집도록 된 두부들이 벌어지거나 서로 근접되도록 된 한 쌍의 집게봉들을 가지는 음식용기용 집게에 있어서;
    상기 집게봉들의 일단은 손잡이가 위치되고, 타단은 음식용기의 상단 일부를 사이에 끼워 압박하면서 집을 수 있도록 된 두부가 위치됨과 아울러 주조로 성형되어 단일체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집게봉들 중 음식용기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두부를 가진 집게봉의 두부는 음식용기의 상단 외측모서리의 상단과 외측면을 지지하도록 "ㄱ" 자 형상으로 절곡된 절곡요홈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절곡요홈의 하부로 연장형성된 연장편이 구비되되,
    상기 연장편은 상기 절곡요홈의 하부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되 곡면형태로 연장되어 연장편이 용기의 외주면과 밀착되지 않도록 되고,
    상기 연장편의 종단에는 상기 연장편에서 분기된 2개의 원형판형상의 밀착판으로 이루어진 상기 음식용기의 외주면을 지지하도록 된 집게부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용기용 집게
  2. 삭제
KR1020100097074A 2010-10-06 2010-10-06 음식용기용 집게 KR101231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7074A KR101231979B1 (ko) 2010-10-06 2010-10-06 음식용기용 집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7074A KR101231979B1 (ko) 2010-10-06 2010-10-06 음식용기용 집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5522A KR20120035522A (ko) 2012-04-16
KR101231979B1 true KR101231979B1 (ko) 2013-02-08

Family

ID=46137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7074A KR101231979B1 (ko) 2010-10-06 2010-10-06 음식용기용 집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19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9483B1 (ko) * 2019-06-04 2020-12-11 안찬영 뚝배기용 집게
KR102296495B1 (ko) * 2020-02-22 2021-08-31 박신희 뚝배기용 안전집게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045U (ja) * 1991-01-25 1993-01-26 敦子 菱山 調理容器の把持具
KR200398738Y1 (ko) 2005-06-10 2005-10-18 박정주 음식용기용 집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045U (ja) * 1991-01-25 1993-01-26 敦子 菱山 調理容器の把持具
KR200398738Y1 (ko) 2005-06-10 2005-10-18 박정주 음식용기용 집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9483B1 (ko) * 2019-06-04 2020-12-11 안찬영 뚝배기용 집게
KR102296495B1 (ko) * 2020-02-22 2021-08-31 박신희 뚝배기용 안전집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5522A (ko) 2012-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642016S1 (en) Handle for cooking utensil lid
KR101231979B1 (ko) 음식용기용 집게
CN201542310U (zh) 一种多功能筷子
USD586629S1 (en) Tongs
KR101265268B1 (ko) 조리용기용 집게
USD630050S1 (en) Cookware lid handle with flattened rounded grip
KR20100111583A (ko) 주방용 복합집게
KR20120010290A (ko) 음식용기용 집게
KR200398738Y1 (ko) 음식용기용 집게
CN202553571U (zh) 炒锅
KR20160075283A (ko) 누르개가 구비된 국자
CN107280401A (zh) 钳式茶夹
JP2019092628A (ja) 食品用トング
KR101227783B1 (ko) 잡기 편하고 위생적이며 다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다기능 젓가락
CN205458163U (zh) 一种烧烤专用盘
CN214258873U (zh) 翘头的卫生拼接筷子
KR200470810Y1 (ko) 배식용 위생 집게
KR101261280B1 (ko) 집게형 착탈 손잡이용 주방용기
JP3190609U (ja) トング
CN2754496Y (zh) 一种泡茶工具
CN202751256U (zh) 手动嗑瓜子器
KR200453207Y1 (ko) 다용도 주방용 집게
KR200327562Y1 (ko) 팬 집게
KR101262197B1 (ko) 조리용기용 집게
JP6732314B1 (ja) トン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