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9483B1 - 뚝배기용 집게 - Google Patents

뚝배기용 집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9483B1
KR102189483B1 KR1020190065738A KR20190065738A KR102189483B1 KR 102189483 B1 KR102189483 B1 KR 102189483B1 KR 1020190065738 A KR1020190065738 A KR 1020190065738A KR 20190065738 A KR20190065738 A KR 20190065738A KR 102189483 B1 KR102189483 B1 KR 102189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ping
pot
tongs
vertical
earthenw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5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찬영
Original Assignee
안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찬영 filed Critical 안찬영
Priority to KR1020190065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94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9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9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10Devices for gripping or lifting hot cooking utensils, e.g. pincers, separate pot handles, fabric or like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뚝배기용 집게에 관한 것으로서, 수직방향으로 배치하여 뚝배기를 파지 가능하게 하는 일자형 구조의 몸체를 갖는 구성이며, 손가락을 오므려 손을 쥐었을 때 쥔 손의 상면이 상측(上側) 방향을 향하게 하여 손목 관절의 꺾임을 방지되게 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체 형성되고 뚝배기의 내외측면에 동시에 걸어 지지하는 형태로 뚝배기를 파지하기 위한 걸고리형 구조를 갖는 파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방식과는 차별되게 수평방향이 아닌 수직방향으로 집게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뚝배기를 파지할 시 집게를 수직 배치하여 사용하므로 손목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손쉽게 힘을 가하여 파지 및 이동 처리할 수 있으며, 종래 방식에 비해 보다 안정적으로 파지 및 이동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뚝배기용 집게{Tongs for earthen pot}
본 발명은 손잡이가 별도로 없는 조리용기인 뚝배기를 파지하여 옮길 때 사용하는 뚝배기용 집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 집게 사용방식과는 차별되게 수평방향이 아닌 수직방향으로 집게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뚝배기를 파지할 시 손목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손쉽게 힘을 가하여 파지할 수 있도록 하며 종래 방식에 비해 보다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한 뚝배기용 집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점 등지에서는 손잡이가 별도로 없는 조리용기인 뚝배기 등을 옮길 때 집게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뚝배기는 그릇의 형태를 갖되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되는데, 통상 찌개 등을 끓일 때 또는 설렁탕이나 육개장 또는 삼계탕과 같은 것을 담을 때 쓰는 토속적인 그릇 중의 하나이다.
한편, 이와 같은 뚝배기는 대부분이 뜨거운 음식을 조리하거나 담을 때 사용하는 것으로서, 뜨거운 음식이 담긴 뚝배기를 옮길 때 앞 부분에 수평형 집게부를 갖는 형태의 집게를 사용하여 파지하도록 하고 있으며, 수평으로 눕힌 상태로 파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뚝배기용 집게에 대해 선행기술문헌을 살펴보았을 때에도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3354호 및 한국등록특허 제10-1265268호 등지에 개시된 바와 같이, 대부분이 앞 부분에 수평형 집게부를 갖는 형태의 집게를 제안하고 있으며, 수평으로 눕힌 상태로 파지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 많이 사용되고 있는 수평형 파지 타입의 뚝배기용 집게는 집게의 손잡이부를 잡은 손이 뚝배기를 파지하기 위해 손목 측 관절을 꺾어 엄지손가락 방향을 전방(前方)을 향하게 함으로써 손잡이부를 쥔 손을 수평으로 배치할 수 있게 되고, 이렇게 손목 관절이 꺾인 상태에서 뚝배기를 파지할 수밖에 없게 되는데, 이로 인해 뚝배기를 파지할 시 집게를 잡는 힘이 손목에 주로 가해지고 집중되는 구조를 형성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는 손가락뼈에 연결되어 인체의 팔 부분을 형성하는 척골과 요골 및 심지어는 상완골에까지 힘이 가해지는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종래에는 뚝배기를 파지시 손목에 무리가 갈 뿐만 아니라 손목을 지탱하기 위한 팔 부분측 뼈와 근육에도 힘이 가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반복적인 작업시 손목에 상당한 무리가 가는 문제점이 있었고 손을 포함하는 팔 건강에 이상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손목 관절이 꺾인 상태에서 뚝배기를 파지하여야 하는 형태이므로 뚝배기를 파지하는 힘을 계속적으로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발생되고, 때로는 뚝배기를 파지하는 힘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아 뚝배기를 놓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는 뚝배기의 파손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고 경제적인 손실을 갖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335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65268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수평방향이 아닌 수직방향으로 집게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뚝배기를 파지할 시 손목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손쉽게 손에 힘을 가하여 파지할 수 있도록 하며 종래 방식에 비해 보다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한 뚝배기용 집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뚝배기의 파지시 손목 관절이 꺾이지 않는 상태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종래 수평방향의 집게에 비해 힘의 사용을 줄일 수 있으면서도 뚝배기 측 안정된 파지를 가능하게 하며, 종래에 손가락뼈에 연결되어 인체의 팔 부분을 형성하는 척골과 요골 및 상완골에까지 가해지던 힘을 줄일 수 있도록 하며,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면서 손쉽게 파지할 수 있게 하는 뚝배기용 집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뚝배기용 집게는, 수직방향으로 배치하여 뚝배기를 파지 가능하게 하는 일자형 구조의 몸체를 갖는 구성이며, 손가락을 오므려 손을 쥐었을 때 쥔 손의 상면이 상측(上側) 방향을 향하게 하여 손목 관절의 꺾임을 방지되게 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체 형성되고 뚝배기의 내외측면에 동시에 걸어 지지하는 형태로 뚝배기를 파지하기 위한 걸고리형 구조를 갖는 파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하측 직선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형 부재이되 그 끝단부에 대해 내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 및 수평 돌출시켜 뚝배기의 외면을 지지하도록 한 절곡파지구를 갖는 외파지부; 상기 손잡이부의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고 외파지부와는 분기 형성되어 앞쪽에 위치 및 간격 배치되며 뚝배기의 내면을 지지하도록 한 수직파지구를 갖는 내파지부; 상기 절곡파지구의 단부와 수직파지구의 단부 사이에 간격을 두어 개구(開口)를 형성함에 의해 외파지부와 내파지부의 사이에 뚝배기 측 파지부분을 끼워넣어 내측 배치할 수 있게 하는 파지유도홀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파지유도홀부는, 내측 상단부에 대해 상측 방향으로 굴곡진 볼록곡면의 아치형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외파지부와 내파지부를 뚝배기 측 파지부분에 위치시키고 파지유도홀부 내에 끼워넣은 상태에서 뚝배기를 파지하기 위해 집게를 회전시 뚝배기 측 상면이 집게에 걸리지 않게 하면서 원활하게 회전이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절곡파지구의 끝단면에 비해 상기 수직파지구의 내측단면이 더 앞쪽에 위치되게 형성하며, 상기 절곡파지구의 끝단면과 상기 수직파지구의 내측단면과의 간격을 "d1"이라 하고, 상기 수직파지구의 끝단면과 상기 절곡파지구의 상측단면과의 간격을 "d2"라고 할 때, d1 : d2 = 1 : 2.5~3.5의 비율로 형성함으로써 뚝배기 측 파지부분을 파지유도홀부 내측으로 원활하게 유입 처리하면서 외파지부와 내파지부에 의한 안정된 파지력을 갖게 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수직파지구의 내측단면에는 슬릿형 홈을 상하 방향으로 간격 배치하여 다수 형성함으로써 요철단면을 갖게 하여 뚝배기 측 파지시 내면과의 접촉에 의한 미끄러짐을 방지 및 안정된 파지기능을 발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외파지부 측 직선형 부재의 하측 내측단면에는 파지유도홀부 측 개구와 마주하는 위치에 지지홈부를 형성함으로써 외면에 돌부를 갖는 뚝배기를 파지하는 경우 뚝배기 측 외면 돌부와의 접촉에 의한 미끄러짐을 방지 및 지지력을 제공하여 안정된 파지기능을 발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수직파지구 측 내측단면 하단부에는 경사진 단면을 갖는 경사부를 형성함으로써 뚝배기 측 상부 파지부분을 파지유도홀부 내측으로 더욱 원활하게 유입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손잡이부는, 일정 길이를 갖되 상하 방향으로 돌부와 홈부를 순차적으로 연속 형성함으로써 손잡이부를 손으로 쥐었을 때 손가락을 이용한 악력과 손바닥 측 밀착력 및 지지력을 높일 수 있게 하므로 뚝배기를 파지하였을 때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파지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방식과는 차별되게 수평방향이 아닌 수직방향으로 집게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뚝배기를 파지할 시 집게를 수직 배치하여 사용하므로 손목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손쉽게 힘을 가하여 파지 및 이동 처리할 수 있으며, 종래 방식에 비해 보다 안정적으로 파지 및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집게를 수직 배치한 상태로 뚝배기를 안정되게 파지하고 상측 방향으로 힘을 주어 뚝배기를 옮길 수 있게 하며, 뚝배기의 파지 및 이동시 손목 관절이 꺾이지 않는 상태를 형성하여주므로 종래 수평방향의 집게 사용에 비해 힘의 사용을 줄일 수 있으면서도 뚝배기 측에 대해 더욱 안정된 파지를 가능하게 하며, 종래에 손가락뼈에 연결되어 인체의 팔 부분을 형성하는 척골과 요골 및 상완골에까지 가해지던 힘을 줄일 수 있도록 하며,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면서 손목을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손쉽게 파지 및 이동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뚝배기용 집게를 제공하나, 냄비나 기타 손잡이가 별도로 없는 조리용기 등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전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이 갖는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뚝배기용 집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뚝배기용 집게를 손으로 쥐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뚝배기용 집게 측 파지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뚝배기용 집게 측 파지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뚝배기용 집게를 사용하여 뚝배기를 파지하기 위한 초기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뚝배기용 집게를 사용한 뚝배기 파지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뚝배기용 집게를 손으로 쥔 상태에 뚝배기를 파지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8은 본 발명에 따른 뚝배기용 집게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뚝배기용 집게(100)는 도 1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배치한 상태로 뚝배기(1)를 파지 가능하게 하는 일자형 구조의 몸체를 갖는 구성으로서, 손(3)으로 쥐어 잡기 위한 손잡이부(100A) 및 상기 손잡이부(100A)의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체 형성되는 파지부(100B)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손잡이부(100A)는 손가락을 오므려 손(3)을 쥐었을 때 쥔 손(3)의 상면이 상측(上側) 방향을 향하게 하여 손목 관절의 꺾임을 방지되게 하는 구성이며, 손(3)으로 쥔 상태에서 힘의 방향을 상측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뚝배기(1)를 들어올릴 수 있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100A)는 손(3)을 이용하여 안장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일정 길이를 갖되 구비된 길이 상에 상하 방향으로 돌부(111)와 홈부(112)를 순차적으로 연속 형성함으로써 손잡이부(100A)를 손(3)으로 쥐었을 때 손가락을 이용한 악력과 손바닥 측 밀착력 및 지지력을 높일 수 있게 하므로 파지부(100B)를 통해 뚝배기(1)를 파지하였을 때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파지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손잡이부(100A)는 길이 상에 상하 방향으로 돌부(111)와 홈부(112)를 마디 형태로 순차 형성한다.
상기 파지부(100B)는 상기 손잡이부(100A)의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체 형성되고 상부 개방형의 용기 구조로 구비되는 뚝배기(1)의 내외측면에 동시에 걸어 지지하는 형태로 뚝배기(1)를 파지하기 위한 걸고리형 가지 구조를 갖게 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파지부(100B)는 외파지부(120)와 내파지부(130) 및 파지유도홀부(14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상기 외파지부(120)는 상기 손잡이부(100A)의 하측 직선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형 부재이되 그 끝단부에 대해 내측 방향으로 절곡하여 형성함으로써 수평 구조로 돌출시켜 뚝배기(1)의 외면을 지지하도록 한 절곡파지구(121)를 갖도록 구비된다.
상기 내파지부(130)는 상기 손잡이부(100A)의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외파지부(120)와는 분기 구조로 형성되어 외파지부(120)의 앞쪽에 위치 및 간격 배치되며 뚝배기(1)의 내면을 지지하도록 한 수직파지구(131)를 갖도록 구비된다.
상기 파지유도홀부(140)는 상기 외파지부(120) 측 절곡파지구(121)의 단부와 상기 내파지부(130) 측 수직파지구(131)의 단부 사이에 간격을 두어 개구(開口)를 형성함에 의해 외파지부(120)와 내파지부(130)의 사이에 뚝배기(1) 측 상부 파지부분을 끼워넣어 내측에 배치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파지유도홀부(140)를 통해 뚝배기(1) 상에서 집게(100)의 회전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며, 이와 같은 회전 움직임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뚝배기(1) 측 내외면에 외파지부(120)와 내파지부(130) 측 절곡파지구(121) 및 수직파지구(131)를 접촉시켜 뚝배기(1)의 파지를 가능하게 하는 보조기능을 한다.
특히, 상기 파지유도홀부(140)는 내측 상단부에 대해 상측 방향으로 굴곡진 볼록곡면의 아치형 구조(141)를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외파지부(120)와 내파지부(130)를 뚝배기(1) 측 상부 파지부분에 위치시키고 파지유도홀부(140) 내에 끼워넣은 상태에서 뚝배기(1)를 파지하기 위해 집게(100)를 회전시 뚝배기(1) 측 상면이 집게에 걸리지 않게 하면서 원활하게 회전이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 분기 구조를 갖되 서로 이웃하여 뚝배기(1) 측 파지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절곡파지구(121)와 수직파지구(131)에 있어서는 상기 절곡파지구(121)의 끝단면에 비해 상기 수직파지구(131)의 내측단면이 더 앞쪽에 위치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부연하여,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절곡파지구(121)의 끝단면과 상기 수직파지구(131)의 내측단면과의 간격을 "d1"이라 하고, 상기 수직파지구(131)의 끝단면과 상기 절곡파지구(121)의 상측단면과의 간격을 "d2"라고 할 때,
d1 : d2 = 1 : 2.5~3.5의 비율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이와 같이 상기 절곡파지구(121)와 수직파지구(131)를 간격 형성하여 개구를 갖는 파지유도홀부(140)를 형성함에 의해 뚝배기(1) 측 상부 파지부분을 파지유도홀부(140)의 내측으로 원활하게 유입 처리하면서 상호간에 가지 구조를 갖는 외파지부(120)와 내파지부(130)를 이용한 안정된 파지력을 갖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d2에 있어 d1에 비해 2.5배 비율 미만으로 간격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개구가 너무 작아 뚝배기(1) 측 상부 파지부분을 파지유도홀부(140)의 내측으로 유입 처리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뚝배기(1) 측 파지를 수행할 수 없게 되고, d2에 있어 d1에 비해 3.5배 비율을 초과하여 간격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개구가 커서 뚝배기(1) 측 상부 파지부분을 파지유도홀부(140)의 내측으로 원활하게 유입 처리할 수 있으나 절곡파지구(121)와 수직파지구(131)를 뚝배기(1) 측 내외면에 모두 접촉시킬 수 없게 되므로 양측 파지력을 제공하지 못하여 뚝배기(1) 측 파지를 안정되게 수행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상기 내파지부(130) 측 수직파지구(131)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내측단면에 슬릿형 구조의 홈을 상하 방향으로 간격 배치하여 다수 형성함으로써 요철단면(132)을 갖게 하여 뚝배기(1) 측 파지시 상부 내면과의 접촉에 의한 미끄러짐을 방지 및 안정된 파지기능을 발휘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수직파지구(131) 측 내측단면 하단부에 경사진 단면을 갖는 경사부(133)를 형성함으로써 뚝배기(1) 측 상부 파지부분을 파지유도홀부(140)의 내측으로 더욱 원활하게 유입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부(133)는 상기 요철단면(132)의 하측에 구비한다.
나아가, 상기 외파지부(120) 측 직선형 부재의 하측 내측단면에는 상기 파지유도홀부(140) 측 개구와 마주하는 위치에 지지홈부(122)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외파지부(120)의 내측단면에 지지홈부(122)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적층 및 분리 사용의 용이성을 위해 외면에 돌부(2)를 형성하여 갖는 뚝배기(1)를 파지하는데 더욱 유용한 구성이라 할 수 있는데, 뚝배기(1) 측 외면에 돌부(2)를 갖는 뚝배기(1)를 파지하는 경우 뚝배기(1) 측 외면 돌부(2)와의 접촉에 의한 미끄러짐을 방지 및 지지력을 제공하여 더욱 안정된 파지기능을 발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뚝배기용 집게(1)는 뚝배기(1)를 파지할 때, 손(3)으로 손잡이부(100A)를 쥐어 파지한 상태에서 집게(100)를 수직 배치한 상태로 하여 뚝배기(1) 측 상부 파지부분 내외측으로 수직파지구(131)를 갖는 내파지부(130)와 절곡파지구(121)를 갖는 외파지부(120)를 위치시킨다.
이때, 집게(100)의 파지부(100B) 측 파지유도홀부(140)의 내측으로 뚝배기(1) 측 상부가 끼워져 내측으로 유입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렇게 뚝배기(1) 측 상부 파지부분 내외측으로 수직파지구(131)를 갖는 내파지부(130)와 절곡파지구(121)를 갖는 외파지부(120)를 위치시킨 상태에 도 6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집게(100)를 앞쪽으로 기울여 수직파지구(131)를 뚝배기(1) 측 내면에 접촉시킨 상태에 집게(100)를 다시 뒤쪽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수직 배치상태에 있게 하거나 또는 뒤쪽으로 약간 기울어지게 수직 배치하면 절곡파지구(121)를 뚝배기(1) 측 외면에 접촉시킬 수 있어 뚝배기(1)의 내외면에 모두 접촉한 상태를 만들 수 있으며, 파지 완료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파지 완료상태를 형성한 후, 손잡이부(100A)를 잡고 있는 손(1)에 힘을 주어 상측 방향으로 들어올리면 뚝배기(1)를 파지한 상태로 이동하여 옮길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집게(100)를 사용하되, 집게를 수직 배치한 상태로 뚝배기(1)를 안정되게 파지하고 상측 방향으로 힘을 주어 뚝배기를 옮길 수 있게 하며, 뚝배기의 파지 및 이동시 손목 관절이 꺾이지 않는 상태를 형성하여주므로 종래 수평방향의 집게 사용에 비해 힘의 사용을 줄일 수 있으면서도 뚝배기 측에 대해 더욱 안정된 파지를 가능하게 하며, 종래에 손가락뼈에 연결되어 인체의 팔 부분을 형성하는 척골과 요골 및 상완골에까지 가해지던 힘을 줄일 수 있도록 하며,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면서 손목을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손쉽게 파지 및 이동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A: 손잡이부 100B: 파지부
111: 돌부 112: 홈부
120: 외파지부 121: 절곡파지부
122: 지지홈부 130: 내파지부
131: 수직파지구 132: 요철단면
133: 경사부 140: 파지유도홀부

Claims (8)

  1. 수직방향으로 배치하여 뚝배기를 파지 가능하게 하는 일자형 구조의 몸체를 갖는 구성이며,
    손가락을 오므려 손을 쥐었을 때 쥔 손의 상면이 상측(上側) 방향을 향하게 하여 손목 관절의 꺾임을 방지되게 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체 형성되고 뚝배기의 내외측면에 동시에 걸어 지지하는 형태로 뚝배기를 파지하기 위한 걸고리형 구조를 갖는 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파지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하측 직선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형 부재이되 그 끝단부에 대해 내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 및 수평 돌출시켜 뚝배기의 외면을 지지하도록 한 절곡파지구를 갖는 외파지부;
    상기 손잡이부의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고 외파지부와는 분기 형성되어 앞쪽에 위치 및 간격 배치되며 뚝배기의 내면을 지지하도록 한 수직파지구를 갖는 내파지부;
    상기 절곡파지구의 단부와 수직파지구의 단부 사이에 간격을 두어 개구(開口)를 형성함에 의해 외파지부와 내파지부의 사이에 뚝배기 측 파지부분을 끼워넣어 내측 배치할 수 있게 하는 파지유도홀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파지부 측 직선형 부재의 하측 내측단면에는 파지유도홀부 측 개구와 마주하는 위치에 지지홈부를 형성함으로써 외면에 돌부를 갖는 뚝배기를 파지하는 경우 뚝배기 측 외면 돌부와의 접촉에 의한 미끄러짐을 방지 및 지지력을 제공하여 안정된 파지기능을 발휘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뚝배기용 집게.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유도홀부는,
    내측 상단면에 대해 상측 방향으로 굴곡진 볼록곡면의 아치형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외파지부와 내파지부를 뚝배기 측 파지부분에 위치시키고 파지유도홀부 내에 끼워넣은 상태에서 뚝배기를 파지하기 위해 집게를 회전시 뚝배기 측 상면이 집게에 걸리지 않게 하면서 원활하게 회전이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뚝배기용 집게.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파지구의 끝단면에 비해 상기 수직파지구의 내측단면이 더 앞쪽에 위치되게 형성하며,
    상기 절곡파지구의 끝단면과 상기 수직파지구의 내측단면과의 간격을 "d1"이라 하고, 상기 수직파지구의 끝단면과 상기 절곡파지구의 상측단면과의 간격을 "d2"라고 할 때, d1 : d2 = 1 : 2.5~3.5의 비율로 형성함으로써 뚝배기 측 파지부분을 파지유도홀부 내측으로 원활하게 유입 처리하면서 외파지부와 내파지부에 의한 안정된 파지력을 갖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뚝배기용 집게.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파지구의 내측단면에는 슬릿형 홈을 상하 방향으로 간격 배치하여 다수 형성함으로써 요철단면을 갖게 하여 뚝배기 측 파지시 내면과의 접촉에 의한 미끄러짐을 방지 및 안정된 파지기능을 발휘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뚝배기용 집게.
  6. 삭제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파지구 측 내측단면 하단부에는 경사진 단면을 갖는 경사부를 형성함으로써 뚝배기 측 상부 파지부분을 파지유도홀부 내측으로 더욱 원활하게 유입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뚝배기용 집게.
  8. 삭제
KR1020190065738A 2019-06-04 2019-06-04 뚝배기용 집게 KR102189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738A KR102189483B1 (ko) 2019-06-04 2019-06-04 뚝배기용 집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738A KR102189483B1 (ko) 2019-06-04 2019-06-04 뚝배기용 집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9483B1 true KR102189483B1 (ko) 2020-12-11

Family

ID=73786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5738A KR102189483B1 (ko) 2019-06-04 2019-06-04 뚝배기용 집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948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093Y1 (ko) * 2004-07-12 2004-09-24 이종근 조리용기용 운반 손잡이
KR20110037011A (ko) * 2009-10-05 2011-04-13 윤미애 탕그릇 집게
KR20120003354U (ko) 2010-11-05 2012-05-15 허진호 뚝배기용 집게
KR101231979B1 (ko) * 2010-10-06 2013-02-08 박정주 음식용기용 집게
KR101265268B1 (ko) 2010-08-16 2013-05-16 임무남 조리용기용 집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093Y1 (ko) * 2004-07-12 2004-09-24 이종근 조리용기용 운반 손잡이
KR20110037011A (ko) * 2009-10-05 2011-04-13 윤미애 탕그릇 집게
KR101265268B1 (ko) 2010-08-16 2013-05-16 임무남 조리용기용 집게
KR101231979B1 (ko) * 2010-10-06 2013-02-08 박정주 음식용기용 집게
KR20120003354U (ko) 2010-11-05 2012-05-15 허진호 뚝배기용 집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50280A (en) Utensil holding device
US5403052A (en) Egg spatula
KR102189483B1 (ko) 뚝배기용 집게
CN206777187U (zh) 夹子及夹子组件
KR101846348B1 (ko) 집게형 도구 손잡이
KR200465367Y1 (ko) 조리용 냄비
KR101231979B1 (ko) 음식용기용 집게
US1653803A (en) Laboratory tongs
KR20120016512A (ko) 조리용기용 집게
KR200398738Y1 (ko) 음식용기용 집게
CN219920797U (zh) 矫正筷
CN209932511U (zh) 一种夹碗器
KR20180018465A (ko) 집게형 도구 손잡이
JP2019092628A (ja) 食品用トング
CN210169900U (zh) 一种多功能取盘器
KR200470810Y1 (ko) 배식용 위생 집게
US1730444A (en) Kitchen tool
KR200399708Y1 (ko) 집게형 젓가락
CN206964529U (zh) 一种电饭煲
JP3096057U (ja) 丼鉢の把っ手具
US11517153B2 (en) Removable handle for cooking utensil
US20230218873A1 (en) Ear drop applicator
KR200412486Y1 (ko) 조리용 집게
US20180028006A1 (en) Article manipulation apparatus
JP3190609U (ja) トン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