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8738Y1 - 음식용기용 집게 - Google Patents

음식용기용 집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8738Y1
KR200398738Y1 KR20-2005-0016707U KR20050016707U KR200398738Y1 KR 200398738 Y1 KR200398738 Y1 KR 200398738Y1 KR 20050016707 U KR20050016707 U KR 20050016707U KR 200398738 Y1 KR200398738 Y1 KR 2003987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s
tong
food container
ro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67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주
Original Assignee
박정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주 filed Critical 박정주
Priority to KR20-2005-00167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87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87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87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10Devices for gripping or lifting hot cooking utensils, e.g. pincers, separate pot handles, fabric or like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able Equipment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음식용기용 집게가 제공된다. 제공된 집게는 제 1집개부리가 그 전방에 마련된 제 1집게봉과, 상기 제 1집개부리와 맞닿도록 배열된 한 조의 제 2집게부리가 그 전방에 마련된 제 2집게봉과, 상기 제 1집게봉과 상기 제 2집게봉의 소정부를 힌지연결하는 힌지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음식용기용 집게{omitted}
본 고안은 음식용기용 집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뜨거운 뚝배기나 뜨거운 냄비와 같은 음식용기를 옮기기 위해 집게를 사용하고 있다. 기존의 집게는 내식성이 강한 알루미늄재질로 구성되는데, 이와 같은 기존의 집게는 주물에 의해 성형함에 따라서 투박한 형태이고 별도의 벌림기능이 없어 그 사용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고 0126397호에서는 내식성과 강도가 뛰어난 적정 두께의 스테인레스강판을 프레스가공에 의해 집게부와 이를 벌림 기능을 하는 손잡이부를 갖는 동시의 집게 형상의 뚝배기집게를 형성한 것으로 상기 집게부의 내측에는 다수의 파지돌기가 형성된 병따개부와; 선단부에는 넓은 면적으로 집게부리를 형성한 다음 90˚ 밴딩하여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고 힌지부의 타측에는 하측에는 손가락홈이 상측에는 접촉이 용이하도록 만곡부를 갖는 손잡이커버와; 상기 손잡이커버의 사이에는 탄성력을 작용하여 벌림 기능을 하도록 양측에 벌림스프링을 끼워 설치하며 상기 손잡이부의 끝단에는 잠금클립과 잠금돌기가 각각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병따개 겸용 뚝배기 집게가 개시된 바있다.
하지만, 선등록공고된 고안은 벌림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벌림스프링을 손잡이커버의 사이에 구비하고, 파지가 용이하도록 힌지부의 타측에는 손잡이커버를 마련함에 따라서 그 제조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실제 집게의 판매가격이 고가로 책정되는 요인으로 작용함에 따라서 소비자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주게 된다.
아울러, 선등록공고된 고안은 힌지부의 전방에 마련된 집게부리를 넓은 면적으로 형성하여 뚝배기와의 접촉면적을 향상시키고 있으나 이러한 집게부리는 마주보는 형태로 구성되어 상호 맞닿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뚝배기를 집는 작업이 불안정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선등록공고된 고안은 상기한 집게부리의 후방에 마련된 병따개부가 쉽게 음식물에 의해 오염될 수 있어 위생상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에, 본 고안은 기존의 음식용기용 집게가 갖는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집게부리의 구조를 개선하여 집게부리가 음식용기를 안정적으로 집을 수 있도록 한 음식용기용 집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무게중심을 이용하여 벌림기능을 구현하므로써 제조원가를 절감함과 아울러 저가의 판매가격으로 소비자에게 판매할 수 있는 음식용기용 집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구조를 단순화하여 음식물에 의해 오염되는 부위를 최소화함에 따라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음식용기용집게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제 1집개부리가 그 전방에 마련된 제 1집게봉;
상기 제 1집개부리와 맞닿도록 배열된 한 조의 제 2집게부리가 그 전방에 마련된 제 2집게봉; 및
상기 제 1집게봉과 상기 제 2집게봉의 소정부를 힌지연결하는 힌지결합부; 를 포함하는 음식용기용 집게를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제 1집게부리와 상기 제 2집게부리는 원판형태, 사각판형태, 육각판형태, 팔각판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제 1집게봉은 무게중심을 부여하기 위해 적어도 상기 제 2집게봉보다 그 두께를 두껍게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음식용기용 집게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집게는 제 1집게봉과 제 2집게봉의 전방부에 힌지결합부가 마련된 구성을 갖는다.
상기 제 1집게봉(2)은 직선형태의 사각봉 전방부를 타원형태로 절곡한 구조를 갖는데, 이렇게 절곡된 전방 끝단에는 제 1집개부리(21)가 마련된다. 이와 같은 제 1집게부리(21)는 원판형태, 사각판형태, 육각판형태, 팔각판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그 폭은 필요에 따라 가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 1집게봉(21)의 후방부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22)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집게봉(3)은 직선형태의 사각봉 전방부를 타원형태, 즉 상기 제 1집게봉(2)과 대응하는 타원형태로 절곡한 구조를 갖는데, 이렇게 절곡된 전방 끝단에는 제 2집게부리(31)가 마련된다. 이와 같은 제 2집게부리(31)는 상기 제 1집게부리(21)의 양단에 맞닿도록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열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제 2집게봉(3)의 전방 끝단은 두갈래로 분기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제 2집게부리(31)는 전술한 제 1집게부리(21)와 대응하도록 원판형태, 사각판형태, 육각판형태, 팔각판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그 폭은 필요에 따라 가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 2집게봉(3)의 후방부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32)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결합부(4)는 상기 1집게봉(2)과 상기 제 2집게봉(3)의 소정부, 즉각 집게봉의 절곡부위에 마련된다. 이와 같은 힌지결합부(4)는 도 1에서와 같이 각 집게봉(2,3)에 힌지결합공(도면에 미도시됨.)을 마련하고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고 그 밖의 결합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음식용기용 집게에 있어, 제 1집게봉이 벌어지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집게(1)는 벌림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제 1집게봉(2)의 두께를 상기 제 2집게봉(3)보다 두껍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무게중심이 부여된 상기 제 1집게봉(2)은 힌지결합부(4)를 중심으로 하여 중력에 의해 자동으로 벌어지게 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음식용기용 집게의 사용상태에 따른 각 구성요소의 상호작용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음식용기용 집게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음식용기용 집게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 1,제 2집게봉(2,3)의 손잡이(22,32)를 파지한 상태에서 집고자하는 뜨거운 음식용기(10)에 제 1,제 2집게부리(21,31)를 근접위치시킨다. 이후, 제 1집게봉(2)을 파지하던 힘을 해제하면 제 1집게봉(2)은 힌지결합부(4)를 중심으로 하부로 내려가고 제 1집게부리(21)는 제 2집게부리(31)로 부터 떨어지게 되므로 제 1, 제 2집게부리(21,31)의 사이공간에는 음식용기(10)를 집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 1, 제 2집게부리(21,31)의 사이공간에 음식용기(10)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 1집게봉(2)을 재차 파지하므로써 음식용기(10)를 견고하게 집을 수 있다. 이때, 제 2집게부리(31)를 기존과는 다르게 한 조로 구성됨에 따라서 음식용기(10)를 집을 경우 제 1집게부리(21)와 함께 3군데의 접촉면을 갖게 되므로 그 접촉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안정적으로 음식용기(10)를 집을 수 있다. 특히, 제 1집게봉(2)은 무게중심이 부여됨에 따라 손쉽게 벌어져서 사용자가 음식용기(10)를 집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본고안의 집게(10)는 그 구조를 단순화함에 따라 음식물에 의한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제조원가또한 절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음식용기용 집게는 제 1집게부리의 양단에 맞닿도록 한 조의 제 2집게부리를 구비하여 안정적으로 음식용기를 집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제 1집게봉에 무게중심을 부여하여 자중에 의해 벌림기능을 구현하므로써 제조원가를 절감함과 아울러 저가의 판매가격으로 소비자에게 판매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그 구조를 단순함에 따라 음식물에 의해 오염되는 부위를 최소화할 수 있어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음식용기용 집게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음식용기용 집게에 있어, 제 1집게봉이 벌어지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음식용기용 집게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도 4는 본 고안에 다른 음식용기용 집게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면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음식용기용 집게 2 : 제 1집게봉
3 : 제 2집게봉 4 : 힌지결합부
10 : 음식용기 21 : 제 1집게부리
31 : 제 2집게부리 22, 32 : 손잡이

Claims (3)

  1. 제 1집개부리가 그 전방에 마련된 제 1집게봉;
    상기 제 1집개부리와 맞닿도록 배열된 2개의 제2집게부리가 그 전방에 마련된 제 2집게봉; 및
    상기 제 1집게봉과 상기 제 2집게봉의 소정부를 힌지연결하는 힌지결합부; 를 포함하는 음식용기용 집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집게부리와 상기 제 2집게부리는 원판형태, 사각판형태, 육각판형태, 팔각판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용기용 집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집게봉은 무게중심을 부여하기 위해 적어도 상기 제 2집게봉보다 그 두께가 두껍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용기용 집게.
KR20-2005-0016707U 2005-06-10 2005-06-10 음식용기용 집게 KR2003987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707U KR200398738Y1 (ko) 2005-06-10 2005-06-10 음식용기용 집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707U KR200398738Y1 (ko) 2005-06-10 2005-06-10 음식용기용 집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8738Y1 true KR200398738Y1 (ko) 2005-10-18

Family

ID=43699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6707U KR200398738Y1 (ko) 2005-06-10 2005-06-10 음식용기용 집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873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979B1 (ko) 2010-10-06 2013-02-08 박정주 음식용기용 집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979B1 (ko) 2010-10-06 2013-02-08 박정주 음식용기용 집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86347C (zh) 用于夹取和夹持食物的工具
US2133252A (en) Handle for cooking utensil
KR200398738Y1 (ko) 음식용기용 집게
US9220363B2 (en) Grilling utensil that doubles as a removable handle
CA1220192A (en) Beverage can opener tool
KR101231979B1 (ko) 음식용기용 집게
US20160264389A1 (en) Container Top Gripping and Prying Tool
US10647506B1 (en) Trash container lid lift support
KR200399532Y1 (ko) 플라이어 타입의 병뚜껑용 오프너
US1653803A (en) Laboratory tongs
CN208217269U (zh) 一种容器瓶提手
KR20120016512A (ko) 조리용기용 집게
KR200292315Y1 (ko) 잡고 들기가 편리한 운반상자의 조립식 손잡이 상부테
US2843415A (en) Glass bake oven ware lifter
KR102189483B1 (ko) 뚝배기용 집게
KR100729951B1 (ko) 음식물 협지구
US2727415A (en) Cap remover having pivoted levers
JP3038305U (ja) 鍋の取手
KR102296495B1 (ko) 뚝배기용 안전집게
US1517776A (en) Tongs
JP2019092628A (ja) 食品用トング
KR200327562Y1 (ko) 팬 집게
KR101262197B1 (ko) 조리용기용 집게
JPS601984Y2 (ja) 大形スナップ係合具
KR200450867Y1 (ko) 학습용 젓가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