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0290A - 음식용기용 집게 - Google Patents

음식용기용 집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0290A
KR20120010290A KR1020100071702A KR20100071702A KR20120010290A KR 20120010290 A KR20120010290 A KR 20120010290A KR 1020100071702 A KR1020100071702 A KR 1020100071702A KR 20100071702 A KR20100071702 A KR 20100071702A KR 20120010290 A KR20120010290 A KR 201200102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container
tongs
tofu
food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1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주
Original Assignee
박정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주 filed Critical 박정주
Priority to KR1020100071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0290A/ko
Publication of KR20120010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02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10Devices for gripping or lifting hot cooking utensils, e.g. pincers, separate pot handles, fabric or like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able Equipment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이 담겨져 있어 무거운 음식용기를 안정되게 집을 수 있으며, 특히 집게의 두부가 과도하게 음식용기의 내부로 삽입되지 않아 위생적이며 청결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힌지(1) 결합되어 종단을 서로 이격시키거나 근접시킬 때 음식용기의 단부를 집도록 된 한 쌍의 두부(3)(4)들이 벌어지거나 서로 근접되도록 된 한 쌍의 집게봉(5)들을 가지는 음식용기용 집게에 있어서;
상기한 두부(3)(4)들 중 음식용기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두부(4)에는 두부(4)에서 하부로 연장형성된 연장편(6)이 구비되며, 상기 연장편(6)의 종단에는 상기 음식용기의 외주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판상의 탄성판(7)이 마련된 음식용기용 집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음식용기용 집게{The Tongs}
본 발명은 음식점 등에서 뜨거운 뚝배기 또는 뜨거운 냄비와 같은 음식용기를 옮기기 위해 사용되는 집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이 담겨져 있어 무거운 음식용기를 안정되게 집을 수 있으며, 특히 집게의 두부가 과도하게 음식용기의 내부로 삽입되지 않아 위생적이며 청결하게 사용될 수 있는 음식용기용 집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음식이 담겨 있기 음식용기(예컨데 뚝배기 혹은 냄비)와 같은 음식용기를 조리용구에서 테이블로 옮기기 위해 사용되는 집게는 주로 내식성이 강한 알루미늄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집게는 한국실용신안등록제20-398738호(명칭: 음식용기용 집게)가 있으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집게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힌지 결합되어 종단을 서로 이격시키거나 근접시킬 때 음식용기의 단부를 집도록 된 두부가 벌어지거나 서로 근접되도록 된 한 쌍의 집게봉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집게봉들의 손잡이가 위치된 단부를 손으로 파지한 후 파지한 손을 움켜쥐면 상기 손잡이 위치된 단부가 서로 맞닿아지면서 타단에 위치된 두부들이 서로 근접되어 상기 두부들의 사이에 음식용기의 단부가 위치되도록 하여 집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음식용기용 집게는 음식용기의 측부가 경사져 있을 경우, 예를 들면 음식용기용 뚝배기의 경우에는 두부의 사이에 끼여 집어지는 음식용기가 안정되게 집은 상태를 유지할 없어 집게에서 이탈되는 비안정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음식용기가 집게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사용자가 과도한 힘을 부여하고는 있으나, 이는 사용자에게 무리한 힘을 사용하게 함으로써 신체가 쉽게 피로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음식용기를 집기 위하여 두부가 음식용기의 내부로 과도하게 삽입되는 경우가 있어, 음식을 비위생적으로 운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용기를 집을 때 집어지는 지점을 2개로 하여 무게중심을 2개로 분산할 수 있어 적은 힘으로도 음식이 담겨져 있어 무거운 음식용기를 안정되게 집을 수 있으며, 특히 집게의 두부가 과도하게 음식용기의 내부로 삽입되지 않아 위생적이며 청결하게 사용될 수 있는 음식용기용 집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식용기용 집게는 힌지 결합되어 종단을 서로 이격시키거나 근접시킬 때 음식용기의 단부를 집도록 된 두부들이 벌어지거나 서로 근접되도록 된 한 쌍의 집게봉들을 가지는 음식용기용 집게에 있어서; 상기한 두부들 중 음식용기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두부에는 두부에서 하부로 연장형성된 연장편이 구비되며, 상기 연장편의 종단에는 상기 음식용기의 외주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판상의 탄성판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두부들 중 음식용기의 내부로 삽입되는 두부에는 음식용기와 밀착되는 집게부리가 1개로 이루어지고, 음식용기의 외주면을 지지하도록 된 두부에는 두부에서 음식용기와 밀착되는 집게부리가 두부에서 분기된 2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두부 중 하나의 두부에는 음식용기의 단부를 상부에서 걸치도록 된 단턱이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음식용기용 집게는 상기한 한 쌍의 두부가 음식용기의 상단을 집어 지지하고 상기 연장판이 그 하부에서 음식용기를 가압하면서 지지하도록 되어 있어 최종적으로 음식용기를 2개의 지점으로 지지하여 음식용기의 무게중심을 2개로 분산하여 지지함에 따라 적은 힘으로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단턱에 의해 두부가 음식용기의 내부로 과도하게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음식을 위생적이고 청결하게 운반할 수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용기용 집게를 보인 측면예시도.
도 2는 도 1에서 도시된 본 실시예에 의한 음식용기용 집게의 정면을 보인 예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확대 단면 개략 예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도 1에서 도시된 본 실시예의 음식용기용 집게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음식용기용 집게는 보인 사용상태 일부 발췌 단면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음식용기용 집게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용기용 집게를 보인 도면으로서, 본 실시예에 의한 음식용기용 집게는 힌지(1) 결합되는 한 쌍의 집게봉(2)들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집게봉(2)들의 일단은 손잡이가 위치되고, 타단은 음식용기의 단부를 사이에 끼워 압박하면서 집을 수 있도록 된 두부(3)(4)들이 위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손잡이 부위를 손으로 파지한 후 오므리면 타단에 마련된 두부(3)(4)들이 서로 오므라들면서 음식용기의 단부를 맞잡는 형식으로 집어 운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두부(3)(4)들은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룰 위해 두부(3)(4)들은 절곡되어 맞닿는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한 음식용기용 집게에 있어서는 상기한 두부(3)(4)들 중 음식용기의 내부로 삽입되는 두부(3)에는 음식용기와 밀착되는 집게부리(5)가 1개로 이루어지고, 음식용기의 외주면을 지지하도록 된 두부(4)에는 음식용기와 밀착되는 집게부리(5)가 두부(4)에서 분기된 2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원인의 실용신안등록번호제20-398738호에 의해 제안된 바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져 힘의 분산을 통한 안정적인 파지를 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작용효과는 일반적인 사항(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으로 더 이상 언급은 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음식용기용 집게는 상기한 두부(3)(4)들 중 음식용기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두부(4)에는 두부(4)에서 하부로 연장형성된 연장편(6)이 구비되며, 상기 연장편(6)의 종단에는 상기 음식용기의 외주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의 탄성판(7)이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한 한 쌍의 두부(3)(4)가 음식용기의 상단을 집어 지지하고 상기 연장판(7)이 그 하부에서 음식용기를 가압하면서 지지하도록 되어 있어 최종적으로 음식용기를 2개의 지점으로 지지하여 음식용기의 무게중심을 2개로 분산하여 지지함에 따라 적은 힘으로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즉 적은 힘으로도 안정적으로 음식용기를 집어서 운반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의한 음식용기용 집게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용기의 상단을 상기 두부(3)(4)들의 사이에 끼우고 손잡이 부위를 오므리면 상기 두부(3)(4)들이 힌지(1)를 축으로 하여 오므라져 음식용기의 단부가 압박을 받아 집게된다.
이때 도 5 및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편(6)의 탄성판(7)이 음식용기의 외주면을 탄성력을 가지면서 압박하여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음식용기를 두부(2)(3)들과 탄성판(7)의 2지점에서 지지하게 되어 음식용기의 하중을 2지점으로 분산하여 지지함으로서 적은 힘으로도 안정적으로 집어 운반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음식용기용 집게를 보인 도면으로서, 본 실시예의 음식용기용 집게는 상기한 두부(3)(4)들 중 하나의 두부(4)에는 음식용기의 단부를 상부에서 걸치도록 된 단턱(8)이 연장형성된다.
이에 따라 단턱(8)에 의해 두부(3)가 음식용기의 내부로 과도하게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음식을 위생적이고 청결하게 운반할 수 있다.
1 : 힌지, 2 : 집게봉,
3,4 : 두부, 5 : 집게부리,
6 : 연장편, 7 : 탄성판,
8 : 단턱.

Claims (3)

  1. 힌지 결합되어 종단을 서로 이격시키거나 근접시킬 때 음식용기의 단부를 집도록 된 한 쌍의 두부들이 벌어지거나 서로 근접되도록 된 한 쌍의 집게봉 들을 가지는 음식용기용 집게에 있어서;
    상기한 두부들 중 음식용기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두부에는 두부에서 하부로 연장형성된 연장편이 구비되며, 상기 연장편의 종단에는 상기 음식용기의 외주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판상의 탄성판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용기용 집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두부들 중 음식용기의 내부로 삽입되는 두부에는 음식용기와 밀착되는 집게부리가 1개로 이루어지고, 음식용기의 외주면을 지지하도록 된 두부에는 두부에서 음식용기와 밀착되는 집게부리가 두부에서 분기된 2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용기용 집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두부 중 하나의 두부에는 음식용기의 단부를 상부에서 걸치도록 된 단턱이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용기용 집게
KR1020100071702A 2010-07-24 2010-07-24 음식용기용 집게 KR201200102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1702A KR20120010290A (ko) 2010-07-24 2010-07-24 음식용기용 집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1702A KR20120010290A (ko) 2010-07-24 2010-07-24 음식용기용 집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0290A true KR20120010290A (ko) 2012-02-03

Family

ID=45834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1702A KR20120010290A (ko) 2010-07-24 2010-07-24 음식용기용 집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029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7126558A3 (en) Shelled egg staging device, method of storing shelled eggs and method of cooking shelled eggs
CN105266601A (zh) 包括具有带器具靠置架的手柄的盖子的厨具
US20100078952A1 (en) Self-righting tongs
KR101231979B1 (ko) 음식용기용 집게
KR20120010290A (ko) 음식용기용 집게
JP2017531517A (ja) 着脱式取っ手を備えた調理容器
KR101265268B1 (ko) 조리용기용 집게
KR20100111583A (ko) 주방용 복합집게
CN202553571U (zh) 炒锅
CN201026136Y (zh) 新式锅盖
KR101261280B1 (ko) 집게형 착탈 손잡이용 주방용기
KR101262197B1 (ko) 조리용기용 집게
KR101227783B1 (ko) 잡기 편하고 위생적이며 다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다기능 젓가락
CN201631038U (zh) 蛋黄蛋清分离杯
KR200398738Y1 (ko) 음식용기용 집게
CN2754496Y (zh) 一种泡茶工具
KR101241419B1 (ko) 뜨거운 뚝배기를 쉽게 옮기기 위한 뚝배기받침
CN202843408U (zh) 一种自动夹紧的端碗器
US20180028006A1 (en) Article manipulation apparatus
JP2010131261A (ja) 食器持ち上げ用補助器具
JP1759511S (ja) 調理用具スタンド
KR20220119288A (ko) 집게 젓가락
CN202751259U (zh) 餐具夹
KR101459085B1 (ko) 층별로 음식을 담을 수 있도록 접시를 다층으로 설치하기 위한 기구
KR20080003443U (ko) 위생 숟가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