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1280B1 - 집게형 착탈 손잡이용 주방용기 - Google Patents

집게형 착탈 손잡이용 주방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1280B1
KR101261280B1 KR1020110015346A KR20110015346A KR101261280B1 KR 101261280 B1 KR101261280 B1 KR 101261280B1 KR 1020110015346 A KR1020110015346 A KR 1020110015346A KR 20110015346 A KR20110015346 A KR 20110015346A KR 101261280 B1 KR101261280 B1 KR 101261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sion plate
tongs
handle
side wall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5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6135A (ko
Inventor
이현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피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피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피콜
Priority to KR1020110015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1280B1/ko
Publication of KR20120096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6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1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1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2Bowl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1Saucepan, frying-pan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게형 착탈 손잡이로 냄비나 프라이팬 등과 같은 용기의 측벽이나 본체손잡이 모두에 사용 가능한 집게형 착탈 손잡이용 주방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집게형 착탈 손잡이용 주방용기{cooking container for removable handle}
본 발명은 집게형 착탈 손잡이로 냄비나 프라이팬 등과 같은 본체용기의 측벽이나 본체손잡이 모두에 사용 가능한 집게형 착탈 손잡이용 주방용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집게형 착탈 손잡이의 사용 목적은 용기의 측벽에 별도의 손잡이를 두지 않고, 측벽을 잡아 용기를 들거나 옮기는 것이다.
따라서, 용기의 측벽에 별도의 손잡이가 돌출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사이즈별로 서로 포개어 쌓을 수 있어 스페이스를 많이 차지 않게 한다(이것은 냄비보다는 상대적으로 손잡이의 길이가 긴 프라이팬의 경우 효과적이다).
그러나, 집게형 착탈 손잡이용 주방용기에서는 그 측벽에 손잡이가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용기에 뚜껑을 닫을 경우 집게형 착탈 손잡이를 측벽으로부터 분리해야 한다.
그래서, 용기를 들거나 옮길 때는 뚜껑을 열고 다시 집게형 착탈 손잡이로 측벽을 잡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즉 종래의 집게형 착탈 손잡이용 용기는 반드시 뚜껑을 열어 놓은 상태에서만 운반(들거나 옮김)이 가능하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뚜껑을 열어 놓은 상태뿐만 아니라 뚜껑을 닫은 상태에서도 집게형 착탈 손잡이로 용기를 옮길 수 있는 집게형 착탈 손잡이용 주방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집게형 착탈 손잡이용 주방용기는,
제1집게와 제2집게를 갖는 집게형 착탈 손잡이로 용기의 측벽을 착탈하는 주방용기에 있어서,
상기 측벽의 외측에서 연장되는 외측 연장판과, 상기 외측 연장판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하방 연장판과, 상기 외측 연장판에 형성되는 삽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삽통공에는 제1집게가 출납되고, 상기 하방 연장판의 내면은 상기 제1집게가 가압하는 제1가압면이고, 상기 하방 연장판의 외면은 상기 제2집게가 가압하는 제2가압면으로 이루어진다.
이 청구항 1의 구성에 의하면, 뚜껑을 열어 놓은 상태뿐만 아니라 뚜껑을 닫은 상태에서도 집게형 착탈 손잡이로 용기를 옮길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집게형 착탈 손잡이용 주방용기는,
상기 하방 연장판의 제2가압면에는 리세스(recess)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청구항 2의 구성에 의하면, 리세스부가 걸림턱의 기능을 하여 집게가 용기로부터 미끄러져 위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집게형 착탈 손잡이용 주방용기는,
조리실을 형성하는 바닥판과 측벽을 갖는 본체용기; 상기 측벽에 일체로 형성되는 본체손잡이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본잡이는 상기 측벽의 외측에서 연장되는 외측 연장판과, 상기 외측 연장판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하방 연장판과, 상기 외측 연장판에 형성되는 삽통공을 포함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측벽에 제1집게와 제2집게가 적용할 수 있는 손잡이부를 둠으로써, 뚜껑을 열어 놓은 상태에서는 측벽을 잡고, 뚜껑을 닫은 상태에서는 손잡이부를 잡고 옮길 수 있다.
또한, 하방 연장판의 외면에 회사 로고 등을 새길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주기 때문에, 기존 바닥에만 새기는 것보다는 디자인 측면이나 광고 측면에서 그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또한, 리세스부가 제2집게의 걸림턱 기능을 하여 용기에서 집게가 미끄러져 빠지는 것을 확실히 방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게형 착탈 손잡이용 주방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1-1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3은 뚜껑을 닫은 상태에서 본체손잡이에 집게형 착탈 손잡이가 적용된 사시도.
도 4는 뚜껑을 열어 놓은 상태에서 측벽에 집게형 착탈 손잡이가 적용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게형 착탈 손잡이용 주방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1-1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3은 뚜껑을 닫은 상태에서 본체손잡이에 집게형 착탈 손잡이가 적용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뚜껑을 열어 놓은 상태에서 측벽에 집게형 착탈 손잡이가 적용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집게형 착탈 손잡이용 주방용기는 조리실을 형성하는 바닥판(11)과 측벽(13)으로 이루어진 용기본체(10)와, 용기본체(10)의 측벽(13)에 일체로 형성되는 본체손잡이(30)를 포함한다.
본체손잡이(30)는 'ㄱ'자 형상으로서, 측벽(13)의 외측에서 연장되는 외측 연장판(31)과, 외측 연장판(31)의 자유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하방 연장판(33)으로 형성되고, 외측 연장판(31)에는 삽통공(35)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통공(35)에는 제1집게(3)가 출납되는 관통공이다.
하방 연장판(33)의 내면(33a)은 제1집게(3)가 가압하는 제1가압면이다.
하방 연장판(33)의 외면(33b)은 제2집게(5)가 가압하는 제2가압면이다.
집게형 착탈 손잡이(1)의 제1집게(3)와 제2집게(5) 중 어느 하나는 전후 이동 능한 가동 집게이고 다른 하나는 고정 집게이다.
따라서, 가압 작용을 하기 전에는 제1집게(3)와 제2집게(5)의 사이가 벌어진 상태에서 제1집게(3)을 위에서 아래로 삽통공(35)에 삽입시키면, 제1집게(3)와 제2집게(5)는 하방 연장판(33)의 내외면(33a)(33b)에 배치되고, 가동 집게를 작동시키면 하방 연장판(33)의 내외면(33a)(33b)에 밀착 가압시켜 손잡이의 기능을 한다.
본체손잡이(30)는 제1집게(3)와 제2집게(5)가 작용할 수 있는 정도의 사이즈면 충분하기 때문에, 일반 본체손잡이 보다 부피가 작아 서로 포개어 쌓을 때 그다지 간섭을 하지 않는다.
또한, 하방 연장판(33)의 외면(33b)에는 회사 로고 등을 새길 수 있는 자리면도 제공하여, 기존 바닥에 회사 로고를 새기는 것보다는 디자인 측면이나 광고 측면에서 매우 우수하다.
회사 로고는 사출 성형을 할 때 일체로 새겨 넣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사지나 스티커 등으로 추후 새길 수도 있다.
한편, 하방 연장판(33)의 제2가압면인 외면(33b)에는 리세스부(37)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세스부(37)는 외면에서 내면을 향해 움푹 들어간 홈의 형태로서, 제2집게(5)의 테두리가 끼워지는 형태를 취하게 하여, 집게형 착탈 손잡이(1)가 본체손잡이(30)의 하방 연장판(33)에서 미끄러져 위로 빠지는 것을 확실히 방지한다.
도 4와 같이 뚜껑을 닫을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집게형 착탈 손잡이(1)로 측벽(13)의 내외면을 잡고 사용하면 된다.
이 경우에도 측벽(13)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돌출테(1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테(15)는 제2집게(5)의 걸림턱의 기능을 하여 미끄러져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돌출테(15)가 있는 경우에 외측 연장판(31)은 돌출테(15)에서 외측으로부터 연장되게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예컨대, 본체손잡이(30)는 집게형 착탈 손잡이(1)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일반 손잡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주방용기로 사용된다. 즉, 측벽(13)과 하방 연장판(33) 사이의 공간으로 손가락을 넣고 들어올리면 된다.
또한, 집게형 착탈 손잡이(1) 대신 포크와 같은 집게를 삽통공(35)에 넣고 외측 연장판(31)를 지지대로 삼아 들어올릴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냄비나 프라이팬 등과 주방용기뿐만 아니라 하나의 집게형 착탈 손잡이로 집어 옮길 수 있는 물건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좋다.
1 : 집게형 착탈 손잡이 3 : 제1집게
5 : 제2집게 10 : 용기본체
11 : 바닥판 13 : 측벽
15 : 돌출테 30 : 본체손잡이
31 : 외측 연장판 33 : 하방 연장판
33a : 내면(제1가압면) 33b : 외면(제2가압면)
35 : 삽통공 37 : 리세스부

Claims (3)

  1. 삭제
  2. 제1집게와 제2집게를 갖는 집게형 착탈 손잡이로 용기본체의 측벽을 착탈하는 주방용기에 있어서,
    상기 측벽의 외측에서 연장되는 외측 연장판과, 상기 외측 연장판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하방 연장판과, 상기 외측 연장판에 형성되는 삽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삽통공에는 제1집게가 출납되고,
    상기 하방 연장판의 내면은 상기 제1집게가 가압하는 제1가압면이고,
    상기 하방 연장판의 외면은 상기 제2집게가 가압하는 제2가압면이되,
    상기 하방 연장판의 외면에는 리세스(recess)부가 형성되는 집게형 착탈 손잡이용 주방용기.
  3. 조리실을 형성하는 바닥판과 측벽을 갖는 본체용기;
    상기 측벽에 형성되는 본체손잡이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손잡이는 상기 측벽의 외측에서 연장되는 외측 연장판과, 상기 외측 연장판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하방 연장판과, 상기 외측 연장판에 형성되는 삽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하방 연장판의 외면에는 리세스(recess)부가 형성되는 주방용기.
KR1020110015346A 2011-02-22 2011-02-22 집게형 착탈 손잡이용 주방용기 KR101261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346A KR101261280B1 (ko) 2011-02-22 2011-02-22 집게형 착탈 손잡이용 주방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346A KR101261280B1 (ko) 2011-02-22 2011-02-22 집게형 착탈 손잡이용 주방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6135A KR20120096135A (ko) 2012-08-30
KR101261280B1 true KR101261280B1 (ko) 2013-05-07

Family

ID=46886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5346A KR101261280B1 (ko) 2011-02-22 2011-02-22 집게형 착탈 손잡이용 주방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12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056941A (ja) * 2021-10-08 2023-04-20 TechMagic株式会社 調理容器保持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組み込んだ調理容器自動搬送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4567Y1 (ko) * 2006-06-12 2006-08-22 김남중 조리용기용 탈부착 손잡이 및 이를 갖는 조리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4567Y1 (ko) * 2006-06-12 2006-08-22 김남중 조리용기용 탈부착 손잡이 및 이를 갖는 조리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6135A (ko) 201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66601B (zh) 包括具有带器具靠置架的手柄的盖子的厨具
KR20130045201A (ko) 포개질 수 있는 조리기구 집합
KR101261280B1 (ko) 집게형 착탈 손잡이용 주방용기
US8272132B2 (en) Serving utensil having pan lifting element
WO2013177066A1 (en) Cookware article having utensil supporting means
JP2017531517A (ja) 着脱式取っ手を備えた調理容器
KR101265268B1 (ko) 조리용기용 집게
KR100935023B1 (ko) 조리용기용 손잡이
KR100927708B1 (ko) 조리용기용 손잡이
JP3181170U (ja) 料理用鍋
KR101476340B1 (ko) 분리형 손잡이를 가진 조리기구
KR101244391B1 (ko) 용기와 착탈식 손잡이의 결합구조
KR20120110802A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20160075283A (ko) 누르개가 구비된 국자
KR200491221Y1 (ko) 탈착식 뚝배기 파지구
JP3136410U (ja) 鍋敷
KR200363093Y1 (ko) 조리용기용 운반 손잡이
KR20120035522A (ko) 음식용기용 집게
JP3204124U (ja) 食品容器
KR20120009164A (ko) 조리용기의 뚜껑용 탈착식 손잡이
CN219920493U (zh) 一种铝箔餐盒
CN202035985U (zh) 方便锅盖放置的锅具
JP3206908U (ja) トング
KR200426145Y1 (ko) 적층 가능형 뚝배기
KR200463678Y1 (ko) 냄비 뚜껑과 냄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