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221Y1 - 탈착식 뚝배기 파지구 - Google Patents

탈착식 뚝배기 파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221Y1
KR200491221Y1 KR2020180004206U KR20180004206U KR200491221Y1 KR 200491221 Y1 KR200491221 Y1 KR 200491221Y1 KR 2020180004206 U KR2020180004206 U KR 2020180004206U KR 20180004206 U KR20180004206 U KR 20180004206U KR 200491221 Y1 KR200491221 Y1 KR 2004912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thenware
jaw
groove
catching
catch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42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순
Original Assignee
박정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순 filed Critical 박정순
Priority to KR20201800042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2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2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22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10Devices for gripping or lifting hot cooking utensils, e.g. pincers, separate pot handles, fabric or like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할 때 가열된 뚝배기를 용이하게 잡아 들어올려 이동시킬 수 있게 한 탈착식 뚝배기 파지구에 관한 것으로, 주둥이부 하부의 외주면을 따라 외주턱이 형성된 뜨거운 뚝배기를 들어 올려 이동시키는 파지구로, 상기 주둥이부가 끼워지는 단부걸림홈와, 상기 단부걸림홈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외주턱이 끼워져 결합되는 턱걸림홈을 구비한 뚝배기걸림부; 및 상기 뚝배기걸림부의 턱걸림홈으로부터 연장된 부분에 설치된 손잡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탈착식 뚝배기 파지구{holder for ttukbaegi}
본 발명은 뚝배기 파지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조리할 때 가열된 뚝배기를 용이하게 잡아 들어 올려 이동시킬 수 있게 한 탈착식 뚝배기 파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너나 가스렌지 등의 가열기구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할 때 냄비, 후라이 팬 등의 조리용기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조리용기에는 사용자가 가열된 조리용기를 쉽게 들 수 있고, 또한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그 일측 또는 양측에 손잡이가 부착되어 있다.
그러나 이렇게 손잡이가 일체로 설치된 조리용기는 장시간 가열할 때 손잡이도 가열되어 자칫하면 손에 화상을 입을 수 있기 때문에, 통상 행주나 두꺼운 장갑 등을 이용하여 조리용기를 들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이 경우 조리용기를 잡는 것이 불안정하여 조리용기를 떨어뜨리는 일도 빈번하게 발생된다.
또한, 손잡이 일체형 조리용기는 그 손잡이가 외부로 길게 돌출된 상태로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보관시 불필요한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될 뿐만 아니라, 그 손잡이에 이물질이 낄 수 있어 위생상 불결한 점이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탈착식 손잡이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기술의 예로 특허문헌 1 내지 3이 있다.
특허문헌 1은 가열기구로 가열되어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용구에 착탈이 가능한 손잡이에 있어서, 손잡이의 외형을 파지가 간편하도록 라운드로 형성한 몸체부와, 몸체부의 내부의 전면 상부에 형성되어 조리용기의 상부에서 내부측에 안치되어 고정하는 고정부와, 고정부의 하부에 몸체부의 내부에서 전면측으로 형성되어 조리용기를 록킹하기 위해서 하부방향으로 절곡된 록킹판을 형성하고 록킹판의 후부에 형성되어 연동되는 슬라이드 판의 구동으로 록킹판이 전면으로 이동하여 고정부에 고정된 조리용기를 하부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고정부와 맞물리도록 고정하는 록킹부와, 록킹부의 하부에 결합된 기어의 구동으로 록킹부를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부와, 록킹부의 후부에 스토퍼를 결합하여 록킹부가 전진하여 조리용기 록킹한 상태를 유지하거나 해제하는 멈춤부로 형성된 조리용기용 손잡이고,
특허문헌 2는 하부덮개의 슬라이드판 가이드봉과 하부홈 사이에는 보조돌부홈이 형성되고, 보조돌부홈의 하부에는 보조스프링이 설치되며, 보조스프링은 보조돌부의 하면에 위치하는 보조스프링삽입홈에 삽입되며, 슬라이드판은 전방의 슬라이드판 이동홈과 후방의 슬라이드판 작동홀 사이에 보조돌부 통과구멍이 연결되게 형성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조리용기를 집은 후 손잡이의 레버에 더 이상 수직하부방향 힘을 가하지 않게 되거나 착탈식손잡이를 놓게 되는 경우에는 하부스프링의 위로 향하는 탄발력에 의해 캠가이드편이 상승되어 상부몸체의 캠가이드편 안내부 절개홈에 고정되어 회전되지 않게 되고, 동시에 레버 역시 상승되며, 사용자가 레버를 부주의에 의하여 돌리게 되더라도 레버와 연결된 캠가이드편이 캠가이드편 안내부 절개홈에 고정되어 회전될 수 없으므로 레버가 결국 돌지 않게 되어 레버에 연결된 캠축, 캠돌기가 회전하지 않게 되며, 캠돌기에 의해 전, 후진하는 슬라이드판의 파지구가 움직이지 않게 되어, 주방용기를 집은 상태가 계속 안전하고 확실하게 유지하되, 하부스프링이 탄발력으로 상승되는 것과 동시에 보조돌부홈 하부의 보조스프링 역시 탄발력으로 보조돌부를 상승시킴으로써 캠가이드편과 레버를 밀어올리는 힘을 보조할 수 있게 한 착탈식 손잡이이며,
특허문헌 3은 선단 부분에 조리용기의 외측면에 접하는 단차면이 형성된 하부부재 및 이에 조립되는 상부부재로 이루어진 몸체부와 선단부에 조리용기의 내측면에 접하는 착탈편이 구비되고 하부부재에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판과, 슬라이딩판의 후단부를 탄성 지지하는 제1 탄성스프링과, 슬라이딩판의 상면에 수직하게 돌출하도록 설치되는 작동돌기로 이루어진 슬라이딩부와 상부부재의 전방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와, 상부부재의 내측에서 레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하며 작동돌기의 상단부가 걸려지는 걸림부가 구비된 회전작동부를 포함하며,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 탄성스프링을 압축 또는 복원시켜 슬라이딩판이 전후 이동되도록 하는 로터리 작동부와 하단부가 제2 탄성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상단부는 상부부재에 형성된 관통홀에 수직하게 삽입되어 슬라이딩판을 관통하며, 제2 탄성스프링의 압축 및 복원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슬라이딩판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핀 부재;를 포함하는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긔 탈착식 손잡이는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에 많은 자재와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찌개류를 조리하기 위한 조리용기의 하나인 뚝배기는 다양한 것이 있고 이러한 뚝배기 중에는 도 6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순하게 저장 공간만을 형성한 본체(100)의 주둥이 부분의 단부만을 두껍게 형성한 것과, 도 6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뚝배기 본체(100)의 외주면의 일정 높이에 턱(100d)을 형성한 것이 있으며, 이러한 뚝배기들은 집게를 이용하여 집어 들어 이동시키고 있다.
그러나 주둥이 단부만을 두껍게 형성한 것의 경우에는 이 두꺼운 부분이 집게에 걸려 견고하게 잡을 수 있으나, 외주면에 턱이 형성된 뚝배기의 경우 주둥이 부분이 얇아 집게로 잡으면 잡히지 않고 미끄러지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4379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1080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8889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조리할 때 가열된 뚝배기를 용이하게 잡아 들어 올려 이동시킬 수 있게 한 탈착식 뚝배기 파지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외주면에 걸림턱이 있는 뚝배기를 보다 쉽게 들어 올려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크기의 뚝배기에 사용할 수 있는 탈착식 뚝배기 파지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탈착식 뚝배기 파지구는 주둥이부 하부의 외주면을 따라 외주턱이 형성된 뜨거운 뚝배기를 들어 올려 이동시키는 파지구로, 상기 주둥이부가 끼워지는 단부걸림홈와, 상기 단부걸림홈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외주턱이 끼워져 결합되는 턱걸림홈을 구비한 뚝배기걸림부; 및 상기 뚝배기걸림부의 턱걸림홈으로부터 연장된 부분에 설치된 손잡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턱걸림홈의 하부에는 외주턱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지지턱이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부는 집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탈착식 뚝배기 파지구는 뚝배기의 주둥이부와 외주면에 형성된 외주턱을 이중으로 잡아 들어 올려 이동시킬 수 있음에 따라 뜨거운 뚝배기를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뚝배기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뚝배기를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음에 따라 뚝배기를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어 보관 공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손잡이부를 집게 형태로 제작함에 따라 외주턱이 없는 뚝배기도 용이하게 들어 올려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착식 뚝배기 파지구와 뚝배기의 이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탈착식 뚝배기 파지구의 일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탈착식 뚝배기 파지구를 장착한 뚝배기의 서로 다른 예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탈착식 뚝배기 파지구의 다른 일예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탈착식 뚝배기 파지구의 다른 일예를 장착한 뚝배기의 서로 다른 예의 단면도
도 6은 통상의 뚝배기의 서로 다른 예의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외주면에 외주턱이 형성된 뚝배기를 보다 안정적으로 들어 올려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탈착식 뚝배기 파지는 도 6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둥이부(100t) 하부의 외주면을 따라 외주턱(100d)이 형성된 뜨거운 뚝배기를 들어 올려 이동시키는 도구이다.
본 발명의 파지구(1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뚝배기의 요철부분에 끼워지는 다수의 홈이 형성된 뚝배기걸림부(11)와, 상기 뚝배기걸림부(11)를 보다 쉽게 뜩배기에 착탈시키고, 뚝배기에 장착된 상태에서 쉽게 들어 올릴 수 있게 하는 손잡이부(1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뚝배기걸림부(11)는 뚝배기의 주둥이부가 끼워지는 단부걸림홈(11e)와, 상기 단부걸림홈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외주턱이 끼워져 결합되는 턱걸림홈(11d)을 구비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뚝배기걸림부(11)는 본 발명의 파지구를 뚝배기에 결합하기 위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뚝배기의 두 부분 즉, 뚝배기의 주둥이부(100t)와 뚝배기의 외주면에 형성된 외주턱(100d) 부분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단부걸림홈(11e)와 턱걸림홈(11d)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부걸림홈(11e)은 도시한 바와 같이 깊이를 깊게 형성하여 다양한 크기의 뚝배기에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 단부걸림홈(11e)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폭을 뚝배기의 주둥이부의 두께와 같은 폭으로 형성함에 따라 뚝배기의 주둥이부가 견고하게 끼워져 결합될 수 있게 하였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단부걸림홈(11e)은 뚝배기의 개방된 주둥이부(100t)에 끼워지되, 도 3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뚝배기가 작을 경우에는 단부걸림홈(11e)의 일부에만 주둥이부가 끼워진다.
이때 상기 턱걸림홈(11d)에 뚝배기의 외주턱(100d)가 끼워져 결합된다.
즉, 도 3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뚝배기(100)가 작을 경우에는 뚝배기의 주둥이부(100t)와 외주턱(100d) 사이의 거리가 짧고 이렇게 주둥이부(100t)와 외주턱(100d) 사이의 거리가 짧을 때에도 주둥이부가 단부걸림홈(11e)의 단부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물론, 도 3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뚝배기가 클 경우에는 단부걸림홈(11e)의 안쪽까지 주둥이부가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뚝배기걸림부(11)는 강도가 강하고, 내열성을 갖는 금속이나 합성수지로 만들어질 수 있고, 뚝배기걸림부(11)만으로 구성될 경우 사용자가 이를 파지하기에 어려움이 있음에 따라 손잡이부(12)가 더 설치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부(12)는 상기 뚝배기걸림부의 턱걸림홈(10d)으로부터 연장된 부분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는 나무나 합성수지 등과 같이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턱걸림홈(11d)의 하부에는 외주턱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지지턱(11s)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지지턱(11s)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뚝배기에 형성된 외주턱(100d)의 하부를 지지하여 파지구가 보다 견고하게 뚝배기를 지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4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부를 집게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하고 도 6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똑배기는 주둥이부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여 집게(20)가 미끄러지지 않게 한 것과, 도 6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면에 외주턱(100d)을 형성한 것이 있고, 상기한 바와 같이 뚝배기걸림부(11)이 형성된 구조로 파지구를 제작할 경우, 도 6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만들어진 뚝배기는 들어 올릴 수 없다.
이에 따라 도 6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턱이 없는 뚝배기도 들어 올릴 수 있도록 손잡이부를 집게(20)의 형태로 제작하여 다양한 뚝배기를 집어 들어 올릴 수 있게 하였다.
외주턱이 없는 뚝배기의 경우에는 도 5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뚝배기의 주둥이부를 집게로 집으면, 뚝배기의 주둥이 부에 형성된 두꺼운 턱이 집게에 걸려 안정적으로 들어 올릴 수 있게 된다.
상기 집게(2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지지턱(11s)이 집게의 일측 집게발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부지지턱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10: 파지구
11: 뚝배기걸림부
11e: 단부걸림홈 11d: 턱걸림홈
11s: 하부지지턱
12: 손잡이부
20: 집게
100: 뚝배기본체
100d: 외주턱 100t: 주둥이부

Claims (3)

  1. 주둥이부(100t) 하부의 외주면을 따라 외주턱(100d)이 형성된 뜨거운 뚝배기를 들어 올려 이동시키는 파지구(10)로, 상기 주둥이부가 끼워지는 단부걸림홈(11e)와, 상기 단부걸림홈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외주턱이 끼워져 결합되는 턱걸림홈(11d)을 구비한 뚝배기걸림부(11); 및 상기 뚝배기걸림부의 턱걸림홈으로부터 연장된 부분에 설치된 손잡이부(12)로 이루어고,
    상기 턱걸림홈의 하부에는 외주턱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지지턱(11s)이 더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12)는 집게(20)로 이루어진 탈착식 뚝배기 파지구에 있어서,
    상기 단부걸림홈(11e)은 폭이 뚝배기의 주둥이부의 두께와 같고,
    상기 집게(20)는 상기 하부지지턱(11s)이 집게의 일측 집게발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부지지턱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뚝배기 파지구.
  2. 삭제
  3. 삭제
KR2020180004206U 2018-09-10 2018-09-10 탈착식 뚝배기 파지구 KR2004912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206U KR200491221Y1 (ko) 2018-09-10 2018-09-10 탈착식 뚝배기 파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206U KR200491221Y1 (ko) 2018-09-10 2018-09-10 탈착식 뚝배기 파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221Y1 true KR200491221Y1 (ko) 2020-03-05

Family

ID=69767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4206U KR200491221Y1 (ko) 2018-09-10 2018-09-10 탈착식 뚝배기 파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221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3798A (ko) 2002-11-20 2004-05-27 최정호 조리용기용 손잡이
KR200363093Y1 (ko) * 2004-07-12 2004-09-24 이종근 조리용기용 운반 손잡이
KR20120110802A (ko) 2011-03-30 2012-10-10 서정덕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101388894B1 (ko) 2012-10-18 2014-04-23 양원준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3798A (ko) 2002-11-20 2004-05-27 최정호 조리용기용 손잡이
KR200363093Y1 (ko) * 2004-07-12 2004-09-24 이종근 조리용기용 운반 손잡이
KR20120110802A (ko) 2011-03-30 2012-10-10 서정덕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101388894B1 (ko) 2012-10-18 2014-04-23 양원준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76976B1 (en) Cookware including lid having handle with utensil rest
CN103565261A (zh) 具有改进控制设备的用于在压力下烹调食物的烹调器具
KR101037656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100971872B1 (ko) 조리용기의 탈부착형 손잡이
US20130305893A1 (en) Multifunctional cooking utensil
US11986124B2 (en) Cookware assembly
KR101215223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101140398B1 (ko)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
KR101388869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200491221Y1 (ko) 탈착식 뚝배기 파지구
KR101300211B1 (ko) 조리 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200463179Y1 (ko) 냄비
KR200303457Y1 (ko) 조리용기용 손잡이
KR20010000210U (ko) 조리용기 손잡이
KR20150064336A (ko) 접시 및 받침판 기능이 되는 뚜껑
KR20040043798A (ko) 조리용기용 손잡이
KR20120110802A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101520321B1 (ko) 조리용기용의 착탈식 손잡이
US2002149A (en) Dish or pan lifter
KR20120126483A (ko) 탈부착식 손잡이
KR101261280B1 (ko) 집게형 착탈 손잡이용 주방용기
US116330A (en) Improvement in pan-lifters
KR101146368B1 (ko) 조리용기용 손잡이
KR101873868B1 (ko) 슬라이더가 구비된 착탈식 손잡이
KR200303451Y1 (ko) 냄비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