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4336A - 접시 및 받침판 기능이 되는 뚜껑 - Google Patents

접시 및 받침판 기능이 되는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4336A
KR20150064336A KR1020130148930A KR20130148930A KR20150064336A KR 20150064336 A KR20150064336 A KR 20150064336A KR 1020130148930 A KR1020130148930 A KR 1020130148930A KR 20130148930 A KR20130148930 A KR 20130148930A KR 20150064336 A KR20150064336 A KR 201500643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lid body
holder
locker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8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문
Original Assignee
킴스홀딩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킴스홀딩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킴스홀딩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8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4336A/ko
Publication of KR20150064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43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4Knobs, e.g. for l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6Stands, or holders for kitchen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뚜껑 본체와, 상기 뚜껑 본체의 상단에 설치되는 결합구, 상기 결합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 손잡이로 구성한 접시 및 받침판 기능이 되는 뚜껑에 있어서, 상기 뚜껑 손잡이는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그 양측으로는 누름버튼이 각각 설치 구성된 손잡이 헤드와, 상기 손잡이 헤드의 공간에 끼워지는 홀더와, 상기 홀더의 양측에 힌지 결합되며 선단은 상기 누름버튼에 연결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누름버튼의 누름 동작에 따라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 동작하는 록커와, 상기 록커의 끝단에 상기 홀더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뚜껑 본체의 결합구 둘레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에 걸려진 상태에서 상기 록커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홀더의 외측 방향으로 벌어지며 상기 걸림홈에서 이탈하는 걸림턱 및 상기 록커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누름버튼의 동작으로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 동작한 상기 록커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으로 구성하여 상기 뚜껑 손잡이의 분리 및 결합 유무에 따라 뚜껑 본체를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접시나 혹은 냄비 등의 조리기구를 받칠 수 있는 받침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접시 및 받침판 기능이 되는 뚜껑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접시 및 받침판 기능이 되는 뚜껑{Pot-lid with the function of plate}
본 발명은 접시 및 받침판 기능이 되는 뚜껑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뚜껑손잡이를 뚜껑 본체에서 분리 가능하게 결합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상기 뚜껑 본체를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접시나 혹은 냄비 등의 조리기구를 받칠 수 있는 받침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접시 및 받침판 기능이 되는 뚜껑에 관한 것이다.
통상 냄비나 프라이펜등의 조리용기는 음식물을 끓이거나 조리할 수 있도록 제작된 용기로서,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를 들어 가열기구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용기본체의 일측에 연장 형성된 손잡이로 구성된다.
하지만 종래의 조리용기에 구비된 손잡이는 탈착이 불가능한 구조로 제작됨에 따라 용기본체의 부피를 증가시켜 보관시 공간상에 제약을 받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특허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 10-2011-0096999 호(명칭: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이하, 선행기술이라 칭함)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중앙으로 장공이 관통 형성된 손잡이 본체와, 상기 손잡이 본체의 상면에 덮혀지는 커버에 전, 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며 아래쪽에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된 버튼과, 상기 손잡이 본체와 축 결합되며 외부의 누름 압력에 따라 상기 축을 중심으로 회전 동작하며 상기 손잡이 본체의 장공에 삽입되며 선단에는 상기 버튼의 걸림턱이 선택적으로 끼워지기 위한 걸림구멍이 관통 형성된 틸팅레버와, 상기 손잡이 본체와 상기 커버 사이에 끼워지며 선단에는 가압대가 절곡 형성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와 틸팅레버 사이에 위치하며 양단은 상기 슬라이더와 틸팅레버에 각각 핀 결합되어 상기 틸팅레버의 동작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눕혀지며 상기 슬라이더를 후방으로 밀어 상기 슬라이더에 형성된 가압대를 조리용기의 내주면에 밀착시키도록 하는 작동링크와, 상기 슬라이더의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버튼의 걸림턱이 상기 틸팅레버의 걸림구멍에서 분리됨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를 전방으로 탄력적으로 밀어 상기 가압대의 밀착을 해지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의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는 조리용기의 측벽에 손잡이가 압착되도록 함으로서 손잡이를 착탈 가능하게 사용토록 하고 있으나, 만일 사용중에 자칫 압착이 슬립되거나 기타 외력에 의해 압착이 해지될 경우, 의도하지 않게 손잡이가 분리될 수 있어 안전사고를 유발할 우려가 있다.
특히 선행기술의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가 설치된 뚜껑은 전체적으로 돔 형태로 중앙부가 볼록하게 라운드진 형태를 가짐에 따라 손잡이를 뚜껑에서 분리시킨다 하더라도 뚜껑을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접시나 혹은 냄비 등의 조리기구를 받칠 수 있는 받침판으로는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특허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 10-2011-0096999 호 문헌 2: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 20-0348530 호 문헌 3: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 10-2011-0098263 호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뚜껑손잡이를 뚜껑본체에서 분리 가능하게 결합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상기 뚜껑본체를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접시나 혹은 냄비 등의 조리기구를 받칠 수 있는 받침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접시 및 받침판 기능이 되는 뚜껑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뚜껑 본체와, 상기 뚜껑 본체의 상단에 설치되는 결합구, 상기 결합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 손잡이로 구성한 접시 및 받침판 기능이 되는 뚜껑에 있어서, 상기 뚜껑 손잡이는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그 양측으로는 누름버튼이 각각 설치 구성된 손잡이 헤드와, 상기 손잡이 헤드의 공간에 끼워지는 홀더와, 상기 홀더의 양측에 힌지 결합되며 선단은 상기 누름버튼에 연결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누름버튼의 누름 동작에 따라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 동작하는 록커와, 상기 록커의 끝단에 상기 홀더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뚜껑 본체의 결합구 둘레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에 걸려진 상태에서 상기 록커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홀더의 외측 방향으로 벌어지며 상기 걸림홈에서 이탈하는 걸림턱 및 상기 록커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누름버튼의 동작으로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 동작한 상기 록커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뚜껑 본체는 원판 형태로 상, 하면은 평평하게 제작되며, 상기 뚜껑 본체의 상, 하면에는 실리콘 링이 더 부착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접시 및 받침판 기능이 되는 뚜껑은 뚜껑손잡이가 뚜껑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뚜껑본체를 조리용기를 닫아주는 뚜껑으로의 기능을 수행토록 하고, 뚜껑손잡이를 뚜껑본체에서 분리하면 상기 뚜껑본체를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접시나 혹은 냄비 등의 조리기구를 받칠 수 있는 받침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뚜껑본체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시 및 받침판 기능이 되는 뚜껑의 전체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평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서 록커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에서는 뚜껑손잡이를 뚜껑본체에서 분리 가능하게 결합 구성하고, 또한 상기 뚜껑본체를 원판 형태로 평평하게 제작한 상태에서 그 상 ,하면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실리콘링을 부착 구성하여 상기 뚜껑손잡이가 상기 뚜껑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뚜껑본체를 조리용기를 닫아주는 뚜껑으로의 기능을 수행토록 하고, 상기 뚜껑손잡이를 상기 뚜껑본체에서 분리하면 상기 뚜껑본체를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접시나 혹은 냄비 등의 조리기구를 받칠 수 있는 받침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뚜껑본체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접시 및 받침판 기능이 되는 뚜껑을 구현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기술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시 및 받침판 기능이 되는 뚜껑의 전체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평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접시 및 받침판 기능이 되는 뚜껑은 원판 형태를 가진 뚜껑 본체(10)와, 상기 뚜껑 본체(10)의 상면 중앙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 손잡이(2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뚜껑 본체(10)는 조리용기의 상면에 덮혀지며 상기 조리용기에서 조리중에 있는 음식물 등의 내용물이 외부로 넘치지 않도록 막아주는 덮개 기능을 수행함은 물론 뚜껑 손잡이(20)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접시나 혹은 냄비 등의 조리기구를 받칠 수 있는 받침판으로 사용할 목적으로 제작된다.
상기 뚜껑 본체(10)는 원판 형태로 상, 하면을 평평하게 제작하며 또한 상기 뚜껑 본체(10)의 상면과 하면에는 실리콘 링(16, 18)을 각각 부착하여 구성한다.
상기 뚜껑 본체(10)의 상면과 하면에 부착된 실리콘 링(16, 18)은 상기 뚜껑 손잡이(20)를 상기 뚜껑 본체(10)에서 분리시킨 후, 상기 뚜껑 본체(10)를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접시나 혹은 냄비 등의 조리기구를 받칠 수 있는 받침판으로 사용하려 할 때, 바닥면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논 슬립 기능을 구현하게 된다.
상기 뚜껑 본체(10)의 상면 중앙에는 둘레면을 따라 걸림홈(14)이 함몰 형성되어 있는 결합구(12)가 설치되고, 상기 결합구(12)에는 뚜껑 손잡이(2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 구성된다.
상기 뚜껑손잡이(20)는 크게 상기 뚜껑 본체(10)의 결합구(12)에 조립되는 손잡이 헤드(30)와, 상기 손잡이 헤드(30)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며 사용자가 뚜껑 손잡이(20)를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는 파지부로 나뉘어져 구성한다.
상기 손잡이 헤드(30)는 원통 형태로 내부에는 공간(32)이 형성되고 그 하단은 개방시켜 구성한다.
상기 손잡이 헤드(30)의 내부 공간(32)에는 뚜껑 손잡이(20)를 뚜껑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잠금수단들이 설치된다.
상기 잠금수단은 홀더(34), 록커(38), 누름버튼(46) 및 스프링(5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홀더(34)는 상기 손잡이 헤드(30)의 내부 공간(32)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록커(38)를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손잡이 헤드(30)의 내부 공간(32)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원통 형태로 제작하여 상기 손잡이 헤드(30) 내부 공간(32)에 끼워진 상태에서 볼트(36)로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록커(38)는 상기 홀더(32)의 양측에 힌지(40)로 각각 결합 구성된 상태에서 누름버튼(46)의 누름 압력에 따라 상기 힌지(40)를 중심으로 회전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록커(38)의 끝단에는 걸림턱(44)이 상기 홀더(32)의 내측 방향으로 직각되게 절곡 구성된다. 상기 걸림턱(44)은 전술한 뚜껑 본체(10)의 결합구(12) 둘레면에 함몰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14)에 걸려지며 록커(38)를 결합구(12)에 걸림 고정시켜 뚜껑 손잡이(20)를 뚜껑 본체(10)에 결합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걸림턱(44)은 상기 누름버튼(46)의 누름 압력에 따라 상기 록커(38)가 힌지(40)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홀더(32)의 외측 방향으로 벌어지며 뚜껑 본체(10)의 결합구(12) 걸림홈(14)에서 분리되며 뚜껑 손잡이(20)를 뚜껑 본체(10)에서 분리시키게 된다.
상기 록커(38)의 선단에는 볼 형상의 돌기부(42)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42)는 누름버튼(46)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홈(48)에 끼워지며 록커(38)를 누름버튼(46)에 연결 구성하게 된다.
상기 누름버튼(46)은 상기 손잡이헤드(3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선단은 상기 손잡이헤드(30) 양측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하며, 상기 누름버튼(46)의 끝단 저면에는 홈(48)이 형성되고, 상기 홈(48)에는 전술한 록커(38)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부(42)가 끼워지도록 한다.
상기한 누름버튼(46)은 손잡이헤드(30) 양측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누름버튼(46)의 선단부를 눌러주게 되면 상기 누름버튼(46)에 연결되어 있는 록커(38)는 힌지(40)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록커(38)의 걸림턱(44)은 홀더(32)의 외측 방향으로 벌어지며 뚜껑 본체(10)의 결합구(12) 둘레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14)에서 이탈하며 뚜껑 손잡이(20)를 뚜껑 본체(10)에서 분리시키게 된다.
상기 스프링(50)은 상기 홀더(32)의 양측에 힌지(40) 결합되어 있는 두 개의 록커(38)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누름버튼(46)의 누름압력으로 록커(38)가 회전하며 걸림턱(44)이 홀더(32)의 외측 방향으로 벌어지고 나면 압축력을 발생시킨 상태에서 상기 누름버튼(46)의 누름압력을 해지하고 나면 팽창하며 록커(38)를 초기상태로 복귀시키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접시 및 받침판 기능이 되는 뚜껑의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먼저, 뚜껑 본체(10)에 뚜껑 손잡이(20)를 결합시킨 상태에서는 본 발명의 뚜껑은 조리용기의 상면에 덮혀지며 음식물이 흘러넘치지 않도록 하는 뚜껑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데, 만일 뚜껑 본체(10)를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접시나 혹은 냄비 등의 조리기구를 받칠 수 있는 받침판으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뚜껑 손잡이를 뚜껑 본체에서 분리시켜 사용토록 한다.
구체적으로 뚜껑 손잡이(20)의 손잡이 헤드(30) 양측에 노출되어 있는 누름버튼(46)의 선단부를 눌러주게 되면 상기 누름버튼(46)에 연결된 상태에서 홀더(32)의 양측에 각각 힌지(40)로 결합되어 있는 록커(38)는 상기 누름버튼(46)의 누름 압력에 따라 상기 힌지(40)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록커(38)의 끝단에 절곡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44)은 뚜껑 본체(10)의 결합구(12) 둘레면에 함몰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14)에 걸려진 상태에서 상기 록커(38)의 회전 동작에 따라 홀더(32) 외측 방향으로 벌어지며 상기 걸림홈(14)에서 이탈하게 됨으로서 뚜껑 본체(10)의 결합구(12)에 고정되어 있는 뚜껑 손잡이(20)를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뚜껑 손잡이(20)가 분리되고 나면 뚜껑 본체(10)는 원판 형태로 평평하게 제작된 특성상 바닥면에 올려놓는 것만으로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접시나 혹은 냄비 등의 조리기구를 받칠 수 있는 받침판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더불어 뚜껑 본체(10)의 상, 하면 둘레에 부착되어 있는 실리콘 링(16, 18)이 바닥면과 접촉하며 미끌림을 방지하게 됨으로서 보다 안정적으로 접시나 받침판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10: 뚜껑 본체 12: 결합구
14: 걸림홈 16, 18: 실리콘 링
20: 뚜껑 손잡이 30: 손잡이 헤드
34: 홀더 38: 록커
40: 힌지 42: 돌기부
44: 걸림턱 46: 누름버튼
50: 스프링

Claims (2)

  1. 뚜껑 본체(10)와, 상기 뚜껑 본체(10)의 상단에 설치되는 결합구(12), 상기 결합구(1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 손잡이(20)로 구성한 접시 및 받침판 기능이 되는 뚜껑에 있어서,
    상기 뚜껑 손잡이(20)는;
    내부에는 공간(32)이 형성되고 그 양측으로는 누름버튼(46)이 각각 설치 구성된 손잡이 헤드(30)와;
    상기 손잡이 헤드(30)의 공간(32)에 끼워지는 홀더(34)와;
    상기 홀더(32)의 양측에 힌지(40) 결합되며 선단은 상기 누름버튼(46)에 연결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누름버튼(46)의 누름 동작에 따라 상기 힌지(40)를 중심으로 회전 동작하는 록커(38)와;
    상기 록커(38)의 끝단에 상기 홀더(32)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뚜껑 본체(10)의 결합구(12) 둘레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14)에 걸려진 상태에서 상기 록커(38)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홀더(32)의 외측 방향으로 벌어지며 상기 걸림홈(14)에서 이탈하는 걸림턱(44) 및 ;
    상기 록커(38)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누름버튼(46)의 동작으로 상기 힌지(40)를 중심으로 회전 동작한 상기 록커(38)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50)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시 및 받침판 기능이 되는 뚜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본체(10)는 원판 형태로 상, 하면은 평평하게 제작되며, 상기 뚜껑 본체(10)의 상, 하면에는 실리콘 링(16, 18)이 더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시 및 받침판 기능이 되는 뚜껑.


KR1020130148930A 2013-12-03 2013-12-03 접시 및 받침판 기능이 되는 뚜껑 KR201500643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8930A KR20150064336A (ko) 2013-12-03 2013-12-03 접시 및 받침판 기능이 되는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8930A KR20150064336A (ko) 2013-12-03 2013-12-03 접시 및 받침판 기능이 되는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4336A true KR20150064336A (ko) 2015-06-11

Family

ID=53502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8930A KR20150064336A (ko) 2013-12-03 2013-12-03 접시 및 받침판 기능이 되는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433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10895A (zh) * 2019-10-08 2020-01-21 湖北工业大学 一种新型千层饼机
KR102149613B1 (ko) * 2019-09-28 2020-08-28 김태준 식품용기
CN113784649A (zh) * 2019-10-07 2021-12-10 Lg电子株式会社 料理机
EP4039142A1 (en) * 2021-02-08 2022-08-10 BSH Hausgeräte GmbH Combination component for rotational combination, handle, household appliance and method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613B1 (ko) * 2019-09-28 2020-08-28 김태준 식품용기
CN113784649A (zh) * 2019-10-07 2021-12-10 Lg电子株式会社 料理机
CN113784649B (zh) * 2019-10-07 2023-12-19 Lg电子株式会社 料理机
CN110710895A (zh) * 2019-10-08 2020-01-21 湖北工业大学 一种新型千层饼机
EP4039142A1 (en) * 2021-02-08 2022-08-10 BSH Hausgeräte GmbH Combination component for rotational combination, handle, household appliance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85167B2 (ja) 調理容器用着脱式取っ手
KR101037656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101063568B1 (ko)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
JP2016221288A (ja) 制御部材が設けられたバヨネット継手圧力調理器
JP2016221289A (ja) 容器ハンドルが設けられたバヨネット継手圧力調理器
KR20150064336A (ko) 접시 및 받침판 기능이 되는 뚜껑
JP2009519069A (ja) 積み重ね可能な調理器具用ハンドルおよびそのようなハンドルと器具とのセット
KR101215223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CA2629869A1 (en) Cooking receptacle with at least one pivoting handle
KR20170040789A (ko) 주방기구 배치부를 갖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뚜껑을 포함하는 조리기구
KR20120115346A (ko) 간편한 취급성을 갖는 기구
KR20090098645A (ko) 조리용기의 탈부착형 손잡이
JP2016501050A (ja) 調理容器用着脱式取っ手
KR101437758B1 (ko)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
KR101140398B1 (ko)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
KR101570707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20120107343A (ko) 조리용기용 손잡이 착탈장치
WO2018158034A1 (en) Cooking vessel having lid with integrated opening for pouring off cooking liquid
KR101409024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양수 손잡이
JP6033964B2 (ja) 調理容器用着脱式取っ手
KR200494483Y1 (ko) 조리용기용 와이어브라켓 형태의 본체손잡이 파지장치
JP2017051530A (ja) 蓋、及びその蓋が用いられる内釜を有する炊飯器
KR20120126483A (ko) 탈부착식 손잡이
KR101520321B1 (ko) 조리용기용의 착탈식 손잡이
KR101146368B1 (ko) 조리용기용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