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3798A - 조리용기용 손잡이 - Google Patents

조리용기용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3798A
KR20040043798A KR1020020072204A KR20020072204A KR20040043798A KR 20040043798 A KR20040043798 A KR 20040043798A KR 1020020072204 A KR1020020072204 A KR 1020020072204A KR 20020072204 A KR20020072204 A KR 20020072204A KR 20040043798 A KR20040043798 A KR 20040043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handle
gear
cooking
cooking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2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호
Original Assignee
최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정호 filed Critical 최정호
Priority to KR1020020072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3798A/ko
Publication of KR20040043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379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4Supports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용기용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가열기구로 가열되어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용구(10)에 착탈이 가능한 손잡이(100)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00)의 외형을 파지가 간편하도록 라운드로 형성한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의 전면 상부에 형성되어 조리용기(10)의 상부에서 내부측에 안치되어 고정하는 고정부(120)와, 상기 고정부(120)의 하부에 몸체부(110)의 내부에서 전면측으로 형성되어 조리용기(10)를 록킹하기 위해서 하부방향으로 절곡된 록킹판(131)을 형성하고 록킹판(131)의 후부에 형성되어 연동되는 슬라이드 판(132)의 구동으로 록킹판(131)이 전면으로 이동하여 고정부(120)에 고정된 조리용기(10)를 하부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고정부(120)와 맞물리도록 고정하는 록킹부(130)와, 상기 록킹부(130)의 하부에 결합된 기어(141)의 구동으로 록킹부(130)를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부(140)와, 상기 록킹부(130)의 후부에 스토퍼(151)를 결합하여 록킹부(130)가 전진하여 조리용기(10) 록킹한 상태를 유지하거나 해제하는 멈춤부(150)로 형성한 것이므로 한번의 조작으로 록킹 및 해제를 수행하여 착탈이 간편하고 기어와 스토퍼로 록킹이 유지되어 조리용기의 두께와 관계없이 사용될 수 있어 보관이 용이하고 사용이 간편하며 두께에 제한을 받지 않으므로 실용적인 경제적으로 뛰어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리용기용 손잡이 {handle for cooking container}
본 발명은 조리용기용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용기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조리용기로 가열 조리할 때 손잡이와 분리한 상태로 조리하고 조리가 완료되면 견편하게 결합하여 뜨거운 조리용기를 옮길 수 있을 뿐만아니라 손잡이 없는 조리용기를 적층보관하여 운반 및 보관성을 향상시켜 사용을 편리하게 하고 간단한 조작으로 조리용기에 착탈이 가능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하고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조리용기용 손잡이를 제공함에 있다.
일반적으로 조리용기는 각종 음식물의 조리과정에 따라 솥, 냄비 및 후라이팬 등의 조리용기 하부를 가스레인지 등의 가열기구로 가열하여 전체적인 열에 의해서 음식물을 찌거나 굽는 등의 각종 조립법으로 음식물을 맛있게 먹을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솥, 냄비 및 후라이팬과 같이 가열되는 조리용기는 외부에도 열이 발생되므로 외부에 손잡이를 형성하여 이를 손으로 파지하거나 두꺼운 장갑등을 이용하여 화상을 방지하면서 조리된 음식물을 옮길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찌개류의 경우에는 뚝배기라는 특수한 그릇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는 손잡이 없이 고온에서 끓여낸 후에 집게를 이용하여 식탁까지 운반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손잡이를 이용한다고 해도 조리용기에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장시간 조리시에 간접적으로 계속 열을 전달받아 파지 시에 화상의 위험이있으며 집게를 이용할 때에는 숙련되지 않은 사람이 올바르게 파지하지 않거나 힘이 떨어져 놓치게 되면 뜨거운 음식물이 사방으로 튀어 화상을 입는 안전사고가 빈번하였다.
그리고 손잡이가 형성된 그릇의 경우에는 보관에 있어서도 각 손잡이에 의해 따로 보관하여야 하여 공간을 많이 차지하므로 보관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오늘날에는 절첩되는 손잡이 및 착탈이 가능한 손잡이도 개발되었으나 절첩되는 손잡이에 경우에는 보관은 용이할지 모르나 절첩되는 면이 조리용기의 외부에 닿아서 열이 전달되므로 화상의 위험성이 상존하였으며 착탈이 가능한 손잡이의 경우에는 착탈이 가능하여 보관도 용이하고 열이 전달되지 않아 화상이 위험성도 없었지만 체결수단을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함으로 구조적으로 문제가 있을 뿐 아니라 체결수단 자체가 조리용구에 부착된 경우에는 조리용구가 가열되는 열이 체결수단에 전달되어 손잡이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화상을 입는 등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착탈되는 손잡이에 경우에 체결수단이 손잡이 자체로 형성되었다 하더라도 손잡이를 조리용구의 턱에 거치한 상태에서 나사로 조여서 간극을 조절하여 고정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등 조립 및 해체가 어려워 불편하였고, 가열 조리된 음식물이 손잡이 체결로 시간이 지체되어 타버리거나 맛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한번의 조작으로 체결되는 손잡이는 조리용구의 일정한 두께만 사용되도록 형성하여 일정한 두께의 제품이 아니면 사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뚝배기와 같이 다른 형태의 테두리를 가진 형상에 대해서도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의 주목적은 미끄럼 방지턱이 형성된 고정부로 조리용구의 내부측면을 고정한 상태에서 록킹부를 랙과 기어로 슬라이딩 시켜 조리용구의 두께와 상관없이 록킹한 상태로 기어와 스토퍼로 형성된 멈춤부로 고정하여 손잡이를 형성하는 것으로 록킹부의 슬라이딩과 스토퍼가 연동되어 한번의 조작으로 간편하고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가열된 조리용기를 신속하게 이동하여 음식물의 질을 향상할 뿐만 아니라 사용이 간단하고 편리하여 숙련되지 않아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조리용기용 손잡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록킹부와 연동되어 스토퍼와 기어의 구동으로 록킹상태를 유지하는 멈춤부에 해제핀을 형성하여 스프링에 의해 스톱퍼의 스톱상태를 유지하는 스토퍼를 해제핀으로 밀어 한번에 동작으로 록킹부 록킹판이 후퇴하면서 록킹상태가 해제 되므로 간편하게 조리용구를 식탁에 이송후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리용구에 손잡이가 없으므로 겹쳐서 보관하여 보관이 용이하고 이동도 간편한 조리용기용 손잡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조리용기용 손잡이에 따른 사용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조리용기용 손잡이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조리용기용 손잡이에 따른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조리용기용 손잡이에 따른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조리용기용 손잡이에 따른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절개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조리용기용 손잡이에 따른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절개 평면도.
*도면에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조리용기 11 : 턱
100 : 손잡이 110 : 몸체부
111 : 지지돌기 120 : 고정부
121 : 고정판 122 : 미끄럼 방지편
130 : 록킹부 131 : 록킹판
132 : 슬라이드판 133 : 복귀스프링
134 : 지지돌기 135 : 랙
136 : 멈춤기어 140 : 슬라이딩부
141 : 기어 142 : 손잡이
143 : 고정핀 150 : 멈춤부
151 : 스톱퍼 152 : 해제핀
153 : 스프링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조리용기용 손잡이는 가열기구로 가열되어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용구에 착탈이 가능한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외형을 파지가 간편하도록 라운드로 형성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의 전면 상부에 형성되어 조리용기의 상부에서 내부측에 안치되어 고정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하부에 몸체부의 내부에서 전면측으로 형성되어 조리용기를 록킹하기 위해서 하부방향으로 절곡된 록킹판을 형성하고 록킹판의 후부에 형성되어 연동되는 슬라이드 판의 구동으로 록킹판이 전면으로 이동하여 고정부에 고정된 조리용기를 하부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고정부와 맞물리도록 고정하는 록킹부와, 상기 록킹부의 하부에 결합된 기어의 구동으로 록킹부를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록킹부의 후부에 스토퍼를 결합하여 록킹부가 전진하여 조리용기 록킹한 상태를 유지하거나 해제하는 멈춤부로 형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에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조리용기의 일측의 상부에서 내부로 형성된 고정판에 내부측에 조리용기와 접촉되는 면에 미끄럼 방지편을 형성하여 조리용기 록킹시에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형성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에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록킹부는 록킹판과 연동되는 슬라이드판의 중앙에 지지돌기을 형성하되 지지돌기와 몸체부의 내부 중앙에 형성된 지지돌기에 록킹 해제시에 복귀력을 가지는 복귀스프링을 설치하고 하부에는 치차형태의 랙을 형성하여 슬라이딩부의 기어와 치차결합하며 후측 단부에는 기어 형상의 멈춤기어를 형성하여 멈춤부와 연동되도록 형성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에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는 록킹부의 하부에 랙과 치차결합 되도록 지지핀으로 지지된 기어를 설치하되 기어의 일측에서 하부로 긴 바 형상의 손잡이를 형성하여 손잡이의 조작으로 기어와 록킹부가 연동되도록 형성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에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멈춤부는 록킹부의 후측 단부에 형성된 멈춤기어에 결합되어 전진시에는 같은 경사각으로 전진하여 록킹하면서 후진을 방지하도록 반대의 경사각으로 맞물려 지지하는 쐐기형태의 스토퍼를 형성하되 스토퍼의 후부에는 스프링을 설치하여 후진을 방지하는 지지상태를 유지하고 스프링과 같은 축선상에 해제핀을 몸체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록킹 해제시에 해제핀을 눌러서 스프링의 지지력을 해제하여 복귀스프링의 복귀력으로 록킹부가 후진하도록 형성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에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조리용기용 손잡이에 따른 사용상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조리용기용 손잡이에 따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조리용기용 손잡이에 따른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조리용기용 손잡이에 따른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조리용기용 손잡이에 따른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절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조리용기용 손잡이에 따른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절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리용구용 손잡이(100)는 손으로 파지하기 편하도록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된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에 인입되어 전면으로 돌출 형성되어 조리용기(10)의 상면에서 내부로 절곡되어 조리용기(10)의 상부에 안치되는 고정부(120)와, 상기 고정부(120)의 하부에 몸체부(110) 내부에서 전면으로 돌출 형성되고 중앙에는 복귀스프링(133)과 하부에는 랙(135)을 구비하여 슬라이드판(132)울 전후로 구동시켜 고정부(120)와 맞물리면서 조리용기(10)를 록킹하는 록킹부(130)와, 상기 록킹부(130)의 중앙 하부에 랙(135)과 치차결합된 기어(141)의 구동으로 슬라이딩판(132)을 슬라이딩 시키는 슬라이딩부(140)와, 상기 슬라이딩부(140)에 의해 록킹부(130)의 전후 작동시에 록킹상태를 유지 및 해제하도록 록킹부(130)의 후방 단부에 형성하여 지지하는 멈춤부(150)로 구성한다.
상기 몸체부(110)는 고정부(120), 록킹부(130) 및 멈춤부(150)를 내부에 형성하고 하부에 슬라이딩부(140)를 형성하여 파지가 간편하도록 라운딩 형상으로 구성하고 내부에는 록킹부(130)의 복귀스프링(133)을 고정하는 지지돌기(111)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고정부(120)는 몸체부(110)의 내부의 전면 상부에 형성되어 조리용기(10)의 상부에서 내부측에 안치되어 고정하도록 하방으로 절곡된 고정판(121)을 형성하고 고정판(121)의 내측인 조리용기(10)와 접촉되는 면에 미끄럼 방지편(122)을 형성하여 조리용기(10) 록킹시에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록킹부(130)는 고정부(120)의 하부에 몸체부(110)의 내부에서 전면측으로 형성되어 조리용기(10)를 록킹하기 위해서 하부방향으로 절곡된 록킹판(131)을 형성하고 록킹판(131)과 연동되는 슬라이드판(132)의 중앙에 지지돌기(134)를 형성하되 지지돌기(134)와 몸체부(110)의 내부 중앙에 형성된 지지돌기(111) 사이에 록킹해제시에 복귀력을 가지는 복귀스프링(133)을 설치하고 슬라이드판(132)의 하부에는 치차 형상이 랙(135)을 형성하며 말단에는 기어 형상의 멈춤기어(136)를 형성하여 멈춤부(150)와 연동되도록 형성하여 슬라이드판(132)의 구동으로 록킹판(131)이 전면으로 이동하여 고정부(120)가 안치된 조리용기(10)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고정부(120)와 맞물리도록 고정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슬라이딩부(140)는 몸체부(110) 하부 중앙에 지지핀(143)으로 일측에서 하부로 긴 바 형상의 손잡이(142)가 형성된 기어(141)를 지지하되 기어(141)의 상부에는 록킹부(130)의 랙(135)과 연동되도록 결합시켜서 손잡이(142)의 구동으로 기어(141)가 회전하면 랙(135)이 설치된 슬라이드판(133)이 연동되어 록킹판(131)이 전진하므로 고정부(120)와 맞물려 조리용기(10)를 록킹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멈춤부(150)는 록킹부(130)의 슬라이드판(132) 후부 단부에 형성된 멈춤기어(136)에 결합되어 전진시에는 같은 경사각으로 전진하여 록킹하면서 후진을 방지하도록 반대의 경사각으로 맞물려 지지하는 쐐기형태의 스토퍼(151)를 형성하되 스토퍼(151)의 후부에는 스프링(153)을 설치하여 후진을 방지하는 지지상태를 유지하고 스프링(153)과 같은 축선상에 해제핀(152)을 몸체부(110)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록킹 해제시에 해제핀(153)을 눌러서 스프링(153)의 지지력을 해제하여 록킹부(130)에 형성된 복귀스프링(133)의 복귀력으로 슬라이딩판(132)이 후진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록킹이 해제된 상태를 초기상태로 하고 초기상태의 손잡이(100) 조리용기(10)의 일측 턱(11)에 고정부(120)가 상부에서 내부측으로 미끄럼방지턱(121)이 조리용기(10)의 일측 내부에서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위치하여 안치한다.
이렇게, 고정부(120)가 안치되면 하부에 형성된 슬라이딩부(140)의 손잡이(142)를 상부측으로 당겨서 기어(141)를 구동하고 기어(141)의 구동으로 상부의 랙(135)에 치차 결합된 슬라이드판(132)이 전진하면 슬라이드판(132)의 전면에 하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록킹부(131)가 전진되면서 사이에 조리용기(10)의 턱(11)을 인입한 상태로 고정부(120)의 고정판(121)과 록킹부(130)의 록킹판(131)이 맞물려 록킹된다.
이런, 록킹을 유지하기 위해서 전진하는 슬라이드판(132)의 후부에 형성된 멈춤기어(136)와 결합된 멈춤부(150)의 스토퍼(151)는 후부를 스프링(153)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전진시에 같은 방향의 경사각에 의해 전진되다가 록킹 완료후 후진시에는 반대방향의 경사각으로 형성되어 스프링(153)으로 지지되면서 후진을 방지하여 견고하게 조리용기(10)를 지지하는 손잡이(100)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렇게, 보관시나 조리용기(10)의 손잡이(100)가 필요없을 시에는 록킹되어 후진을 방지하도록 스프링(153)으로 지지된 스토퍼(151)를 스프링(153)과 같은 축선상에 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해제핀(152)을 가압하여 스프링(153)에 지지되는 스토퍼(151)를 멈춤기어(136)에서 이격하여 록킹부(130)의 중앙에 형성되어 몸체부(110)의 지지돌기(111)와 록킹부(130) 지지돌기(134)로 지지되는 복귀스프링(133)의 복귀력에 의해 록킹부(130)가 후퇴하여 슬라이딩부(140) 기어(141)가 역회전하여 손잡이(142)가 하부로 내려간 상태로 조리용기(10)에서 손잡이(100)를 이탈시킬수 있는 초기상태로 복귀된다.
따라서, 조리용기(10)에 고정부(120)를 미끄럼방지턱(121)에 접촉된 상태에서 안착하여 슬라이딩부(140)의 손잡이(142)를 조작하면 슬라이드판(132)의 랙(135)과 결합된 기어(141)가 회전하면 후부에 멈춤기어(136)가 형성된 슬라이드판(133)이 멈춤기어(136)가 스토퍼(151)에 결합된 상태로 전진하면서 고정부(120)가 안치된 조리용기(10)에 록킹판(130)이 가압되어 록킹이 완료되면 스토퍼(151)에 멈춤기어(136)가 지지되어 후진을 방지하여 견고하게 록킹되므로 슬라이딩부(130) 손잡이(132)의 한번에 조작으로 조리용기(10)의 두께에 관계없이 슬라이딩부(140), 록킹부(130) 및 멈춤부(150)가 연동되어 록킹을 수행하고, 록킹 해제시에는 견고한 록킹을 지지하도록 후진을 방지하도록 스프링(153)으로 지지된 스토퍼(151)에 스프링(153)과 같은 축선상에 몸체부(110)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해제핀(152)을 가압하여 스토퍼(151)를 멈춤기어(136)에서 이격하면 슬라이드판(132)의 중앙에 형성된 복귀스프링(133)의 복귀력에 의해 록킹부(130)가 후퇴하여 록킹을 해제한 상태로 주방용기(10)로부터 손잡이(100)를 이탈할 수 있는 초기상태로 복귀하므로 해제핀(152)의 한번의 조작으로 록킹을 해제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한번의 조작으로 간편하게 록킹 및 해제가 가능하여 용이하게 착탈되고 조리용기의 두께와 상관없이 견고하게 록킹되는 조리용기용 손잡이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리용기용 손잡이는 가열기구로 가열되어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용구(10)에 착탈이 가능한 손잡이(100)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00)의 외형을 파지가 간편하도록 라운드로 형성한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의 전면 상부에 형성되어 조리용기(10)의 상부에서 내부측에 안치되어 고정하는 고정부(120)와, 상기 고정부(120)의 하부에 몸체부(110)의 내부에서 전면측으로 형성되어 조리용기(10)를 록킹하기 위해서 하부방향으로 절곡된 록킹판(131)을 형성하고 록킹판(131)의 후부에 형성되어 연동되는 슬라이드 판(132)의 구동으로 록킹판(131)이 전면으로 이동하여 고정부(120)에 고정된 조리용기(10)를 하부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고정부(120)와 맞물리도록 고정하는 록킹부(130)와, 상기 록킹부(130)의 하부에 결합된 기어(141)의 구동으로 록킹부(130)를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부(140)와, 상기 록킹부(130)의 후부에 스토퍼(151)를 결합하여 록킹부(130)가 전진하여 조리용기(10) 록킹한 상태를 유지하거나 해제하는 멈춤부(150)로 형성한 것으로 한번의 조작으로 록킹 및 해제를 수행하여 착탈이 간편하고 기어와 스토퍼로 록킹이 유지되어 조리용기의 두께와 관계없이 사용될 수 있어 보관이 용이하고 사용이 간편하며 두께에 제한을 받지 않으므로 실용적인 경제적으로 뛰어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5)

  1. 가열기구로 가열되어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용구(10)에 착탈이 가능한 손잡이(100)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00)의 외형을 파지가 간편하도록 라운드로 형성한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의 전면 상부에 형성되어 조리용기(10)의 상부에서 내부측에 안치되어 고정하는 고정부(120)와,
    상기 고정부(120)의 하부에 몸체부(110)의 내부에서 전면측으로 형성되어 조리용기(10)를 록킹하기 위해서 하부방향으로 절곡된 록킹판(131)을 형성하고 록킹판(131)의 후부에 형성되어 연동되는 슬라이드 판(132)의 구동으로 록킹판(131)이 전면으로 이동하여 고정부(120)에 고정된 조리용기(10)를 하부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고정부(120)와 맞물리도록 고정하는 록킹부(130)와,
    상기 록킹부(130)의 하부에 결합된 기어(141)의 구동으로 록킹부(130)를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부(140)와,
    상기 록킹부(130)의 후부에 스토퍼(151)를 결합하여 록킹부(130)가 전진하여 조리용기(10) 록킹한 상태를 유지하거나 해제하는 멈춤부(15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손잡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20)는 조리용기(10)의 일측의 상부에서 내부로 형성된 고정판(121)에 내부측에 조리용기(10)와 접촉되는 면에 미끄럼 방지편(121)을 형성하여 조리용기(10) 록킹시에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손잡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130)는 록킹판(131)과 연동되는 슬라이드판(132)의 중앙에 지지돌기(134)을 형성하되 지지돌기(134)와 몸체부(110)의 내부 중앙에 형성된 지지돌기(111)에 록킹 해제시에 복귀력을 가지는 복귀스프링(133)을 설치하고 하부에는 치차형태의 랙(135)을 형성하여 슬라이딩부(140)의 기어(141)와 치차결합하며 후측 단부에는 기어 형상의 멈춤기어(136)를 형성하여 멈춤부(150)와 연동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구용 손잡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140)는 록킹부(130)의 하부에 랙(135)과 치차결합 되도록 지지핀(143)으로 지지된 기어(141)를 설치하되 기어(141)의 일측에서 하부로 긴 바형상의 손잡이(142)를 형성하여 손잡이(142)의 조작으로 기어(141)와 록킹부(130)가 연동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손잡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부(150)는 록킹부(130)의 후측 단부에 형성된 멈춤기어(136)에 결합되어 전진시에는 같은 경사각으로 전진하여 록킹하면서 후진을 방지하도록 반대의 경사각으로 맞물려 지지하는 쐐기형태의 스토퍼(151)를 형성하되 스토퍼(151)의 후부에는 스프링(153)을 설치하여 후진을 방지하는 지지상태를 유지하고 스프링(153)과 같은 축선상에 해제핀(152)을 몸체부(110)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록킹 해제시에 해제핀(152)을 눌러서 스프링(153)의 지지력을 해제하여 복귀스프링(133)의 복귀력으로 록킹부(130)가 후진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손잡이.
KR1020020072204A 2002-11-20 2002-11-20 조리용기용 손잡이 KR200400437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2204A KR20040043798A (ko) 2002-11-20 2002-11-20 조리용기용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2204A KR20040043798A (ko) 2002-11-20 2002-11-20 조리용기용 손잡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4711U Division KR200303457Y1 (ko) 2002-11-20 2002-11-20 조리용기용 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3798A true KR20040043798A (ko) 2004-05-27

Family

ID=37340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2204A KR20040043798A (ko) 2002-11-20 2002-11-20 조리용기용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3798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239B1 (ko) * 2006-06-21 2007-08-23 주식회사 대성쿡웨어 조리용기용 손잡이
ITVR20110020A1 (it) * 2011-02-04 2012-08-05 Tvs Spa Manico amovibile per pentole, tegami, e simili
KR101217640B1 (ko) * 2010-06-11 2013-01-02 주식회사 서원팰러스 탈착식 자루
KR101244391B1 (ko) * 2010-08-18 2013-03-19 김대영 용기와 착탈식 손잡이의 결합구조
WO2016068529A2 (ko) 2014-10-27 2016-05-06 주식회사 포켓드림 착탈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
KR101959964B1 (ko) 2017-12-20 2019-03-20 주식회사 포켓드림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
KR200491221Y1 (ko) 2018-09-10 2020-03-05 박정순 탈착식 뚝배기 파지구
KR20200082897A (ko) 2018-12-31 2020-07-08 주식회사 포켓드림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
KR20220020503A (ko) 2020-08-12 2022-02-21 양원준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239B1 (ko) * 2006-06-21 2007-08-23 주식회사 대성쿡웨어 조리용기용 손잡이
KR101217640B1 (ko) * 2010-06-11 2013-01-02 주식회사 서원팰러스 탈착식 자루
KR101244391B1 (ko) * 2010-08-18 2013-03-19 김대영 용기와 착탈식 손잡이의 결합구조
ITVR20110020A1 (it) * 2011-02-04 2012-08-05 Tvs Spa Manico amovibile per pentole, tegami, e simili
EP2484256A1 (en) * 2011-02-04 2012-08-08 TVS S.p.A Removable handle for pots, pans and the like
WO2016068529A2 (ko) 2014-10-27 2016-05-06 주식회사 포켓드림 착탈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
KR101959964B1 (ko) 2017-12-20 2019-03-20 주식회사 포켓드림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
KR200491221Y1 (ko) 2018-09-10 2020-03-05 박정순 탈착식 뚝배기 파지구
KR20200082897A (ko) 2018-12-31 2020-07-08 주식회사 포켓드림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
KR20220020503A (ko) 2020-08-12 2022-02-21 양원준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85167B2 (ja) 調理容器用着脱式取っ手
KR101037656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200303457Y1 (ko) 조리용기용 손잡이
KR100971872B1 (ko) 조리용기의 탈부착형 손잡이
KR101140459B1 (ko) 탈착식 손잡이가 달린 주방용기
US20120037639A1 (en) Interchangeable Pan
KR20040043798A (ko) 조리용기용 손잡이
US3269765A (en) Detachable handles
KR101140398B1 (ko)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
KR100832748B1 (ko) 조리용기용 집게
US20140197186A1 (en) Cookware Item with Spoon Receiving Recess
KR20120107343A (ko) 조리용기용 손잡이 착탈장치
KR101388894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101409024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양수 손잡이
US20050167435A1 (en) Locking cookware article
KR101300211B1 (ko) 조리 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101062046B1 (ko)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이 용이한 조리용기의 운반이 용이하도록 탈,부착되는 손잡이
KR101046866B1 (ko) 조리용기의 탈부착형 손잡이
KR20150064336A (ko) 접시 및 받침판 기능이 되는 뚜껑
KR200264123Y1 (ko) 조리용기용 손잡이
KR101268172B1 (ko)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
KR101520321B1 (ko) 조리용기용의 착탈식 손잡이
KR101146368B1 (ko) 조리용기용 손잡이
KR20120110802A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102340273B1 (ko) 조리용기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