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7640B1 - 탈착식 자루 - Google Patents

탈착식 자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7640B1
KR101217640B1 KR1020100055360A KR20100055360A KR101217640B1 KR 101217640 B1 KR101217640 B1 KR 101217640B1 KR 1020100055360 A KR1020100055360 A KR 1020100055360A KR 20100055360 A KR20100055360 A KR 20100055360A KR 101217640 B1 KR101217640 B1 KR 101217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gripping
gripping member
cooking vessel
head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5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5561A (ko
Inventor
서기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원팰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원팰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원팰러스
Priority to KR1020100055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7640B1/ko
Publication of KR20110135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5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7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7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1Saucepan, frying-pan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2Bowl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두 두께를 달리하는 이종의 조리용기들 모두에 공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한 것으로서, 조리용기의 운두 외벽과 접촉하는 고정파지요소를 갖는 동체와, 고정파지요소와의 관계에서 조리용기를 파지할 수 있도록 조리용기의 운두 내벽과 접촉하는 가동파지요소가 일단에 구비되며 수용실내에서 수평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고정파지요소에 대해 전.후진 함과 동시 타단에 구비되는 복원요소를 이용해 상시 해제상태로 복귀되는 가동 파지부재와, 동체의 상부에 가동 파지부재의 전.후진과는 교차하는 수직방향에서 지축을 이용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터리 노브 및 작동슬롯과 위치가 변하는 작동핀을 가지며 작동슬롯과 작동핀은 상호 협동하여 로터리 노브의 회전력을 가동 파지부재의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어 가동 파지부재의 전.후진을 이루게 하는 동력전달기구, 그리고 상기 가동 파지부재를 상기 조리용기의 운두 두께에 맞추어 파지상태를 유지케 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서, 로터리 노브가 정.역으로 회전됨에 따라 작동슬롯과 조리용기의 운두 두께에 맞추어 회전반경이 변화되는 작동핀의 상호 협동으로 다양한 두께의 운두를 가지는 조리용기 모두를 파지하거나 해제하게 된다.

Description

탈착식 자루{A detachable handle}
본 발명은 긴 자루가 구비되는 프라이팬이나 냄비 등과 같은 조리용기의 보관 또는 운반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기 위해 탈착방식으로 설치되는 자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두 두께를 달리하는 조리용기들 모두에 공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탈착식 자루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을 조리하는 프라이팬이나 냄비 등의 조리용기는 조리물들의 혼합과 앞.뒤의 고른 가열을 위한 뒤집기 등의 조리작업 또는 이동을 위해서 운두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자루가 필수적으로 설치되고 있는데, 그러한 자루는 조리용기의 운두로부터 돌출되어 그 조리용기의 부피를 불필요하게 증대시키게 되고, 또 이러한 조리용기의 부피 증대는 조리기구들의 진열 또는 보관에 많은 불편을 주고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근래에는 조리용기의 부피를 줄이고 조리 상황 등에 따라 파지하기 힘든 특히 가열된 조리용기나 기타 내용물이 담긴 조리용기를 이동시키기 위해 탈착방식으로 설치되는 자루가 개발되어 사용되어 있다.
이러한 탈착방식의 자루는 손으로 파지하기 적합한 길이를 가지는 봉형상의 동체와, 이 동체에 일점을 지축으로 회전하며 내.외로 출몰하는 레버 또는 로터리 노브, 그리고 이 레버 또는 로터리 노브의 회전운동을 이용해 동체의 앞부분에서 전후방으로 이동하며 조리용기의 운두를 파지 또는 해제하게 되는 가동 파지부재를 갖춘다. 나아가, 레버 또는 로터리 노브가 조리용기를 확실하게 파지하고 그 파지상태를 유지케하는 안전 잠금수단을 더 포함하는 자루도 있다.
이와같은 구성요소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자루는 양손이나 아니면 한손으로도 조작이 가능한지와 같은 사용에서의 편리성 또는 조리용기 파지나 잠금수단 작용상의 확실성 등과 같은 요소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과제를 가지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조리용기의 파지 시는 물론 해제 시 파지기구를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조작할 수 있음으로써 가열된 조리용기를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자루들을 개발하기 위해서 많은 시도가 이루어져 왔으며 앞으로도 이루어질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자루는 어느 1종의 조리용기에 한정되어 사용되고 있는, 즉 자루의 가동 파지부재는 그 파지두께가 특정 설계되어 두께를 달리는 운두를 가지는 이종의 조리용기들에는 사용되지 못하고 있으며, 그리고 두께를 달리하는 이종의 조리용기들에는 그에 따르는 파지두께를 가지는 각기의 자루들을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따르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가동 파지부재의 파지 두께가 조리용기 운두의 두께에 따라 자유로이 변화되게 하여 이종의 조리용기들 모두를 파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자루를 범용화하여 다양한 이종의 조리용기들에 공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한 탈착식 자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탈착식 자루는, 운두 두께를 달리하는 이종의 조리용기들 모두에 공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한 것으로서, 조리용기의 운두 외벽과 접촉하는 고정파지요소를 갖는 동체와, 고정파지요소와의 관계에서 조리용기를 파지할 수 있도록 조리용기의 운두 내벽과 접촉하는 가동파지요소가 일단에 구비되며 수용실내에서 수평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고정파지요소에 대해 전.후진 함과 동시 타단에 구비되는 복원요소를 이용해 상시 해제상태로 복귀되는 가동 파지부재와, 동체의 상부에 가동 파지부재의 전.후진과는 교차하는 수직방향에서 지축을 이용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터리 노브 및 작동슬롯과 위치가 변하는 작동핀을 가지며 작동슬롯과 작동핀은 상호 협동하여 로터리 노브의 회전력을 가동 파지부재의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어 가동 파지부재의 전.후진을 이루게 하는 동력전달기구, 그리고 상기 가동 파지부재를 상기 조리용기의 운두 두께에 맞추어 파지상태를 유지케 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서, 로터리 노브가 정.역으로 회전됨에 따라 작동슬롯과 조리용기의 운두 두께에 맞추어 회전반경이 변화되는 작동핀의 상호 협동으로 다양한 두께의 운두를 가지는 조리용기 모두를 파지하거나 해제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탈착식 자루는 조리용기의 운두 두께에 따라 그 파지 두께가 자유로이 변화되어 다양한 두께를 가지는 이종의 조리용기들 모두에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게함으로써, 자루를 공용화하여 주방기구를 가능한 줄임과 동시 사용에 편의는 물론 제품성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탈착식 자루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 주는 정면도.
도 2a,2b 및 도 2c는 본 발명 탈착식 자루의 상분할체를 분리시키어 보여 주는 평면도로서,
도 2a는 자루의 파지가 해제된 모습을 보여 주는 주는 설명도.
도 2b는 중간의 두께를 파지하는 모습을 보여 주는 설명도.
도 2c는 최소의 두께를 파지하는 모습을 보여 주는 설명도.
도 3은 도 2a의 A부분을 발췌하여 보여 주는 요부확대 평면도.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B-B선 부분을 따라 절단하여 보여 주는 확대 단면도로서,
도 4a는 해제버튼이 작동되지전의 모습을 보여 주는 설명도.
도 4b는 해제버튼이 작동되어 제어수단이 해제되는 모습을 보여 주는 설명도.
도 5a는 도 4a의 C-C선 부분을 따라 절단하여 보여 주는 단면도.
도 5b는 도 4a의 D-D선 부분을 따라 절단하여 보여 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 주는 단면도.
다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자루를 보이고 있다.
본 발명은 조리용기(1)의 운두(2)에 집게방식을 이용해 탈착식으로 설치되어 조리작업 또는 이동을 위해서 설치되는 자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자루는 파지하기에 적합한 잘록한 봉형상으로 이루는 동체(10)을 갖고 있다. 이 동체(10)의 내부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수용실(12)이 구비되며, 그 수용실(12)의 일단에는 개구(12a)를 갖는다.
또 동체(10)의 상면에는 로터리 노브(20)가 동체(10)의 앞부분에서 지축(21)을 이용해 이후에 설명할 가동 파지부재의 수평이동과 교차하는 수직방향에서 자유로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동체(10)의 상면으로 설치되는 로터리 노브(20)의 회전작용에 의해 동체(10) 내의 수용실(12)에서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가동 파지부재(30)가 개구(12a)를 통해 들락날락 함으로써, 조리용기를 파지하거나 해제하게 된다.
계속해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동체(10)는 가동 파지부재(30)를 중앙에 두고 상.하측으로 분리되는 상분할체(10a)와 하분할체(10b)로 분리,결합되게 구성된다. 이때 하분할체(10b) 측에 상기의 수용실(12)이 마련될 것이다.
여기서, 상분할체(10a)는 동체(10) 내의 가동 파지부재(30) 등 이후 설명할 부품들의 조립 및 교체를 위해서 동체(10)의 내부를 열고 닫는 덮개역할을 하며, 또한 하분할체(10b)와 상호 결합하여 가동 파지부재(30)의 전.후진 운동을 원활히 안내하게 된다. 이러한 상.하분할체들(10a,10b)은 스크루 등의 결속요소를 이용해 결속될 것이다.
그리고 동체(10)의 하분할체(10b)는 그 앞단에 조리용기 운두(2)의 외주벽과 맞대어지는 고정파지부(13)를 갖는다. 이때 고정파지부(13) 상부측에는 조리용기 운두(2)의 테두리(2a)가 턱걸림식으로 얹혀지게 된다. 이러한 턱걸림식의 얹힘은 자루(10)로 조리용기를 안정적으로 파지하게 됨으로써 조리용기가 자루로 부터 쉽게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하게될 것이다.
또 이렇게 구성되는 상.하분할체(10a,10b)의 사이에는 동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에서 자유로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 파지부재(30)가 개재 되는데, 이 가동 파지부재(30)는 그 앞단에 조리용기 운두(2)의 내주벽과 접촉하게 되는 가동파지부(32)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가동파지부(32)는 하분할체(10b)의 고정파지부(13)와 함께 작용하여 직접적으로 조리용기의 운두를 파지하거나 해제하게 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가동 파지부재(30)는 그 후단이 동체(10)의 수용실(12) 후방에 설치되는 복원요소(40)에 의해 탄력적으로 받쳐 있음으로써 이후에 설명할 해제버튼이 해제됨과 동시 복원요소(40)의 복원력에 의해 가동 파지부재(30)는 동체(10)의 전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가동 파지부재(30)에는 가동 파지부재(30)의 행정거리를 제한하는 슬롯(31)이 형성되어 있어 그 전.후진 작용이 일정 범위내에서 이루게 하고 있으며, 또 이러한 행정거리는 조리용기 운두(2) 최저의 두께와 최대 두께 모두를 수용하게 될 것이다.
한편 동체(10)의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전후진하는 가동 파지부재(30)와 동체(10)의 상면에서 자유로이 회전되는 로터리 노브(20)는 그 운동방향이 서로 교차방향으로 이루어지면서 상.하위치로 배치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로터리 노브(20)가 가동 파지부재(30)의 상부에 놓이게 된다.
이와같이 로터리 노브(20)와 가동 파지부재(30)의 배치관계에서 가동 파지부재(30)와 로터리 노브(20)의 사이에 동력전달기구(50)가 구비되어 로터리 노브(20)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어 조리용기의 파지 또는 해제작용을 위한 가동 파지부재(30)의 구동을 이루게 한다.
또한 상기의 동력전달기구(50)는 가동 파지부재(30)에 그 가동 파지부재(30)의 이동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에서 형성되는 작동슬롯(52)과 로터리 노브(20)의 저면에서 구비되는 통로를 따라 내.외측으로 이동, 즉 지축(21)을 지나는 지름선상을 따라 내.외 측으로 이동하며 그 위치가 변화되는 작동핀(54)으로 이루고 있으며, 이렇게 설치되는 동력전달기구(50)의 작동슬롯(52)과 작동핀(54)은 상호 협동하여 로터리 노브(20)의 회전력을 가동 파지부재(30)의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어 가동 파지부재(30)의 전.후진을 이루게 할 것이다. 여기서,작동핀(54)의 회전반경은 가동 파지부재(30)의 전.후진 행정거리를 제공한다.
그리고 작동핀(54)은 로터리 노브(20) 저면의 통로 내에서 복원요소(53)에 의해 상시 외측으로 자동 복귀되게하고 있다. 이때 작동핀(54)의 복귀를 위한 복원요소(53)는 상기에서 설명한 가동 파지부재(30)의 복원요소(40) 보다 큰 탄성계수를 갖는다.
따라서, 로터리 노브(20)가 정.역으로 회전됨에 따라 작동슬롯(52)과 조리용기의 운두(2) 두께에 맞추어 회전반경이 변화되는 작동핀(54)의 상호 협동으로 다양한 두께의 운두를 가지는 조리용기들 모두를 맞물어 파지하게 될 것이다.
또 가동 파지부재(30)는 그 파지상태가 유지.해제되게 하는 제어수단(60)을갖추고 있다.
이러한 제어수단(60)은 가동 파지부재(30)에 그 전.후진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작동공(34)의 내변에 구비되는 랙형의 치열(62)과, 이 치열(62)과의 관계에서 가동 파지부재(30)를 제동시킬 수 있도록 치열(62)과 접촉하며 내.외체(64a,64b)로 이루어 래칫구동방식으로 작동하는 제동요소(64), 그리고 제동요소(64)의 내.외체(64a,64b) 또는 제동요소(64)와 동체(10) 사이의 관계에서 제1 및 제2스플라인축(66,67)을 이용한 관계가 강제적으로 이탈되게하는 해제버튼(68)을 갖추어 가동 파지부재(30)를 조리용기의 운두 두께에 맞추어 파지상태를 유지하거나 해제하게 된다. 여기서, 제동요소(64)의 외체(64b)는 치열(62)과 협동하는 피니언형으로 이루고 있다.
또 제동요소(64)는 해제버튼(68) 하부 측에서 별도로 조립되어 그 해제버튼(68)을 중심축으로 하여 자유로이 회전을 이루게 하고 있다.
또한 제어수단(60)은 그 하단이 탄성요소(60a)를 이용해 탄력적으로 떠받치게 하고 있다. 이러한 탄성요소(60a)의 탄성계수는 해제버튼(68)의 해제를 위해 필요로 하는 힘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적당한 범위에서 선택될 것이다.
그러면 도 2a,2b,2c 및 도 3, 도 4a, 4b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 탈착식 자루로 조리용기를 파지 또는 해제하는 과정을 설명하겠다.
먼저, 도 2a의 경우를 보면 자루의 가동 파지부재(30)의 가동파지부(32)가 최대로 전진하여 조리용기(1)의 파지상태가 해제되어 운두(2)로부터 이탈 또는 파지를 위한 대기상태의 모습이다.
도 2b 및 도 2c는 동체(10)의 로터리 노브(20)가 도면에서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되어 파지상태의 모습을 보여 주고 있는데, 도 2b는 조리용기(1)의 운두(2)가 중간의 두께를 가진 경우의 파지상태를 보이고 있으며, 도 2c에서는 운두(2)가 최소의 두께를 가진 경우에서의 파지상태를 보이고 있다.
이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a에서 로터리 노브(2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어 도 2b 또는 도 2c와 같은 위치로 이동시키면 로터리 노브(20)의 회전력이 동력전달기구(50)의 작동핀(54)과 작동슬롯(52)을 통해 가동 파지부재(30)로 전달되어 전진되었던 가동 파지부재(30)의 가동파지부(32)를 동체(10)의 고정파지부(13) 측으로 후진시키면서 이들 가동 및 고정파지부들(32,13) 사이에 위치되는 조리용기(1)의 운두(2)를 맞물어 파지하게 된다.
이렇게 가동 파지부재(30)의 가동파지부(32)는 두께를 달리하는 조리용기(1)의 운두(2) 두께에 맞추어 가변적으로 변화되면서 이종의 조리용기들 모두를 파지하게 될 것이다. 이때 가동 파지부재(30)의 파지 두께 결정은 로터리 노브(20)에서 그 위치가 변화는 작동핀(54)의 회전반경에 의해 이룬다.
도 3 및 도 4a,4b는 가동 파지부재(30)의 구동을 단속하는 제어수단(60)의 작동과정을 보여 주는 설명도로서, 먼저 도 3은 가동 파지부재(30)가 화살표와 같이 조리용기 파지를 위해 후진하면 그 가동파지부재(30)의 후진력이 제어수단(60)의 제동요소(64)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제동요소(64)는 내.외체(64a,64b) 사이에서의 래칫구동에 의해 외체(64b)만 겉돌게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와 같이 가동 파지부재(30)의 후진이 정지, 즉 조리용기의 운두(2) 두께에 의해 가동 파지부재(30)의 후진이 정지되면 제동요소(64)의 외체(64b) 회전도 함께 정지됨과 동시, 래칫구동이 작용하여 제동요소(64)의 반시계방향으로의 역전이 정지되면서 가동 파지부재(30)의 그 파지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도 4a는 제어수단(60)의 치열(62)에 제동요소(64)가 접촉되어 가동 파지부재(30)가 통제되는 경우를 보이고 있다. 이와같이 가동 파지부재(30)는 제동요소(64)의 래칫구동에 의해 그 파지상태를 유지하게 될 것이다.
도 4b는 제어수단(60)의 해제버튼(66)에 해제를 위한 누름력이 가해져 가동 파지부재(30)의 구동을 통제하고 있던 제동요소(64)가 동체(10) 또는 제동요소(64)의 내.외체(64a,64b)과의 사이에서 관계하는 제1 및 제2스플라인축(66,67)이 강제적으로 이탈되어 해제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해제는 제동요소(64)의 외체(64b)가 공회전하는 자유상태로 복원요소(40)에 의해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있던 가동 파지부재(30)의 복원, 즉 후진상태에서 자동적으로 전진되면서 그 가동파지부(32)가 고정파지부(13)로부터 멀어지게 됨으로써 파지하고 있던 조리용기를 해제시키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본 실시 예에서는 동력전달기구(50)의 작동핀(54)이 상기에서와 같이 로터리 노브(20) 내에서 자유로이 이동가능하게 설치하고 복원요소(53)에 의해 상시 복귀되게 하였던 것을 로터리 노브(20) 내에서 리드스크루(55)를 이용해 작동핀(54)의 그 위치를 임의적이고 선택적으로 조절되게 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 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 :동체 20 :로터리 노브
30 :가동 파지부재 32 :가동파지부
40 :복원요소 50 :동력전달기구
60 :제어수단

Claims (3)

  1. 조리용기에 그 운두를 파지 또는 해제하면서 탈착식으로 설치되는 자루로서, 다음을 포함하는 것:
    파지하기 적합한 형상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그 내부에 수용실이 구비되며, 상기 조리용기의 운두 외벽과 접촉하는 고정파지요소를 갖는 동체;
    상기 고정파지요소와의 관계에서 상기 조리용기를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조리용기의 운두 내벽과 접촉하는 가동파지요소가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수용실내에 서 수평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고정파지요소에 대해 전.후진 함과 동시, 타단에 구비되는 복원요소를 이용해 상시 해제상태로 복귀되는 가동 파지부재;
    상기 동체의 상부에 상기 가동 파지부재의 전.후진과는 교차하는 수직방향에서 지축을 이용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터리 노브;
    상기 가동 파지부재의 일 측에 구비되는 작동슬롯과, 상기 로터리 노브의 저면에서 구비되는 통로를 따라 내,외 측으로 이동하며 위치가 변하는 작동핀을 가지며, 상기 작동슬롯과 상기 작동핀은 상호 협동하여 상기 로터리 노브의 회전력을 상기 가동 파지부재의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어 상기 가동 파지부재의 전.후진을 이루게 하는 동력전달기구; 및
    상기 가동 파지부재의 타 측에서 그 전ㆍ후진 운동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내변에 치열을 갖는 작동공과, 상기 작동공의 치열과 관계하며 상기 가동 파지부재를 임의의 위치에서 제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치열과 접촉하는 래칫구동방식의 제동요소, 그리고 상기 제동요소를 상기 동체와 스플라인축관계에서 강제적으로 이탈시키는 해제버튼을 갖추어 상기 가동 파지부재를 상기 조리용기의 운두 두께에 맞추어 파지상태를 유지케 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로터리 노브가 정.역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작동슬롯과 상기 조리용기의 운두 두께에 맞추어 회전반경이 변화되는 상기 작동핀의 상호 협동으로 다양한 두께의 운두를 가지는 상기 조리용기들을 맞물어 파지하거나 해제되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자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노브의 저면에서 구비되는 통로를 따라 내,외 측으로 이동하며 위치가 변하는 작동핀은 복원요소에 의해 그 위치가 상시 원위치로 복귀되게 한 것을 더 포함하는 탈착식 자루.
  3. 삭제
KR1020100055360A 2010-06-11 2010-06-11 탈착식 자루 KR101217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5360A KR101217640B1 (ko) 2010-06-11 2010-06-11 탈착식 자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5360A KR101217640B1 (ko) 2010-06-11 2010-06-11 탈착식 자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5561A KR20110135561A (ko) 2011-12-19
KR101217640B1 true KR101217640B1 (ko) 2013-01-02

Family

ID=45502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5360A KR101217640B1 (ko) 2010-06-11 2010-06-11 탈착식 자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764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3798A (ko) * 2002-11-20 2004-05-27 최정호 조리용기용 손잡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3798A (ko) * 2002-11-20 2004-05-27 최정호 조리용기용 손잡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5561A (ko) 2011-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85148C1 (ru) Отсоединяемое захва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одержащее средства для открытия образующих губки элементов
KR101037656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US4763567A (en) Stovetop corn popper
US20150313414A1 (en) Household Food Preparation Appliance Comprising a Working Container with a Device to Heat the Contents of the Working Container
US20090229418A1 (en) Hand-held device for removing an enclosure from a container
JP2007167638A (ja) 食品加工装置
KR101248661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TWM384633U (en) Rotary dehydrating tub for mop
WO2008078169A2 (en) Surgical tray latch
KR100883904B1 (ko) 조리용기용 탈착식 손잡이
KR101226750B1 (ko) 탈착식 자루
KR101217640B1 (ko) 탈착식 자루
CN205234346U (zh) 手柄可折叠的锅具
JP3665889B2 (ja) 調理容器把持用ニッパー
KR20110131950A (ko) 탈착식 자루
JP4711133B2 (ja) 容器ホルダ装置
KR200422596Y1 (ko) 탈착이 용이한 용기손잡이
KR101593377B1 (ko) 주방용기용 탈착식 손잡이
KR100339966B1 (ko) 조리용기 파지를 위한 집게
CN105358024B (zh) 小型食物处理器
KR101105791B1 (ko) 조리용기의 탈착식 손잡이
JP6542391B2 (ja) 調理容器用着脱式取っ手
WO2015144238A1 (en) Refrigeration appliance handle mechanism with natural opening effect
KR20060102594A (ko) 조리용기의 탈착식 손잡이
JP2011025996A (ja) 収納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