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9966B1 - 조리용기 파지를 위한 집게 - Google Patents

조리용기 파지를 위한 집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9966B1
KR100339966B1 KR1019990051945A KR19990051945A KR100339966B1 KR 100339966 B1 KR100339966 B1 KR 100339966B1 KR 1019990051945 A KR1019990051945 A KR 1019990051945A KR 19990051945 A KR19990051945 A KR 19990051945A KR 100339966 B1 KR100339966 B1 KR 100339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movable member
operating lever
chamber
cook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1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2041A (ko
Inventor
이상옥
Original Assignee
이상옥
주식회사 성창베네피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옥, 주식회사 성창베네피나 filed Critical 이상옥
Priority to KR1019990051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9966B1/ko
Priority to JP2000051524A priority patent/JP3245821B2/ja
Publication of KR20010012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2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9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99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18Holding or clamping devices for supporting fowl, venison, or other meat, or vegetables, during cooking or during subsequent 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10Devices for gripping or lifting hot cooking utensils, e.g. pincers, separate pot handles, fabric or like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ker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조리용기 파지를 위한 집게는 손으로 파지하기 적당한 봉형상을 이루며 앞단에 조리용기의 운두 외주벽과 접촉하게 되는 고정파지부와 그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실을 갖는 본체를 포함한다. 가동부재는 본체의 고정파지부와 협동하여 조리용기의 운두 내주벽과 접촉하여 조리용기를 맞물게 되는 가동파지부를 가지며, 또한 가동부재는 본체의 수용실에 수용되어 일단이 본체에 설치되는 스프링에 연결되어 본체의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작동레버는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본체의 장측변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수용실 내외로 출입된다. 동력전달 기구는 회전부재와 안내부재를 갖으며, 회전부재는 기어 또는 원반형태이며 안내부재는 회전부재에 상응하여 기어 또는 레일형태로 이루어진다. 회전부재와 안내부재는 상호 협동하여 작동레버가 수용실내로 수용됨에 따라 작동레버의 회전력을 가동부재의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킴으로써 가동부재가 수용실 내부로 이동되어 고정파지부와 함께 조리용기를 파지하게 된다. 작동레버가 수용실로 부터 퇴실하게 되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가동부재는 본체의 전방으로 이동되어 조리용기의 파지가 해제된다.

Description

조리용기 파지를 위한 집게{Tongs for holding a cooking container}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프라이팬, 남비등과 같은 조리용기를 파지하여 이동하기 위한 집게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열된 조리용기를 이동시 고열로 가열된 조리용기를 화상의 위험없이 안전하게 파지할 수 있는 조리용기 파지를 위한 집게에 관한 것이다.
손잡이가 없거나 있더라도 조리 상황 등에 따라 파지하기 힘든 특히 가열된 조리용기나 기타 내용물이 담긴 조리용기를 이동시키기 위해 여러가지 형태의 집게 내지 클램핑 기구가 개발되어 사용되어 오고 있다. 통상적으로 조리용기 파지를 위한 기구는 손으로 파지하기 적당한 봉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본체, 이 본체에 형성된 공간부 내외로 상하 방향으로 출입가능하게 회전식으로 설치되는 레버수단, 및 이 레버수단의 회전운동을 이용해 본체의 앞부분에서 전후방으로 이동하며 조리용기를 파지 또는 해제하게 되는 파지부재를 포함한다. 나아가, 레버수단이 공간부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조리용기를 확실하게 파지하기 위한 잠금수단을 더 포함하는조리용기 파지기구도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은 구성요소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조리용기 파지기구는 양손을 사용해야 하는지 아니면 한손으로도 조작이 가능한지와 같은 사용상의 편리성, 전체적인 구조상의 복잡성, 조리용기 파지의 확실성, 그리고 잠금수단의 작용상의 확실성 등과 같은 요소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촛점을 맞추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조리용기의 파지시는 물론 해제시 파지기구를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조작할 수 있음으로써 가열된 조리용기 등을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조리용기 파지기구를 개발하기 위해서 많은 시도가 이루어져 왔으며 앞으로도 이루어질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조리용기의 파지 및 해제를 확실히 함으로써 조리용기의 이동이나 파지를 안전하게 할 수 있는 조리용기 파지를 위한 집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동레버의 회전력을 가동부재의 직선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한 동력전달기구를 한편으로는 회전원반 및 이 회전원반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레일로 구성하거나 또다른 한편으로는 서로 맞물려 회전하는 한쌍의 기어로 구성함으로써 동력전달의 확실성을 확보하는 한편 조리용기의 파지에 따른 하중에도 능히 견딜 수 있는 조리용기 파지를 위한 집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 파지를 위한 집게는,
손으로 파지하기 적당한 형상으로 일정길이 종으로 연장되며, 조리용기의 운두 외주벽과 단부에서 접촉하는 고정파지부 및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실을 갖는 본체;
상기 고정파지부와의 관계에서 상기 조리용기를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조리용기의 운두 내주벽과 단부에서 접촉하는 가동파지부를 가지며 상기 수용실내에 수용되어 일단이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스프링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파지부에 대해 전후진가능하게 상기 본체내에 배치되는 가동부재;
일단에서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수용실 내외로 출입되는 작동레버;
회전부재와 안내부재를 갖으며,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안내부재는 상호 협동하여 상기 작동레버가 상기 수용실내로 수용됨에 따라 상기 작동레버의 회전력을 상기 가동부재의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킴으로써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수용실 내부로 이동되어 상기 고정파지부와 협동하여 상기 조리용기의 운두를 맞물어 파지하기 위한 동력전달기구; 및
상기 작동레버가 상기 수용실로 부터 퇴실됨에 따라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안내부재의 상호 협동관계가 해제되어 상기 스프링수단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고정파지부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조리용기의 파지가 해제되는 것;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 파지를 위한 집게를 보여 주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 파지를 위한 집게의 구성을 보여 주는 종단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요부 확대단면도,
도 4a, 4b는 본 발명 집게의 상부부재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로서, 도 4a는 집게가 조리용기를 파지한 모습을 보여 주며, 도 4b는 조리용기를 해제한 모습을 보여 주는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 파지를 위한 집게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집게의 작용을 보여주기 위해 상부부재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로서, 도6a는 조리용기를 파지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며, 도6b는 조리용기를 파지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 10a : 상부부재
10b : 하부부재 12 : 수용실
14 : 작동레버 15 : 고정파지부
15a : 단턱 16 : 힌지축
18 : 가동부재 18a : 가동파지부
20 :동력전달변환수단 30 : 잠금수단
다음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 파지를 위한 집게의 평면도이고, 도 2는 집게의 내부 구성을 보여 주는 종단면도를 보이고 있다.
본 발명 집게는 평면 및 정면에서 보아 잘록한 봉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정길이 종으로 연장됨으로써 손으로 파지하기 적당한 형상의 본체(10)을 갖고 있고, 이 본체(10)의 내부에는 본체(10)의 한 장측변을 따라 형성된 개구(12a)를 갖는 수용실(12)이 형성되며, 이 수용실(12)의 내외로 본체(10)의 길이보다 다소 짧은 길이를 가지는 작동레버(14)가 본체(10) 앞단부측에 설치되는 힌지축(16)을 회전중심으로 하여서 본체(10)와 평행한 수평방향으로 출입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본체(10)의 수용실(12)에 수용된 작동레버(14)는 이 작동레버(14)의 수용실(12) 내외로의 출입을 위해 형성되는 개구(12a)와 반대되는 본체(10)의 타측변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해제버튼(14a)에 의해 수용실(12)로부터 퇴실된다. 이렇게 본체(10)의 한 장측변에 형성된 개구(12a)를 통해 본체(10)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작동하는 작동레버(14)의 회전작용에 의해 본체(10)의 상부측에 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가동부재(18)가 전후진 함으로써 조리용기를 파지하거나 해제하게 된다. 이렇게 작동레버가 본체의 측방향으로 작용하게 한 것은 조리용기를 파지시 충분한 파지력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제버튼(4a)을 이용해 작동레버(14)를 수용실(12)로 부터 퇴실 시킬 때에도 안정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집게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계속해서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본체(10)는 가동부재(18)를 사이에 두고 상하측으로 분리되는 상부부재(10a)와 하부부재(10b)로 분리,결합되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부부재(10a)는 본체(10)내에 장치되는 가동부재(18) 등 이후 설명할 각 부품의 조립 및 교체를 위해서 본체(10)내부를 열고닫는 덮개역할을 하며, 또한 하부부재(10b)와 상호 결합하여 가동부재(18)의 전후진 운동을 원활히 안내하게 된다. 이러한 상부부재(10a)는 하부부재(10b)와 스크류(11)로 결속될 것이다.
그리고 본체(10)의 하부부재(10b)는 그 앞단에 조리용기 운두(13)의 외주벽과 맞대어지는 고정파지부(15)를 갖추고 있다. 이때 고정파지부(15) 상부측에는 조리용기의 운두(13) 상부둘레에 외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턱형태의 테두리(13a)가 턱걸림식으로 걸쳐지게 되는 단턱(15a)이 구비된다. 이러한 단턱(15a)은 집게(10)로 조리용기를 파지시 조리용기의 테두리(13a)가 단턱(15a)에 안정적으로 걸쳐진 상태에서 조리용기의 운두(13) 부분을 파지하게 됨으로써 조리용기가 집게로 부터 쉽게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하게될 것이다.
또 이렇게 구성되는 하부부재(10b)와 상부부재(10a)의 사이에는 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자유로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부재(18)가 개재 되는데, 이 가동부재(18)는 그 앞단에 조리용기 운두(13)의 내주벽과 접촉하게 되는 가동파지부(18a)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가동파지부(18a)는 하부부재(10b)의 고정파지부(15)와 함께 작용하여 직접적으로 조리용기의 운두를 파지하거나 해제하게 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가동부재(18)의 일단은 본체(10)에 형성되는 리세스(recess)(17a)에 수용되는 스프링수단(17)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작동레버(14)가 수용실(12)로 부터 퇴실되는 순간 스프링수단(17)의 복원력에 의해 가동부재(18)는 본체(10)의 전방으로 이동된다. 가동부재(18)에는 슬롯(18b)이 형성되며 이 슬롯(18b)내에는 이슬롯(18b)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체가 형성됨으로써 가동부재(18)는 지지체에 의해 슬롯(18b)의 행정(stroke) 거리만큼 본체(10)에 대해 전후진 하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스크류(11)가 지지체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지지체는 본체(10)의 상부부재(10a) 또는 하부부재(10b)로 부터 돌출시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슬롯(18b)의 행정은 작동레버(14)의 회전에 따른 가동부재(18)의 직선운동거리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도록 결정된다.
한편 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전후진하는 가동부재(18)와 본체(10)의 어느 한 장측변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회동되는 작동레버(14)는 그 운동방향이 서로 교차방향으로 이루어지면서 작동레버(14)가 본체(10)의 수용실(12) 내부로 수용되었을 때 가동부재(18)와 작동레버(14)는 서로에 대해 상하 위치에 놓여지게 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동부재(18)가 작동레버(14)의 상부에 놓이게 된다. 이와같은 배치관계에서 가동부재(18)와 작동레버(14)의 사이에 동력전달기구(20)가 설치되어 작동레버(14)의 회전력을 가동부재(18)의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킨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작동레버(14)의 해제버튼(14a)에 인접한 적당한 위치에 기어(22)가 설치되며 이에 상응하여 가동부재(18)에도 기어(24)가 설치된다. 기어들(22,24)중 적어도 하나는 자유로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기어들(22,24) 모두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이 좋다. 기어들(22, 24)중 하나는 회전부재로서 기능하며 다른 하나는 안내부재로서 기능하다. 작동레버(14)가 개구(12a)를 통해 수용실(12) 내부로 수용됨에 따라 작동레버(14)와 가동부재(18)가 서로 상하로 교차되기 시작할 때 작동레버(14)의 기어(22)의 이가 가동부재(18)의 기어(24)의 이와 서로 맞물리면서 적어도 하나의 기어가 회전하도록 기어들(22,24)의 배치가 이루어지며, 이렇게 배치함으로써 작동레버(14)가 수용실(12) 내부로 수용됨에 따라 작동레버(14)의 회전력은 가동부재(18)의 직선운동으로 전환된다. 작동레버(14)가 수용실에 완전히 수용되게 됨으로써 동력전달은 종료되고 이때 가동부재(18)는 본체(10)의 고정파지부(15)에 대해 후방으로, 즉 고정파지부(15)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본체(10)의 고정파지부(15)와 가동부재(18)의 가동파지부(18a)의 협동에 의해 조리용기를 맞물어 파지하게 된다.
이때 집게가 조리용기를 물어잡을시, 즉 작동레버(14)가 본체(10)의 수용실(12)에 완전히 접어넣어졌을시 작동레버(14)측에 설치되어 있는 동력전달기구(20)의 기어(22)의 회전중심축이 가동부재(18)에 설치되어 있는 기어(24)의 회전중심선 (가동부재(18)의 전후진 이동중심선상에 놓이게 되는 회전중심축을 말함)을 다소 지난 위치에 있게 된다. 이렇게 작동레버(14)의 기어(22)의 위치를 선정한 것은 작동레버(14)가 수용실(12)에 수용되었을 때 본체로 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이다. 여기서 작동레버(14)가 수용실(12)에 완전히 수용되었을 때 작동레버(14)와 가동부재(18)는 동력전달기구(20)인 기어들(22, 24)에 의해 안정적으로 맞물린 상태가 되므로 가동부재(18)의 후방을 밀어받치는 복원스프링(17)의 탄성계수는 지나치게 크지 않은 것이 해제버튼(14a)의 작동을 용이하게 해준다.
또 본체(10)의 고정파지부(15)와 가동부재(18)의 가동파지부(18a) 각각 또는 어느 하나에는 집게의 파지동작시 조리용기의 주벽에 긁힘등으로 인한 손상을 예방하고 완충작용을 이루게 하는 한편, 조리용기 운두 주벽면과의 마찰력 향상을위해 내열성 고무재의 논슬립부재(18c)가 설치된다.
도 3에는 작동레버(14)의 잠금구조, 즉 작동레버(14)가 본체에 접어넣어졌을시 작동레버가 본체 밖으로 쉽게 이탈되는 것을 억제하는 잠금수단(30)에 대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즉 잠금수단(30)은 통상의 볼방식을 이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잠금수단(30)은 하나의 예를 보인 것이다. 잠금수단(30)은 본체(10)의 수용실(12)에 그 수용실(12)의 바닥면상으로 일부분이 출몰하는 볼(32)과, 이 볼(32)을 탄력적으로 떠받치는 탄성부재(34)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잠금수단(30)의 볼(32)은 본체(10)의 수용실(12)내로 작동레버(14)가 강제적으로 수용됨에 따라 밀려내려갔다 작동레버(14)가 수용실(12)내에 완전히 수용되었을 때 작동레버(14) 끝단부에 구성시킨 걸림홈(14b) 내부로 튀쳐올라오게 되고 이때 탄성부재(34)의 탄성계수에 의해 작동레버(14)가 수용실(12)로 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해준다. 이때 탄성부재의 탄성계수는 작동레버 해제버튼의 해제를 위해 필요로 하는 힘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적당한 범위에서 선택될 것이다.
도 4a, 4b는 본 발명 집게로 조리용기를 파지하기 전후의 모습을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먼저 도 4a의 경우를 보면 본체(10)에 작동레버(14)가 수용됨으로써 집게가 조리용기를 파지할 때의 모습을 보여 주고 있는데, 동력전달기구(20)에 의해서 작동레버(14)측에 설치된 기어(22)와 가동부재(18)에 설치되어 있는 기어(24)가 작동레버(14)의 수용실(12)내로의 수용에 따라 서로 맞물려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가동부재(18)의 가동파지부(18a)는 본체(10)의 고정파지부(15)측으로 끌어당겨지면서 이들 사이에 위치한 조리용기 운두(13)를 맞물어 파지하게 된다. 이때기어(22)의 회전중심축은 가동부재(18)의 전후진 이동 중심선상에 놓이는 기어(24)의 회전중심축을 약간 지나 위치하게 되므로 작동레버(14)가 본체(10)의 수용실(12)로 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조리용기의 파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4b는 조리용기를 파지하기 전의 모습 또는 파지한 상태에서 해제하는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즉 해제버튼(14a)를 누르게 되면 본체(10)의 수용실(12)로 부터 작동레버(14)가 퇴실됨에 따라 동력전달기구(20)의 기어(22)와 기어(24)는 작동레버(14)의 수용실(12) 내로의 수용시와는 반대로 회전하게 되어 기어들(22,24) 사이의 맞물림이 서서히 해제되어 마침내 완전히 맞물림 상태가 해제되면 스프링수단(17)의 신장력에 의해 가동부재(18)는 본체(10)의 전방방향으로 이동되고, 따라서 본체(10)의 고정파지부(15)측으로 끌어당기어져 있던 가동파지부(18a)는 고정파지부(15)로 부터 멀어지게 됨으로써 파지하고 있던 조리용기를 놓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 파지를 위한 집게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6a, 6b는 도5의 집게의 작용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이들 도면에서 도 1,2의 실시예와 같은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같은 도면부호를 사용하겠으며 동일 구성요소에 관한 중복설명은 피하고 간략히 설명하겠다.
도 5,6a,6b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게는 상부부재(10a)와 하부부재(10b)로 이루어지는 본체(10)를 갖으며 상부부재(10a)와 하부부재(10b) 사이의 본체(10) 내부에는 본체(10)의 한 장측변을 따라 형성된 개구(12a)를 갖는 수용실(12)이 형성된다. 상하부부재(10a,10b)는 스크류(11)에 의해 결합된다. 본체(10)의 하부부재(10b)에는 조리용기의 운두(13) 외주벽과 접촉하게 되는 고정파지부(15)를 갖으며 고정파지부(15) 상부측에는 단턱(15a)이 제공된다.
작동레버(14)는 본체(10)의 앞단부측에 설치되는 힌지축(16)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본체(10)의 수용실(12) 내외로 출입된다. 작동레버(14)에는 해제버튼(14a)이 제공되어 작동레버(14)가 수용실(12)에 완전히 수용되었을 때 해제버튼(14a)의 일부는 하부부재(10b)에 형성된 개구(14b)를 통해 본체(10) 외부로 돌출된다. 따라서, 해제버튼(14b)을 누름으로써 작동레버(14)는 수용실(12)로 부터 퇴실된다.
본체(10)의 상부부재(10a)와 하부부재(10b) 사이에는 가동부재(18)가 전후방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배치되며 가동부재(18)는 본체(10)의 고정파지부(15)와 협동하여 직접적으로 조리용기의 운두를 맞물어 파지하게 되는 가동파지부(18a)를 갖고 있다. 가동부재(18)의 일단은 본체(10)에 형성된 리세스(17a)에 수용되는 스프링수단(17)에 의해 가동부재(18)의 돌편(18d) 부분에서 지지됨으로써 작동레버(14)가 수용실(12)로 부터 퇴실됨에 따라 스프링수단(17)의 복원력에 의해 가동부재(18)는 본체(10)의 전방으로 이동된다. 또한, 가동부재(18)에는 슬롯(18b)이 형성되며 이 슬롯(18b)내에는 이 슬롯(18b)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스크류(11)와 같은 지지체가 배치됨으로써 가동부재(18)의 전후방 이동거리는 지지체와 슬롯(18b)에 의해 슬롯(18b)의 행정거리로 제한된다. 지지판(46)은 하부부재(10b)의 저면으로 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데 이 지지판(46)은 가동부재(18)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상하부부재(10a, 10b) 사이에서 가동부재(18)가 원활히 활주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가동부재(18)의 가동파지부(18a)에는 내열성 고무로 된 논슬립부재(18c)가 제공된다.
가동부재(18)는 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진 이동하는 반면 작동레버(14)는 본체(1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동되므로 가동부재(10)와 작동레버(14)는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운동한다. 즉, 작동레버(14)가 개구(12a)를 통해 수용실(12) 내부로 수용되었을 때 작동레버(14)는 가동부재(18)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같은 배치관계에서 가동부재(18)와 작동레버(14) 사이에는 동력전달기구(38)가 설치되어 작동레버(14)의 회전력을 가동부재(18)의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게 된다. 즉, 작동레버(14)에는 회전부재로서의 회전원반(40)이 해제버튼(14a)의 하부에 축핀(42)을 이용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이에 상응하여 가동부재(18)에는 작동레버(14)가 수용실(12) 내부로 점차 수용됨에 따라 회전원반(40)을 안내하는 경사면을 갖는 안내부재로서의 레일(44)이 형성된다. 레일(44)의 경사면은 수용실(12)의 개구(12a)로 부터 수용실(12)의 내부, 즉 개구(12a)의 반대쪽 위치로 향하면서 상부로 경사지며, 경사면은 이 경사면의 기울기에 대해 역기울기를 가지는 역기울기면(46)을 가짐으로써 작동레버(14)가 수용실(12)에 완전히 수용되었을 때 회전원반(40)의 일부가 상기 역기울기면(46)상에 놓여지게 되어 원반(40)이 레일(44)로 부터 용이하게 수용실(12)의 개구(12a) 쪽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역기울기면(46)의 기울기는 경사면의 기울기와 같거나 다소 작게 유지된다.
이와같은 구성을 갖는 동력전달기구(38)에서 작동레버(14)가 개구(12a)를 통해 수용실(12) 내부로 수용됨에 따라 작동레버(14)와 가동부재(18)가 서로 상하로 교차되기 시작할 때 작동레버(14)의 원반(40)의 원주면은 레일(44)의 경사면과 접촉하게 되고, 작동레버(14)를 계속 수용실(12) 내부로 진입시킴에 따라 작동레버(14)의 회전력은 원반(40)과 레일(44)을 통해 가동부재(18)의 직선운동으로 전환된다. 작동레버(14)가 수용실(12)에 완전히 수용되게 되면 원반(40)의 원주면중 일부는 레일(44)의 역기울기면(46)상에 위치하게 되므로 원반(40)이 레일(44)로 부터 역으로 회전되어 작동레버(14)가 수용실(12)로 부터 용이하게 퇴실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작동레버(14)가 수용실(12)에 수용됨에 따라 가동부재(18)는 본체(10)의 후방으로 이동되게 되고 그에 따라 본체(10)의 고정파지부(15)와 가동부재(18)의 가동파지부(18a)와의 협동에 의해 조리용기의 운두를 맞물어 파지하게 된다. 조리용기의 파지를 해제할 때에는 해제버튼(14a)를 누르게 되면 원반(40)이 레일(44)로 부터 안내되어 작동레버(14) 자체가 수용실(12)로 부터 퇴실되게 되고 또한 가동부재(18)는 스프링수단(17)에 의해 본체910)의 전방으로 이동되며 그에 따라 조리용기의 파지가 해제된다.
본 발명은 본체의 길이방향인 장측변에서 본체와 평행한 수평방향으로 작동레버를 회전시켜 조리용기의 파지 또는 해제를 수행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조리용기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조리용기의 파지시 조리용기 운두 상부 둘레에 외향으로 구비되는 테두리가 집게의 본체 고정파지부에 구비시킨 걸림턱에 턱걸림식으로 걸어맞춰지게 됨으로써, 가일층 조리용기를 안정되게 파지할 수 있게 된다.
회전원반과 레일 또는 한 쌍의 기어를 이용하여 작동레버의 회전력을 가동부재의 직선운동으로 전환함으로써 동력전달 기구는 높은 하중에도 견딜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2)

  1. 손으로 파지하기 적당한 형상으로 일정길이 종으로 연장되며, 조리용기의 운두 외주벽과 단부에서 접촉하는 고정파지부 및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실을 갖는 본체;
    상기 고정파지부와의 관계에서 상기 조리용기를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조리용기의 운두 내주벽과 단부에서 접촉하는 가동파지부를 가지며 상기 수용실내에 수용되어 일단이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스프링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파지부에 대해 전후진가능하게 상기 본체내에 배치되는 가동부재;
    일단에서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수용실 내외로 출입되는 작동레버;
    회전부재와 안내부재를 갖으며,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안내부재는 상호 협동하여 상기 작동레버가 상기 수용실내로 수용됨에 따라 상기 작동레버의 회전력을 상기 가동부재의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킴으로써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수용실 내부로 이동되어 상기 고정파지부와 협동하여 상기 조리용기의 운두를 맞물어 파지하기 위한 동력전달기구; 및
    상기 작동레버가 상기 수용실로 부터 퇴실됨에 따라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안내부재의 상호 협동관계가 해제되어 상기 스프링수단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고정파지부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조리용기의 파지가 해제되는 것;
    을 포함하는 조리용기 파지를 위한 집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는 이 가동부재의 전후진 운동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행정조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조리용기 파지를 위한 집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행정조정수단은 상기 가동부재의 전후진 방향으로 상기 가동부재에 형성되는 슬롯 및 이 슬롯내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의 적절한 부분에 지지되는 지지체에 의해 상기 작동부재의 전후진 행정거리가 조정되는 조리용기 파지를 위한 집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부부재와 하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상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 사이에서 미끄럼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동력전달기구가 상기 수용실로 수용됨에 따라 상기 고정파지부에 대해 상기 가동부재는 후방으로 이동하며, 상기 동력전달기구가 상기 수용실로부터 퇴실됨에 따라 상기 고정파지부에 대해 상기 가동부재는 전방으로 이동되는 조리용기 파지를 위한 집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는 상기 본체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상기 수용실 내외로 출입되는 조리용기 파지를 위한 집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기구를 이루는 상기 회전기구는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원반이고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작동레버가 상기 수용실내로 점차적으로 수용됨에 따라 상기 원반을 안내하는 경사면을 갖는 레일이며, 상기 작동레버가 상기 본체의 상기 수용실내로 수용됨에 따라 상기 원반이 회전하면서 상기 레일상에서 점차적으로 상기 수용실 내부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원반과 상기 레일이 협동하여 상기 작동레버의 회전력을 상기 가동부재의 직선운동으로 전환시켜 상기 가동부재와 상기 고정파지부가 협동하여 상기 조리용기의 운두를 파지하게 되는 조리용기 파지를 위한 집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원반은 상기 작동레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레일은 상기 가동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레일의 상기 경사면은 상기 수용실의 입구에서 내부로 향하면서 상부로 경사짐으로써 상기 작동레버가 상기 수용실내로 수용됨에 따라 상기 원반을 안내하는 조리용기 파지를 위한 집게.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상기 경사면은 상기 본체의 상기 수용실의 입구쪽에 대해 반대위치에서 상기 레일의 상기 경사면의 기울기에 대해 역기울기를 가지는 역기울기면을 가짐으로써 상기 작동레버가 상기 수용실에 완전히 수용되었을 때 상기 원반의 일부가 상기 역기울기면 위에 놓여지게 되어 상기 원반이 상기 레일로 부터 용이하게 상기 수용실의 입구쪽으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조리용기 파지를 위한 집게.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기구를 이루는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안내부재는 각각 기어이며, 이 한쌍의 기어 중 적어도 하나는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작동레버가 상기 본체의 상기 수용실내로 수용됨에 따라 상기 한쌍의 기어들은 서로 구름접촉하게 됨으로써 상기 작동레버의 회전력을 상기 가동부재의 직선운동으로 전환시켜 상기 가동부재와 상기 고정파지부의 협동에 의해 상기 조리용기의 운두를 파지하게 되는 조리용기 파지를 위한 집게.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는 해제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해제노브는 상기 작동레버가 상기 본체의 상기 수용실내에 완전히 수용되었을 때 상기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작동레버로 부터 연장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해제노브를 누름으로써 상기 작동레버를 상기 수용실로부터 해제할 수 있는 조리용기 파지를 위한 집게.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홈, 이 홈에 수용되는 스프링 및 이 스프링에 의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작동레버는 걸림홈을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작동레버가 상기 본체의 상기 수용실 내부에 수용되었을 때 상기 걸림홈에 상기 볼이 수용됨으로써 상기 가동부재와 상기 고정파지부의 파지상태가 용이하게 해제되지 않도록 하는 조리용기 파지를 위한 집게.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조리용기를 파지시 탄성에 의해 완충작용을 함으로써 상기 조리용기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내열성의 탄성 논슬립 부재를 더 포함하는 조리용기 파지를 위한 집게.
KR1019990051945A 1999-07-06 1999-11-22 조리용기 파지를 위한 집게 KR100339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1945A KR100339966B1 (ko) 1999-07-06 1999-11-22 조리용기 파지를 위한 집게
JP2000051524A JP3245821B2 (ja) 1999-07-06 2000-02-28 調理容器把持のためのハンド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90027139 1999-07-06
KR1019990027139 1999-07-06
KR1019990051945A KR100339966B1 (ko) 1999-07-06 1999-11-22 조리용기 파지를 위한 집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2041A KR20010012041A (ko) 2001-02-15
KR100339966B1 true KR100339966B1 (ko) 2002-06-10

Family

ID=26635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1945A KR100339966B1 (ko) 1999-07-06 1999-11-22 조리용기 파지를 위한 집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245821B2 (ko)
KR (1) KR1003399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2571B1 (ko) * 2000-07-08 2003-02-17 주식회사 성창베네피나 조리용기 파지를 위한 집게
KR100716595B1 (ko) * 2005-09-12 2007-05-10 이상호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100832748B1 (ko) * 2008-01-23 2008-05-27 실버레이 주식회사 조리용기용 집게
FR2937237B1 (fr) * 2008-10-16 2011-03-25 Tele Shopping Dispositif de prehension amovible d'un recipient culinaire et recipient culinaire pourvu d'un tel dispositif.
KR101300211B1 (ko) * 2010-07-06 2013-08-26 주식회사 패트론 조리 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101303960B1 (ko) * 2010-08-19 2013-09-05 이흥규 착탈식 손잡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245821B2 (ja) 2002-01-15
KR20010012041A (ko) 2001-02-15
JP2001029246A (ja) 2001-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85148C1 (ru) Отсоединяемое захва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одержащее средства для открытия образующих губки элементов
US5495674A (en) Folding knife with moveable pivot axis
US6318776B1 (en) Tongs for holding cooking container
WO2009113757A1 (en) Handle structure for cooking instrument
KR100339966B1 (ko) 조리용기 파지를 위한 집게
EP0727270A1 (en) Blade mounting device in cutting tool
RU2565658C2 (ru) Электробыт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содержащее емкость, в которой находится режущий инструмент, приводимый во вращение двигателем
JP6178922B2 (ja) 調理容器用着脱式両手取っ手
CN111603026B (zh) 烹饪器具的上盖总成和烹饪器具
KR100372571B1 (ko) 조리용기 파지를 위한 집게
KR200425408Y1 (ko) 조리용기용 손잡이
CN111928570A (zh) 储物装置以及使用该储物装置的冰箱
US5478037A (en) Pull release bracket
JP3240371U (ja) 調理器具用取手
JP5635197B2 (ja) 着脱式ハンドル
KR100751239B1 (ko) 조리용기용 손잡이
CA2844299A1 (en) Handle locking and release mechanism for a food processor
JP3170568U (ja) 調理器具用取手
GB2025641A (en) Photographic camera
KR101105791B1 (ko) 조리용기의 탈착식 손잡이
KR101554480B1 (ko) 안전 기능을 강화한 착탈식 용기 손잡이
KR102655239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JP3079168B1 (ja) 加熱された調理容器の把持のためのニッパー
KR101598300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101457788B1 (ko) 용기 그립 호환성을 향상시킨 착탈식 용기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