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4480B1 - 안전 기능을 강화한 착탈식 용기 손잡이 - Google Patents

안전 기능을 강화한 착탈식 용기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4480B1
KR101554480B1 KR1020120088209A KR20120088209A KR101554480B1 KR 101554480 B1 KR101554480 B1 KR 101554480B1 KR 1020120088209 A KR1020120088209 A KR 1020120088209A KR 20120088209 A KR20120088209 A KR 20120088209A KR 101554480 B1 KR101554480 B1 KR 101554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member
gripper
locking
release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8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1867A (ko
Inventor
김기홍
Original Assignee
이주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민 filed Critical 이주민
Priority to KR1020120088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4480B1/ko
Publication of KR20140021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1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4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4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2Bowl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1Saucepan, frying-pan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구성은 손잡이 바디(10)와; 상기 손잡이 바디(10)의 전단부에서 상대 전후진되도록 상기 손잡이 바디(10) 내부에 결합되며 선단부에는 그립핑 피스(22)를 구비하며 록킹홀(160)이 구비된 그립퍼(20)와; 상기 그립퍼(20)와 상기 그립핑 피스(22)를 상기 손잡이 바디(10)의 전단부에서 상대 슬라이드 작동시키는 캠(30)과; 상기 손잡이 바디(10)의 양쪽 측면과 마주하는 양면으로 연통된 릴리스 작동홀(172)이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 바디(10)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그립퍼(20)가 손잡이 바디(10)의 내부로 후퇴한 상태에서 상기 그립퍼(20)의 상기 록킹홀(160)에 결합되는 록킹 부재(170)와; 상기 록킹 부재(170)를 록킹홀(160)에 걸려지도록 탄지하여 그립퍼(20) 선단부의 그립핑 피스(22)와 손잡이 바디(10)의 그립핑면(10s)에 의해 용기(2)를 1차로 그립한 상태를 유지하는 록킹 탄성체(176)와; 손잡이 바디(10)의 한쪽 측면부에 상대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며 선단부에는 록킹 부재(170)의 릴리스 작동홀(172)의 로워 릴리스면(172A)에 접촉되는 테이퍼부(178AT)가 형성된 제1릴리스 버튼(178A)과; 상기 손잡이 바디(10)의 다른 쪽 측면부에 상대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며 선단부에는 상기 록킹 부재(170)의 상기 릴리스 작동홀(172)의 어퍼 릴리스면(172B)에 접촉되는 테이퍼부(178BT)가 형성된 제2릴리스 버튼(178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전 기능을 강화한 착탈식 용기 손잡이{Detachable receptacle handle with enhanced safety function}
본 발명은 안전 기능을 강화한 착탈식 용기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착탈식 손잡이에서 푸시 버튼을 눌러주는 방식으로 용기의 그립핑 상태를 해제하도록 구성하되, 용기의 그립핑 상태를 해제하는 푸시 버튼 구조는 손잡이 바디의 양쪽에 두 개로 배치한 구성을 취하여 두 개의 푸시 버튼을 동시에 눌러주어야만 용기의 그립 상태를 해제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시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안전 기능을 강화한 착탈식 용기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리 용기에서 분리되거나 조리 용기에 결합되기 위한 착탈 구조에 있어서 종래에 비하여 간소화되어서 구조적 측면이나 비용적 측면 등에서 보다 효율적이며, 조리 용기의 두께에 대응하여 비교적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어서 조리 용기 두께에 따라 각각 다른 규격의 손잡이를 상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소비자들에게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되는 등의 경우도 해결하고, 동시에 상기와 같은 조리 용기의 두께에 대응하여 호환성 있게 그립할 수 있는 구조는 보다 심플하면서도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구현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보다 높여줄 수 있으므로 여러모로 바람직한 결과를 낳을 수 있는 새로운 안전 기능을 강화한 착탈식 용기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냄비나 프라이펜과 같은 조리 용기는 음식물을 끓이거나 조리할 수 있도록 제작된 용기로서,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용기 본체와, 이 용기 본체를 들어 가열기구로 이동시키거나 음식물 조리가 이루어진 다음에 가열기구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용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된 손잡이를 구비한 것으로, 용기 본체의 일측으로 연장된 손잡이를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상기와 같은 이동을 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 조리 용기에 구비된 손잡이는 탈착이 불가능한 구조로 제작되어 용기 본체의 부피를 증가시키므로, 보관시 공간상에 제약을 받는다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초래되어, 최근에는 용기 본체에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사용할 수 있는 착탈식 손잡이가 개발되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조리 용기의 착탈식 손잡이는 대부분 용기 본체에서 분리되거나 용기 본체에 결합되기 위한 착탈 구조에 있어서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는 점에서 구조적 측면이나 비용적 측면 등에서 다소 비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종래 착탈식 손잡이는 조리 용기의 용기 본체 두께에 대응하여 사용하기 곤란한 점이 있어서 용기 본체의 두께에 따라 각각 다른 규격의 손잡이를 상비하여야 하므로, 소비자들에게 경제적으로 부담이 되는 등의 문제도 가지고 있다.
또한, 안전 기능을 강화한 착탈식 용기 손잡이로 용기를 완전히 그립하지 않고 옮기는 경우(예를 들어, 두께가 상대적으로 더 두꺼운 조리 용기를 그립핑하여 옮기는 경우)가 생길 수 있는데, 이처럼 용기의 두께에 따라 용기를 완전 그립하지 않고 1차로 그립하여 옮기는 경우를 감안하여 종래에 레버와 캠의 회전에 의해 용기의 그립 상태를 1차로 해제하여 다른 규격의 용기(즉, 두께가 상대적으로 크거나 작은 용기)를 1차로 그립한 상태에서 이동시키고, 용기를 이동시킨 다음에는 용기 손잡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푸시 버튼을 눌러서 용기의 그립핑 상태를 완전히 해제하는 구조의 안전 기능을 강화한 착탈식 용기 손잡이가 제공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푸시 버튼을 눌러서 용기의 그립핑 상태를 완전히 해제하는 안전 기능을 강화한 착탈식 용기 손잡이의 경우에는 용기를 완전히 그립하지 않고 1차로 그립한 상태로 옮기다가 사용자가 실수로 푸시 버튼을 눌러서 조리 용기를 그립한 상태가 해제되므로, 용기를 옮기다가 각종 안전 사고가 빈번하게 유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종래에는 안전 기능을 강화한 착탈식 용기 손잡이의 바디 외부로 노출된 단일의 푸시 버튼을 눌러주기만 하면 쉽게 용기의 그립핑 상태가 해제되므로, 용기를 옮기다가 한 개의 푸시 버튼을 실수로 눌러서 용기가 떨어져 버리는 경우가 많이 생기는 것이며, 이처럼 푸시 버튼 하나만 눌러서 생기는 안전 사고(즉, 용기를 파지하여 옮기다가 그립 상태가 해제되어 용기가 바닥으로 떨어져 버리는 등의 사고)를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하겠다.
조리 용기를 안전 기능을 강화한 착탈식 용기 손잡이로 그립하여 옮길 때에는 용기를 용기 손잡이로 완전히 그립하지 않고 1차로 그립한 상태로 옮기게 되는 경우가 많고, 이처럼 용기를 착탈식 손잡이에 의해 1차로 그립한 상태로 옮기는 경우에는 실수로 조리 용기를 그립한 상태가 해제되어 각종 안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이처럼 용기를 착탈식 손잡이로 1차 그립하여 옮기다가 사용자의 등의 실수로 조리 용기를 그립한 상태가 해제되어 용기가 떨어지는 등의 각종 안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착탈식 손잡이에서 푸시 버튼을 눌러주는 방식으로 용기의 그립핑 상태를 해제하도록 구성하되, 용기의 그립핑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푸시 버튼 구조는 손잡이 바디의 양쪽에 두 개로 배치한 구성을 취하여 두 개의 푸시 버튼을 동시에 눌러주어야만 용기의 그립 상태를 해제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시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안전 기능을 강화한 착탈식 용기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 용기에서 분리되거나 조리 용기에 결합되기 위한 착탈 구조에 있어서 종래에 비하여 간소화되어서 구조적 측면이나 비용적 측면 등에서 보다 효율적이며, 조리 용기의 두께에 대응하여 비교적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어서 조리 용기 두께에 따라 각각 다른 규격의 손잡이를 상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소비자들에게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되는 등의 경우도 해결하고, 동시에 조리 용기의 두께에 대응하여 호환성 있게 그립할 수 있는 구조는 보다 심플하면서도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구현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보다 높여줄 수 있으므로 여러모로 바람직한 결과를 기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안전 기능을 강화한 착탈식 용기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단부에 용기(2)를 그립하기 위한 그립핑면(10s)이 구비된 손잡이 바디(10)와; 상기 손잡이 바디(10)의 전단부에서 상대 전후진되도록 상기 손잡이 바디(10) 내부에 결합되며 선단부에는 상기 손잡이 바디(10)의 상기 그립핑면(10s)과의 사이에 용기(2)를 그립할 수 있는 그립 스페이스를 형성하는 그립핑 피스(22)를 구비하며 상기 손잡이 바디(10)에 내장된 위치에는 록킹홀(160)이 구비된 그립퍼(20)와; 상기 손잡이 바디(10)에 구비되어 회전 작동에 따라 상기 그립퍼(20)와 상기 그립핑 피스(22)를 상기 손잡이 바디(10)의 전단부에서 상대 슬라이드 작동시키는 캠(30)과; 상기 손잡이 바디(10)의 양쪽 측면과 마주하는 양면으로 연통된 릴리스 작동홀(172)이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 바디(10)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캠(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그립퍼(20)가 상기 손잡이 바디(10)의 내부로 후퇴한 상태에서 상기 그립퍼(20)의 상기 록킹홀(160)에 결합되는 록킹 부재(170)와; 상기 록킹 부재(170)를 상기 그립퍼(20)의 상기 록킹홀(160)에 걸려지도록 탄지하여 상기 그립퍼(20) 선단부의 상기 그립핑 피스(22)와 상기 손잡이 바디(10) 전단부의 상기 그립핑면(10s)에 의해 상기 용기(2)를 1차로 그립한 상태를 유지하는 록킹 탄성체(176)와; 상기 손잡이 바디(10)의 한쪽 측면부에 상대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며 선단부에는 상기 록킹 부재(170)의 상기 릴리스 작동홀(172)의 로워 릴리스면(172A)에 접촉되는 테이퍼부(178AT)가 형성된 제1릴리스 버튼(178A)과; 상기 손잡이 바디(10)의 다른 쪽 측면부에 상대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며 선단부에는 상기 록킹 부재(170)의 상기 릴리스 작동홀(172)의 어퍼 릴리스면(172B)에 접촉되는 테이퍼부(178BT)가 형성된 제2릴리스 버튼(178B)과; 상기 제1릴리스 버튼(178A)과 상기 제2릴리스 버튼(178B)의 동시 푸시 작동에 의해 상기 록킹 부재(170)가 상기 그립퍼(20)의 상기 록킹홀(160)에서 이탈될 때에 상기 그립퍼(20)를 상기 손잡이 바디(10)의 전단부에서 완전 인출되도록 탄지하는 릴리스 탄성체(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기능을 강화한 착탈식 용기 손잡이가 제공된다.
상기 록킹 부재(170)는, 상기 손잡이 바디(10)의 내부에 구비된 승강홈과 마주하는 양면으로 연통된 릴리스 작동홀(172)이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 바디(10)의 상기 승강홈에 상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제1록킹 부재(170A)와, 상기 제1록킹 부재(170A)의 상단부에 상대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제2록킹 부재(170B)와, 상기 제1록킹 부재(170A)와 상기 제2록킹 부재(170B)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그립퍼(20)가 상기 손잡이 바디(10)에서 1차 그립 상태로 인출될 때에 상기 제2록킹 부재(170B)를 상기 그립퍼(20)의 상기 록킹홀(160)에 걸려지도록 탄지하는 제2록킹 탄성체(176B)와, 상기 제2록킹 부재(170B)와 상기 손잡이 바디(10)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제1록킹 부재(170A) 및 상기 제2록킹 부재(170B)를 상향 탄지하는 제1록킹 탄성체(176A)를 포함하며, 상기 제1릴리스 버튼(178A)의 상기 테이퍼부(178AT)는 상기 릴리스 작동홀(172)의 상기 로워 릴리스면(172A)에 대해 상향으로 경사진 각도로 연장되고, 상기 제2릴리스 버튼(178B)의 상기 테이퍼부(178BT)는 상기 릴리스 작동홀(172)의 상기 어퍼 릴리스면(172B)에 대해 하향으로 경사진 각도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기능을 강화한 착탈식 용기 손잡이가 제공된다.
상기 제2록킹 탄성체(176B)는 코일 스프링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록킹 부재(170A)의 하단부에는 결합핀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1록킹 부재(170A)의 상기 결합핀부에 상기 제2록킹 탄성체(176B)가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록킹 부재(170A)와 상기 제2록킹 부재(170B)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제1록킹 부재(170A)는 승강 가이더에 의해 상기 제2록킹 부재(170B)에 상대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록킹 탄성체(176A)는 코일 스프링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록킹 부재(170B)의 하단부에는 결합핀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2록킹 부재(170B)의 상기 결합핀부에 상기 제1록킹 탄성체(176A)가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 바디(10)와 상기 제2록킹 부재(170B)의 사이에 상기 제1록킹 탄성체(176A)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 바디(10)에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제1릴리스 버튼(178A)과 상기 제2릴리스 버튼(178B)에 연결되어 상기 제1릴리스 버튼(178A)과 상기 제2릴리스 버튼(178B)을 푸시 상태에서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작용하여 상기 록킹 부재(170)가 상기 손잡이 바디(10)의 내부에서 하강한 상태에서 원위치로 상승되도록 하는 리버스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 부재(170)는 상기 손잡이 바디(10)의 내부에 형성된 승강홈에 상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리버스 탄성체는, 상기 제1릴리스 버튼(178A)의 선단부와 상기 승강홈 사이에 배치된 제1리버스 탄성체와, 상기 제2릴리스 버튼(178B)의 선단부와 상기 승강홈 사이에 배치된 제2리버스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용기를 그립퍼의 그립핑 피스와 손잡이 바디의 그립핑면으로 완전 그립한 상태에서 레버를 좌측 방향으로 다시 돌려주면, 캠과 그립 캠 포션이 그립 상태로 회전되었던 방향과 다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그립퍼와 그립핑 피스는 손잡이 바디의 전단부로 다시 인출되어 1차 그립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록킹 부재를 구성하는 제1록킹 부재의 상단부는 그립퍼의 록킹홀을 구성하는 록킹 지지편에 걸려진 상태가 되는데, 용기를 그립퍼의 그립핑 피스와 손잡이 바디의 전단부 그립핑면으로 완전히 파지한 그립 상태에서 그립퍼와 그립핑 피스를 손잡이 바디의 전단부로 1차로 인출시켜서 1차 그립 상태로 전환한 상태에서 손잡이 바디의 양쪽 측면부로 돌출되어 있는 두 개의 릴리스 버튼, 다시 말해, 제1릴리스 버튼과 제2릴리스 버튼을 동시에 눌러야만 그립퍼의 그립핑 피스와 손잡이 바디의 그립핑면이 용기를 완전히 놓게 되는 릴리스 상태로 전환할 수 있어서 사용시의 안전성을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서 주요부인 그립퍼가 손잡이 바디 안쪽으로 완전 후퇴하여 용기를 완전히 그립한 상태에서 레버와 캠을 릴리스 상태의 회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1차 회전시켜서 그립퍼와 그립핑 피스가 손잡이 바디의 전단부로 1차 인출된 1차 그립 상태가 되는데, 상기 그립퍼에 의한 용기의 1차 그립 상태에서 상기 제1릴리스 버튼과 제2릴리스 버튼을 동시에 누르는 경우에는 제1릴리스 버튼이 선단부의 테이퍼부가 록킹 부재(정확하게는 제2록킹 부재 부분)에 형성된 릴리스 작동홀의 로워 릴리스면을 따라 전진하고 동시에 제2릴리스 버튼도 선단부의 테이퍼부가 록킹 부재(정확하게는 제2록킹 부재 부분)에 형성된 릴리스 작동홀의 어퍼 릴리스면을 따라 전진하면서 상기 록킹 부재가 아래로 하강되도록 작동시키며, 이처럼 록킹 부재가 하강하면, 상기 1차 용기 그립 상태에서 그립퍼의 록킹홀을 구성하는 록킹 지지편에 걸려있던 제1록킹 부재가 아래로 하강하여 록킹 지지편에서 빠지게 되고, 이처럼 두 개의 제1릴리스 버튼과 제2릴리스 버튼의 동시적인 푸시 작동에 의해 록킹 부재(정확하게는 제1록킹 부재 부분)의 상단부가 그립퍼의 록킹홀에서 빠지는 순간 상기 그립퍼를 후단에서 탄지하는 릴리스 탄성체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그립퍼와 이에 구비된 그립핑 피스가 손잡이 바디의 전단부 그립핑면에서 가장 넓은 간격으로 벌어지는 릴리스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릴리스 상태에서는 본 발명의 착탈식 용기 손잡이를 용기에서 들어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주요부인 제1릴리스 버튼과 제2릴리스 버튼 중에서 어느 하나만 누르면 절대로 용기를 파지한 상태가 해제되지 않고, 제1릴리스 버튼과 제2릴리스 버튼을 동시에 눌러야만 용기를 파지한 상태가 해제되는 릴리스 상태가 되므로, 사용자가 실수로 단일의 버튼만을 실수로 눌러서 용기의 그립 상태가 해제되어 용기가 떨어져 버리는 것과 같은 사용시의 안전성을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착탈식 용기 손잡이의 주요부인 손잡이 바디의 안쪽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그립퍼 부분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주요부인 록킹 부재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록킹 부재와 다른 주요부인 릴리스 버튼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록킹 부재와 릴리스 버튼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후방측 단면도
도 6과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록킹 부재와 릴리스 버튼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후방측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록킹 부재 부분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록킹 부재에 릴리스 버튼이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그립퍼와 록킹 부재 및 릴리스 버튼의 결합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캠과 그립 캠 포션의 구성을 저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주요부인 캠과 그립 캠 포션의 구성을 상면에서 보여주는 사시도
도 13은 도 11의 저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그립퍼와 록킹 부재 및 손잡이 바디의 하측 바디부가 결합된 상태와 캠의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5는 도 10에 도시된 캠을 하측 바디부에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6은 도 10에서 본 발명의 손잡이 바디를 구성하는 상측 바디부를 분해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손잡의 구조를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손잡이의 2차 그립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2차 그립 상태에서 그립퍼와 캠과 록킹 부재 및 릴리스 버튼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도 20a는 도 19의 A-A선 종단면도
도 20b는 도 19의 B-B선 종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용기의 2차 그립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손잡이의 1차 그립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3은 도 227에 도시된 1차 그립 상태에서 그립퍼와 캠과 록킹 부재 및 릴리스 버튼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도 24a는 도 23의 A-A선 종단면도
도 24b는 도 23의 B-B선 종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제1릴리스 버튼과 제2릴리스 버튼을 눌러주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도 26a는 도 25의 A-A선 종단면도
도 26b는 도 25의 B-B선 종단면도
도 27a는 도 25에 도시된 제1릴리스 버튼과 제2릴리스 버튼을 눌러준 상태에서 록킹 부재의 주요부인 제1록킹 부재가 그립퍼의 전진에 의해 눌려지는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27b는 도 27a의 일측 단면도
도 28은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손잡이의 릴리스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9는 도 28에 도시된 주요부인 그립퍼와 캠과 록킹 부재 및 릴리스 버튼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도 30a는 도 29의 A-A선 종단면도
도 30b는 도 29의 B-B선 종단면도
도 3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착탈식 용기 손잡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3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착탈식 용기 손잡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안전 기능을 강화한 착탈식 용기 손잡이는 전단부에 용기(2)를 그립하기 위한 그립핑면(10s)이 구비된 손잡이 바디(10)와, 이 손잡이 바디(10)에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되며 선단부에는 그립핑 피스(22)가 구비된 그립퍼(20)와, 이 그립퍼(20)와 그립핑 피스(22)를 손잡이 바디(10)의 전단부에서 상대 슬라이드 작동시키는 캠(30)과, 상기 그립퍼(20)가 손잡이 바디(10)의 내부로 후퇴한 상태에서 그립퍼(20)의 록킹홀(160)에 결합되는 록킹 부재(170)와, 이 록킹 부재(170)를 그립퍼(20)의 록킹홀(160)에 걸려지도록 탄지하는 록킹 탄성체(176)와, 상기 손잡이 바디(10)의 양쪽 측면부에 상대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된 제1릴리스 버튼(178A) 및 제2릴리스 버튼(178B)과, 상기 그립퍼(20)를 손잡이 바디(10)의 전단부에서 완전 인출되도록 탄지하는 릴리스 탄성체(28)를 구비한다.
상기 손잡이 바디(10)는 하측 바디부(10A) 위에 상측 바디부(10B)가 체결수단에 의해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측 바디부(10A)는 상측 바디부(10B)의 저면과 마주하게 되는 상면에 전단부에서 후단부 방향을 따라 볼트홀(12a1)과 캠결합홈(14a)과 록킹 부재 승강홈(16a)과 릴리스 탄성체 결합홈(18a) 및 후방측의 볼트홀(12a2)이 구비될 수 있다. 캠결합홈(14a)은 원형홈 형상이며, 캠결합홈(14a)의 중앙부에는 캠(30)의 캠축(32)을 결합하기 위한 축홈(14b)이 형성되어 있다. 록킹 부재 승강홈(16a)은 하측 바디부(10A)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대략 일자홈 형태로 구성된다. 릴리스 탄성체 결합홈(18a)은 하측 바디부(10A)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대략 일자홈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하측 바디부(10A)의 상면에는 볼트홀(12a1)과 캠결합홈(14a) 및 록킹 부재 승강홈(16a) 및 릴리스 탄성체 결합홈(18a)의 일부가 영역 내에 들어가도록 일정 면적의 그립퍼(20)의 슬라이딩 가이드홈(16)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딩 가이드홈(16)은 양쪽 위치에 판형상 그립퍼(20)의 양단부가 접촉된 상태로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슬라이드 가이드턱을 구비한 사각홈 형상이다. 또한, 하측 바디부(10A)는 릴리스 탄성체 결합홈(18a)의 뒤쪽 위치에 볼트홀(12a2)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하측 바디부(10A)는 전단부에 조리 용기(2)를 그립(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그립핑면(10s)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상측 바디부(10B)는 하측 바디부(10A)와 마주하게 되는 저면에 상기 캠결합홈(14a)과 대응되는 원형홈 형상의 어퍼 캠결합홈(14b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어퍼 캠결합홈(14b1)에는 캠(30)의 상부측 레버 결합부(34)가 결합되어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원형홀 형태의 어퍼 캠조인홀(14b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측 바디부(10B)는 하측 바디부(10A)의 릴리스 탄성체 결합홈(18a)과 대응되는 일자홈 형상의 어퍼 릴리스 탄성체 결합홈(18b)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측 바디부(10B)는 어퍼 캠결합홈(14b1)의 앞쪽 위치에 하측 바디부(10A)의 볼트홀(12a1)과 만나는 볼트 삽입홀(12b1)이 구비되고, 어퍼 릴리스 탄성체 결합홈(18b)의 뒤쪽 위치에는 하측 바디부(10A)의 볼트홀(12a2)과 만나는 후방측의 볼트 삽입홀(12b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립퍼(20)는 손잡이 바디(10)의 전단부에서 상대 전후진되도록 손잡이 바디(10) 내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그립퍼(20)의 선단부에는 손잡이 바디(10)의 그립핑면(10s)과의 사이에 용기(2)를 그립할 수 있는 그립 스페이스를 형성하는 그립핑 피스(22)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 그립퍼(20)는 전후로 길다른 사각판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그립퍼(20)가 상하로 결합된 손잡이 바디(10)의 그립퍼 슬라이딩 가이드홈(16) 부분에 결합된다. 또한, 그립퍼(20)는 선단부에서 기단부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장공 형태의 인출 스톱핑홀(21)과 그립 작동홀(40)과 록킹홀(160) 및 보조 록킹홀(162)이 구비되어 있다. 록킹홀(160)과 보조 록킹홀(162)은 중간 양쪽 위치에 한 쌍으로 대칭되게 배치된 록킹 지지편을 기준으로 전후 위치에 배치된다. 즉, 록킹 지지편의 앞쪽 위치에는 사각홀 형태의 록킹홀(160)이 구비되고 록킹 지지편의 뒤쪽 위치에는 사각홀 형태의 보조 록킹홀(162)이 구비된 구조이다.
상기 그립퍼(20)에 형성된 그립 작동홀(40)은 그립퍼(20)의 전후 이동 방향으로 연장된 한쪽의 제1캠홀면(42)과, 이 제1캠홀면(42)과 이어지면서 그립퍼(20)의 전후 이동 방향과는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캠홀면(44)과, 이 제2캠홀면(44)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어지면서 그립퍼(20)의 전후 이동 방향으로 연장된 다른쪽의 제3캠홀면(46)과, 상기 제1캠홀면(42) 및 제3캠홀면(46)과 이어지면서 그립퍼(20)의 전후 이동 방향과는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2캠홀면(44)보다 후방 위치에 배치된 제4캠홀면(48)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그립퍼(20)의 그립 작동홀(40)을 구성하는 제4캠홀면(48)은 캠(30)의 그립 캠 포션(50)의 회전 작동시 손잡이 바디(10) 전단부의 그립핑면(10s)과 그립퍼(20) 선단부의 그립핑 피스(22) 사이에 확보되는 그립 스페이스의 범위를 최대화하도록 그립퍼(20)의 전후진 방향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 특징을 이룬다. 상기 제4캠홀면(48)은 그립 작동홀(40)의 제3캠홀면(46)(본 발명에서는 그립퍼(20)의 상면에서 볼 때에 좌측에 배치됨)에 대해 둔각으로 벌어지고 제1캠홀면(42)(본 발명에서는 그립퍼(20)의 상면에 볼 때에 우측에 배치됨)에 대해서는 예각으로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다. 즉, 제4캠홀면(48)의 우측이 좌측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그립퍼(20)의 선단부 방향으로 더 나아가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구조를 취하고 있다.
상기 손잡이 바디(10)에는 정역 회전 가능하도록 캠(30)이 결합되어 있다. 이때, 캠(30)은 상부측에는 레버(36)에 형성된 단면 육각형의 캠(30)삽입홈에 끼워지기 위한 단면 육각형의 레버 결합부(34)가 구비되어 있다. 레버 결합부(34)는 캠(30)의 직경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단면 육각 블록 형상으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캠(30)의 하부측 중심부에는 캠축(32)이 구비되고, 이 캠축(32)을 중심으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대략 부채꼴 블록 형상의 그립 캠 포션(5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캠(30)의 하부측 그립 캠 포션(50)은 캠(30)의 회전 중심부(즉, 캠축(32)을 기준으로 하는 회전 중심부)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서로 벌어지는 형태로 구성된 제1캠면(52) 및 제2캠면(54)과, 상기 제1캠면(52) 및 제2캠면(54)과 이어지는 원호형으로 이루어진 제3캠면(56)을 구비한 대략 부채꼴 블록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그립퍼(20)가 손잡이 바디(10)의 전단부에 완전 인출된 릴리스 상태에서는 그립 작동홀(40)의 제1캠홀면(42)과 제4캠홀면(48)에 각각 마주하도록 제1캠면(52) 및 제2캠면(54)이 배치되고, 상기 제3캠홀면(46)은 그립 작동홀(40)의 제3캠면(56)과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그립퍼(20)의 그립 작동홀(40)의 제4캠홀면(48)은 제3캠홀면(46)에 대해 둔각으로 벌어지고 제1캠홀면(42)에 대해서는 예각으로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그립퍼(20)가 손잡이 바디(10)에서 완전 인출된 릴리스 상태에서 제4캠홀면(48)에 상기 캠(30)의 그립 캠 포션(50)의 제2캠면(54)이 접촉되고, 상기 제4캠홀면(48)에 이어지면서 그립퍼(20)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제3캠홀면(46)에는 그립 캠 포션(50)을 구성하도록 제2캠면(54)에 이어지는 원호형의 제3캠면(56)의 일부가 접촉된다.
한편, 상기 그립퍼(20)의 그립 작동홀(40)을 구성하는 제1캠홀면(42)과 제2캠홀면(44)이 이어지는 코너부, 제2캠홀면(44)과 제3캠홀면(46)이 이어지는 코너부, 제3캠홀면(46)과 제4캠홀면(48)이 이어지는 코너부 및 제4캠홀면(48)과 제1캠홀면(42)이 이어지는 코너부는 캠(30)의 회전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회전 가이드 스페이스를 형성하도록 곡면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그립 캠 포션(50)의 제1캠면(52)은 그립퍼(20)가 손잡이 바디(10)의 전단부에 완전 인출된 릴리스 상태에서 그립 작동홀(40)의 제1캠홀면(42)과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캠면(52)에는 캠(30)과 그립 캠 포션(50)의 회전에 의해 그립퍼(20)가 손잡이 바디(10)로 1차로 후퇴되어 후술할 록킹 부재(170)(70)에 의한 1차 록킹 상태로 전환될 때에 제2캠홀면(44)에 접촉되는 원호형 곡면 블록 형상의 구배부(52a)가 더 구비된다. 원호형의 구배부(52a)는 제1캠면(52)에서 상대적으로 원호형 블록 형태의 살을 더 두껍게 확보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립 작동홀(40)의 제3캠홀면(46)은 그립퍼(20)의 전후진 방향과 나란한 직선 연장형 캠홀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4캠홀면(48)은 제3캠홀면(46)과 나란한 직선 방향에 대해 외측으로 일정 각도 더 벌어지도록 형성된 경사형 캠홀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그립퍼(20)의 그립핑 피스(22)와 손잡이 바디(10) 전단의 그립핑면(10s) 사이의 그립 스페이스 범위를 상대적으로 더 확장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록킹 부재(170)는 손잡이 바디(10)의 양쪽 측면과 마주하는 양면으로 연통된 릴리스 작동홀(172)이 구비되어 손잡이 바디(10)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록킹 부재(170)는 캠(30)의 회전에 의해 그립퍼(20)가 손잡이 바디(10)의 내부로 후퇴한 상태에서 그립퍼(20)에 구비된 록킹홀(160)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록킹 부재(170)는 손잡이 바디(10)의 내부에 구비된 승강홈과 마주하는 양면으로 연통된 릴리스 작동홀(172)이 구비되어 손잡이 바디(10)의 상기 승강홈에 상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제1록킹 부재(170A)와, 상기 제1록킹 부재(170A)의 상단부에 상대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제2록킹 부재(170B)와, 상기 제1록킹 부재(170A)와 제2록킹 부재(170B) 사이에 구비되어 그립퍼(20)가 손잡이 바디(10)에서 1차 그립 상태로 인출될 때에 제2록킹 부재(170B)를 그립퍼(20)의 록킹홀(160)에 걸려지도록 탄지하는 제2록킹 탄성체(176B)와, 상기 제2록킹 부재(170B)와 손잡이 바디(10)의 내부에 형성된 록킹 부재(170)의 수용홈 사이에 결합되어 제1록킹 부재(170A) 및 제2록킹 부재(170B)를 상향 탄지하는 제1록킹 탄성체(176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록킹 부재(170A)는 아래의 제2록킹 부재(170B)에 승강 가이더를 매개로 상대 승강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승강 가이더는 제1록킹 부재(170A)와 제2록킹 부재(170B) 중 어느 하나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며 그 사이로는 탄성체 수용홈을 형성하는 승강 가이드 풋트와, 이 승강 가이드 풋트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승강 가이드홀과, 상기 제1록킹 부재(170A)와 제2록킹 부재(170B)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승강 가이드홀에 상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승강 가이드 돌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록킹 탄성체(176B)는 두 개의 승강 가이드 풋트 사이에 형성된 탄성체 수용홈에 결합되어 제1록킹 부재(170A)의 하단부와 제2록킹 부재(170B)의 상단부 사이에 개재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한편, 승강 가이더는 제1록킹 부재(170A)와 제2록킹 부재(170B) 중 어느 하나의 외주면에 형성된 가이드 플랜지부와, 상기 제1록킹 부재(170A)와 제2록킹 부재(170B)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가이드 플랜지부가 걸려지도록 하면서 제2록킹 부재(170B)의 상부에서 제1록킹 부재(170A)가 상대 승강되도록 결합시키는 가이드 스톱핑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록킹 탄성체(176B)는 가이드 플랜지부와 가이드 스톱핑턱 사이에 형성된 탄성체 수용홈에 수납되어 제1록킹 부재(170A)의 하단부와 제2록킹 부재(170B)의 상단부 사이에 개재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록킹 부재(170A)가 제2록킹 부재(170B) 방향으로 눌릴 때에는 코일 스프링 형태의 제2록킹 탄성체(176B)가 압축되어 있다가 제1록킹 부재(170A)가 제2록킹 부재(170B)로 하강하는 힘이 해제되면 제2록킹 탄성체(176B)가 원상태로 탄성 복귀하면서 제1록킹 부재(170A)를 제2록킹 부재(170B)에서 상승시키는 원위치 복귀 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승강 가이더를 승강 가이드 풋트, 승강 가이드홀 및 승강 가이드 돌기로 구성하는 경우, 제1록킹 부재(170A)가 제2록킹 부재(170B) 방향으로 눌릴 때에는 상기 승강 가이드 돌기가 승강 가이드홀을 따라 아래로 내려가고 동시에 제2록킹 탄성체(176B)는 압축되어 있다가 제1록킹 부재(170A)가 제2록킹 부재(170B)로 하강하는 힘이 해제되면 제2록킹 탄성체(176B)는 다시 원상태로 탄성 복원되고 상기 승강 가이드 돌기가 승강 가이드홀을 따라 상향 슬라이되면서 제1록킹 부재(170A)가 제2록킹 부재(170B) 위로 다시 상승하는 원위치 복귀 상태가 될 수 있다.
승강 가이더를 가이드 플랜지부와 가이드 스톱핑턱으로 구성하고, 가이드 플랜지부의 내부 위치 또는 가이드 스톱핑턱의 내부 위치에 탄성체 수용홈을 형성하는 경우, 제1록킹 부재(170A)가 제2록킹 부재(170B) 방향으로 눌릴 때에는 상기 가이드 플랜지부가 가이드 스톱핑턱에서 멀어지도록 아래로 내려가고 동시에 제2록킹 탄성체(176B)는 압축되어 있다가 제1록킹 부재(170A)가 제2록킹 부재(170B)로 하강하는 힘이 해제되면 제2록킹 탄성체(176B)는 다시 원상태로 탄성 복원되고 상기 가이드 플랜지부가 상승하면서 가이드 스톱핑턱에 걸려져서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는 원위치 복귀 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록킹 탄성체(176B)는 코일 스프링 구조로 이루어지고, 제1록킹 부재(170A)의 하단부에는 결합핀부가 구비되어, 제1록킹 부재(170A)의 결합핀부(이때, 결합핀부는 상기 두 개의 승강 가이드 풋트 사이에 배치될 수 있음)에 제2록킹 탄성체(176B)가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제1록킹 부재(170A)와 제2록킹 부재(170B) 사이에 제2록킹 탄성체(176B)가 개재되어 결합된 구조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록킹 부재(170A)는 전술한 승강 가이더에 의해 제2록킹 부재(170B)에 상대 승강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록킹 부재(170A)와 제2록킹 부재(170B)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 중에서 어느 하나에는 내부에 수용홈이 구비된 하우징부가 구비되고, 이 하우징부에는 내주면에 걸림단턱이 구비되며, 상기 제1록킹 부재(170A)와 제2록킹 부재(170B)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 중에서 다른 하나에는 하우징부에 수용되어 걸림단턱에 걸려지는 스톱핑 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제1록킹 부재(170A)와 제2록킹 부재(170B)의 단부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 형태 등으로 구성된 제2록킹 탄성체(176B)가 개재되면서 하우징부의 내부 수용부에 내장된 구조를 취할 수 있어서, 제1록킹 부재(170A)가 제2록킹 부재(170B)에 대해 상대 하강한 상태에서 제2록킹 탄성체(176B)가 압축되어 탄성력을 보유하고 있다가 제1록킹 부재(170A)가 제2록킹 부재(170B)에 대해 하강하는 힘이 해재되면 제1록킹 부재(170A)가 다시 제2록킹 부재(170B) 위에 상승하여 그립퍼(20)에 구비된 록킹홀(160)로 진입하여 록킹 지지턱에 걸려지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제1록킹 부재(170A)가 제2록킹 부재(170B) 위로 상승하여 원위치 복귀된 때에는 스톱핑 돌기가 하우징부의 걸림단턱에 걸려져서 제1록킹 부재(170A)가 제2록킹 부재(170B)에 대해 상대 승강되는 구조가 해체되는 일은 없을 것이다. 상기 하우징부와 걸림단턱 및 스톱핑 돌기가 승강 가이더라 할 수 있겠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 제1록킹 부재(170A)가 제2록킹 부재(170B)에 대해 상대 승강되도록 가이드하는 승강 가이더는 상기 구조 이외에 제1록킹 부재(170A)를 제2록킹 부재(170B)에 대해 상대 승강되도록 하는 구성이라면 모두 취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한편, 상기 제1록킹 부재(170A)는 그립퍼(20)의 록킹홀(160)에 끼워져서 록킹 작동을 하는 상단부에는 그립퍼(20)가 손잡이 바디(10)의 전단부에서 인출한 상태에서 다시 후퇴하기 원활하도록 그립퍼(20)의 전단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테이퍼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록킹 부재(170A)는 손잡이 바디(10)에 형성된 승강홈에 끼워져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록킹 부재(170A)와 제2록킹 부재(170B) 사이에는 제2록킹 탄성체(176B)가 구비되어, 제2록킹 탄성체(176B)의 탄성력에 의해 제1록킹 부재(170A)의 상단부가 그립퍼(20)의 록킹홀(160)에 걸려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그립퍼(20)는 제1록킹 부재(170A)의 상단부가 끼워지는 록킹홀(160)에 더하여 록킹홀(160)의 후방 위치에는 그립퍼(20)가 손잡이 바디(10)에서 완전 인출된 상태에서 제1록킹 부재(170A)의 상단부가 걸려지는 보조 록킹홀(16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록킹 부재(170B)의 하단부와 손잡이 바디(10) 내부의 록킹 부재(170)의 승강홈 바닥부 사이에는 제1록킹 탄성체(176A)가 개재되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록킹 탄성체(176A)는 제1록킹 부재(170A)와 제2록킹 부재(170B)가 결합된 구조의 록킹 부재(170)를 상측으로 탄지하는 기능을 하는데, 상기 제1록킹 탄성체(176A)가 코일 스프링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록킹 부재(170B)의 하단부에는 결합핀부가 구비되어, 제2록킹 부재(170B)의 결합핀부에 제1록킹 탄성체(176A)가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손잡이 바디(10)와 제2록킹 부재(170B)의 사이(즉, 제2록킹 부재(170B)의 하단부와 손잡이 바디(10) 내부의 록킹 부재 승강홈 사이)에 제1록킹 탄성체(176A)가 개재되어 배치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릴리스 작동홀(172)은 록킹 부재(170)의 제1록킹 부재(170A)와 제2록킹 부재(170B) 중에서 제2록킹 부재(170B)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릴리스 작동홀(172)은 손잡이 바디(10)의 내부에 길이 방향 중심부를 기준으로 좌우 양쪽 측면부로 연통된 버튼 작동홀(제1릴리스 버튼(178A)과 제2릴리스 버튼(178B)의 푸시 작동홀이라 할 수 있음)과 마주하도록 제2록킹 부재(170B)의 양면으로 연통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 바디(10)의 한쪽 버튼 작동홀에는 제1릴리스 버튼(178A)이 상대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제1릴리스 버튼(178A)의 기단부는 손잡이 바디(10)의 한쪽 측면부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손잡이 바디(10)의 다른 쪽 버튼 작동홀에는 제2릴리스 버튼(178B)이 상대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제2릴리스 버튼(178B)의 기단부는 손잡이 바디(10)의 다른 쪽 측면부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제1릴리스 버튼(178A)은 손잡이 바디(10)의 한쪽 측면부에 상대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며 선단부에는 록킹 부재(170)의 릴리스 작동홀(172)의 로워 릴리스면(172A)에 접촉되는 테이퍼부(178AT)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2릴리스 버튼(178B)은 손잡이 바디(10)의 다른 쪽 측면부에 상대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며 선단부에는 록킹 부재(170)의 릴리스 작동홀(172)의 어퍼 릴리스면(172B)에 접촉되는 테이퍼부(178BT)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릴리스 버튼(178A)의 테이퍼부(178AT)는 릴리스 작동홀(172)의 로워 릴리스면(172A)에 대해 상향으로 경사진 각도로 연장되고, 상기 제2릴리스 버튼(178B)의 테이퍼부(178AT)는 릴리스 작동홀(172)의 어퍼 릴리스면(172B)에 대해 하향으로 경사진 각도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손잡이 바디(10)에 구비됨과 동시에 제1릴리스 버튼(178A)과 제2릴리스 버튼(178B)에 연결되어 제1릴리스 버튼(178A)과 제2릴리스 버튼(178B)을 푸시 상태에서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작용함으로써 록킹 부재(170)가 손잡이 바디(10)의 내부에서 하강한 상태에서 원위치로 상승되도록 하는 리버스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록킹 부재(170)는 손잡이 바디(10)의 내부에 형성된 승강홈에 상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상기 리버스 탄성체는 제1릴리스 버튼(178A)의 선단부와 승강홈 사이(손잡이 바디(10) 내부의 록킹 부재 승강홈의 한쪽 측벽부 사이)에 배치된 제1리버스 탄성체와, 상기 제2릴리스 버튼(178B)의 선단부와 승강홈 사이(손잡이 바디(10) 내부의 록킹 부재 승강홈의 다른 쪽 측벽부 사이)에 배치된 제2리버스 탄성체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릴리스 버튼(178A)과 제2릴리스 버튼(178B)을 동시에 누르게 되면, 제1리버스 탄성체와 제2리버스 탄성체가 동시에 압축되어 있다가 제1릴리스 버튼(178A)과 제2릴리스 버튼(178B)을 누르는 힘을 해제하면 제1리버스 탄성체와 제2리버스 탄성체가 원위치로 탄성 복원되면서 제1릴리스 버튼(178A)과 제2릴리스 버튼(178B)은 원위치로 후퇴 복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리버스 탄성체와 제2리버스 탄성체는 코일 스프링 구조를 취할 수 있으며, 자체 탄성을 가진 부재라면 모두 제1리버스 탄성체와 제2리버스 탄성체로 채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제1릴리스 버튼(178A)과 제2릴리스 버튼(178B)에 각각 걸림턱을 형성하고, 이러한 걸림턱과 손잡이 바디(10) 내부의 릴리스 버튼 슬라이드홈 사이에 코일 스프링 형태의 제1리버스 탄성체와 제2리버스 탄성체를 개재시켜서 제1릴리스 버튼(178A)과 제2릴리스 버튼(178B)을 눌려진 상태에서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은 록킹 부재(170)가 그립퍼(20)의 록킹홀(160)에서 이탈될 때에 그립퍼(20)가 손잡이 바디(10)의 전단부에서 완전 인출되도록 탄지하는 릴리스 탄성체(28)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릴리스 탄성체(28)는 코일 스프링 구조를 취하고 있고, 그립퍼(20)의 기단부에는 스프링 결합편이 구비되어, 그립퍼(20)의 스프링 결합편에 코일 스프링 구조의 릴리스 탄성체(28)가 결합됨과 동시에 손잡이 바디(10)의 릴리스 탄성체 결합홈에 안착된 구조를 취하고 있어서, 그립퍼(20)가 손잡이 바디(10)의 내부로 후퇴하여 수납될 때에는 릴리스 탄성체(28)가 압축되면서 탄성력을 작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상기 록킹 부재(170)가 그립퍼(20)의 록킹홀(160)에서 이탈될 때에 릴리스 탄성체(28)가 자체의 탄성 복원력으로 그립퍼(20)를 밀어서 그립퍼(20)가 손잡이 바디(10)의 전단부에서 완전 인출되도록 탄지하는 것이다.
상기 손잡이 바디(10)의 내부에 캠결합홈과 록킹 부재 승강홈 및 릴리스 탄성체 결합홈에 각각 캠(30)과 록킹 부재(170) 및 릴리스 탄성체(28)를 결합하고 손잡이 바디(10) 내부의 그립퍼(20) 슬라이드 가이드홈에 그립퍼(20)를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상측 바디부와 하측 바디부의 볼트 삽입홀과 볼트홀에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본 발명의 안전 기능을 강화한 착탈식 용기 손잡이를 조립하게 되는데, 상기 상측 바디부의 전방측 볼트 삽입홀과 하측 바디부의 전방측 볼트홀에 결합되는 볼트는 그립퍼(20)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 형상의 인출 스톱핑홀에 동시에 끼워진 상태가 되어서 그립퍼(20)가 상기 볼트에 걸려서 손잡이 바디(10)에서 완전히 빠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인출 스톱퍼 기능을 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주요부인 그립퍼(20)가 손잡이 바디(10)의 전단부에서 완전히 인출된 릴리스 상태를 보여준다. 릴리스 상태에서는 캠(30) 하부측의 그립 캠 포션(50)을 구성하는 제2캠면(54)이 그립퍼(20)에 형성된 슬라이드 작동홀의 제4캠홀면(48)에 접촉되고 그립 캠 포션(50)의 제3캠면(56)의 일부가 슬라이드 작동홀의 한쪽 제3캠홀면(46)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가 되며, 상기 그립퍼(20) 선단부의 그립핑 피스(22)는 손잡이 바디(10) 전단부의 그립핑면(10s)과 완전 이격되어, 용기(2)(조리 용기(2) 등)를 파지하지 않은 상태가 되고, 캠(30)에 결합(구체적으로, 캠(30)의 상부측 레버 결합부에 결합)되어 있는 레버(36)는 그립퍼(20)의 길이 방향과 대략 직각 방향으로 회동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 릴리스 상태에서 캠(30)에 결합되어 있는 레버(36)를 안쪽 방향으로 1차로 돌려주면, 상기 캠(30)과 그립 캠 포션(50)이 회전하는데, 이러한 회전에 따라 그립 캠 포션(50)의 제2캠면(54)이 슬라이드 작동홀의 제4캠홀면(48)을 밀어주어서 그립퍼(20)가 1차로 손잡이 바디(10)의 내부로 후퇴하는 한편 상기 록킹 부재(170)를 구성하는 제1록킹 부재(170A)의 상단부가 제2록킹 탄성체(176B)의 탄성력에 의해 그립퍼(20)에 형성되어 있는 록킹홀(160)로 진입하여 록킹 지지편에 걸려지며 동시에 그립퍼(20) 선단부의 그립핑 피스(22)와 손잡이 바디(10) 전단부의 그립핑면(10s) 사이의 간격이 더 좁아져서 상기 그립퍼(20)의 그립핑 피스(22)와 손잡이 바디(10)의 그립핑면(10s) 사이에 용기(2)를 1차로 파지할 수 있는 1차 그립 상태가 된다. 상기 그립퍼(20)가 캠(30)과 그립 캠 포션(50)의 회전에 따라 후진하는 도중에는 제1록킹 부재(170A) 상단부에 형성된 테이퍼부(178AT)에 의해 제1록킹 부재(170A)가 제2록킹 부재(170B)에 대해 원활하게 상대 하강하고 그립퍼(20)는 원활하게 후진하며, 동시에 제1록킹 부재(170A)를 상향 탄지하는 제2록킹 탄성체(176B)는 압축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그립퍼(20)가 계속 손잡이 바디(10)의 내부로 후진하다가 제1록킹 부재(170A)의 상단부가 그립퍼(20)의 록킹홀(160)에 도달하면 상기 제2록킹 탄성체(176B)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1록킹 부재(170A)가 상승하면서 그립퍼(20)에 형성된 록킹 지지편에 걸려지므로, 상기 그립퍼(20)가 손잡이 바디(10)에 1차로 후진하여 용기(2)를 1차로 파지할 수 있는 1차 그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1차 그립 상태에서 레버(36)를 다시 안쪽 위치로 더 회전(그립퍼(20)의 전후진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캠(30) 하부측의 그립 캠 포션(50)에서 제2캠면(54)과 제3캠면(56) 사이의 경계부에서 접촉되어 있던 부분이 회전하면서 그립퍼(20)의 슬라이드 작동홀의 제4캠홀면(48)에 제3캠면(56)의 원호형 곡면부가 제4캠홀면(48)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 캠(30)과 그립 캠 포션(50)이 계속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3캠면(56)이 제4캠홀면(48)을 계속하여 밀어주기 때문에, 그립퍼(20)가 계속하여 손잡이 바디(10)의 안쪽으로 후퇴하며, 상기 그립 캠 포션(50)의 제2캠면(54)이 그립퍼(20)의 슬라이드 작동홀을 구성하는 제1캠홀면(42)에 접촉되는 위치까지 회전 완료되면 그립퍼(20)가 손잡이 바디(10)의 내부로 완전 후퇴한 상태가 되고, 그립퍼(20) 선단부의 그립핑 피스(22)와 손잡이 바디(10) 전단부의 그립핑면(10s) 사이의 간격이 1차 그립 상태에 비하여 더 가까워지므로, 용기(2)를 완전히 파지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가 용기(2)를 완전 그립한 상태라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해 용기(2)를 파지하여 이동시키는 등의 일을 한 다음에는 용기(2)를 다시 릴리스시켜야 되는데, 상기 용기(2)를 그립퍼(20)의 그립핑 피스(22)와 손잡이 바디(10)의 그립핑면(10s)으로 완전 그립한 상태에서 레버를 좌측 방향(즉, 상기 레버(36)를 용기(2)를 파지하기 위한 상태로 돌려주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다시 돌려주면, 캠(30)과 그립 캠 포션(50)이 도 7에 도시된 방향(즉, 용기(2)를 파지하기 위한 상태로 캠(30)을 돌려주었던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그립퍼(20)와 그립핑 피스(22)는 손잡이 바디(10)의 전단부로 다시 인출되어 1차 그립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록킹 부재(170)를 구성하는 제1록킹 부재(170A)의 상단부는 그립퍼(20)의 록킹홀(160)을 구성하는 록킹 지지편에 걸려진 상태가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중요한 것은 용기(2)를 그립퍼(20)의 그립핑 피스(22)와 손잡이 바디(10)의 전단부 그립핑면(10s)으로 완전히 파지한 그립 상태에서 그립퍼(20)와 그립핑 피스(22)를 손잡이 바디(10)의 전단부로 1차로 인출시켜서 1차 그립 상태로 전환한 상태에서 손잡이 바디(10)의 양쪽 측면부로 돌출되어 있는 두 개의 릴리스 버튼, 다시 말해, 제1릴리스 버튼(178A)과 제2릴리스 버튼(178B)을 동시에 눌러야만 그립퍼(20)의 그립핑 피스(22)와 손잡이 바디(10)의 그립핑면(10s)이 용기(2)를 완전히 놓게 되는 릴리스 상태로 전환할 수 있어서 사용시의 안전성을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다는 점에서 특징을 갖는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그립퍼(20)가 손잡이 바디(10) 안쪽으로 완전 후퇴하여 용기(2)를 완전히 그립한 상태에서 레버와 캠(30)을 용기(2)의 그립 상태의 회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1차 회전시켜서 그립퍼(20)와 그립핑 피스(22)이 손잡이 바디(10)의 전단부로 1차 인출된 1차 그립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그립퍼(20)에 의한 1차 그립 상태에서 제1릴리스 버튼(178A) 하나만 누른다면, 제1릴리스 버튼(178A)이 선단부의 테이퍼부(178AT)가 록킹 부재(170)(정확하게는 제2록킹 부재(170B) 부분)에 형성된 릴리스 작동홀(172)의 로워 릴리스면(172A)을 따라 전진하려 하여도 제2릴리스 버튼(178B)은 제자리에 가만히 정지되어 있으면서 제2릴리스 버튼(178B)의 테이퍼부(178BT)가 록킹 부재(170)의 릴리스 작동홀(172)의 어퍼 릴리스면(172B)에 스탁(stock)되어 록킹 부재(170)가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력을 작용시키고 있으므로, 제1릴리스 버튼(178A) 하나만 누르면 절대로 록킹 부재(170)가 하강하는 경우가 없게 된다.
한편, 상기 그립퍼(20)에 의한 1차 그립 상태에서 상기 제2릴리스 버튼(178B) 하나만 누른다면, 제2릴리스 버튼(178B)이 선단부의 테이퍼부(178BT)가 록킹 부재(170)(정확하게는 제2록킹 부재(170B) 부분)에 형성된 릴리스 작동홀(172)의 어퍼 릴리스면(172B)을 따라 전진하려 하여도 제1릴리스 버튼(178A)은 제자리에 가만히 정지되어 있으면서 제1릴리스 버튼(178A)의 테이퍼부(178AT)가 록킹 부재(170)의 릴리스 작동홀(172)의 로워 릴리스면(172A)에 스탁(stock)되어 록킹 부재(170)가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력을 작용시키고 있으므로, 제2릴리스 버튼(178B) 하나만 누르면 절대로 록킹 부재(170)가 하강하는 경우가 역시 생기지 않게 된다.
반면에, 상기 그립퍼(20)에 의한 용기(2)의 1차 그립 상태에서 상기 제1릴리스 버튼(178A)과 제2릴리스 버튼(178B)을 동시에 누르는 경우에는 제1릴리스 버튼(178A)이 선단부의 테이퍼부(178AT)가 록킹 부재(170)(정확하게는 제2록킹 부재(170B) 부분)에 형성된 릴리스 작동홀(172)의 로워 릴리스면(172A)을 따라 전진하고 동시에 제2릴리스 버튼(178B)도 선단부의 테이퍼부(178BT)가 록킹 부재(170)(정확하게는 제2록킹 부재(170B) 부분)에 형성된 릴리스 작동홀(172)의 어퍼 릴리스면(172B)을 따라 전진하면서 상기 록킹 부재(170)가 아래로 하강되도록 작동시키며, 이처럼 록킹 부재(170)가 하강하면, 상기 1차 용기(2) 그립 상태에서 그립퍼(20)의 록킹홀(160)을 구성하는 록킹 지지편에 걸려있던 제1록킹 부재(170A)가 아래로 하강하여 록킹 지지편에서 빠지게 되고, 이처럼 두 개의 제1릴리스 버튼(178A)과 제2릴리스 버튼(178B)의 동시 푸시 작동에 의해 록킹 부재(170)(정확하게는 제1록킹 부재(170A) 부분)의 상단부가 그립퍼(20)의 록킹홀(160)에서 빠지는 순간 상기 그립퍼(20)를 후단에서 탄지하는 릴리스 탄성체(28)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그립퍼(20)와 이에 구비된 그립핑 피스(22)이 손잡이 바디(10)의 전단부 그립핑면(10s)에서 가장 넓은 간격으로 벌어지는 릴리스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릴리스 상태에서는 본 발명의 착탈식 용기 손잡이를 용기(2)에서 들어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주요부인 제1릴리스 버튼(178A)과 제2릴리스 버튼(178B) 중에서 어느 하나만 누르면 절대로 용기(2)를 파지한 상태가 해제되지 않고, 제1릴리스 버튼(178A)과 제2릴리스 버튼(178B)을 동시에 눌러야만 용기(2)를 파지한 상태가 해제되는 릴리스 상태가 되므로, 사용자가 실수로 단일의 버튼만을 실수로 눌러서 용기(2)의 그립 상태가 해제되어 용기(2)가 떨어져 버리는 것과 같은 사용시의 안전성을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여 용기(2)를 파지하여 이동하다가 의도하지 않은 실수로 버튼을 눌러서 용기(2)의 그립 상태를 해제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두 개의 릴리스 버튼(즉, 상기 제1릴리스 버튼(178A)과 제2릴리스 버튼(178B) 부분)을 동시에 눌러야만 용기(2)의 릴리스 상태를 만들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시 등의 안전성을 완벽하게 보장할 수 있다는 점이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이라 하겠다.
상기와 같이, 두 개의 제1릴리스 버튼(178A)과 제2릴리스 버튼(178B)을 동시에 눌러주면, 그립퍼(20)의 후진으로 인해 압축되어 있던 릴리스 탄성체(28)가 탄성 복원력에 의해 그립퍼(20)를 손잡이 바디(10)의 전단부 방향으로 밀어주고, 그립퍼(20)가 손잡이 바디(10)의 전단부 방향으로 밀리는 순간에는 캠(30)과 그립 캠 포션(50)도 그립퍼(20)의 슬라이드 작동홀 부분이 전진함에 따라 회전 중심부(즉, 캠(30)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그립퍼(20)와 그립핑 피스(22)이 손잡이 바디(10)에서 완전 인출되어 용기(2)의 파지 상태를 해제하는 릴리스 상태(도 6의 상태)가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손잡이 바디(10)를 구성하는 하측 바디부와 상측 바디부를 상호 고정하기 위해 체결된 전방측의 볼트가 그립퍼(2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인출 스톱핑홀에 결합되어 있어서, 그립퍼(20)가 손잡이 바디(10)의 전단부로 완전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에 그립퍼(20)의 인출 스톱핑홀이 걸려지므로, 그립퍼(20)가 손잡이 바디(10)에서 이탈되어 버리는 현상은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록킹 부재(170)의 구성인 제1록킹 부재(170A)는 그립퍼(20)의 록킹 지지편 후방 위치에 형성된 보조 록킹홀(160)에 걸려서 그립퍼(20)를 한번 더 지지하게 된다. 즉, 손잡이 바디(10)를 구성하는 하측 바디부와 상측 바디부를 고정하기 위한 전방측의 볼트가 그립퍼(20)를 손잡이 바디(10)에서 빠져버리는 현상을 방지하는 스톱퍼 기능을 하는 것이라 할 수 있고, 록킹 부재(170)의 주요 구성인 제1록킹 부재(170A)도 그립퍼(20)의 릴리스 상태에서 그립퍼(20)를 손잡이 바디(10)에서 빠져버리는 현상을 보조적으로 수행하는 보조 록킹 수단으로 작용하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또한, 상기 록킹 부재(170)를 상향 탄지하기 위한 제1록킹 탄성체(176A)는 코일 스프링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록킹 부재(170)의 하단부에는 결합핀부가 구비되어, 록킹 부재(170)의 결합핀부에 제1록킹 탄성체(176A)가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손잡이 바디(10)의 승강홈과 록킹 부재(170)의 사이에 탄성체가 배치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록킹 부재(170)의 하단으로 돌출된 결합핀부에 코일 스프링 구조의 탄성체를 끼운 상태에서는 탄성체가 록킹 부재(170)에 결합된 상태에서 쉽게 빠지지 않게 되므로, 상기 탄성체와 함께 록킹 부재(170)를 손잡이 바디(10)의 승강홈(즉, 록킹 부재(170)의 승강을 위한 홈이라 할 수 있음)에 끼우는 작업이 보다 신속하고 수월해져서 조립 작업성 등에서 보다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록킹 부재(170)의 제1록킹 부재(170A)가 걸려지게 되는 록킹 지지편에 걸려진 상태에서 버티는 힘을 보다 강하게 할 수 있으므로, 작동상의 신뢰성 등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그립퍼(20)의 슬라이드 작동홀을 구성하는 제4캠홀면(48)은 상기 그립퍼(20)의 전후진 방향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캠(30)의 하부측 그립 캠 포션(50)을 회전 작동시킬 때에 손잡이 바디(10) 전단부의 그립핑면(10s)과 그립퍼(20)의 그립핑 피스(22) 사이에 확보되는 그립 스페이스의 범위를 최대화함으로써 용기(2)의 다양한 두께에 대응하여 용기(2)를 그립할 수 있다는 점이다. 즉, 그립퍼(20)의 슬라이드 작동홀을 구성하는 제4캠홀면(48)의 한쪽이 다른 쪽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그립퍼(20)의 선단부 방향으로 더 나아가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구조를 취하고 있어서, 상기 캠(30)의 그립 캠 포션(50)의 원호형 제3캠면(56)이 제4캠홀면(48)에 접촉되어 회전하면서 그립퍼(20)를 전후진 작동시킬 수 있는 원주 거리(유효 거리)를 보다 넓혀줄 수 있고, 이처럼 캠(30)의 그립 캠 포션(50)에서 그립퍼(20)의 전후진 작동을 하는 부분인 원호형 제3캠면(56)이 그립퍼(20)의 제4캠홀면(48)과 접촉되어 그립퍼(20)를 당겨주는 원주 유효 거리를 늘려줌으로써 그립퍼(20)의 전후진 거리 범위를 보다 확장시키고 그립퍼(20) 선단부의 그립핑 피스(22)와 손잡이 바디(10) 전단부의 그립핑면(10s) 사이에서의 용기(2) 그립용 스페이스의 거리 범위를 보다 넓게 조절할 수 있음으로 인하여 모든 두께의 용기(2)를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는 점이 본 발명에서 가지는 주요 특징 중의 하나라 할 것이다. 용기(2)의 두께가 1mm, 2mm, 3mm, 4mm와 같이 다양한 두께를 가지도록 용기(2)가 제작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그립퍼(20)의 슬라이드 작동홀의 구성인 제4캠홀면(48)에 접촉되어 그립퍼(20)를 당겨줄 수 있는 캠(30)의 그립 캠 포션(50)의 원주형 제3캠면(56)의 유효 원주 길이를 최대한 늘려줄 수 있는 것이라서, 상기와 같이 모든 두께의 용기(2)를 원활하면서도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1차 그립 상태에서 캠(30)과 그립 캠 포션(50)의 계속되는 회전에 의해 그립 캠 포션(50)의 제3캠면(56)은 점 A로 표시된 점에서 넘어가서 도면에서 VL로 표시된 유효 거리 범위만큼 확장된 원주 거리로 접촉되면서 그립퍼(20)를 당겨주고, 이로 인하여 그립퍼(20)의 전후 이동 거리 범위가 H로 표시된 거리만큼 최대한 확장되므로, 상기와 같이 두께가 1mm, 2mm, 3mm, 4mm와 같이 어떠한 두께를 가진 용기(2)라 하더라도 용기(2)를 원활하면서도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큰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그립 캠 포션(50)의 제1캠면(52)에는 캠(30)과 그립 캠 포션(50)의 회전에 의해 그립퍼(20)가 손잡이 바디(10)로 1차로 후퇴되어 록킹 부재(170)(제1록킹 부재(170A)와 제2록킹 부재(170B)로 이루어짐)에 의한 1차 록킹 상태로 전환될 때에 제2캠홀면(44)에 접촉되는 원호형 곡면 블록 형상의 구배부(52a)가 더 구비되어 있어서, 그립퍼(20)가 손잡이 바디(10)의 전단부에 완전 인출된 릴리스 상태에서 슬라이드 작동홀의 제1캠홀면(42)과 그립 캠 포션(50)의 제1캠면(52)이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한편, 상기 그립퍼(20)가 손잡이 바디(10)의 내부로 1차로 후퇴하여 1차 그립 상태가 되면, 상기 그립 캠 포션(50)의 제2캠면(54)과 제3캠면(56) 사이의 연결부가 슬라이드 작동홀의 제4캠홀면(48)에 접촉되는 동시에 그립 캠 포션(50)의 제1캠면(52)에 상대적으로 원호형 블록 형태의 살을 더 두껍게 확보한 형태의 원호형 구배부(52a)는 슬라이드 작동홀의 제2캠홀면(44)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라서, 그립퍼(20) 선단부의 그립핑 피스(22)이 손잡이 바디(10)의 전단부 그립핑면(10s)에 근접하여 1차로 용기(2)를 파지하는 1차 그립 상태에서 그립퍼(20)가 전후로 유동될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견고하게 잡아주는 구조가 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그립퍼(20)의 그립핑 피스(22)와 손잡이 바디(10)의 그립핑면(10s) 사이에 용기(2)를 끼워서 1차로 그립한 상태에서 그립퍼(20)가 전후로 요동되면서 용기(2)가 떨어져 버리는 불안정 요소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캠(30)과 그립 캠 포션(50)을 더 회전시켜서 상기 그립퍼(20)가 손잡이 바디(10)의 내부로 완전 후퇴하여 용기(2)의 완전 그립 상태가 되면, 상기 그립 캠 포션(50)의 제2캠면(54)은 슬라이드 작동홀의 제1캠홀면(42)에 접촉되고 제3캠면(56)의 상사점은 슬라이드 작동홀의 제4캠홀(48)면에 접촉되고 동시에 제1캠면(52)에 상대적으로 원호형 블록 형태의 살을 더 두껍게 확보한 형태의 원호형 구배부(52a)는 슬라이드 작동홀의 제2캠홀면(44)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라서 그립퍼(20) 선단부의 그립핑 피스(22)이 손잡이 바디(10)의 전단부 그립핑면(10s)과 가장 가까운 위치로 접근한 완전 그립 상태에서 그립퍼(20)가 전후로 유동될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견고하게 잡아주는 구조가 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그립퍼(20)의 그립핑 피스(22)와 손잡이 바디(10)의 그립핑면(10s) 사이에 용기(2)를 끼워서 그립한 상태에서 그립퍼(20)가 전후로 요동되면서 용기(2)가 떨어져 버리는 불안정 요소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이점에서 상기 캠(30)의 그립 캠 포션(50)을 구성하는 제1캠면(52)에 살을 더 붙이는 식의 구배부(52a)를 구비한 것의 의미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그립퍼(20)의 슬라이드 작동홀의 변형된 실시예의 구조와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가 기재되는데, 이를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드 작동홀의 제3캠홀면(46)은 그립퍼(20)의 전후진 방향과 나란한 직선 연장형 캠홀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4캠홀면(48)은 제3캠홀면(46)과 나란한 직선 방향에 대해 외측으로 일정 각도 더 벌어지도록 형성된 경사형 캠홀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경사형 캠홀면인 제4캠홀면(48) 사이의 각도만큼 캠(30)과 그립 캠 포션(50)의 회전 각도를 제3캠홀면(46)과 나란한 직선 방향인 경우에 비하여 보다 더 많이 확장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그립퍼(20)의 그립핑 피스(22)와 손잡이 바디(10)의 그립핑면(10s) 사이의 용기(2) 그립 스페이스 거리 범위를 보다 더 늘려줄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용기(2)를 파지할 수 있는 범위를 그만큼 더 늘려줄 수 있는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안전 기능을 강화한 착탈식 용기 손잡이로 파지하여 옮길 수 있는 용기(2)의 규격 범위를 더욱더 늘려서 용기(2)에 채용되는 사용 호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32를 참조하면, f1은 캠(30)의 그립 캠 포션(50)에 의해 그립퍼(20)를 고정하는 힘(물어주는 힘)의 방향이고, f2는 그립 캠 포션(50)의 제3캠면(56)이 그립퍼(20)의 슬라이드 작동홀의 제4캠홀면(48)에서 미끄러지려는 힘의 방향을 의미하는데, sinθ = f1/f2로서 f2가 0으로 수렴되면 f1은 무한대로 수렴되므로, 궁극적으로 캠(30)의 그립 캠 포션(50)에 의해 그립퍼(20)를 고정하는 힘(물어주는 힘) f1이 무한대가 되어서 캠(30)과 함께 그립 캠 포션(50)을 사용자가 일부로 회전시키지 않는 이상 캠(30)과 그립 캠 포션(50)에 의해 그립퍼(20)를 고정하는 상태가 해제되는 일은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되며, 이처럼 안정적으로 그립퍼(20)를 후진시켜서 용기(2)를 두께에 따라 그립할 수 있는 사용 호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를 용기(2)의 그립 두께 범위를 극대화시키면서도 가장 안정적으로 그립할 수 있는 저크 포지션이라고 할 수 있겠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손잡이 바디(10)는 그립퍼(20)의 그립핑 피스(22)의 안쪽면과 마주하는 상기 그립핑면(10s)에 마찰부재(80)가 더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손잡이 바디(10)의 그립핑면(10s) 중앙부에 오목홈을 더 형성하고, 오목홈의 안쪽면에는 고정돌기홀이 더 형성되며, 상기 마찰부재(80)는 오목홈과 마주하는 단부측에 고정돌기 형성홈을 기준으로 구비된 고정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돌기를 오목홈 안쪽면의 고정돌기홀에 끼워주면 상기 고정돌기 형성홈에 의해 조성된 걸림단턱이 고정돌기홀 주위벽부에 걸려지므로, 마찰부재(80)가 손잡이 바디(10)의 그립핑면(10s)에 형성된 오목홈에 안정적으로 고정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마찰부재(80)는 물체의 표면에 마찰력을 가할 수 있는 재질이면 모두 채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마찰부재(80)를 내열성을 가지면서 적절한 물체 표면의 마찰력을 충분히 가할 수 있는 실리콘으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그립퍼(20)의 그립핑 피스(22)와 손잡이 바디(10)의 그립핑면(10s) 사이에 개재된 용기(2)를 물어주는 힘으로 용기(2)를 파지하는 것에 더하여 상기 손잡이 바디(10)의 그립핑면(10s)에 추가로 구비된 마찰부재(80)에 의해 용기(2)의 표면(특히, 용기(2)의 외표면)에 보다 높은 파지력과 마찰력을 가해줄 수 있으므로, 용기(2)가 이동되는 등의 취급중에 그립퍼(20)의 그립핑 피스(22)와 손잡이 바디(10)의 그립핑면(10s)에서 이탈되어 용기(2)가 바닥으로 떨어지는 등의 안전 사고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도 3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 바디(10)에 결합되어 푸시 작동에 따라 록킹 부재(170)를 그립퍼(20)의 록킹홀(160)에서 이탈시켜서 그립퍼(20)가 손잡이 바디(10)의 전단부로 인출될 수 있는 상태로 전환하는 릴리스 버튼(178)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릴리스 버튼(178)은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쪽에 대칭되는 한 쌍의 테이퍼부(178AT,178BT)가 구비되고, 상기 테이퍼부(178AT,178BT)는 록킹 부재(170)의 릴리스 작동홀(172)의 로워 릴리스면(172A)에 접촉되어, 상기 릴리스 버튼(178)을 좌측 또는 우측에서 푸시 작동함에 따라 릴리스 버튼(178)의 테이퍼부(178AT,178BT)가 록킹 부재(170)의 상기 릴리스 작동홀(172)의 로워 릴리스면(172A)에 접촉된 상태로 전진하여 록킹 부재(170)를 하강시켜서 록킹 부재(170)를 그립퍼(20)의 록킹홀(160)에서 이탈시키며, 이러한 상태에서 릴리스 탄성체(28)가 밀어주는 힘에 의해 그립퍼(20)가 손잡이 바디(10)의 전단부로 완전 인출되는 릴리스 상태로 전환될 수 있게 된다. 즉,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그립퍼(20)가 1차로 손잡이 바디(10)의 전단부로 인출된 1차 그립 상태에서 릴리스 버튼(178)을 손잡이 바디(10)의 좌측면 위치 또는 우측면 위치에서 푸시 동작하면, 록킹 부재(170)가 하강하면서 그립퍼(20)의 록킹홀(160)에서 이탈되어 그립퍼(20)를 손잡이 바디(10)의 전단부로 완전 인출시키는 작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2. 용기 10. 손잡이 바디
10A. 하측 바디부 10B. 상측 바디부
16. 슬라이딩 가이드홈 20. 그립퍼
21. 인출 스톱핑홀 28. 릴리스 탄성체
30. 캠 32. 캠축
34. 레버 결합부 36. 레버
40. 그립 작동홀 42. 제1캠홀면
44. 제2캠홀면 46. 제3캠홀면
48. 제4캠홀면 50. 그립 캠 포션
52. 제1캠면 54. 제2캠면
56. 제3캠면 80. 마찰부재
160. 록킹홀 161. 록킹 지지편
170. 록킹 부재 170A. 제1록킹 부재
170B. 제2록킹 부재 172. 릴리스홀
172A. 로워 릴리스면 172B. 어퍼 릴리스면
176A. 제1록킹 탄성체 176B. 제2록킹 탄성체
178A. 제1릴리스 버튼 178B. 제2릴리스 버튼

Claims (9)

  1. 전단부에 용기(2)를 파지하도록 그립핑면(10s)이 구비된 손잡이 바디(10)와;
    상기 손잡이 바디(10)의 전단부에서 상대 전후진되도록 상기 손잡이 바디(10) 내부에 결합되며 선단부에는 상기 손잡이 바디(10)의 상기 그립핑면(10s)과의 사이에 용기(2)를 그립할 수 있는 그립 스페이스를 형성하는 그립핑 피스(22)를 구비하며 상기 손잡이 바디(10)에 내장된 위치에는 록킹홀(160)이 구비된 그립퍼(20)와;
    상기 손잡이 바디(10)에 구비되어 회전 작동에 따라 상기 그립퍼(20)와 상기 그립핑 피스(22)를 상기 손잡이 바디(10)의 전단부에서 상대 슬라이드 작동시키는 캠(30)과;
    상기 손잡이 바디(10)의 양쪽 측면과 마주하는 양면으로 연통된 릴리스 작동홀(172)이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 바디(10)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캠(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그립퍼(20)가 상기 손잡이 바디(10)의 내부로 후퇴한 상태에서 상기 그립퍼(20)의 상기 록킹홀(160)에 결합되는 록킹 부재(170)와;
    상기 록킹 부재(170)를 상기 그립퍼(20)의 상기 록킹홀(160)에 걸려지도록 탄지하여 상기 그립퍼(20) 선단부의 상기 그립핑 피스(22)와 상기 손잡이 바디(10) 전단부의 상기 그립핑면(10s)에 의해 상기 용기(2)를 1차로 그립한 상태를 유지하는 록킹 탄성체(176)와;
    상기 손잡이 바디(10)에 결합되어 푸시 작동에 따라 상기 록킹 부재(170)를 상기 그립퍼(20)의 상기 록킹홀(160)에서 이탈시켜서 상기 그립퍼(20)가 상기 손잡이 바디(10)의 전단부로 인출될 수 있는 상태로 전환하는 릴리스 버튼(178)을 포함하고,
    상기 릴리스 버튼(178)은,
    상기 손잡이 바디(10)의 한쪽 측면부에 상대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며 선단부에는 상기 록킹 부재(170)의 상기 릴리스 작동홀(172)의 로워 릴리스면(172A)에 접촉되는 테이퍼부(178AT)가 형성된 제1릴리스 버튼(178A)과;
    상기 손잡이 바디(10)의 다른 쪽 측면부에 상대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며 선단부에는 상기 록킹 부재(170)의 상기 릴리스 작동홀(172)의 어퍼 릴리스면(172B)에 접촉되는 테이퍼부(178BT)가 형성된 제2릴리스 버튼(178B)을 포함하며,
    상기 록킹 부재(170)는, 상기 손잡이 바디(10)의 내부에 구비된 승강홈과 마주하는 양면으로 연통된 릴리스 작동홀(172)이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 바디(10)의 상기 승강홈에 상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제1록킹 부재(170A)와, 상기 제1록킹 부재(170A)의 상단부에 상대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제2록킹 부재(170B)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 탄성체(176)는, 상기 제1록킹 부재(170A)와 상기 제2록킹 부재(170B)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그립퍼(20)가 상기 손잡이 바디(10)에서 1차 그립 상태로 인출될 때에 상기 제2록킹 부재(170B)를 상기 그립퍼(20)의 상기 록킹홀(160)에 걸려지도록 탄지하는 제2록킹 탄성체(176B)와, 상기 제2록킹 부재(170B)와 상기 손잡이 바디(10)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제1록킹 부재(170A) 및 상기 제2록킹 부재(170B)를 상향 탄지하는 제1록킹 탄성체(176A)를 포함하며,
    상기 제1릴리스 버튼(178A)의 상기 테이퍼부(178AT)는 상기 릴리스 작동홀(172)의 상기 로워 릴리스면(172A)에 대해 상향으로 경사진 각도로 연장되고, 상기 제2릴리스 버튼(178B)의 상기 테이퍼부(178BT)는 상기 릴리스 작동홀(172)의 상기 어퍼 릴리스면(172B)에 대해 하향으로 경사진 각도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기능을 강화한 착탈식 용기 손잡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릴리스 버튼(178A)과 상기 제2릴리스 버튼(178B)의 동시 푸시 작동에 의해 상기 록킹 부재(170)가 상기 그립퍼(20)의 상기 록킹홀(160)에서 이탈될 때에 상기 그립퍼(20)를 상기 손잡이 바디(10)의 전단부에서 완전 인출되도록 탄지하여 용기(2)의 그립 상태를 해제하는 릴리스 상태로 전환되도록 가이드하는 릴리스 탄성체(2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기능을 강화한 착탈식 용기 손잡이.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록킹 탄성체(176B)는 코일 스프링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록킹 부재(170A)의 하단부에는 결합핀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1록킹 부재(170A)의 상기 결합핀부에 상기 제2록킹 탄성체(176B)가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록킹 부재(170A)와 상기 제2록킹 부재(170B)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제1록킹 부재(170A)는 승강 가이더에 의해 상기 제2록킹 부재(170B)에 상대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기능을 강화한 착탈식 용기 손잡이.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바디(10)에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제1릴리스 버튼(178A)과 상기 제2릴리스 버튼(178B)에 연결되어 상기 제1릴리스 버튼(178A)과 상기 제2릴리스 버튼(178B)을 푸시 상태에서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작용하여 상기 록킹 부재(170)가 상기 손잡이 바디(10)의 내부에서 하강한 상태에서 원위치로 상승되도록 하는 리버스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기능을 강화한 착탈식 용기 손잡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부재(170)는 상기 손잡이 바디(10)의 내부에 형성된 승강홈에 상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리버스 탄성체는, 상기 제1릴리스 버튼(178A)의 선단부와 상기 승강홈 사이에 배치된 제1리버스 탄성체와, 상기 제2릴리스 버튼(178B)의 선단부와 상기 승강홈 사이에 배치된 제2리버스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기능을 강화한 착탈식 용기 손잡이.
KR1020120088209A 2012-08-13 2012-08-13 안전 기능을 강화한 착탈식 용기 손잡이 KR101554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209A KR101554480B1 (ko) 2012-08-13 2012-08-13 안전 기능을 강화한 착탈식 용기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209A KR101554480B1 (ko) 2012-08-13 2012-08-13 안전 기능을 강화한 착탈식 용기 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1867A KR20140021867A (ko) 2014-02-21
KR101554480B1 true KR101554480B1 (ko) 2015-09-21

Family

ID=50268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8209A KR101554480B1 (ko) 2012-08-13 2012-08-13 안전 기능을 강화한 착탈식 용기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44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300B1 (ko) * 2014-11-05 2016-02-26 양원준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9455B2 (ja) * 1992-11-09 2001-05-28 桂川電機株式会社 循環搬送シートの片寄り検知方法および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9455B2 (ja) * 1992-11-09 2001-05-28 桂川電機株式会社 循環搬送シートの片寄り検知方法およ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1867A (ko) 2014-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6595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101092735B1 (ko)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
JP5970616B2 (ja) 調理容器用着脱式取っ手
KR20120028819A (ko) 탈착식 손잡이가 달린 주방용기
JP6577534B2 (ja) 穿刺針カートリッジ
KR101241745B1 (ko) 착탈식 용기 손잡이
US6318776B1 (en) Tongs for holding cooking container
KR101554480B1 (ko) 안전 기능을 강화한 착탈식 용기 손잡이
KR101409024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양수 손잡이
KR101423701B1 (ko) 안전 기능을 강화한 착탈식 용기 손잡이
KR101437758B1 (ko)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
JP6033964B2 (ja) 調理容器用着脱式取っ手
KR200403194Y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EP2623003B1 (en) Detachable handle
KR100339966B1 (ko) 조리용기 파지를 위한 집게
KR101379336B1 (ko) 착탈식 용기 손잡이
KR101423704B1 (ko) 착탈식 용기 손잡이
KR101457788B1 (ko) 용기 그립 호환성을 향상시킨 착탈식 용기 손잡이
JP3170568U (ja) 調理器具用取手
US20030041741A1 (en) Separable handle for cooking vessel and cooking vessel
KR20140091977A (ko) 필기구의 펜심 인출 고정장치
KR20130095916A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JP6891256B1 (ja) 折畳み用の蓋取っ手
KR101598300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20140113150A (ko)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