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1977A - 필기구의 펜심 인출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필기구의 펜심 인출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1977A
KR20140091977A KR1020130004081A KR20130004081A KR20140091977A KR 20140091977 A KR20140091977 A KR 20140091977A KR 1020130004081 A KR1020130004081 A KR 1020130004081A KR 20130004081 A KR20130004081 A KR 20130004081A KR 20140091977 A KR20140091977 A KR 201400919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
pen housing
clip
fixing
ink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4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옥
Original Assignee
김현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옥 filed Critical 김현옥
Priority to KR1020130004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1977A/ko
Publication of KR20140091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19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4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means sliding in longitudinally-slotted ca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5/00Attaching writing implements to wearing apparel or objects involving constructional changes of the implements
    • B43K25/02Clips
    • B43K25/028Clips combined with means for propelling, projecting or retracting the writing unit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기구의 펜심 인출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튼식 필기구 고정클립을 이용해 노브의 누름으로 펜심이 외부로 돌출시키면서 잠금상태를 유지하고, 사용 후에 노브를 다시 눌러 펜심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하여 필기구 내부로 펜심이 수용되게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단부에 가이드홈(11)이 구비되고, 이 가이드홈(11)에 클립고정홀(12)이 더 형성된 펜하우징(10)과;
상기 펜하우징(10) 내부에서 복귀스프링(21)이 하부에 포함된 상태로 수용되어 몸체 상단부로 노브(22)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에 상기 펜하우징(10)의 가이드홈(11)을 통과해 외부로 돌출된 끼움대(24)를 갖고, 이 끼움대(24)의 선단 양측으로 상단 및 하단에 경사면(25a)(25b)을 갖는 날개편(25)이 형성된 잉크홀더(20)와;
상기 펜하우징(10)의 상부에서 고정링(31)이 끼워져 조립되며, 이 고정링(31)의 외면에서 하향지게 돌출되어 내면 상부에 받침홈(32)이 형성되고, 이 하부에 결속홀(33)이 연속 성형된 클립(30)과;
상기 클립(30) 내면에 위치되어, 상단부로 받침홈(32)에 끼워지는 받침부(41a)와 결속홀(33)에 결합되는 고정대(41b)가 구비되며, 탄성부(42)를 갖고 하향 연장된 지지대(43)의 하부 양측에는 상기 날개편(25)의 양측면을 감싸는 받침판(44)이 절곡 형성되고, 이 받침판(44) 내면으로 상기 잉크홀더(20)의 승강 및 하강에 따른 상기 날개편(25)의 상,하단경사면(25b)과 대응하여 슬라이드 이동을 단속하는 단속돌기(45)가 일체 성형된 고정부재(4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잉크홀더(20)의 날개편(25) 상,하단에 형성된 경사면(25a)(25b)은, 펜하우징(1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성형되고, 상기 고정부재(40)의 단속돌기(45)는, 상부로 하강가이드면(45a)이 펜하우징(1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고, 그 하단으로 날개편(25)의 상단부가 걸려지는 날개걸림턱(45b)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클립 방향의 외면으로 승강가이드면(45b)이 성형되어 달성된다.

Description

필기구의 펜심 인출 고정장치{Fixing Device of Drawing A Pen Lead}
본 발명은 필기구의 펜심 인출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튼식 필기구 고정클립을 이용해 노브의 누름으로 펜심이 외부로 돌출시키면서 잠금상태를 유지하고, 사용 후에 노브를 다시 눌러 펜심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하여 필기구 내부로 펜심이 수용되게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기구는 볼펜을 비롯하여 사인펜, 형광펜, 매직펜 등을 말하며, 이들 대부분은 필기용 심재의 출몰을 위한 노브가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필기구는 크게 펜심이 고정되어 있고, 뚜껑을 사용하는 고정식과, 축의 일부를 회전시킴으로써, 나선 파이프를 따라 심의 일부가 밖으로 나오도록 한 회전식(조출식)과, 축의 일부분을 누름으로써 스프링이 움직여 펜심이 나오도록 하는 노크식과, 펜심이 돌출 및 몰입되게 슬라이드 시키는 출몰식(slide type)이 있다.
상기 고정식 필기구는 뚜껑이 별도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필기하기 위해 뚜껑을 분리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뚜껑의 분실 등으로 잉크가 증발되어 장시간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별도의 뚜껑을 열고 닫는 불편함이 없이 사용가능한 출몰식 필기구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에 따라 상기 펜심의 잠금 및 해제를 위한 잠금장치가 많이 제안되었으며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 상기 회전식은 축의 일부와 하우징의 내부에 나선가공을 위한 작업의 어려움과 하우징을 회전시켜 펜심을 진출시키는 사용상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대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은 노브의 누름에 따라 잉크홀더의 진출 이동 후에 잠금 상태를 갖도록 고정 클립을 구성하고, 상기 노브를 다시 눌러 고정 클립에 잠겨진 잉크홀더가 잠금이 해제되어, 잉크홀더의 후퇴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 필기구의 펜심 인출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노브의 누름으로 잉크홀더의 단속부를 따라 클립 내부에 장착된 고정부재가 가이드 이동되면서 잉크홀더의 단속을 잠금 및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필기구의 펜심 인출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단부에 가이드홈(11)이 구비되고, 이 가이드홈(11)에 클립고정홀(12)이 더 형성된 펜하우징(10)과;
상기 펜하우징(10) 내부에서 복귀스프링(21)이 하부에 포함된 상태로 수용되어 몸체 상단부로 노브(22)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에 상기 펜하우징(10)의 가이드홈(11)을 통과해 외부로 돌출된 끼움대(24)를 갖고, 이 끼움대(24)의 선단 양측으로 상단 및 하단에 경사면(25a)(25b)을 갖는 날개편(25)이 형성된 잉크홀더(20)와;
상기 펜하우징(10)의 상부에서 고정링(31)이 끼워져 조립되며, 이 고정링(31)의 외면에서 하향지게 돌출되어 내면 상부에 받침홈(32)이 형성되고, 이 하부에 결속홀(33)이 연속 성형된 클립(30)과;
상기 클립(30) 내면에 위치되어, 상단부로 받침홈(32)에 끼워지는 받침부(41a)와 결속홀(33)에 결합되는 고정대(41b)가 구비되며, 탄성부(42)를 갖고 하향 연장된 지지대(43)의 하부 양측에는 상기 날개편(25)의 양측면을 감싸는 받침판(44)이 절곡 형성되고, 이 받침판(44) 내면으로 상기 잉크홀더(20)의 승강 및 하강에 따른 상기 날개편(25)의 상,하단경사면(25b)과 대응하여 슬라이드 이동을 단속하는 단속돌기(45)가 일체 성형된 고정부재(4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잉크홀더(20)의 날개편(25) 상,하단에 형성된 경사면(25a)(25b)은, 펜하우징(1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성형되고, 상기 고정부재(40)의 단속돌기(45)는, 상부로 하강가이드면(45a)이 펜하우징(1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고, 그 하단으로 날개편(25)의 상단부가 걸려지는 날개걸림턱(45b)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클립 방향의 외면으로 승강가이드면(45b)이 성형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상기 잉크홀더(20)는, 펜하우징(10)을 따라 하강하면 날개편(25)의 하단경사면(25b)이 단속돌기(45)의 하강가이드면(45a)을 따라 이동되어, 고정부재(40)가 탄력을 갖고 클립(30) 방향의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상단경사면(25a)이 날개걸림턱(45b)에 걸려져 잠금된다.
또, 상기 잉크홀더(20)는, 펜하우징(10)을 따라 더 하강되면 날개편(25)의 상단경사면(25a)이 날개걸림턱(45b)을 이탈함과 동시에 고정부재(40)가 펜하우징(10) 방향으로 복귀되고, 상단경사면(25a)은 단속돌기(45)의 승강가이드면(45b)을 따라 이동되어 고정부재(40)를 탄력을 갖고 펜 하우징(10) 방향으로 밀어내면서 해제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하면, 출몰식 필기구의 펜심을 클립에 결합된 고정부재를 이용해 돌출 및 복귀시키는 단속수단으로 사용함으로써,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부품수를 절감할 수 있다.
또, 상기 고정수단을 이용한 잉크홀더의 잠금 및 해제 동작이 단순화되어 조작이 간편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면서, 상품성이 증대되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클립과 고정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초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잉크홀더의 하강에 따른 잠금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4는 잉크홀더의 하단 경사면이 고정부재의 하강 가이드면에 접촉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하단 경사면을 따라 고정부재가 외측으로 벌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상단 경사면이 날개걸림턱에 걸려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 내지 도 9는 잉크홀더의 승강에 따른 해제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7은 잉크홀더를 더 하강시켜 고정부재가 복귀된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잉크홀더가 복귀스프링으로 상승하면서 상단경사면이 고정부재를 내측으로 밀어내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고정부재의 상승가이드면을 따라 날개편이 가이드 되면서 상승되는 상태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과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필기구의 펜심 인출 고정장치는, 버튼식 필기구 고정클립을 이용해 노브의 누름으로 펜심이 외부로 돌출시키면서 잠금상태를 유지하고, 사용 후에 노브를 다시 눌러 펜심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하여 필기구 내부로 펜심이 수용되게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발명한 것이다.
우선, 본 명세서 상에서 사용되는 대략적인 방향기준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필기구(100)는 크게 펜하우징(10)이 직립되게 세워진 상태에서, 내부로 펜심(23)이 구비된 잉크홀더(20)가 삽입되며, 이 펜하우징(10)의 상단부에 클립(30)을 결합시켜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잉크홀더(20)의 상단부에 결합된 노브(22)를 눌러 잉크홀더(20)와 클립(30)에 형성된 단속수단으로, 잉크홀더(20)의 승강 및 하강 상태를 잠금 및 해제시켜 펜하우징(10)외부로 펜심(23)이 출몰될 수 있도록 한 필기구(100)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 1에서와 같이 펜하우징(10)의 상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가이드홈(11)을 절개하고, 이 가이드홈(11)의 상부에 클립(30)과 결속되는 클립고정홀(12)이 더 형성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펜하우징(10) 상부에서 잉크홀더(20)가 내부로 수용되게 조립되며, 이 잉크홀더(20)는 복귀스프링(21)이 하부에 포함된 상태로 수용되고, 상단부로 노브(22)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에 상기 펜하우징(10)의 가이드홈(11)을 통과해 외부로 돌출된 끼움대(24)를 형성시켜, 상기 가이드홈(11)을 따라 끼움대(24)가 이동가능하다.
또, 상기 끼움대(24)는, 선단 양측부로 돌출된 날개편(25)을 갖고, 이 날개편(25)의 상단 및 하단에 펜하우징(1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성형된 경사면(25a)(25b)을 갖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펜하우징(10)의 내부로 잉크홀더(20)가 조립된 상태에서, 펜하우징(10)의 상부로 고정링(31)을 갖는 클립(30)을 조립해 결속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클립(30)의 고정링(31) 내경에는, 도 2에서와 같이 펜하우징(10)의 가이드홈(11)에 끼워지는 가이드돌기(31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돌기(31a)에 클립고정홀(12)에 결합되는 결속돌기(31b)가 더 성형되어 진다.
따라서, 상기 고정링(31)은 펜하우징(10)의 상단에 삽입되면서, 가이드돌기(31a)에서 양측으로 형성된 결속돌기(31b)가 클립고정홀(12)에 끼워지면서 펜하우징(10)과 일체로 결속되는 것이다.
즉, 상기 펜하우징(10)에 내부에 수용되어 가이드홈(11)으로 끼움대(24)가 돌출된 잉크홀더(20)는, 펜하우징(10) 상부에 조립된 고정링(31)에 의해 외부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가이드홈(11)을 따라 승하강 이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링(31)의 외면에서 하향지게 돌출 성형된 클립(30)의 내면에는, 상부에 받침홈(32)이 형성되고, 이 하부에 결속홀(33)이 연속 성형된다.
여기에, 상기 클립(30)내부에 결속되어 잉크홀더(20)의 날개편(25)과 대응하여 잉크홀더(20)의 슬라이드 이동을 단속하는 단속돌기(45)가 일체 성형된 고정부재(40)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재(40)는, 클립(30) 내면에 위치되어 상단부로 받침홈(32)에 끼워지는 받침부(41a)와 결속홀(33)에 결합되는 고정대(41b)가 구비되며, 탄성부(42)를 갖고 하향 연장된 지지대(43)의 하부 양측에는 상기 날개편(25)의 양측면을 감싸는 받침판(44)이 절곡 형성된다.
또, 상기 받침판(44) 내면으로 상기 잉크홀더(20)의 승강 및 하강에 따른 상기 날개편(25)의 상,하단경사면(25b)과 대응하여 슬라이드 이동을 단속하는 단속돌기(45)가 일체로 성형된다.
상기 고정부재(40)의 단속돌기(45)의 형상을 자세히 설명하면, 상부로 하강가이드면(45a)이 펜하우징(1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고, 그 하단으로 날개편(25)의 상단부가 걸려지는 날개걸림턱(45b)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클립 방향의 외면으로 승강가이드면(45b)이 성형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40)의 단속돌기(45)는, 상기 잉크홀더(20)의 날개편(25) 상,하단에 형성된 경사면(25a)(25b)을 따라, 면접촉되면서 이동되면서, 날개편(25)의 이동을 단속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노브(22)를 누르지 않은 즉, 잉크홀더(20)와 펜심(23)이 펜하우징(10) 내부에 수용된 필기구(100)의 초기 상태이다
이때, 상기 잉크홀더(20)의 날개편(25)과 고정부재(40)의 단속돌기(45)의 두께는 동일하거나 단속돌기(45)의 폭이 더 두꺼울 수 있으나, 상기 날개편(25)과 단속돌기(45)는 수직선상에 동일하게 위치되는 것이 중요하다.
즉, 상기 날개편(25)의 이동에 따라 상단경사면(25a)과 하단경사면(25b)이 단속돌기(45)를 내,외측으로 밀어내면서 상기 고정부재(40)의 탄성부(42)로 탄력을 갖도록 한다.
그리고, 고정부재(40)는 상단부의 받침부(41a)가 고정링(31)의 외면에 받쳐진 상태에서, 고정대(41b)가 클립(30)의 결속홀(33)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필기구(100)에서 잉크홀더(20)를 하강시켜 펜심(23)이 외부로 돌출되는 동작인 잠금상태를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필기구(100)를 사용하기 위해 도 4에서와 같이 노브(22)를 누르게 되면, 상기 잉크홀더(20)의 고정대(41b)는, 펜하우징(10)의 가이드홈(11)을 따라 하강하면서 날개편(25)의 하단경사면(25b)이 단속돌기(45)의 하강가이드면(45a) 최상단에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노브(22)를 계속 누르게 되면, 도 5에서와 같이 날개편(25)의 하단경사면(25b)이 단속돌기(45)의 하강가이드면(45a)을 밀어내면서 이동되며, 이때 상기 단속돌기(45)와 일체로 형성된 고정부재(40)의 지지대(43)가 그 상부의 탄성부(42)를 통해 탄력을 갖고 클립(30) 방향의 외측으로 벌어지게 된다.
여기에 노브(22)를 계속 눌러 펜하우징(10)을 하강시키면 도 6에서와 같이 날개편(25)의 상단경사면(25a)이 단속돌기(45)의 날개걸림턱(45b)에 걸려지는 것으로, 고정부재(40)의 지지대(43)가 도5에서와 같이 외측으로 벌어진 탄력이 해제되어 초기 위치로 복귀하면서 날개걸림턱(45b)에 상단경사면(25a)이 끼워지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40)의 날개걸림턱(45b)은 날개편(25) 두께의 절반가량만큼 오목하게 파여진 상태이므로 고정부재(40)는 초기 위치가 아닌 상기 두께만큼 외측으로 벌어져 탄력을 갖는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노브(22)가 포함된 잉크홀더(20)를 눌러 펜하우징(10)의 하단부로 펜심(23)을 하강 돌출시킨 상태로 잉크홀더(20)는 고정부재(40)에 의해 잠김상태가 유지되어 필기구(100)를 사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필기구(100)를 사용하지 않는 즉, 도 3과 같은 초기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동작인 해제상태를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6에서와 같이 서와 같이 날개편(25)의 상단경사면(25a)이 단속돌기(45)의 날개걸림턱(45b)에 걸려진 잠김상태에서, 도 7에서와 같이 노브(22)를 더 눌러 잉크홀더(20)를 더 하강시키면, 날개편(25)의 상단경사면(25a)이 날개걸림턱(45b)을 이탈함과 동시에 고정부재(40)가 펜하우징(10) 방향으로 복귀되면서 잠금이 해제된다.
즉, 도 6에서 날개걸림턱(45b)에 끼워진 날개편(25)의 두께만큼 외측으로 벌어져 탄력을 갖는 고정부재(40)가 초기 상태로 복귀되며, 이때 상기 날개편(25)의 상단경사면(25a)은 최상단부가 단속돌기(45)의 외측 선단인 승강가이드면(45b)을 경사면 내에 위치되도록 고정부재(40)가 복귀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도 8에서와 같이 펜하우징(10) 내부에서 복귀스프링(21)의 탄성으로 잉크홀더(20)가 상승되면서, 상단경사면(25a)을 따라 단속돌기(45)의 하단부가 펜하우징(10)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탄성부(42)에 탄력을 갖게 한다.
그리고, 도 9에서와 같이 단속돌기(45)가 상단경사면(25a)을 따라 이동되어 날개편(25)의 내측으로 들어간 상태에서는, 상기 날개편(25)의 내측면이 승강가이드면(45b)을 따라 이동되어 잉크홀더(20)와 고정부재(40)가 도 3과 같은 초기상태로 승강 및 복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 펜하우징 20 - 잉크홀더
22 - 노브 24 - 끼움대
25 - 날개편 25a - 상단경사면
25b - 하단경사면 30 - 클립
40 - 고정부재 42 - 탄성부
43 - 지지대 44 - 받침판
45 - 단속돌기 45a - 하강가이드면
45b - 날개걸림턱 45c - 승강가이드면
100 - 필기구

Claims (4)

  1. 상단부에 가이드홈(11)이 구비되고, 이 가이드홈(11)에 클립고정홀(12)이 더 형성된 펜하우징(10)과;
    상기 펜하우징(10) 내부에서 복귀스프링(21)이 하부에 포함된 상태로 수용되어 몸체 상단부로 노브(22)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에 상기 펜하우징(10)의 가이드홈(11)을 통과해 외부로 돌출된 끼움대(24)를 갖고, 이 끼움대(24)의 선단 양측으로 상단 및 하단에 경사면(25a)(25b)을 갖는 날개편(25)이 형성된 잉크홀더(20)와;
    상기 펜하우징(10)의 상부에서 고정링(31)이 끼워져 조립되며, 이 고정링(31)의 외면에서 하향지게 돌출되어 내면 상부에 받침홈(32)이 형성되고, 이 하부에 결속홀(33)이 연속 성형된 클립(30)과;
    상기 클립(30) 내면에 위치되어, 상단부로 받침홈(32)에 끼워지는 받침부(41a)와 결속홀(33)에 결합되는 고정대(41b)가 구비되며, 탄성부(42)를 갖고 하향 연장된 지지대(43)의 하부 양측에는 상기 날개편(25)의 양측면을 감싸는 받침판(44)이 절곡 형성되고, 이 받침판(44) 내면으로 상기 잉크홀더(20)의 승강 및 하강에 따른 상기 날개편(25)의 상,하단경사면(25b)과 대응하여 슬라이드 이동을 단속하는 단속돌기(45)가 일체 성형된 고정부재(4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필기구의 펜심 인출 고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잉크홀더(20)의 날개편(25) 상,하단에 형성된 경사면(25a)(25b)은, 펜하우징(1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성형되고, 상기 고정부재(40)의 단속돌기(45)는, 상부로 하강가이드면(45a)이 펜하우징(1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고, 그 하단으로 날개편(25)의 상단부가 걸려지는 날개걸림턱(45b)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클립 방향의 외면으로 승강가이드면(45b)이 성형됨을 특징으로 한 필기구의 펜심 인출 고정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잉크홀더(20)는, 펜하우징(10)을 따라 하강하면 날개편(25)의 하단경사면(25b)이 단속돌기(45)의 하강가이드면(45a)을 따라 이동되어, 고정부재(40)가 탄력을 갖고 클립(30) 방향의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상단경사면(25a)이 날개걸림턱(45b)에 걸려져 잠금됨을 특징으로 한 필기구의 펜심 인출 고정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잉크홀더(20)는, 펜하우징(10)을 따라 더 하강되면 날개편(25)의 상단경사면(25a)이 날개걸림턱(45b)을 이탈함과 동시에 고정부재(40)가 펜하우징(10) 방향으로 복귀되고, 상단경사면(25a)은 단속돌기(45)의 승강가이드면(45b)을 따라 이동되어 고정부재(40)를 탄력을 갖고 펜 하우징(10) 방향으로 밀어내면서 해제됨을 특징으로 한 필기구의 펜심 인출 고정장치.


KR1020130004081A 2013-01-14 2013-01-14 필기구의 펜심 인출 고정장치 KR201400919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081A KR20140091977A (ko) 2013-01-14 2013-01-14 필기구의 펜심 인출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081A KR20140091977A (ko) 2013-01-14 2013-01-14 필기구의 펜심 인출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1977A true KR20140091977A (ko) 2014-07-23

Family

ID=51738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4081A KR20140091977A (ko) 2013-01-14 2013-01-14 필기구의 펜심 인출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9197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0639A1 (ko) * 2015-07-10 2017-01-19 어명혁 노크식 필기구
KR102143380B1 (ko) * 2019-06-21 2020-08-11 어명혁 펜심출몰을 단속하는 스토퍼가 구비된 필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0639A1 (ko) * 2015-07-10 2017-01-19 어명혁 노크식 필기구
KR102143380B1 (ko) * 2019-06-21 2020-08-11 어명혁 펜심출몰을 단속하는 스토퍼가 구비된 필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7994A (en) Hidden safety contoured leaf spring locking device
KR101591228B1 (ko) 노크식 필기구
US7677824B2 (en) Slide pen
KR20140143016A (ko) 이중 도어방식을 갖는 내부도어의 버튼 래치장치
KR20140091977A (ko) 필기구의 펜심 인출 고정장치
JP5837802B2 (ja) 肘掛け装置
KR200483197Y1 (ko) 오염 방지 기능이 구비된 노크식 필기도구
CN209965445U (zh) 伞巢锁定结构
KR200484941Y1 (ko) 측면에 출몰조작구가 구비된 필기구
KR101824367B1 (ko) 흔들어서 볼펜심이 출몰되는 필기구
KR101960139B1 (ko) 푸쉬버튼형 로킹장치
CN214924259U (zh) 工具盒
JP4040871B2 (ja) ルースリーフ綴具
KR20130118066A (ko) 출몰식 필기구용 버튼 클립
CN218942881U (zh) 一种电热水瓶
AU2021454211B2 (en) Controll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6498898B2 (ja) 開閉容器の開閉機構
JP6415101B2 (ja)
JP3191876U (ja) コンパス
CN215825289U (zh) 工具盒
JP6147959B2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
JP5023014B2 (ja) 押え具
KR101824368B1 (ko) 측면에 구비한 노크버튼으로 펜심이 출몰되는 필기구
KR101554480B1 (ko) 안전 기능을 강화한 착탈식 용기 손잡이
JP5830192B1 (ja) 開閉容器の開閉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