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8819A - 탈착식 손잡이가 달린 주방용기 - Google Patents

탈착식 손잡이가 달린 주방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8819A
KR20120028819A KR1020110091045A KR20110091045A KR20120028819A KR 20120028819 A KR20120028819 A KR 20120028819A KR 1020110091045 A KR1020110091045 A KR 1020110091045A KR 20110091045 A KR20110091045 A KR 20110091045A KR 20120028819 A KR20120028819 A KR 20120028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handle
pushbutton
kitchen
coup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1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0459B1 (ko
Inventor
이만수
김형선
Original Assignee
이만수
김형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만수, 김형선 filed Critical 이만수
Publication of KR20120028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8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0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0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10Devices for gripping or lifting hot cooking utensils, e.g. pincers, separate pot handles, fabric or like p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1Saucepan, frying-pan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4Support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착식 손잡이가 달린 주방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주방용기 본체, 주방용기 본체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소켓, 및 소켓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손잡이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탈착식 손잡이가 달린 주방용기{Kitchenware with a detachable handle}
본 발명은 탈착식 손잡이가 달린 주방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요에 따라 주방용기에 손잡이를 간단하고 용이하게 부착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는 주방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용기는 음식물을 단순하게 담을 수 있는 수납용기와 조리를 위해 가열할 수 있는 조리용기로 분류될 수 있다. 조리용기의 예로는 후라이팬, 냄비 등이 있으며, 조리용기는 가열이 가능하도록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통상적이다.
주방용기에 손잡이가 부착되는 경우, 용기를 보관할 때에 손잡이로 인해 적층하여 보관하는 것이 곤란하므로, 이러한 용기의 보관을 위해서는 비교적 큰 공간이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자레인지나 가스레인지를 사용하여 조리하는 경우, 주방용기에 손잡이가 부착되어 있는 때는 매우 불편하다. 반면에, 주방용기에 손잡이가 부착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전자레인지나 가스레인지에서의 사용에는 편리하나, 가열된 음식과 용기를 전자레인지나 가스레인지로부터 안전하게 꺼내는 등 취급의 안전성이 문제로 되고 있다.
한국특허등록 10-933007, 10-716595, 한국특허공개 2006-108597호에는 주방용기용 탈착식 손잡이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은 조리용기용 간이 손잡이로서 이러한 손잡이로는 조리용기를 안전하고 확실하게 파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필요에 따라 주방용기에 손잡이를 간단하고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으며, 일단 부착된 후에는 확실하게 고정되어 있고, 다시 손잡이를 간단하게 주방용기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탈착식 손잡이가 달린 주방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손잡이 사용시 안전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주방용기 본체, 주방용기 본체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소켓, 및 소켓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손잡이로 구성되는 주방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는 푸시버튼, 및 소켓으로 삽입되어 소켓에 분리가능하게 맞물리며 상,하로 위치되는 상부결합부재와 하부결합부재를 포함한다. 하부 결합부재는 소켓에 분리가능하게 맞물리는 결합부, 이 결합부에 대해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축회전부, 및 탄성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며 푸시버튼에 의해 하향 가압될 수 있는 가압부로 구성되어서, 푸시버튼을 가압하면 하부 결합부재가 축회전한다. 상기 소켓은 상, 하로 위치되는 2개의 걸림턱을 가지며, 손잡이의 상부결합부재와 하부결합부재가 각각 소켓의 상,하 걸림턱과 분리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다. 따라서, 손잡이의 하부 결합부재가 용이하게 소켓과 결합할 수 있고 푸시버튼을 누르면 간단하게 손잡이가 소켓과 분리되게 된다.
손잡이가 상기 푸시버튼이 가압되지 않도록 하는 가압방지수단을 더욱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가압방지수단에 의해 손잡이가 주방용기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어 매우 안전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방용기의 손잡이를 필요에 따라 용기와 분리할 수 있으므로, 주방용기를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어 주방용기의 보관에 필요한 공간이 절약된다. 또한, 주방용기에 손잡이가 용이하고 간단하게 분리 및 부착될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필요한 경우에는 손잡이가 주방용기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한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주방용기 본체와 소켓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소켓의 x-x 방향 단면도이다.
도 3은 주방용기 본체에 소켓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손잡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손잡이의 하부결합부재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푸시버튼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8은 손잡이를 소켓에 부착시키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9는 손잡이가 주방용기 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푸시버튼의 잠금상태와 해제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1과 12는 소켓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주방용기의 본체와 본 발명에 따른 소켓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소켓의 x-x 방향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주방용기 본체(3)는 후라이팬으로, 공지의 후라이팬 본체와 동일하게 고정부(5)가 형성된다. 공지의 후라이팬 본체의 경우, 이 고정부(5)에는 손잡이가 나사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영구고정되나, 본 발명의 경우에는 소켓(10)이 영구고정된다(도 3 참조).
본 발명에 따른 소켓(10)은 후라이팬 본체 고정부(5)의 받침부(6)에 안착할 수 있는 크기와 형태의 동체(11)를 갖는다. 이 동체의 중앙에는 고정부(5)의 고정 돌기(7)가 삽입되는 홈부(12)가 형성되고, 이 홈부에는 고정 돌기(7)의 구멍(8)과 일치하는 관통공(13)이 형성되어서 나사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소켓(10)이 고정부(5)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소켓 동체에는 중공부(14)가 형성된다. 소켓 동체(11)의 상부에는 동체(11)의 중공부(14) 내부에 형성되는 상부 걸림턱(15)이 형성되고, 소켓 동체(11)의 하부에는 동체(11)의 중공부(14) 내부에 형성되는 하부 걸림턱(16)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들 걸림턱(15,16)들의 단부벽(15',16')(도 2참조)은 중공부(14) 내부에 형성된다. 소켓 동체(11)의 상부 폭(L)보다는 하부 폭(L')이 크며 상부 걸림턱과 그 단부벽(15,15')보다는 하부 걸림턱과 그 단부벽(16,16')이 상대적으로 주방용기 본체(3) 방향으로부터 먼 방향(후방 방향)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부,하부 걸림턱(15,16)에는 각각 경사부(18,17)가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의 사시도이고 도 5은 도 4에 도시된 손잡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손잡이(20)는 상부 손잡이 부재(21)와 하부 손잡이 부재(25)를 별도로 제조한 뒤에 양 부재(21,25)를 나사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함으로써 손잡이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 부재(21,25)의 결합을 위해 각 부재에는 적당한 위치에 적당한 개수의 서로 짝을 이루는 나사 홈부(23)가 형성된다. 상부 손잡이 부재(21)에는 후술될 푸쉬버튼(50)이 위치되는 버튼 구멍(22)이 형성되고 하부 손잡이 부재(25)에는 손잡이를 걸이구 등에 걸 수 있도록 걸이 구멍(29)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20)는 서로 상,하로 위치되는 상부 결합부재(30)와 하부 결합부재(40)를 포함한다.
상부 결합부재(30)는 손잡이(20),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부 손잡이 부재(21)에 위치되어 고정되며, 그 단부에는 돌기(31)가 형성된다. 이 돌기(31)는 소켓의 상부 걸림턱(15)과 맞물리도록 상방을 향하도록 형성되되 경사지게 형성된다(도 4 및 도 8 참조).
도 5와 도 6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부 결합부재(40)는 축 회전부(41), 소켓결합부(42), 및 가압부(45)로 구성된다. 소켓결합부(42)는 축 회전부(41)로부터 일측 방향, 즉 소켓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단부에는 소켓의 하부 걸림턱(16)과 맞물리는 돌기(43)가 형성된다. 이 돌기(43)는 상부 돌기부재의 돌기(31)와 달리 경사면(44)과 수직면(44')으로 구성된다. 가압부(45)는 축 회전부(41)로부터 타측 방향, 즉 상기 소켓결합부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가압부(4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어 상호 평행하게 연장되는 2개의 가지(46,46')로 구성되며, 이들 가지(46,46') 사이에는 세장홈(47)이 형성된다. 또한, 가압부(45)를 구성하는 가지(46,46')의 밑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48)가 형성되며, 이 리브(48)에는 후술될 스프링(35)의 탄성 압축부(37)가 수용되는 수용홈(49)이 형성된다. 한편, 축 회전부(41)는 서로 다른 평면상에 위치하는 소켓결합부(42)와 가압부(45)를 연결하는 경사면 형태를 가지며, 이 축 회전부(41)에는 회전축(41')이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상부 결합부재(30)의 돌기(31)는 손잡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의 돌기로 구성되어 있으나, 상부 돌기부재의 돌기(31)가 소켓의 상부 걸림턱(15)과 맞물릴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한쌍의 돌기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하부 결합부재의 돌기(43)가 서로 손잡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부 결합부재(30)의 돌기(31)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어느 경우에도 돌기(31)가 돌기(43)에 비해 손잡이 동체로부터 더 멀리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8 참조).
손잡이는 또한 스프링(35)과 푸시버튼(50)을 포함한다. 스프링(35)은 스프링을 구성하는 강재가 나선형으로 감기는 2개의 동체(36), 이들 동체의 양측 단부로부터 경사지게 선형으로 연장되는 탄성 압축부(37), 및 동체들을 상호 연결하며 탄성 압축부가 탄성 압축할 때 스프링 자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지지부(38)로 구성된다.
도 5와 도 8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푸시버튼(50)은 상부 블럭(51), 중간 블럭(55), 및 하부 블럭(57)으로 구성된다. 상부 블럭(51)에는 손잡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푸시버튼(50)에 힘을 가할 수 있는 제1 가압부(52)와 제2 가압부(53)가 형성된다. 중간 블럭(55)은 상부 블럭과 하부 블럭 사이에 위치되는 4각형 판상의 형태로 형성된다. 하부 블럭(57)은 수직벽(56)에 의해 중간 블럭(55)과 이격되며 중간 블럭(56)과 평행하게 위치되는 판상 블럭 형태로 형성되어서, 수직벽(56)의 양측으로 그리고 하부 블럭(57)과 중간 블럭(55) 사이에는 측홈(59)이 형성되게 된다.
전술한 하부 결합부재(40)와 스프링(35)은 하부 손잡이 부재(25)에 안치된다. 이를 위해, 하부 손잡이 부재(25)에는 이들 부재가 수용될 수 있으며 작동에 필요한 운동(즉, 하부 결합부재의 축 회전운동)을 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갖는 캐비티부(26)가 형성되고, 이 캐비티부(26) 바닥은 이들 부재가 안착하여 위치하도록 그에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하부 결합부재(40)의 소켓결합부(42)의 일부가 위치되는 부위(27), 하부 결합부재의 회전축(41')이 위치되는 부위(27'), 스프링(35)의 동체(36)가 위치되는 부위(28) 등이 형성된다. 또한 하부 손잡이 부재(25)에는 이 부재 본체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돌기부 형태의 정지자(60)가 형성된다. 즉, 정지자(60)는 2개의 스프링 동체(36)가 위치하는 부위(28) 사이에서 상방으로 돌출하는 돌기부 형태이다. 이 정지자(60)는 하부 결합부재(40)가 하부 손잡이 부재(25)의 캐비티부(26)에 위치하는 경우, 하부 결합부재의 2개의 가지(46,46') 사이에 위치하되 이들 가지(46,46') 하부에 위치하는 높이를 갖는다.이 정지자(60)의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손잡이 각 부재들의 결합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하부 손잡이 부재(25)를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시키고, 스프링(35)과 하부 결합부재(40)를 하부 손잡이 부재의 캐비티부(26)의 해당 부위(예를 들면, 27,27',28)에 안치한다. 이때, 스프링(35)은 탄성 압축부(37)가 하부 결합부재(40)의 가압부(45)를 구성하는 가지(46,46')의 밑면에 형성되는 리브(48)의 수용홈(49)으로 삽입된다. 이렇게 하여 스프링(35)은 하부 결합부재(40)를 탄성지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푸쉬버튼(50)을 하부 결합부재(40)에 결착시킨다. 이 결착은 푸쉬버튼의 하부 블럭(57)과 중간 블럭(55) 사이에 형성되는 2개의 측홈(59)으로 하부 결합부재(40)의 가압부(45)를 구성하는 가지(46,46')의 각각이 삽입되도록 푸쉬버튼(50)을 하부 결합부재의 가압부(45)에 끼움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결착에 의해 푸쉬버튼(50)의 수직벽(56)은 가지(46,46') 사이에 형성되는 세장홈(47)에 위치한다. 따라서 푸시버튼(50)은 이들 가지(46,46') 사이에 삽입되어 가지를 따라 왕복이동할 수 있게 된다. 끝으로, 상부 손잡이 부재(21)의 버튼 구멍(22)으로 푸시버튼(50)이 돌출하도록 상부 손잡이 부재(21)를 하부 손잡이 부재(25)에 위치시킨 후, 나사 등으로 손잡이 부재들(21,25)을 고정시킴으로써 손잡이(20)가 완성된다(도 5 참조). 이때, 상부 결합부재(30)는 손잡이(20)에 고정되어 있으나, 하부 결합부재(40)는 회전축(41')을 중심으로 스프링(35)에 의한 탄성 회전력을 받는 상태에 있게 된다. 즉, 스프링(35)의 탄성 압축부(37)가 하부 결합부재(40)의 가압부(45)를 구성하는 가지(46,46')의 밑면에 형성된 리브(48)의 수용홈(49)으로 삽입되어 이를 탄성지지하므로, 하부 결합부재(40)의 돌기(43)는 도시된 상태에서 볼 때 회전축(41')을 중심으로 시계 반대방향을 향하는 회전력을 받는 상태에 있다.
이하에서는 손잡이(20)를 주방용기 본체(3)에 고정된 소켓(10)에 결합시키거나 분리하는 탈착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손잡이(20)를 소켓(10)에 결합시키는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20)의 상, 하부 결합부재(30,40)를 소켓(10)의 상부로부터 경사지게, 예를 들면 약 45도 정도로 경사지게 하여 소켓(10)으로 삽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소켓의 상부 걸림턱(15)이 하부 걸림턱(16)에 비해 전방 방향(즉, 주방용기 본체에 가까운 방향)에 위치하더라도 손잡이(20)가 상부로부터 경사지게 소켓(10)으로 삽입되고 돌기(31)가 돌기(43)에 비해 손잡이 동체로부터 더 멀리 위치되므로, 손잡이의 상부 결합부재(30)의 돌기(31)가 먼저 상부 걸림턱(15)에 결합하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돌기(31)는 수직하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부 걸림턱(15) 역시 경사부(18)를 가져서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돌기(31)는 용이하게 상부 걸림턱(15)과 결합할 수 있다. 일단 상부 걸림턱(15)과 돌기(31)가 결합하면, 손잡이(20)를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회전은 힘을 가하지 않아도 손잡이(20) 자체의 하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손잡이(20)가 화살표를 따라 아래로 회전하면, 이번에는 손잡이(20)의 하부 결합부재(40)의 돌기(43)가 하부 걸림턱(16)과 결합하게 된다. 하부 걸림턱(16)에는 경사부(17)가 형성되어 있고 돌기(43)는 경사면(44)을 갖도록 형성되므로 돌기(43)의 경사면(44)이 경사부(17)를 타고 미끄러지듯이 활주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돌기(43)는 경사면(44)에 의한 저항으로 회전축(4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약간 회전을 하면서 하부 걸림턱(16)과 결합하게 된다. 손잡이(20)가 소켓(10)에 결착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다시 돌기(43)가 회전축(41')을 중심으로 시계 반대방향을 향하는 회전력을 받으므로 돌기(43)의 수직면(44')이 하부 걸림턱(16)의 단부벽(16')과 확실하게 밀착되어 손잡이(20)는 소켓(10)에 단단히 고정되게 된다. 한편, 소켓 동체(11)의 상부 폭(L)보다는 하부 폭(L')이 크게 형성되는 것에 상응하도록 손잡이(20)의 전방 단부면(63) 역시 경사지게 형성시킴으로써(도 10 참조) 손잡이(20) 단부면(63)은 소켓(10)의 마주하는 단부와 밀착하게 된다.
손잡이(20)를 소켓(10)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은 푸시버튼(50)을 이용한다. 손잡이가 소켓과 결합한 상태에서 손잡이 길이방향의 단면을 도시한 도 10을 참조하면, 푸시버튼(50)이 비잠금 상태(도 10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버튼의 가압부, 예를 들면 제1 가압부(52)를 아래로 누르면, 버튼(50)은 하부 결합부재(40)의 가압부(45)를 가압하게 된다. 즉, 하부 결합부재의 가압부(45)를 구성하는 가지(46,46') 사이의 세장홈(47)에 이 세장홈(47)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결착된 버튼(50)을 가압하면, 버튼(50)의 중간블럭(55)이 가압부(45)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35)의 탄성 압축부(37)를 압축시키면서 가지(46,46'), 즉 가압부를 가압한다. 이에 의해 하부 결합부재(40)는 회전축(41')을 중심으로 축회전하므로, 하부 결합부재의 소켓결합부(42)는 시계방향으로 축회전하여 돌기(43)는 소켓의 하부 걸림턱(16)과 분리되고, 따라서 손잡이(20)를 소켓(1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푸시버튼(50)에 가해진 압력을 해제하면, 스프링(35)의 복원력에 의해 하부 결합부재(40)는 축회전하여 원위치로 복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는 푸시버튼(50)이 손잡이(20)를 소켓(10)으로부터 분리하는 작용을 방지하는 잠금기능을 가지며, 이에 대해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푸시버튼(50)은 가압부(45)를 구성하는 가지(46.46') 사이의 세장홈(47)을 따라 이동가능하므로, 버튼의 가압부, 예를 들면 제2 가압부(53)를 전방으로 가압하여 버튼(50)을 세장홈(47)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버튼의 중간블럭(55) 전방 단부가 상부 손잡이 부재(21)의 전방 단부벽(24)과 만날 때까지 이동한다(도 10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 버튼(50)의 전방이동이 멈추는 위치에 있게 되는 경우, 버튼의 하부 블럭(57)의 밑면은 전술한 정지자(60)(하부 손잡이 부재의 본체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돌기부)와 맞물린다. 이 위치에서는 버튼의 중간 블럭(55)과 하부 블럭(57)이 상부 손잡이 부재(21)의 상부 단부벽(24'), 전방 단부벽(24), 및 정지자(60)의 윗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로 삽입되어 끼워진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버튼(50)을 아래로 가압하더라도 정지자(60)에 의해 버튼(50)이 아래로 이동하여 하부 결합부재(40)를 축회전시킬 수 없으므로, 손잡이(20)가 소켓(10)과 결합한 상태에 있는 경우, 손잡이를 소켓과 분리할 수 없게 된다. 버튼(50)을 전술한 바와 같은 잠금상태에서 해제하려면, 예를 들면 제1 가압부(52)를 가압하여 버튼을 후방으로 이동시켜서 잠금해제상태(도 10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위치시키면 된다.
본 발명에 있어 손잡이 본체, 소켓 및 각 돌기 부재 등 관련 부재 모두를 전자레인지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플라스틱 재료를 사출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 관련 부재 모두를 이러한 내열성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 용기 본체 역시 전자 레인지에 사용할 수 있는 재질로 만들어지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기를 전자 레인지에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가스레인지에 사용할 수 있도록 소켓 및 각 돌기부재는 스테인레스 강과 같은 금속재로 구성할 수 있다. 이는 주방용기를 직화 가열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이들 부위가 가열되더라도 견딜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20)는 소켓(10)과 용이하고 또한 자유롭게 탈착이 가능하므로, 주방용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손잡이를 소켓과 분리시켜서 주방용기 본체만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주방용기만 적층보관함으로써 주방용기 수납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손잡이를 손쉽게 탈착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주방용기 본체에 손잡이를 부착시켜서 주방용기를 가스레인지나 전자 레인지 내에 안치시키고, 손잡이를 분리시켜서 필요한 조리를 한 후에 다시 손잡이를 주방용기 본체에 부착시켜서 주방용기를 가스레인지나 전자 레인지로부터 꺼낼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다. 또한, 손잡이는 소켓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기능이 있으므로, 사용 중에 손잡이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하다. 또한, 소켓과 손잡이를 규격화하면, 하나의 손잡이를 여러 주방용기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주방용기의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첨부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원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에서는 용기 본체에 공지의 고정부(5)를 갖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이러한 고정부가 없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소켓이 용기 본체에 고정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70,75)이 상부 소켓부재(71,77)와 하부 소켓부재(73,79)로 구성되되, 상부 소켓부재(71) 또는 하부 소켓부재(79)가 주방용기 본체(3)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별도의 소켓부재인 하부 소켓부재(73) 또는 상부 소켓부재(77)는 주방용기 본체(3)와 일체로 형성되는 소켓부재(71,75)에 나사구멍(72,78)을 통과하는 나사에 의해 결합된다. 소켓(70,75)의 내부 구성은 전술한 소켓(10)과 동일하다. 한편, 도시된 소켓(70,75)과 같이 그 단부가, 소켓(10)과 달리, 경사지지 않게 형성되는 경우, 손잡이(20)의 전방 단부면(63) 역시 상응하도록 경사지지 않게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도시된 실시예들은 주방용기 본체(3)가 후라이팬인 경우를 보여주고 있으나, 다른 주방용기 본체에도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와 소켓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8)

  1. 주방용기 본체,
    주방용기 본체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소켓, 및
    소켓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손잡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손잡이가 달린 주방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손잡이가 푸시버튼, 및 소켓으로 삽입되어 소켓에 분리가능하게 맞물리도록 상,하로 위치되는 상부결합부재와 하부결합부재를 포함하되, 푸시버튼이 하부 결합부재를 축회전시킬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손잡이가 달린 주방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결합부재가 소켓에 분리가능하게 맞물리는 소켓결합부, 이 소켓결합부에 대해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며 회전축을 갖는 판상의 축회전부, 및 축회전부로부터 상기 소켓결합부에 대해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탄성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며 푸시버튼에 의해 하향 가압될 수 있는 가압부로 구성되어서, 푸시버튼에 의해 탄성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겨내는 힘으로 가압부가 가압되면 하부 결합부재가 축회전부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축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손잡이가 달린 주방용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결합부재의 가압부가 일정한 거리로 이격하여 상호 평행하게 연장되는 2개의 가지로 구성되되 각 가지의 하부가 탄성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며, 푸시버튼이 이들 가지 사이로 삽입되어 결착하여서 가지를 따라 왕복이동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달린 주방용기.
  5. 제 4항에 있어서, 손잡이가 상기 푸시버튼이 가압되지 않도록 하는 가압방지수단을 더욱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달린 주방용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방지수단이 하부 결합부재 가압부의 상호 이격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는 2개의 가지 하부에 그리고 2개의 가지 사이에 위치하는 돌기부 형태의 정지자로 구성되어서, 상기 푸시버튼이 2개의 가지 사이로 가지를 따라 전진 이동하여 위치되는 경우에 상기 정지자와 푸시버튼의 하부가 맞물림으로써 푸시버튼이 하향 가압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달린 주방용기.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이 상, 하로 위치되는 2개의 걸림턱을 가지며, 손잡이의 상부결합부재와 하부결합부재가 각각 소켓의 상,하 걸림턱과 분리가능하게 맞물리는 돌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달린 주방용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이 상부 소켓부재와 하부 소켓부재로 구성되되, 상부 소켓부재 또는 하부 소켓부재의 어느 한 부재는 주방용기 본체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달린 주방용기.
KR1020110091045A 2010-09-15 2011-09-08 탈착식 손잡이가 달린 주방용기 KR1011404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90271 2010-09-15
KR1020100090271 2010-09-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819A true KR20120028819A (ko) 2012-03-23
KR101140459B1 KR101140459B1 (ko) 2012-04-30

Family

ID=45832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1045A KR101140459B1 (ko) 2010-09-15 2011-09-08 탈착식 손잡이가 달린 주방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40459B1 (ko)
WO (1) WO2012036432A2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755B1 (ko) * 2012-07-25 2014-03-31 양원준 조리용기 뚜껑의 탈부착 손잡이
KR101379754B1 (ko) * 2012-07-25 2014-03-31 양원준 조리용기 뚜껑의 탈부착 손잡이
KR101528452B1 (ko) * 2015-02-03 2015-06-11 김형선 탈착식 손잡이
KR101596210B1 (ko) * 2015-01-09 2016-02-23 (주)네오플램 착탈 가능한 핸들 체결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 기구
KR101671723B1 (ko) * 2015-08-18 2016-11-08 김주홍 용기 손잡이 매개체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손잡이 어셈블리
KR102101776B1 (ko) * 2019-10-02 2020-04-17 박정원 손잡이 분리형 조리용기
KR102324067B1 (ko) * 2020-06-22 2021-11-11 박정원 분리형 양방향 손잡이를 갖는 조리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377B1 (ko) * 2015-09-11 2016-02-11 김형선 주방용기용 탈착식 손잡이
CN211299460U (zh) * 2019-11-05 2020-08-21 德欣意(宁波)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可放置锅铲的平底锅
KR102264350B1 (ko) 2020-04-08 2021-06-14 박정원 결착식 분리형 손잡이를 갖는 조리용기
KR102294097B1 (ko) 2020-04-24 2021-08-26 박정원 포켓 결합식 분리형 손잡이를 갖는 조리용기
KR102234222B1 (ko) 2020-11-12 2021-03-31 박정원 포켓 결합식 손잡이 분리형 조리용기
KR102335599B1 (ko) * 2021-08-24 2021-12-03 박정원 고정쐐기를 갖는 손잡이 분리형 조리용기
WO2022103046A1 (ko) * 2020-11-12 2022-05-19 박정원 고정쐐기를 갖는 손잡이 분리형 조리용기
IT202100010910A1 (it) 2021-04-29 2022-10-29 Tognana Porcellane S P A Pentola per la cottura di alimenti e manico per pentola
IT202100019757A1 (it) * 2021-07-23 2023-01-23 Costa Handles Srl Manico amovibile per utensili di cottura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904U (ko) * 1999-03-08 2000-10-05 신항우 음식물 조리용기 손잡이
US7337306B2 (en) * 2000-12-29 2008-02-26 Stmicroelectronics, Inc. Executing conditional branch instructions in a data processor having a clustered architecture
US6993668B2 (en) * 2002-06-27 2006-01-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computing device when the computing device executes instructions in a tight loop
US9772851B2 (en) * 2007-10-25 2017-09-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trieving instructions of a single branch, backwards short loop from a local loop buffer or virtual loop buffer
US20090217017A1 (en) * 2008-02-26 2009-08-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inimizing branch prediction latency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755B1 (ko) * 2012-07-25 2014-03-31 양원준 조리용기 뚜껑의 탈부착 손잡이
KR101379754B1 (ko) * 2012-07-25 2014-03-31 양원준 조리용기 뚜껑의 탈부착 손잡이
KR101596210B1 (ko) * 2015-01-09 2016-02-23 (주)네오플램 착탈 가능한 핸들 체결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 기구
KR101528452B1 (ko) * 2015-02-03 2015-06-11 김형선 탈착식 손잡이
WO2016125967A1 (ko) * 2015-02-03 2016-08-11 (주)네오플램 탈착식 손잡이
KR101671723B1 (ko) * 2015-08-18 2016-11-08 김주홍 용기 손잡이 매개체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손잡이 어셈블리
KR102101776B1 (ko) * 2019-10-02 2020-04-17 박정원 손잡이 분리형 조리용기
KR102324067B1 (ko) * 2020-06-22 2021-11-11 박정원 분리형 양방향 손잡이를 갖는 조리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36432A3 (ko) 2012-06-07
KR101140459B1 (ko) 2012-04-30
WO2012036432A2 (ko) 201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0459B1 (ko) 탈착식 손잡이가 달린 주방용기
JP4685167B2 (ja) 調理容器用着脱式取っ手
JP5970616B2 (ja) 調理容器用着脱式取っ手
KR101528452B1 (ko) 탈착식 손잡이
KR101037656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EP0945097A1 (en) Grip device for a food cooking vessel, in particular a frying-pan
KR101215223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101312368B1 (ko) 조리용기용 손잡이 착탈장치
JP6033964B2 (ja) 調理容器用着脱式取っ手
KR101140398B1 (ko)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
KR101409024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양수 손잡이
KR101241745B1 (ko) 착탈식 용기 손잡이
KR101300211B1 (ko) 조리 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200303457Y1 (ko) 조리용기용 손잡이
KR20150064336A (ko) 접시 및 받침판 기능이 되는 뚜껑
US6685048B1 (en) Kitchen utensil
KR101062046B1 (ko)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이 용이한 조리용기의 운반이 용이하도록 탈,부착되는 손잡이
KR20110011200U (ko) 냄비
KR101593377B1 (ko) 주방용기용 탈착식 손잡이
KR200403194Y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101304960B1 (ko) 조리용기용 탈,부착 손잡이
KR101520321B1 (ko) 조리용기용의 착탈식 손잡이
KR200468783Y1 (ko) 냄비용 양수형 손잡이 파지장치
KR20100028676A (ko) 조리용기의 탈부착형 손잡이
KR101083126B1 (ko) 간격조절이 가능한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