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783Y1 - 냄비용 양수형 손잡이 파지장치 - Google Patents

냄비용 양수형 손잡이 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783Y1
KR200468783Y1 KR2020130000700U KR20130000700U KR200468783Y1 KR 200468783 Y1 KR200468783 Y1 KR 200468783Y1 KR 2020130000700 U KR2020130000700 U KR 2020130000700U KR 20130000700 U KR20130000700 U KR 20130000700U KR 200468783 Y1 KR200468783 Y1 KR 2004687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handle
groove
gripping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07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미성
Original Assignee
장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139639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68783(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장미성 filed Critical 장미성
Priority to KR20201300007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7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7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7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2Bowl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10Devices for gripping or lifting hot cooking utensils, e.g. pincers, separate pot handles, fabric or like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냄비용 양수형 손잡이 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시 냄비본체(40) 양측에 돌출된 냄비손잡이(42)에 대해 반발 자력의 누름 탄발식으로 안정되면서 정확한 결속 고정 및 결속 해지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내용물 조리 후의 뜨거운 냄비(냄비본체)의 비교적 짧은 손잡이(냄비손잡이)를 안전하면서 편하게 집어 들을 수 있어 냄비손잡이의 연장된 양수형의 파지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본 고안의 냄비용 양수형 손잡이 파지장치는 냄비본체(40)의 냄비손잡이(42)에 대해 끼움 체결되어 상하 한쌍의 파지몸체(10a)(10b)에 누름 동작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누름편(20)이 영구자석(30a)(30b)의 반발 자력으로 상기 냄비손잡이(42)의 파지결속홈(44)에 걸림 고정 및 걸림 해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되, 이들 상하의 파지몸체(10a)(10b)는 상기 누름편(20)을 손으로 누름 동작시킬 수 있도록 각각 관통된 편누름공(16a)(16b)이 형성되고 상측의 파지몸체(10a)에는 경사지면서 단턱지게 돌출된 상기 누름편(20)의 걸림단(22)이 상하 작동될 수 있는 편작동홈(14)이 요홈 형성되면서 하측의 파지몸체(10b)에는 상기 냄비손잡이(42)에 대해 삽입 결속될 수 있도록 손잡이결속홈(12)이 요홈 형성되며, 각각의 편누름공(16a)(16b)을 중심으로 상하 파지몸체(10a)(10b)의 양쪽으로는 고정나사(18)가 체결되어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위치결정돌기(32)와 위치결정홈(34)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누름편(20)과 상측 파지몸체의 편작동홈(14)에는 반발 자력이 작동될 수 있도록 영구자석(30b)(30a)이 서로 동일 극성으로 마주보게 결속 고정되게 구성된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냄비용 양수형 손잡이 파지장치 {Both sides of the handle types for pot holding devices}
본 고안은 조리기구인 냄비 양측에 돌출된 손잡이를 조리후 뜨거워진 상태에서 바로 집어들기 힘들때 별도의 양수형 파지수단으로 결속 연장시켜 좀더 편하게 냄비를 집어들을 수 있는 양수형 손잡이 냄비용 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시 냄비본체 양측에 돌출된 냄비손잡이에 대해 반발 자력의 누름 탄발식으로 안정되면서 정확한 결속 고정 및 결속 해지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내용물 조리 후의 뜨거운 냄비의 비교적 짧은 손잡이를 안전하면서 편하게 집어 들을 수 있어 냄비손잡이의 연장된 양수형의 파지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는 탈착 가능한 냄비용 양수형 손잡이 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냄비와 같은 주방용기는 내용물(음식물)을 담을 수 있도록 수용공간을 가지는 냄비본체와 상기 냄비본체를 덮을 수 있는 냄비꾸껑으로 구성되며, 특히 수용되는 내용물이 열에 의해 뜨겁게 가열됨에 따라 조리 후의 뜨거운 냄비본체를 보다 용이하게 잡고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냄비본체의 양측에는 냄비손잡이가 일체 구조로 결합 돌출된 구조를 이루는 것이 보통이다. 이는 조리과정이나 혹은 조리 후에 냄비를 이동시켜야 할 때 편리한 냄비손잡이의 돌출된 구성이 보다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냄비본체의 파지수단(손잡이)으로 사용되기 위해 통상 상부 양측에 돌출되는 냄비손잡이는 사용자가 안전하면서도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통상 고리형태의 일정길이로 형성 돌출되는데, 이때 돌출되는 냄비손잡이의 길이와 크기가 클 경우에는 필요 이상의 부피(돌출 크기 또는 돌출 면적)의 증가로 당연히 보관상의 어려움은 물론, 조리를 위해 2개 이상의 주방용기를 동시에 사용할 경우에는 손잡이들 간에 간섭이 발생함으로서 조리과정에도 많은 번거로움을 야기시키게 되는 불편함도 있다.
특히, 근래 들어서는 내부에 음식물이 담겨진 상태 그대로 냄비(주방용기)를 냉장고에 넣어 보관하고 있는데, 이와 같이 좁은 냉장고에 주방용기를 보관할 경우 주방용기의 측면에 돌설되는 냄비손잡이에 의해 가뜩이나 비좁은 냉장고의 내부공간에 주방용기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지게 되어, 냄비의 손잡이 돌출구조에 의한 공간활용성이 크게 저하되면서 심지어 손잡이에 의해 주방용기가 냉장고의 내부로 들어가지 못하는 구조적인 문제점도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냄비본체 양쪽 측방에 돌출 형성되는 냄비손잡이의 돌출 크기는 제한될 수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냄비본체의 자체 구성인 냄비손잡이와 별도로 상기 냄비손잡이에 탈착 가능하게 결속 고정시켜 손잡이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는 별도의 냄비손잡이용 파지수단이 다양하게 소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지금까지 소개되고 있는 대부분의 냄비손잡이 파지수단(파지장치)들은 냄비본체의 양측에 돌출된 냄비손잡이에 안정된 결속 고정은 별다른 불편이 없으나, 냄비손잡이와의 걸림상태에서 안정된 고정상태를 이루기 위한 결속동작이 복잡하면서 부드럽지 못하거나, 또는 파지수단 자체의 작동구조 및 그 구성관계가 필요 이상으로 복잡하고 작동 자체가 안정되지 못하다는 불편이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조작 작동이 불편하면서 장치의 고장도 쉽게 발생될 수 있다는 불편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 냄비본체 양측에 돌출된 냄비손잡이에 대해 결속 고정시 부드럽고 정확하게 반발 자력이 작동되어 누름 탄발식으로 결속 고정은 물론 결속 해지될 수 있는 작동구조의 파지수단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내용물 조리 후의 뜨거운 냄비를 안전하면서 편하게 집어 들을 수 있어 냄비손잡이의 연장된 파지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는 탈착 가능한 냄비용 양수형 손잡이 파지장치를 제공함에 기본적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파지동작시 부드럽게 잡힐 수 있으면서 냄비손잡이에 대한 원활한 탈부착이 이루어질 수 있는 몸체 형태를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속 고정동작시 반발 자력이 작동되는 내장된 영구자석의 자력 기능을 통해 냉장고 등에 간단하게 부착시켜 보다 편리하게 보관시킬 수 있는 기능성 및 편리성을 배가된 새로운 작동구조의 냄비용 양수형 손잡이 파지장치를 제공함에도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냄비용 양수용 손잡이 파지장치는, 냄비본체의 냄비손잡이에 대해 끼움 체결되어 상하 한쌍의 파지몸체에 누름 동작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누름편이 영구자석의 반발 자력으로 상기 냄비손잡이의 파지결속홈에 걸림 고정 및 걸림 해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되, 이들 상하의 파지몸체는 상기 누름편을 손으로 누름 동작시킬 수 있도록 각각 관통된 편누름공이 형성되고 상측의 파지몸체에는 경사지면서 단턱지게 돌출된 상기 누름편의 걸림단이 상하 작동될 수 있는 편작동홈이 요홈 형성되면서 하측의 파지몸체에는 상기 냄비손잡이에 대해 삽입 결속될 수 있도록 손잡이결속홈이 요홈 형성되며, 각각의 편누름공을 중심으로 상하 파지몸체의 양쪽으로는 고정나사가 체결되어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위치결정돌기와 위치결정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누름편과 상측 파지몸체의 편작동홈에는 반발 자력이 작동될 수 있도록 영구자석이 서로 동일 극성으로 마주보게 결속 고정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누름편은 금속재질의 냄비손잡이에 대한 결속 고정 및 결속 해지의 동작중에 파손됨이 없이 내구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금속재질로 구성되되, 영구자석이 이탈되지 않고 안착 결속되어 안정된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상측 파지몸체의 편작동홈과 동일 위치에 각각 자석결속홈이 형성되며, 상하의 파지몸체에는 안정된 파지동작이 유지될 수 있도록 각각 파지요홈과 장식요홈이 곡면지게 요홈 형성된 구성상의 기술적 특징으로 구성관계가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냄비용 양수형 손잡이 냄비용 파지장치에 의하면, 사용시 냄비본체 양측에 돌출된 냄비손잡이에 대해 반발 자력의 누름 탄발식으로 안정되면서 정확한 결속 고정 및 결속 해지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내용물 조리 후의 뜨거운 냄비의 비교적 짧은 손잡이를 안전하면서 편하게 집어 들을 수 있도록 있는 새로운 작동구조의 양수형 파지수단으로, 이는 냄비손잡이로부터 본 고안의 파지장치를 구조적으로 기능적으로 보다 용이하면서 정확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내용물 조리 후의 뜨거운 냄비를 안전하면서 편하게 집어 들을 수 있어 냄비손잡이의 연장된 파지수단으로서 손잡이가 작은 냄비라도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집어 들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시 파지감과 열차단 효율이 양호하도록 내구성이 요구되는 금속재인 누름편과 상기 누름편의 힌지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보호 및 파지수단인 양쪽의 파지몸체는 부드러운 합성수지재이면서 파지홈이 구비됨으로서 파지감이 안정될 수 있고, 특히 냄비손잡이에 대한 누름편의 원위치 탄발 복귀동작이 반발 자력에 의해 부드러우면서도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내구성이 유지되어 장치의 고장 자체를 최소한 시킬 수 있는 구조적인 효과도 있으며, 나아가 반발 자력이 발생되는 자석기능을 통해 사용후 보관시에 냉장고 등에 간단하게 부착 보관시킬 수 있는 등의 차별화된 편의성의 작용효과도 제공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의 냄비용 양수형 손잡이 파지장치의 결합상태 상부방향 및 저부방향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냄비용 양수형 손잡이 파지장치의 분리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냄비용 양수형 손잡이 파지장치의 결합상태 단면구조도.
도 4는 본 고안의 냄비용 양수형 손잡이 파지장치를 냄비본체 양측의 냄비손잡이에 각각 결속시킨 사용상태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냄비용 양수형 손잡이 파지장치가 냄비본체 양측에 돌출된 양수형의 냄비손잡비에 대해 각각 결속되어 영구자석의 내장된 반발 자력으로 탄발되면서 결속 고정된 작동상태와 사용자의 누름편의 누름동작으로 결속 해지되는 작동상태의 단면구조도.
도 6은 본 고안의 냄비용 양수형 손잡이 파지장치가 냄비손잡이에 대해 끼움 결속되어 걸림 고정될 때 반발 자력이 작동되는 내장된 영구자석의 자석기능을 이용하여 냉장고에 편리하게 부착시긴 사용상태 사시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양수형 손잡이 냄비용 파지장치의 구성관계 및 작동원리를 바람직한 실시예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도면 도 1a 및 도 1b의 결합상태 사시도와 도 2의 분리상태 사시도 그리고 도 3의 결합상태 단면구조도를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듯이, 본 고안의 냄비용 양수형 손잡이 파지장치는 냄비본체의 냄비손잡이에 대해 끼움 체결되어 상하 한쌍의 파지몸체에 누름 동작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누름편이 영구자석의 반발 자력으로 상기 냄비손잡이의 파지결속홈에 걸림 고정 및 걸림 해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우선 상하 한쌍으로 조립되어 일체 구조화되면서 손잡이결속홈(12)이 요홈 형성된 파지몸체(10a)(10b)가 통상 파지결속홈(44)을 갖는 냄비본체(40)의 냄비손잡이(42)에 대해 끼움 체결되어, 상기 파지몸체(10a)(10b)의 편작동홈(14)과 손잡이결속홈(12)에서 상하 작동되는 누름편(20)의 걸림단(22)이 내장된 영구자석(30a)(30b)의 반발 자력으로 원위치 탄발 복귀동작되면서 상기 냄비손잡이(42)에 대해 자동으로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파지몸체(10a)(10b) 내부 중간에 누름 동작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누름편(20)이 서로 동일 극성으로 배치 결속된 영구자석(30a)(30b)의 반발 자력으로 냄비손잡이(42)의 파지결속홈(44)에 걸림 고정 및 걸림 해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들 상하의 파지몸체(10a)(10b)는 내부에 힌지 동작될 수 있도록 구성 결속되는 상기 누름편(20)을 손으로 누름 동작시킬 수 있도록 각각 관통된 편누름공(16a)(16b)이 형성된다.
특히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한 이들 상하 양쪽의 파지몸체(10a)(10b)는 내부 중간에 위치하게 되는 금속재질의 누름편(20)이 양측에 돌출된 결속돌기(24)가 이들 파지몸체(10a)(10b)에 형성된 힌지홈에 안착 조립되어 힌지 작동될 수 있으면서 영구자석(30a)(30b)을 통해 반발 자력이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상측의 파지몸체(10a)에는 경사지면서 단턱지게 돌출된 상기 누름편(20)의 걸림단(22)이 상하 작동될 수 있는 편작동홈(14)이 요홈 형성되고, 이에 반해 하측의 파지몸체(10b)에는 상기 냄비손잡이(42)에 대해 삽입 결속될 수 있도록 손잡이결속홈(12)이 요홈 형성된다.
이는 도 4의 결속동작의 사용상태도 및 도 5a 및 도 5b의 삽입 상태의 걸림 해지에서 걸림 고정되는 작동구조도를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듯이, 이들 상측의 파지몸체(10a)에 요홈 형성된 편작동홈(14)이 그 폭이 상대적으로 넓은 하측의 파지몸체(10b)에 요홈 형성된 손잡이결속홈(12)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하여, 냄비손잡이(42)에 대해 삽입 동작시 상기 누름편(20)이 상기 상측의 편작동홈(14)에 위로 밀어올려지면서 상기 냄비손잡이(42)가 상기 하측의 손잡이결속홈(12)으로 삽입되어 체결되고, 계속해서 자연스럽게 영구자석(30a)(30b)의 반발 자력으로 상기 상측의 편작동홈(14)에 들어올려졌던 상기 누름편(20)이 상기 하측의 손잡이결속홈(12)의 원위치 탄발 동작되어 내려오면서 자동으로 상기 누름편(20)의 걸림단(22)이 상기 냄비손잡이(42)에 대해 걸림 고정되는 작동구조의 구성관계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작동구조의 본 고안은 각각의 편누름공(16a)(16b)을 중심으로 상하 파지몸체(10a)(10b)의 양쪽으로는 고정나사(18)가 체결되어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위치결정돌기(32)와 위치결정홈(34)이 각각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게 되는 상기 누름편(20)의 상측과 상측 파지몸체(10a)의 편작동홈(14)에는 반발 자력이 작동될 수 있도록 해당 영구자석(30b)(30a)이 서로 동일 극성으로 마주보게 결속 고정되게 구성된다.
또한 누름편(20)은 금속재질의 냄비손잡이(42)에 대한 결속 고정 및 결속 해지의 동작중에 파손됨이 없이 내구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금속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영구자석(30a)(30b)이 이탈되지 않고 안착 결속되어 안정된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상측 파지몸체(10a)의 편작동홈(14)에 형성된 자석결속홈(26a)과 동일하게 대응되는 동일 위치에 역시 자석결속홈(26b)이 형성되며, 상하의 파지몸체(10a)(10b) 외측에는 안정된 파지동작이 유지될 수 있도록 각각 파지요홈(36)(38)이 곡면지게 요홈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하의 파지몸체(10a)(10b)에 부드럽게 곡면 요홈되도록 형성되는 해당 파지요홈(36)(38)은 반드시 상하 양측 모두에 형성될 필요는 없으나, 기본적으로 상측의 파지몸체(10a)는 사용자가 손으로 비교적 작은 구멍인 편누름공(16a)의 누름편(20)을 보다 용이하게 누름 동작시키면서 편안한 파지감이 제공될 수 있도록 파지요홈(26)이 형성됨이 장치 자체의 장식미도 높일 수 있어 당연히 바람직하다.
10a,10b : 파지몸체 12 : 끼움홈
14 : 편작동홈 16a,16b : 편누름공
18 : 고정나사 20 : 누름편
22 : 걸림단 24 : 결속돌기
26a,26b : 자석결속홈 30a,30b : 영구자석
32 : 위치결정돌기 34 : 위치결정홈
36,38 : 파지요홈 40 : 냄비본체
42 : 냄비손잡이 44 : 파지결속홈

Claims (2)

  1. 냄비본체(40)의 냄비손잡이(42)에 대해 끼움 체결되어 상하 한쌍의 파지몸체(10a)(10b)에 누름 동작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누름편(20)이 영구자석(30a)(30b)의 반발 자력으로 상기 냄비손잡이(42)의 파지결속홈(44)에 걸림 고정 및 걸림 해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되,
    이들 상하의 파지몸체(10a)(10b)는 상기 누름편(20)을 손으로 누름 동작시킬 수 있도록 각각 관통된 편누름공(16a)(16b)이 형성되고 상측의 파지몸체(10a)에는 경사지면서 단턱지게 돌출된 상기 누름편(20)의 걸림단(22)이 상하 작동될 수 있는 편작동홈(14)이 요홈 형성되면서 하측의 파지몸체(10b)에는 상기 냄비손잡이(42)에 대해 삽입 결속될 수 있도록 손잡이결속홈(12)이 요홈 형성되며,
    각각의 편누름공(16a)(16b)을 중심으로 상하 파지몸체(10a)(10b)의 양쪽으로는 고정나사(18)가 체결되어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위치결정돌기(32)와 위치결정홈(34)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누름편(20)과 상측 파지몸체의 편작동홈(14)에는 반발 자력이 작동될 수 있도록 영구자석(30b)(30a)이 서로 동일 극성으로 마주보게 결속 고정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용 양수형 손잡이 파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누름편(20)은 금속재질의 냄비손잡이(42)에 대한 결속 고정 및 결속 해지의 동작중에 파손됨이 없이 내구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금속재질로 구성되되, 서로 동일 극성으로 배치 결속되는 영구자석(30a)(30b)이 이탈되지 않고 안정된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상측 파지몸체(10a)의 편작동홈(14)에 요홈된 자석결속홈(26a)과 동일 위치 선상에 자석결속홈(26b)이 형성되어 이들 자석결속홈(26a)(26b)에 각각 상기 영구자석(30a)(30b)이 안착 결속되며, 상하의 파지몸체(10a)(10b) 외측에는 안정된 파지동작이 유지될 수 있도록 각각 파지요홈(36)(38)이 곡면지게 요홈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용 양수형 손잡이 파지장치.
KR2020130000700U 2013-01-26 2013-01-26 냄비용 양수형 손잡이 파지장치 KR2004687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700U KR200468783Y1 (ko) 2013-01-26 2013-01-26 냄비용 양수형 손잡이 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700U KR200468783Y1 (ko) 2013-01-26 2013-01-26 냄비용 양수형 손잡이 파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8783Y1 true KR200468783Y1 (ko) 2013-09-06

Family

ID=51396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0700U KR200468783Y1 (ko) 2013-01-26 2013-01-26 냄비용 양수형 손잡이 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78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9964B1 (ko) * 2017-12-20 2019-03-20 주식회사 포켓드림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
KR102466823B1 (ko) * 2022-06-30 2022-11-16 주식회사 이룸쿡 단열손잡이부가 구비된 조리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66132B2 (en) 2000-09-04 2003-12-23 Dja Dodane Jean Et Associes Dja Cristel Detachable device for gripping, lifting, handling and tilting cooking utensils with two handles
KR200427913Y1 (ko) 2006-07-20 2006-10-02 김남중 조리용기용 다점지지 손잡이 및 이를 갖는 조리용기
KR100927707B1 (ko) 2009-07-02 2009-11-18 이상만 조리용기용 손잡이
KR101184041B1 (ko) 2012-03-06 2012-09-18 김미라 조리용기용 손잡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66132B2 (en) 2000-09-04 2003-12-23 Dja Dodane Jean Et Associes Dja Cristel Detachable device for gripping, lifting, handling and tilting cooking utensils with two handles
KR200427913Y1 (ko) 2006-07-20 2006-10-02 김남중 조리용기용 다점지지 손잡이 및 이를 갖는 조리용기
KR100927707B1 (ko) 2009-07-02 2009-11-18 이상만 조리용기용 손잡이
KR101184041B1 (ko) 2012-03-06 2012-09-18 김미라 조리용기용 손잡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9964B1 (ko) * 2017-12-20 2019-03-20 주식회사 포켓드림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
KR102466823B1 (ko) * 2022-06-30 2022-11-16 주식회사 이룸쿡 단열손잡이부가 구비된 조리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0459B1 (ko) 탈착식 손잡이가 달린 주방용기
KR101037656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20180018606A (ko) 주방기구 배치부를 갖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뚜껑을 포함하는 조리기구
KR200468783Y1 (ko) 냄비용 양수형 손잡이 파지장치
KR101140398B1 (ko)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
KR200494483Y1 (ko) 조리용기용 와이어브라켓 형태의 본체손잡이 파지장치
KR200463179Y1 (ko) 냄비
KR101558995B1 (ko) 착탈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
KR20150064336A (ko) 접시 및 받침판 기능이 되는 뚜껑
KR200469180Y1 (ko) 편수형 손잡이 냄비용 파지장치
KR100953894B1 (ko) 조리 용기용 착탈식 보조 손잡이
KR101520321B1 (ko) 조리용기용의 착탈식 손잡이
KR101452153B1 (ko) 주방용 조리기구
KR101276510B1 (ko) 주방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101584190B1 (ko) 착탈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
KR20120110802A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JP3136410U (ja) 鍋敷
KR101231906B1 (ko) 탈,부착되는 보조손잡이를 갖는 가열되는 조리용기
KR20120009164A (ko) 조리용기의 뚜껑용 탈착식 손잡이
CN212140199U (zh) 锅盖和锅具
KR102340273B1 (ko) 조리용기 손잡이
KR200491221Y1 (ko) 탈착식 뚝배기 파지구
KR200409140Y1 (ko) 조리용구용 손잡이
KR200438054Y1 (ko) 조리용구의 지지부를 가지는 가열주방용기
KR20200109048A (ko) 다기능 조리도구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0706

Effective date: 2016062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