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3894B1 - 조리 용기용 착탈식 보조 손잡이 - Google Patents

조리 용기용 착탈식 보조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3894B1
KR100953894B1 KR1020090133598A KR20090133598A KR100953894B1 KR 100953894 B1 KR100953894 B1 KR 100953894B1 KR 1020090133598 A KR1020090133598 A KR 1020090133598A KR 20090133598 A KR20090133598 A KR 20090133598A KR 100953894 B1 KR100953894 B1 KR 100953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ooking vessel
extension portion
detachable
insertion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3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원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원금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원금속
Priority to KR1020090133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38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3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3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2Bowl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용기(10)의 손잡이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하여 열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착탈식 보조손잡이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 용기용 착탈식 보조 손잡이는 조리용기(10)의 외면의 상단에 인접하여 상호 대칭되는 부분에 돌출된 손잡이(12)가 형성되되, 상기 손잡이(12)의 양측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삽입 홈(120)이 형성되며, 일면에는 상기 손잡이(12)의 단면에 상응하는 손잡이 삽입부(140)가 형성되는 몸체(14)와, 상기 손잡이 삽입부(140)의 내부 양측에 장착되어 일단은 삽입된 손잡이(12)의 삽입 홈(120)에 삽입되는 삽입 돌기(160)와, 상기 삽입 돌기(160)와 소폭 이격되어 수직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제1 힌지(162)와, 상기 삽입 돌기(160)의 타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64)를 구비한 두 개의 회전링크(16)와, 상기 회전링크(16)의 연장부(164)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삽입 돌기(160)가 내측으로 향하도록 하는 탄성 수단(17)과, 일단은 상기 연장부(164)의 외측면에 밀착하고 타측단은 상기 몸체(14)의 외부로 돌출 형성되어 가압시 연장부(164)를 내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삽입 돌기(160)가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하는 두 개의 착탈 버튼(18)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보조 손잡이, 조리 용기

Description

조리 용기용 착탈식 보조 손잡이{Clamp-on handle for cooking pot}
본 발명은 조리 용기용 착탈식 보조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용기의 손잡이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하여 열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착탈식 보조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냄비는 냄비와 같은 금속재질의 손잡이를 고정하거나 합성수지제 손잡이를 고정하여 사용하였다. 따라서,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하여 냄비를 가열할 때 냄비와 함께 고정손잡이가 가열되므로 조리 후에 행주 등을 사용하여 옮겨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자칫 잘못하여 가열된 손잡이에 손이 닿게 되면 화상을 입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조리 용기에 고정된 손잡이에 착탈식으로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한 보조 손잡이를 구비하는 다양한 착탈식 손잡이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조리 용기용 착탈식 손잡이는 필요에 따라 조리시에는 분리하여 조리한 후 조리가 완료되어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보조 손잡이를 체결하여 안전하게 조리 용기를 사용하게 한다.
예컨대,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 실1987-17986호에는 착탈식 냄비 손잡이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개 실용신안에 따르면 냄비의 고정 손잡이에 결합 또는 분리하여 사용하는 착탈식 손잡이를 사용하며 냄비의 고정 손잡이가 끼워지는 용입부를 갖는 상,하 협지부재를 적절한 탄성을 가지는 클립으로 체결하여 음식물을 가열 조리하는 경우에는 분리시켜 사용하게 하고 조리 후 가열된 냄비를 옮길 때에는 결합하여 사용하게 한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 특허 10-2003-46427호에는 2 개의 손잡이를 갖춘 조리 기구를 파지하고 들어 올리고 취급하고 기울기기 위한 착탈 가능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개 특허에 따르면 자루(2)의 내부 가장자리(6)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개구(5)를 구비하고 있으며 직경 방향에서 대향되게 외향으로 향한 2개의 자루(2) 형태의 손잡이를 갖춘 조리 기구를 파지하고, 들어올리고, 취급하고, 기울이기 위한 착탈가능한 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장치는 자루(2) 위로 적절히 맞추어지고 단열 재료로 제조된 한 쌍의 착탈가능한 쉘(10)을 포함하고, 쉘(10) 각각은, 내부 공동(11)이 형성되어 있고, 타원형 오리피스(13)를 관통하여 측면으로 개방되어 있고, 상기 오리피스(13)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자루(2)를 수용하기에 적합하고, 공동(11) 내부에 수용될 때에 자루(2)에 있는 개구(5)와 함께 적절히 협동하는 내부 고정/고정 해제 장치(20)가 장착되어 이루어진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장치는 냄비에 고정되어 있는 자루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어 미관이 수려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외관이 보다 미려하고 손잡이와 몸체의 분리가 용이한 조리 용기용 착탈식 보조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 용기용 착탈식 보조 손잡이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용기(10)에 장착하여 열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보조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기(10)의 외면의 상단에 인접하여 상호 대칭되는 부분에 돌출된 손잡이(12)가 형성되되, 상기 손잡이(12)의 양측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삽입 홈(120)이 형성되며;
일면에는 상기 손잡이(12)의 단면에 상응하는 손잡이 삽입부(140)가 형성되는 몸체(14)와;
상기 손잡이 삽입부(140)의 내부 양측에 장착되어 일단은 삽입된 손잡이(12)의 삽입 홈(120)에 삽입되는 삽입 돌기(160)와, 상기 삽입 돌기(160)와 소폭 이격되어 수직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제1 힌지(162)와, 상기 삽입 돌기(160)의 타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64)를 구비한 두 개의 회전링크(16)와;
상기 회전링크(16)의 연장부(164)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삽입 돌기(160)가 내측으로 향하도록 하는 탄성 수단(17)과;
일단은 상기 연장부(164)의 외측면에 밀착하고 타측단은 상기 몸체(14)의 외 부로 돌출 형성되어 가압시 연장부(164)를 내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삽입 돌기(160)가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하는 두 개의 착탈 버튼(18)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착탈 버튼(18)은 몸체(14)의 내부로 삽입된 일측단에 상기 회전링크(16)의 제1 힌지(162)와 인접하여 수직으로 형성된 제2 힌지(182)가 형성되고, 타측단은 돌출된 회전제한돌기(184)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14)의 내부에는 상기 회전제한돌기(184)에 상응하여 상기 착탈 버튼(18)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14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 수단(17)은 상기 몸체(14)의 내부에 형성되는 스프링삽입 홈(144)에 삽입되어 일단이 상기 회전링크(16)의 내측 연장부 끝단에 밀착되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 용기용 착탈식 보조 손잡이는 조리가 완료된 이후 냉각되기 전까지는 손잡이에 몸체를 결합하여 사용하다가 냉각이 완료되면 몸체를 분리시킨 후 손잡이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데, 손잡이에는 어떠한 개구부도 형성되어 있지 않아 종래의 탈착식 손잡이 방식에 비하여 외관이 보다 미려하다. 또한, 몸체를 손잡이와 분리시킴에 있어 엄지만을 사용하지 않고 엄지와 검지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쉽게 큰 힘을 가할 수 있어 분리가 용이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용기용 착탈식 보조 손잡이의 개략적인 구조를 사시도로써 나타내었으며 도 2에는 도 1의 조리 용기용 착탈식 보조 손잡이를 구성하는 몸체를 다른 쪽에서 도시하였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용기용 착탈식 보조 손잡이의 구조를 분해 사시도로써 나타내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리 용기용 착탈식 보조 손잡이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용기(10)에 장착하여 열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보조손잡이(14)로서, 상기 조리용기(10)의 외면의 상단에 인접하여 상호 대칭되는 부분에 돌출되고 양측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삽입 홈(120)이 형성되는 손잡이(12)와 협동하는 몸체(14)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4)의 일면에는 상기 손잡이(12)의 단면에 상응하는 손잡이 삽입부(14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 삽입부(140)의 내부 양측에는 일단은 삽입된 손잡이(12)의 삽입 홈(120)에 삽입되는 삽입 돌기(160)와, 상기 삽입 돌기(160)와 소폭 이격되어 수직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제1 힌지(162)와, 상기 삽입 돌기(160)의 타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64)를 구비한 두 개의 회전링크(16)와, 상기 회전링크(16)의 연장부(164)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삽입 돌기(160)가 내측으로 향하도록 하는 탄성 수단(17), 및 일단은 상기 연장부(164)의 외측면에 밀착하고 타측단은 상기 몸체(14)의 외부로 돌출 형성되어 가압시 연장부(164)를 내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삽입 돌기(160)가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하는 두 개의 착탈 버튼(18)이 구비된다.
상기 착탈 버튼(18)은 몸체(14)의 내부로 삽입된 일측단에 상기 회전링크(16)의 제1 힌지(162)와 인접하여 수직으로 형성된 제2 힌지(182)가 형성되고, 타측단은 돌출된 회전제한돌기(184)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14)의 내부에는 상기 회전제한돌기(184)에 상응하여 상기 착탈 버튼(18)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14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 수단(17)은 상기 몸체(14)의 내부에 형성되는 스프링삽입 홈(144)에 삽입되어 일단이 상기 회전링크(16)의 내측 연장부 끝단에 밀착되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14)와 착탈 버튼(18)의 재질은 바람직하게는 페놀과 포름알데히드와의 반응으로 생기는 열경화성 수지(熱硬化性樹脂)로 헥시온(Hexion)사(社)의 상표인 베이클라이트(bakelite)와 같은 합성 수지재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금속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용기용 착탈식 보조 손잡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내었다. 도 4를 참조하면, 몸체(14)의 손잡이 삽입부(140)에 냄비(10)의 손잡이(12)를 삽입하면 회전링크(16)의 삽입 돌기(160)가 제1 힌지(162)에 대하여 후방으로 밀려나고 다시 손잡이(12)의 양측에 내측으로 함몰된 삽입 홈(120)에 삽입된다. 탄성 수단(17)인 압축코일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삽입 돌기(160)의 타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64)를 가압하고 이로써 상기 회전링크(16)의 연장부(164)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삽입 돌기(160)가 내측으 로 향하도록 함으로써 손잡이(12)와 몸체(4)가 결합되어 빠지지 않게 된다. 위 실시예에서는 탄성 수단(17)을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스프링(57)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 용기용 착탈식 보조 손잡이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내었다. 도 6을 참조하면, 조리가 완료된 이후 냉각되기 전까지는 손잡이(12)에 몸체(14)를 결합하여 사용하다가 냉각이 완료되면 몸체(14)를 분리시킨 후 손잡이(12)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데, 손잡이(12)에는 어떠한 개구부도 형성되어 있지 않아 종래의 탈착식 손잡이 방식에 비하여 외관이 보다 미려하다. 또한, 몸체(14)를 손잡이(12)와 분리시킴에 있어 엄지만을 사용하지 않고 엄지와 검지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쉽게 큰 힘을 가할 수 있어 분리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용기용 착탈식 보조 손잡이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리 용기용 착탈식 보조 손잡이를 구성하는 몸체를 다른 쪽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용기용 착탈식 보조 손잡이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용기용 착탈식 보조 손잡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핀스프링을 사용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 용기용 착탈식 보조 손잡이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Claims (3)

  1. 외면의 상단에 인접하여 상호 대칭되는 부분에 돌출된 손잡이(12)가 형성되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12)의 양측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삽입 홈(120)이 형성된 조리 용기(10)에 결합 및 분리되는 것으로, 열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조리용기의 착탈식 보조손잡이에 있어서;
    일면에는 상기 손잡이(12)의 단면에 상응하는 손잡이 삽입부(140)가 형성되는 몸체(14)와;
    상기 손잡이 삽입부(140)의 내부 양측에 장착되어 일단은 삽입된 손잡이(12)의 삽입 홈(120)에 삽입되는 삽입 돌기(160)와, 상기 삽입 돌기(160)와 소폭 이격되어 수직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제1 힌지(162)와, 상기 삽입 돌기(160)의 타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64)를 구비한 두 개의 회전링크(16)와;
    상기 회전링크(16)의 연장부(164)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삽입 돌기(160)가 내측으로 향하도록 하는 탄성 수단(17)과;
    일단은 상기 연장부(164)의 외측면에 밀착하고 타측단은 상기 몸체(14)의 외부로 돌출 형성되어 가압시 연장부(164)를 내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삽입 돌기(160)가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하는 두 개의 착탈 버튼(18)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의 착탈식 보조손잡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버튼(18)은 몸체(14)의 내부로 삽입된 일측단에 상기 회전링크(16)의 제1 힌지(162)와 인접하여 수직으로 형성된 제2 힌지(182)가 형성되고, 타측단은 돌출된 회전제한돌기(184)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14)의 내부에는 상기 회전제한돌기(184)에 상응하여 상기 착탈 버튼(18)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14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의 착탈식 보조손잡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수단(17)은 상기 몸체(14)의 내부에 형성되는 스프링삽입 홈(144)에 삽입되어 일단이 상기 회전링크(16)의 내측 연장부 끝단에 밀착되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의 착탈식 보조손잡이.
KR1020090133598A 2009-12-30 2009-12-30 조리 용기용 착탈식 보조 손잡이 KR100953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3598A KR100953894B1 (ko) 2009-12-30 2009-12-30 조리 용기용 착탈식 보조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3598A KR100953894B1 (ko) 2009-12-30 2009-12-30 조리 용기용 착탈식 보조 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3894B1 true KR100953894B1 (ko) 2010-04-22

Family

ID=42220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3598A KR100953894B1 (ko) 2009-12-30 2009-12-30 조리 용기용 착탈식 보조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389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594Y1 (ko) 2010-06-29 2012-04-04 이영희 착탈식 손잡이가 설치된 주방 용기
KR101231906B1 (ko) 2012-03-28 2013-02-08 주식회사 로이첸 탈,부착되는 보조손잡이를 갖는 가열되는 조리용기
CN112902054A (zh) * 2021-01-26 2021-06-04 绍兴微创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led光源模组安装机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9143U (ko) * 1989-12-06 1991-08-12
KR200264123Y1 (ko) 2001-11-02 2002-02-19 전한실업주식회사 조리용기용 손잡이
KR200323762Y1 (ko) 2003-06-03 2003-08-19 권만현 조리 용기용 손잡이
KR100927707B1 (ko) 2009-07-02 2009-11-18 이상만 조리용기용 손잡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9143U (ko) * 1989-12-06 1991-08-12
KR200264123Y1 (ko) 2001-11-02 2002-02-19 전한실업주식회사 조리용기용 손잡이
KR200323762Y1 (ko) 2003-06-03 2003-08-19 권만현 조리 용기용 손잡이
KR100927707B1 (ko) 2009-07-02 2009-11-18 이상만 조리용기용 손잡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594Y1 (ko) 2010-06-29 2012-04-04 이영희 착탈식 손잡이가 설치된 주방 용기
KR101231906B1 (ko) 2012-03-28 2013-02-08 주식회사 로이첸 탈,부착되는 보조손잡이를 갖는 가열되는 조리용기
CN112902054A (zh) * 2021-01-26 2021-06-04 绍兴微创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led光源模组安装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7751A (en) Detachable cookware handle
JP4685167B2 (ja) 調理容器用着脱式取っ手
CA2247643C (en) Removable container holding device
KR100785108B1 (ko) 2개의 손잡이를 갖춘 조리 기구를 파지하고, 들어올리고,취급하고, 기울이기 위한 착탈가능한 장치
KR100953894B1 (ko) 조리 용기용 착탈식 보조 손잡이
KR101215223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US20140069948A1 (en) Handgrip for cooking vessels
WO2014165717A1 (en) Detachable pivoting handle for gripping a cookware vessel
KR20120004039A (ko) 조리 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101583779B1 (ko) 취사용기용 돌솥뚜껑
KR200323762Y1 (ko) 조리 용기용 손잡이
KR20150064336A (ko) 접시 및 받침판 기능이 되는 뚜껑
KR200264123Y1 (ko) 조리용기용 손잡이
KR20060108597A (ko) 조리용기용 간이 손잡이
KR101046866B1 (ko) 조리용기의 탈부착형 손잡이
KR20150017408A (ko) 가열 조리용기
TWI717513B (zh) 用於廚房用具的耳柄的可拆卸握持裝置
KR200468783Y1 (ko) 냄비용 양수형 손잡이 파지장치
KR101146368B1 (ko) 조리용기용 손잡이
KR200367612Y1 (ko) 조리용기의 손잡이 착탈구조
US20070157824A1 (en) Cooking device particularly useful for cooking pasta, and hot receptacle holder especially useful therewith
KR102485887B1 (ko) 주방용품 손잡이 커버
KR20120110802A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200238980Y1 (ko) 손잡이
KR200324835Y1 (ko) 양면 후라이팬의 손잡이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