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7408A - 가열 조리용기 - Google Patents

가열 조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7408A
KR20150017408A KR1020130072118A KR20130072118A KR20150017408A KR 20150017408 A KR20150017408 A KR 20150017408A KR 1020130072118 A KR1020130072118 A KR 1020130072118A KR 20130072118 A KR20130072118 A KR 20130072118A KR 20150017408 A KR20150017408 A KR 20150017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larged area
container body
silicon
piec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2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정훈
Original Assignee
강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정훈 filed Critical 강정훈
Priority to KR1020130072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7408A/ko
Publication of KR20150017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74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8Heat-insulating handles
    • A47J45/085Heat shields for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을 가열 조리하는데 사용되는 가열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 용기 본체의 절곡편에 일체화된 확대면적부의 구조와 상기 확대면적부를 감싼상태로 끼워지는 실리콘 손잡이부재의 구조를 달리하여 사용시 실리콘 손잡이부재가 쉽게 이탈되는 일이 없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개방부를 가지며 그 상단에 절곡편(11)이 형성된 용기 본체(1)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단 개방부를 필요에 따라 개폐가능하게 하는 용기 뚜껑(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용기 본체(1)의 절곡편(11)에는 상부에서 내려다 보았을 때 그 외곽 둘레부가 타원형이 되도록 양측부분에 확대면적부(11a)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절곡편(11)에 형성된 확대면적부(11a)에는 가운데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삽입홈(12a)을 통해 실리콘 손잡이부재(12)가 끼워진 것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1)의 절곡편(11)에 형성된 양측의 확대면적부(11a)에는 통공(11b)을 형성하고, 실리콘 손잡이부재(12) 중 확대면적부(11a)와의 대향면에는 걸림편(12b)을 형성하여 상기 용기 본체(1)의 확대면적부(11a)로 실리콘 손잡이부재(12)가 끼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통공(11b)에 걸림편(12b)이 삽입되어 걸리도록 한다.

Description

가열 조리용기{Heating pan for cooking}
본 발명은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하는데 사용되는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가열중에는 물론 가열후 사용자가 조리용기를 손으로 들어 옮기고자 할 때 손에 전해지는 뜨거운 열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가열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가열해서 조리할 때는 뜨거운 열에 의해서도 변형됨이 없는 금속재, 석재 또는 요업재 등으로 만들어진 가열 조리용기를 사용하는데, 가열 조리용기는 통상 음식물이 담겨지도록 상부가 개방된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에 올려져 필요에 따라 개방부를 개폐하기 위한 용기 뚜껑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가열 조리용기는 사용시의 편리성과 뜨거운 열로 부터 사용자의 손을 보호하기 위해 통상 용기 본체의 외곽 둘레에는 두개의 본체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고, 용기 뚜껑의 외곽 상단 중심부에는 하나의 뚜껑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용기 본체의 상단 둘레면은 외관의 미려함과 함께 사용상의 안전성을 위해 외곽방향으로 절곡편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가열 조리용기는 용기 본체의 외곽 둘레에 두개의 본체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사용후 세척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본체 손잡이부분의 세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함은 물론 간섭을 일으켜서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사용후 여러개의 가열 조리용기를 보관할 때 본체 손잡이로 인해 층층으로 포개어 둘 수 없어 보관 공간의 면적을 넓게 차지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러한 일반적인 가열 조리용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용기 본체(1)와 용기 뚜껑(2)으로 구성된 가열 조리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1)의 외곽 둘레에 본체 손잡이를 구비하지 않는 대신 상단에 형성된 절곡편(11)의 외곽 둘레부가 상부에서 내려다 보았을 때 타원형이 되도록 양측부분에 확대면적부(11a)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각 확대면적부에는 가운데에 수평방향으로 삽입홈(12a)을 갖는 실리콘 손잡이부재(12)를 끼워 사용자가 손으로 용기 본체(1)를 이동시키고자 할 때 실리콘 손잡이부재(12)를 잡고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종래 가열 조리용기가 도 1 내지 도 2와 같이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가열 조리 과정에서나 조리 후 뜨거워진 가열 조리용기를 이동시키고자 할 때에는 손을 이용하여 용기 본체(1)의 상단 절곡편(11)에 일체 형성되어 있는 양측의 확대면적부(11a) 부분을 잡은 다음 들어서 이동시키면 되는데, 이때 상기 확대면적부에는 일체 형성된 삽입홈(12a)을 통해 실리콘 손잡이부재(12)가 끼워져 있음에 따라 상기 실리콘 손잡이부재는 확대면적부(11a)의 상,하면을 감싼 상태가 되어 있으므로 결국 사용자의 엄지와 검지 손가락은 절곡편(11)의 확대면적부(11a)를 직접 접촉한 상태가 아닌 실리콘 손잡이부재(12)를 접촉한 상태가 되고, 이 경우 상기 실리콘 손잡이부재가 열의 전도성이 극히 떨어짐을 감안할 때 결국 사용자의 손은 뜨거운 열로 부터 보호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이와 같은 가열 조리용기는 가열된 상태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용기 본체(1)의 절곡편(11)에 일체화된 확대면적부(11a)가 실리콘 손잡이부재(12)의 삽입홈(12a)으로 끼워지게 한 상태에서는 상기 절곡편(11)과 실리콘 손잡이부재(12)의 결합력이 약해 사용과정에서 실리콘 손잡이부재(12)가 빠져버리는 일차적인 문제점이 있고, 이 일차적인 문제점으로 인해 용기 본체(1)에 채워져 있는 뜨거운 음식물이 쏟아지면서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데이게 되거나 상기 용기 본체(1)가 도자기나 유리 등의 재질일 경우 낙하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등의 이차적인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실리콘 손잡이부재(12)가 삽입홈(12a)을 통해 용기 본체(1)의 절곡편(11)에 일체화된 확대면적부(11a)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용기 본체(1)로 부터 사용자의 손을 보호해 주는 구조를 갖지 못하므로 상기 용기 본체가 뜨거워진 상태라면 손을 이용하여 용기 본체(1)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손이 용기 본체(1)에 접촉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므로 이 경우 뜨거운 열에 의해 사용자의 손이 화상을 입게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용기 본체의 절곡편에 일체화된 확대면적부의 구조와 상기 확대면적부가 감싸여진 상태로 끼워지는 실리콘 손잡이부재의 구조를 달리하여 사용시 실리콘 손잡이부재가 쉽게 이탈되는 일이 없도록 함은 물론 사용자의 손이 뜨거워진 용기 본체에 접촉되는 일도 없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개방부를 가지며 그 상단에 절곡편이 형성된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단 개방부를 필요에 따라 개폐가능하게 하는 용기 뚜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용기 본체의 절곡편에는 상부에서 내려다 보았을 때 그 외곽 둘레부가 타원형이 되도록 양측부분에 확대면적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절곡편에 형성된 확대면적부에는 가운데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삽입홈을 통해 실리콘 손잡이부재가 끼워진 것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절곡편에 형성된 양측의 확대면적부에는 통공을 형성하고, 실리콘 손잡이부재 중 확대면적부와 대향면에는 돌출되게 걸림편을 형성하여 상기 용기 본체의 확대면적부로 실리콘 손잡이부재가 끼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통공에 걸림편이 삽입되어 걸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가열 조리용기는 용기 본체의 절곡편에 형성된 양측의 확대면적부가 실리콘 손잡이부재의 삽입홈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이동을 위해 사용자가 손으로 실리콘 손잡이부재를 가볍게 잡더라도 상기 실리콘 손잡이부재에 돌출되게 형성된 걸림편이 상기 절곡편에 형성된 통공으로 삽입되어 걸려있으므로 결국 실리콘 손잡이부재는 용기 본체의 절곡편에서 쉽게 빠지지 않게되고, 이에 따라 상기 용기 본체에 채워진 뜨거운 음식물이 외부로 쏟아지는 일이 발생되지 않게되므로 인해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데이는 일이 발생되지 않게되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 도자기나 유리와 같은 재질의 용기 본체라 하더라도 사용과정에서 파손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 가열 조리용기는 용기 본체의 절곡편에 형성된 양측의 확대면적부로 실리콘 손잡이부재가 끼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실리콘 손잡이부재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열차단판이 용기 본체의 외곽 둘레면에 접촉되므로 사용과정에서 사용자의 손이 상기 열차단판에 간섭되면서 직접 용기 본체에 접촉되지 않아 사용자가 화상을 입게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일도 없게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가열 조리용기를 일부 분해하여 나타낸 시시도
도 2는 종래 가열 조리용기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가열 조리용기를 일부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가열 조리용기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4의 요부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일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3 내지 5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서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으며, 다만 본 발명 도면에서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의 도면 부호는 종래에서 부여한 번호를 그대로 부여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 가열 조리용기를 일부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가열 조리용기의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요부 확대도로서, 본 발명 일 실시예는 용기 본체(1)의 절곡편(11)에 형성된 양측의 확대면적부(11)에는 통공(11b)을 형성하고, 실리콘 손잡이부재(12) 중 확대면적부(11)와의 대향면에는 돌출되게 걸림편(12b)을 형성하여 상기 용기 본체(1)의 확대면적부(11a)로 실리콘 손잡이부재(12)가 끼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통공(11b)에 걸림편(12b)이 삽입되어 걸리도록 한다.
또한 용기 본체(1)의 절곡편(11)에 형성된 양측의 확대면적부(11a)로 끼워진 실리콘 손잡이부재(12)의 안쪽에는 수직 방향으로 열차단판(12c)을 형성하여 상기 열차단판이 용기 본체(1)의 외곽 둘레면과 접촉됨에 따라 사용과정에서 사용자의 손이 상기 열차단판으로 인해 직접 용기 본체(1)에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실리콘 손잡이부재(12)의 외관 상하면에는 각각 복수개의 돌기(12d)를 형성하여 사용과정에서 사용자의 손이 상기 실리콘 손잡이부재(12)를 잡은 상태에서는 손가락이 각 돌기(12d)에 접촉되므로 인해 손가락의 미끄럼이 방재됨은 물론 그립감도 좋아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가열 조리용기는 사용시 필요에 따라 이동시키고자 할 때는 사용자가 용기 본체(1)의 절곡편(11)에 형성된 양측의 확대면적부(11a)를 손으로 가볍게 잡으면 된다.
즉, 사용자가 양손으로 상기 용기 본체(1)의 절곡편(11)에 형성된 양측의 확대면적부(11a)를 손으로 가볍게 잡으면 상기 각 확대면적부에는 가운데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삽입홈(12a)을 통해 실리콘 손잡이부재(12)가 끼워져 있음에 따라 사용자의 손이 상기 실리콘 손잡이부재를 잡은 상태가 되는데, 이때는 상기 실리콘 손잡이부재(12)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걸림편(12b)이 확대면적부(11a)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11b)으로 끼워져 걸려있음에 따라 상기 실리콘 손잡이부재(12)가 확대면적부(11a)에서 쉽게 빠져나가는 일이 없게되는 것이다.
따라서 비록 사용자가 사용 과정에서 용기 본체(1)의 절곡편(11)에 형성된 양측의 확대면적부(11a)를 가볍게 잡더라도 용기 본체(1)가 사용자의 손에서 떨어지거나 하는 일은 거의 발생되지 않게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실리콘 손잡이부재(12)에 형성된 걸림편(12b)은 일 실시예와 같이 용기 본체(1)의 절곡편(11)에 형성된 양측의 확대면적부(11a)와 대향되는 상,하면에 형성되어도 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그 대향되는 상,하면 중 어느 한면에 만 형성되어도 됨은 이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리콘 손잡이부재(12)의 외관면에는 각각 복수개의 돌기(12d)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과정에서 사용자의 손이 상기 실리콘 손잡이부재(12)를 잡은 상태에서는 손가락이 각 돌기(12d)에 접촉되므로 상기 돌기로 인해 손가락의 미끄럼이 방지됨은 물론 그립감도 좋아지게 됨은 이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실리콘 손잡이부재(12)의 안쪽에는 수직 방향으로 열차단판(12c)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실리콘 손잡이부재(12)가 용기 본체(1)의 절곡편(11)에 형성된 양측의 확대면적부(11a)로 끼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열차단판(12c)이 용기 본체(1)의 외곽 둘레면과 접촉되어 있게 되는데, 이때에 실리콘 손잡이부재(12)를 잡고 있는 손의 엄지부분이 상부에 위치되고 나머지 네 손가락은 하부에 위치되더라도 상기 하부에 위치된 네 손가락 중 검지가 열차단판(12c)에 간섭되면서 직접 용기 본체(1)에 접촉되지는 않게되므로 결국 사용자의 손이 상기 용기 본체(1)의 열로 인해 화상을 입거나 하는 일은 절대로 일어나지 않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는 얼마든지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인데, 이러한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임은 당연하다.
1. 용기 본체 2. 용기 뚜껑
11. 절곡편 11a. 확대면적부
11b. 통공 12. 실리콘 손잡이부재
12a. 삽입홈 12b. 걸림편
12c. 열차단판

Claims (2)

  1. 개방부를 가지며 그 상단에 절곡편이 형성된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단 개방부를 필요에 따라 개폐가능하게 하는 용기 뚜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용기 본체의 절곡편에는 상부에서 내려다 보았을 때 그 외곽 둘레부가 타원형이 되도록 양측부분에 확대면적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절곡편에 형성된 확대면적부에는 가운데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삽입홈을 통해 실리콘 손잡이부재가 끼워진 것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절곡편에 형성된 양측의 확대면적부에는 통공을 형성하고, 실리콘 손잡이부재 중 확대면적부와의 대향면에는 걸림편을 형성하여 상기 용기 본체의 확대면적부로 실리콘 손잡이부재가 끼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통공에 걸림편이 삽입되어 걸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실리콘 손잡이부재의 안쪽에는 삽입홈의 하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열차단판이 형성되어 상기 실리콘 손잡이부재가 용기 본체의 절곡편에 형성된 양측의 확대면적부로 끼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열차단판이 용기 본체의 외곽 둘레면에 접촉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용기.
KR1020130072118A 2013-06-24 2013-06-24 가열 조리용기 KR201500174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118A KR20150017408A (ko) 2013-06-24 2013-06-24 가열 조리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118A KR20150017408A (ko) 2013-06-24 2013-06-24 가열 조리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7408A true KR20150017408A (ko) 2015-02-17

Family

ID=53046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2118A KR20150017408A (ko) 2013-06-24 2013-06-24 가열 조리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740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2285B1 (ko) * 2015-03-13 2016-08-30 이학선 공기순환통이 구비된 냄비
KR101853741B1 (ko) * 2017-02-15 2018-06-08 박영주 조리용기 손잡이의 결합구조
KR20190108328A (ko) 2018-03-14 2019-09-24 주식회사 실바트 전자 레인지용 조리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2285B1 (ko) * 2015-03-13 2016-08-30 이학선 공기순환통이 구비된 냄비
KR101853741B1 (ko) * 2017-02-15 2018-06-08 박영주 조리용기 손잡이의 결합구조
KR20190108328A (ko) 2018-03-14 2019-09-24 주식회사 실바트 전자 레인지용 조리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7572B2 (en) Pressure cooking appliance with lid
KR20150017408A (ko) 가열 조리용기
KR20130001973U (ko) 이중 단열용기
US10201246B2 (en) Multifunction cooking device
JP4848055B2 (ja) 調理用把持具
JP5855044B2 (ja) 加熱調理容器
JP2017051530A (ja) 蓋、及びその蓋が用いられる内釜を有する炊飯器
US7896191B1 (en) Removable insulated hand grip device for lid handle
KR200472099Y1 (ko) 부분 개폐가 편리한 한 쌍의 손잡이가 구비된 주방용 조리 용기
KR101805145B1 (ko) 이중 뚜껑을 구비한 냄비 어셈블리
JP3123150U (ja) 調理容器
KR200387986Y1 (ko) 조리용기 집게
JP6625506B2 (ja) 鍋取っ手カバー
JP3200806U (ja) 蒸気調理鍋
KR200474793Y1 (ko) 안전 손잡이를 갖는 조리 용기
KR200323681Y1 (ko) 이중뚜껑을 갖춘 조리용기
KR102035640B1 (ko) 전자 레인지용 조리기구
KR20140004586U (ko) 조리용기 뚜껑 손잡이
KR102485887B1 (ko) 주방용품 손잡이 커버
JP3245659U (ja) 火傷防止取っ手付き電子レンジ専用調理食器
KR100771608B1 (ko) 전자 레인지용 해동 용기
JP3136410U (ja) 鍋敷
KR20100128400A (ko) 전자레인지용 조리용기
JP2001231695A (ja) 加熱調理用器具
JPH051077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