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793Y1 - 안전 손잡이를 갖는 조리 용기 - Google Patents

안전 손잡이를 갖는 조리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793Y1
KR200474793Y1 KR2020130006160U KR20130006160U KR200474793Y1 KR 200474793 Y1 KR200474793 Y1 KR 200474793Y1 KR 2020130006160 U KR2020130006160 U KR 2020130006160U KR 20130006160 U KR20130006160 U KR 20130006160U KR 200474793 Y1 KR200474793 Y1 KR 2004747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main body
opening
lid
metal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61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종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원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원금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원금속
Priority to KR20201300061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7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7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7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2Bowl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8Heat-insulating handles
    • A47J45/085Heat shields for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열 조리에 사용되는 조리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조리 용기는, 음식물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갖는 금속 조리 용기 본체; 및 상기 금속 조리 용기 본체의 외측면에 부설된 용기 손잡이를 포함하는 조리 용기이다. 상기 용기 손잡이는, 상기 금속 조리 용기 본체에 각각 부착되는 제 1 및 제 2 고정부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용기 손잡이는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부들 사이에서 사용자의 파지가 가능하도록 상기 금속 조리 용기 본체의 상기 외측면 표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절곡되고, 상기 금속 조리 용기 본체의 바닥면을 향하는 저면에 형성된 제 1 개구부를 갖는 금속 하우징 파지부와 상기 금속 하우징 파지부의 내부를 채우고 상기 제 1 개구부로 일부 표면이 노출되는 수지 충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전 손잡이를 갖는 조리 용기{Cooker with safety handles}
본 고안은 음식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열 조리에 사용되는 안전 손잡이를 갖는 조리 용기에 관한 것이다.
요리에 사용되는 조리 용기는 요리 시에 음식물에 가해지는 열을 고르게 분포시켜 균일하게 음식물을 가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목적으로, 가열 조리에 사용되는 음식 용기는 대부분 열전도가 우수한 금속재가 사용된다.
상기 금속재는 고온에서도 적합한 강도를 가지고 미려한 외관을 갖기 때문에, 음식 용기를 다루기 위한 손잡이 또는 상기 음식 용기를 덮는 뚜껑 및 이의 손잡이에도 상기 금속재가 사용된다. 그러나, 손잡이를 금속재로 제조하는 경우, 조리를 할 때, 조리 용기에 가해지는 열에 의해 상기 금속재 손잡이도 동시에 뜨거워져 사용자가 맨 손으로 파지하는 경우 화상의 위험과 같은 안전 사고가 발생한다.
관련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1] 한국 공개특허 제10-2011-0098338호(2011년 9월 1일자 공개)
[특허 문헌 2] 한국 공개특허 제20-2009-0004725호(2009년 5월 19일자 공개)
[특허 문헌 3] 한국 공개특허 제10-2006-0052742호(2006년 5월 19일자 공개)
[특허 문헌 4] 한국 공개특허 제10-2005-0049396호(2005년 5월 25일자 공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금속 조리 용기와의 심미적 일체감을 위해 금속재로 형성된 용기 손잡이 또는 뚜껑 손잡이로서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의 파지시 조리시 가열되는 금속 조리 용기로부터 전달되는 열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는 금속 조리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음식물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갖는 금속 조리 용기 본체; 및 상기 금속 조리 용기 본체의 외측면에 부설된 용기 손잡이를 포함하는 조리 용기이다. 상기 용기 손잡이는, 상기 금속 조리 용기 본체에 각각 부착되는 제 1 및 제 2 고정부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용기 손잡이는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부들 사이에서 사용자의 파지가 가능하도록 상기 금속 조리 용기 본체의 상기 외측면 표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절곡되고, 상기 금속 조리 용기 본체의 바닥면을 향하는 저면에 형성된 제 1 개구부를 갖는 금속 하우징 파지부와 상기 금속 하우징 파지부의 내부를 채우고 상기 제 1 개구부로 일부 표면이 노출되는 수지 충전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용기 손잡이의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부들 및 상기 금속 하우징 파지부는 일체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 충전체는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속 조리 용기는, 음식물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갖는 금속 조리 용기 본체, 상기 금속 조리 용기 본체를 덮는 금속 뚜껑, 및 상기 금속 뚜껑의 상부면에 부설된 뚜껑 손잡이를 포함하는 조리 용기일 수 있다. 상기 뚜껑 손잡이는, 상기 금속 뚜껑의 상기 상부면에 각각 부착되는 제 1 및 제 2 고정부들; 및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부들 사이에서 사용자의 파지가 가능하도록 상기 금속 뚜껑의 상기 상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절곡되고, 상기 금속 뚜껑의 상기 상부면을 향하는 저면에 형성된 제 1 개구부를 갖는 금속 하우징 파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금속 하우징 파지부의 내부를 채우고 상기 제 1 개구부로 일부 표면이 노출되는 수지 충전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조리 용기는 용기 손잡이의 하우징 파지부 내에 수지 충전체가 제공되고 상기 충전체의 일부 표면이 상기 하우징 파지부의 저면으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조리시 가열된 용기 손잡이를 파지를 했을 때 체감 온도를 감소시키고 화상 위험을 완화 및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조리 용기는 뚜껑 손잡이의 하우징 파지부 내에도 수지 충전체가 제공되어 뚜껑 손잡이의 파지시 체감 온도를 감소시키고 화상 위험을 완화 및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조리 용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금속 조리 용기의 용기 손잡이들을 각각 도시하는 사시도들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금속 조리 용기의 뚜껑 손잡이들을 각각 도시하는 사시도들이다.
이하, 본 고안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은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되는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 는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고안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 1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고안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 2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조리 용기(1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금속 조리 용기(100)는 음식물을 수용하고 조리 공간을 제공하는 내부 공간을 갖는 금속 조리 용기 본체(10) 및 금속 조리 용기 본체(10)를 덮을 수 있는 뚜껑(20)을 포함한다. 금속 조리 용기 본체(10)와 뚜껑(20)은 스텐레스강, 알루미늄, 양은 또는 철과 같은 금속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금속재는 2 이상의 합금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금속 조리 용기 본체(10)와 뚜껑(20)은 심미적 일체감을 주도록 동일한 금속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금속 조리 용기 본체(10)의 외측면에는 금속 조리 용기 본체(10)를 다루기 위한 용기 손잡이(15)가 제공될 수 있다. 용기 손잡이(15)는 서로 대칭되는 2 개의 양수 손잡이일 수 있다. 뚜껑(20)의 경우에도 이를 다루기 위한 뚜껑 손잡이(25)가 제공될 수 있다. 이들 손잡이들(15, 25)은 각각 금속 조리 용기 본체(10) 및 뚜껑(20)과 동일한 금속 재료로 형성되어 심미적 일체감을 제공할 수 있다.
용기 손잡이(15)는 금속 조리 용기 본체(10)의 외측면에 스폿 용접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용기 손잡이(15)의 고정부(15a)를 금속 조리 용기 본체(10)의 외측면에 면접시킨 후, 금속 조리 용기 본체(10)의 내측부의 면접부에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이들 사이의 용접이 달성될 수 있다. 뚜껑(20)에 결합되는 뚜껑 손잡이(25)도 고정부(25a)에 의해 동일한 방식으로 스폿 용접될 수 있다. 상기 스폿 용접은 예시이며, 나사 결합, 끼움 결합과 같은 다른 공지의 결합 방식에 따라 손잡이들(15, 25)과 금속 조리 용기 본체(10) 및 뚜껑(20) 사이의 결합이 달성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금속 조리 용기의 용기 손잡이들(15A, 15B, 15C)을 각각 도시하는 사시도들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손잡이(15A)는 금속 조리 용기 본체(10)의 외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부들(15a) 및 고정부들 사이에서 사용자의 파지가 가능하도록 금속 조리 용기 본체(10)의 상기 외측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절곡된 금속 하우징 파지부(15b)를 포함한다. 금속 하우징 파지부(15b)의 절곡 형상은 한글 자음 "ㄷ" 자 모양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이며, 절곡 형상은 알파벳 "C"와 같은 만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본 고안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파지 가능한 적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금속 하우징 파지부(15b)는 내부에 공동을 갖는다. 상기 공동은 금속 조리 용기 본체(10)의 바닥면(10S)을 향하는 저면에 제 1 개구부(15c_1)를 통해 개방될 수 있다. 제 1 개구부(15c_1)는 절곡된 하우징 파지부(15b)의 절곡된 경로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개구부(15c_1)는 한글 자음 "ㄷ" 자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 1 개구부(15c_1)의 폭은 도 2a와 같이 일정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개구부(15c_1)의 폭은 가변적일 수도 있다.
금속 하우징 파지부(15b) 내에는, 상기 공동을 채우는 수지 충전체(30)가 제공된다. 수지 충전체(30)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염화비닐, 또는 실리콘 고무 수지와 같은 열경화성 수지일 수 있으며, 본 고안이 이들 재료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적합한 열경화성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개구부(15c_1)를 통하여 상기 공동 내부로 일정한 점성을 갖도록 가열되어 유리화되거나 액화된 수지를 충전한 후, 이를 냉각시킴으로써 수지 충전체(30)가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수지 충전체(30)는 사출 공정과 같은 소성 공정을 통해 미리 형성된 고상의 성형체일 수 있으며, 이를 상기 공동에 끼워 넣는 것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수지 충전체(30)의 일부 표면이 용기 손잡이(15A)의 제 1 개구부(15c_1)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노출된 수지 충전체(30)의 표면은 제 1 개구부(15c_1) 밖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용기 손잡이(15A)를 파지를 했을 때 사용자의 손가락에 하중이 가해지면서 가장 강하게 밀착되어 뜨겁게 느껴지는 부분이 용기 손잡이(15A)의 저면부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파지시 용기 손잡이(15A)의 저면에서 수지 충전체(30)의 표면이 노출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가락은 용기 손잡이(15A)의 저면에 노출된 수지 충전체(30)의 표면과 접촉한다.
수지 충전체(30)의 열전도도가 용기 손잡이(15A)의 다른 금속 부분의 열전도도에 비하여 낮기 때문에, 조리 중에 다른 금속 부분의 온도보다 수지 충전체(30)의 온도가 낮을 수 있으며, 이로써,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용기 손잡이(15A)를 파지시 체감 온도가 현저히 낮아지고 화상 위험이 완화된 금속 조리 용기(100)가 제공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손잡이(15B)의 하우징 파지부(15b)는 제 1 개구부(15c_1)와 함께 하우징 파지부(15b)의 외측벽에 형성된 제 2 개구부(15c_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개구부(15c_2)의 형상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을 가질 수 있으며, 다른 타원형, 직사각형 또는 이들이 조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2c를 참조하면, 제 2 개구부(15c_2')의 형상은 금속 하우징 파지부(15b)의 외측벽을 따라 일정한 폭을 갖는 직선형일 수도 있다. 전술한 금속 하우징 파지부(15b)의 형상은 예시적이며, 본 고안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 2 개구부(15c_2')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제 2 개구부(15c_2, 15c_2')를 통해 금속 하우징 파지부(15b)의 내부 공동에 채워진 수지 충전체(30)의 일부 표면이 노출될 수 있다. 노출된 수지 충전체(30)의 표면은 제 2 개구부(15c_2, 15c_2') 밖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개구부(15c_2, 15c_2')를 통해 수지 충전체(30)의 표면이 노출됨으로써, 용기 손잡이(15A, 15B, 15C)의 금속성 광택과 염료 또는 안료에 의해 컬러 구현이 가능한 수지 충전체(30)의 컬러를 서로 조화 또는 대비시켜 외관상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금속 조리 용기의 뚜껑 손잡이들(25A, 25B, 25C)을 각각 도시하는 사시도들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뚜껑 손잡이(25A)는 제 1 및 제 2 고정부들(25a)에 의해 금속 뚜껑(도 1의 20 참조)의 상부면에 스폿 용접과 같은 체결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고정부들(25a) 사이에 사용자의 파지가 가능하도록 상기 금속 뚜껑의 상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절곡된 금속 하우징 파지부(25b)가 제공된다.
금속 하우징 파지부(25b)의 절곡 형상은 전술한 용기 손잡이(도 2a의 15A)와 유사하게 한글 자음 "ㄷ" 자 모양 또는 알파벳 "C"와 같은 만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본 고안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파지 가능한 적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금속 하우징 파지부(25b)는 내부에 공동이 제공되며, 상기 공동은 금속 뚜껑의 상부면을 향하는 저면에 형성된 제 1 개구부(25c_1)를 통해 개방될 수 있다. 제 1 개구부(25c_1)는 일정한 폭을 갖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개구부(25c_1)의 폭은 가변적일 수도 있다.
금속 하우징 파지부(15b) 내에는, 상기 공동을 채우는 수지 충전체(30)가 제공된다. 수지 충전체(30)는 상기 제 1 개구부(25c_1)를 통하여 액상 주입되거나 고상의 수지 성형체를 상기 공동에 끼워 넣는 것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수지 충전체(30)의 일부 표면이 뚜껑 손잡이(25A)의 제 1 개구부(25c_1)를 통해 노출됨으로써 사용자가 조리시 가열된 뚜껑의 뚜껑 손잡이(25A)를 파지를 했을 때 체감 온도를 감소시키고 화상 위험을 완화시킨다.
도 3b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뚜껑 손잡이(25B)의 하우징 파지부(25b)는 제 1 개구부(25c_1)와 함께 금속 하우징 파지부(25b)의 외측벽에 형성된 제 2 개구부(25c_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개구부(25c_2)의 형상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을 가질 수 있으며, 다른 타원형, 직사각형 또는 이들이 조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3c를 참조하면, 제 2 개구부(25c_2')의 형상은 금속 하우징 파지부(25b)의 외측벽을 따라 일정한 폭을 갖는 직선형일 수도 있다. 전술한 금속 하우징 파지부(25b)의 형상은 예시적이며, 본 고안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 2 개구부(25c_2')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제 2 개구부(25c_2, 25c_2')를 통해 금속 하우징 파지부(25b)의 내부 공동에 채워진 수지 충전체(30)의 일부 표면이 노출될 수 있다. 노출된 수지 충전체(30)의 표면은 제 2 개구부(25c_2, 25c_2') 밖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개구부(25c_2, 25c_2')를 통해 수지 충전체(30)의 표면이 노출됨으로써, 뚜껑 손잡이(25)의 금속성 광택과 염료 또는 안료에 의해 컬러 구현이 가능한 수지 충전체(30)의 컬러를 서로 조화 또는 대비시켜 외관상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Claims (8)

  1. 음식물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갖는 금속 조리 용기 본체; 및 상기 금속 조리 용기 본체의 외측면에 부설된 용기 손잡이를 포함하는 조리 용기로서, 상기 용기 손잡이는,
    상기 금속 조리 용기 본체에 각각 부착되는 제 1 및 제 2 고정부들; 및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부들 사이에서 사용자의 파지가 가능하도록 상기 금속 조리 용기 본체의 상기 외측면 표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절곡되고, 상기 금속 조리 용기 본체의 바닥면을 향하는 저면에 형성된 제 1 개구부를 갖는 금속 하우징 파지부; 및
    상기 금속 하우징 파지부의 내부를 채우고 상기 제 1 개구부로 일부 표면이 노출되는 수지 충전체를 포함하는 금속 조리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손잡이의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부들 및 상기 금속 하우징 파지부는 일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조리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충전체는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조리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하우징 파지부는 상기 금속 하우징 파지부의 외측면에 제 2 개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지 충진체는 상기 제 2 개구부를 통해 일부 표면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조리 용기.
  5. 음식물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갖는 금속 조리 용기 본체, 상기 금속 조리 용기 본체를 덮는 금속 뚜껑, 및 상기 금속 뚜껑의 상부면에 부설된 뚜껑 손잡이를 포함하는 조리 용기로서, 상기 뚜껑 손잡이는,
    상기 금속 뚜껑의 상기 상부면에 각각 부착되는 제 1 및 제 2 고정부들; 및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부들 사이에서 사용자의 파지가 가능하도록 상기 금속 뚜껑의 상기 상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절곡되고, 상기 금속 뚜껑의 상기 상부면을 향하는 저면에 형성된 제 1 개구부를 갖는 금속 하우징 파지부; 및
    상기 금속 하우징 파지부의 내부를 채우고 상기 제 1 개구부로 일부 표면이 노출되는 수지 충전체를 포함하는 금속 조리 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손잡이의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부들 및 상기 금속 하우징 파지부는 일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조리 용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충전체는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조리 용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하우징 파지부는 상기 금속 하우징 파지부의 외측면에 제 2 개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지 충전체는 상기 제 2 개구부를 통해 일부 표면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조리 용기.
KR2020130006160U 2013-07-24 2013-07-24 안전 손잡이를 갖는 조리 용기 KR2004747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160U KR200474793Y1 (ko) 2013-07-24 2013-07-24 안전 손잡이를 갖는 조리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160U KR200474793Y1 (ko) 2013-07-24 2013-07-24 안전 손잡이를 갖는 조리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4793Y1 true KR200474793Y1 (ko) 2014-10-16

Family

ID=52000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6160U KR200474793Y1 (ko) 2013-07-24 2013-07-24 안전 손잡이를 갖는 조리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79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8329A1 (en) * 2022-07-19 2024-01-25 Ipac S.P.A. Cooking vessel made of metal material, with thermally insulated handl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090Y1 (ko) 2000-06-30 2000-12-15 최봉자 조리용기의 손잡이
KR20110084879A (ko) * 2008-10-16 2011-07-26 베엠에프 붸르템베르기쉐 메탈바렌파브릭 아게 조리 용기용 손잡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090Y1 (ko) 2000-06-30 2000-12-15 최봉자 조리용기의 손잡이
KR20110084879A (ko) * 2008-10-16 2011-07-26 베엠에프 붸르템베르기쉐 메탈바렌파브릭 아게 조리 용기용 손잡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8329A1 (en) * 2022-07-19 2024-01-25 Ipac S.P.A. Cooking vessel made of metal material, with thermally insulated handl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92940B1 (en) Heat insulating cooking vessel
US9402511B2 (en) Cooking apparatus
CN107773029A (zh) 烹饪器具
CN204218624U (zh) 远红外线加热烹饪器
US10912421B2 (en) Cookware handle cover
KR200474793Y1 (ko) 안전 손잡이를 갖는 조리 용기
KR20170002761U (ko) 음식물 보관용 실리콘 용기
KR20130102172A (ko) 인덕션 조리용기
KR20150017408A (ko) 가열 조리용기
JP2020199179A (ja) 内釜および炊飯器
US20150230665A1 (en) Cool Knob
JP2017051530A (ja) 蓋、及びその蓋が用いられる内釜を有する炊飯器
US7896191B1 (en) Removable insulated hand grip device for lid handle
MY182484A (en) Heating cooking appliance
CN206213854U (zh) 烹饪器具
CN215777291U (zh) 上盖组件及具有其的烹饪器具
CN220988453U (zh) 烹饪器具
KR101450123B1 (ko) 중탕기로 사용되는 조리용 냄비
KR20140004586U (ko) 조리용기 뚜껑 손잡이
KR20190001201U (ko) 슬로우 쿠킹이 가능한 이중구조 냄비
KR200473274Y1 (ko) 스팀을 이용한 음식물 가열용기
KR200268839Y1 (ko) 다기능 일체형 조리용기
JP6883725B2 (ja) 加熱調理器
CN209202764U (zh) 可加热外锅及慢炖锅
JP3187447U (ja) 調理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