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11494A - 누름판을 구비하는 다용도 조리기구 - Google Patents

누름판을 구비하는 다용도 조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11494A
KR20240111494A KR1020230003400A KR20230003400A KR20240111494A KR 20240111494 A KR20240111494 A KR 20240111494A KR 1020230003400 A KR1020230003400 A KR 1020230003400A KR 20230003400 A KR20230003400 A KR 20230003400A KR 20240111494 A KR20240111494 A KR 20240111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main body
cooking
pressing plate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3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경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램프쿡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램프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램프쿡
Publication of KR20240111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1149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47J37/108Accessories, e.g. inserts, plates to hold food down during fry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47J36/064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non-integrated lids or covers specially adapted for frying-pans

Abstract

본 발명은 누름판을 구비하는 다용도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를 하기 위해 뚜껑을 닫을 때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누름판이 음식물을 지그시 눌러 고르게 익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편리하고도 신속한 조리를 가능하게 하되, 특히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유지하기 위해 닫은 뚜껑을 락킹(locking) 해야만 되는데 뚜껑을 파지한 상태에서 뚜껑 자체를 슬라이딩시키는 원터치 동작으로 인해 락킹되고 반대로 해제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킨 누름판을 구비하는 다용도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리를 하기 위해 뚜껑을 닫을 때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누름판이 음식물을 지그시 눌러 고르게 익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편리하고도 신속한 조리를 가능하게 하는 것은 물론이고 특히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유지하기 위해 닫은 뚜껑을 락킹(locking) 해야만 되는데 뚜껑을 파지한 상태에서 뚜껑 자체를 슬라이딩시키면 본체에 직접 결합되도록 하는 원터치 동작으로 인해 락킹되고 반대로 해제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누름판을 구비하는 다용도 조리기구{Multipurpose cooking utensils with pressing plate}
본 발명은 누름판을 구비하는 다용도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를 하기 위해 뚜껑을 닫을 때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누름판이 음식물을 지그시 눌러 고르게 익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편리하고도 신속한 조리를 가능하게 하되, 특히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유지하기 위해 닫은 뚜껑을 락킹(locking) 해야만 되는데 뚜껑을 파지한 상태에서 뚜껑 자체를 슬라이딩시키는 원터치 동작으로 인해 락킹되고 반대로 해제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킨 누름판을 구비하는 다용도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용도 조리기는 식품을 쪄서 먹거나 구워서 먹는 제한된 용도의 조리기구를 대체하여 식품을 찌거나 굽는 다양한 요리를 가능하게 하고자 사용되는 조리기구이다. 즉, 식품을 찌거나 삶은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 냄비류이고, 굽는데 사용되는 것이 팬류 일 것이다. 다용도 조리기구는 찌거나 삶는 것은 물론이고 굽는데에도 사용 가능하도록 제안된 것이나, 사용자에 따라 그 경계가 명확하게 구분되지는 않는다.
한편, 누름판을 구비하여 식재료를 지그시 눌러서 조리를 함에 따라 고르게 익힐 수 있고, 기름기나 수분을 쉽게 배출시킬 수 있어 맛있는 조리를 가능하게 하는 누름판을 구비한 다용도 조리기구를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 받은 바 있다.
즉, 특허등록번호 제10-2296337호(2021.09.01. 공고)가 있는데, 이 공보를 참조로 하면, 뚜껑을 닫으면 탄성부재의 탄성력으로 인해 누름판이 식재료를 지그시 눌러 조리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고르게 익힐 수 있고, 기름기나 수분을 쉽게 배출시킬 수 있어 맛있는 조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런데, 뚜껑을 락킹하지 않게 되면 탄성부재의 탄성력으로 인해 뚜껑이 다시 열려버리게 되므로 반드시 락킹을 하게 되어 있으며, 이 공보에도 마찬가지로 락킹수단인 고정수단이 마련된다.
조리기구의 락킹수단은 통상 용기본체의 일측에 슬라이더를 구비하여 뚜껑을 닫고 놓은 상태에서 양 손이 슬라이더를 이동시켜서 뚜껑을 락킹하게 되는 것이다. 왜냐하면 뚜껑을 닫고 양 손을 놓아도 뚜껑이 무단으로 움직이지 않기 때문이다. 그런데 종래 기술 같은 경우에는 뚜껑과 누름판 사이에 구비된 탄성부재로 인해 뚜껑에서 손을 놓게 되면 뚜껑이 다시 열리게 되어 락킹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물론, 한 손으로 뚜껑을 잡은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 락킹을 할 수도 있지만 불편함이 있기 마련이다. 그래서 본원은 한 손만으로도 쉽게 락킹 및 해제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를 제안하여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조리기구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조리를 하기 위해 뚜껑을 닫을 때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누름판이 음식물을 지그시 눌러 고르게 익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편리하고도 신속한 조리를 가능하게 하는 것은 물론이고 특히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유지하기 위해 닫은 뚜껑을 락킹(locking) 해야만 되는데 뚜껑을 파지한 상태에서 뚜껑 자체를 슬라이딩시키는 원터치 동작으로 인해 락킹되고 반대로 해제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킨 누름판을 구비하는 다용도 조리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상부로 개방된 조리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조리공간을 밀폐하기 위해 구비되는 뚜껑으로 이루어지는 조리용기; 및 상기 본체의 조리공간 바닥면에 위치되는 음식물 상부에서 뚜껑을 닫을 때 뚜껑 저면에 탄성지지되어 탄성력에 의해 지그시 음식물을 눌러주기 위한 누름판;을 포함하되, 상기 본체의 상면 일측에는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뚜껑의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공에 장착되어 슬라이딩되기 위한 가이드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어 락킹되기 위한 결합단부가 형성되어서, 상기 뚜껑을 파지한 채 일측에 구비된 가이드를 상기 가이드공에 결합시킨 뒤 본체를 밀폐하도록 닫으면서 슬라이딩시키게 되면 상기 결합단부가 결합부에 결합되면서 락킹되고, 반대로 슬라이딩시키게 되면 락킹이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부는 본체 타측 혹은 본체를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 중 어느 한 곳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내부에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상부로 개방된 조리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조리공간을 밀폐하기 위해 구비되는 뚜껑으로 이루어지는 조리용기; 및 상기 본체의 조리공간 바닥면에 위치되는 음식물 상부에서 뚜껑을 닫을 때 뚜껑 저면에 탄성지지되어 탄성력에 의해 지그시 음식물을 눌러주기 위한 누름판;을 포함하되, 상기 본체의 상면 양측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뚜껑의 양측에는 상기 결합홈에 장착되기 위한 결합돌기가 형성되어서, 상기 뚜껑을 파지한 채 본체를 밀폐하도록 닫아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결합돌기가 결합홈에 결합되면서 락킹되고, 반대로 회전시키게 되면 락킹이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내부에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상부로 개방된 조리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조리공간을 밀폐하기 위해 구비되는 뚜껑으로 이루어지는 조리용기; 및 상기 본체의 조리공간 바닥면에 위치되는 음식물 상부에서 뚜껑을 닫을 때 뚜껑 저면에 탄성지지되어 탄성력에 의해 지그시 음식물을 눌러주기 위한 누름판;을 포함하되, 상기 본체의 상면 일측에는 힌지축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결합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뚜껑의 일측이 상기 힌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는 상기 결합부재에 결합되어 락킹되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되어서, 상기 뚜껑을 파지한 채 본체를 밀폐하도록 닫으면서 누르게 되면 상기 걸림턱이 상기 결합부재에 결합되면서 락킹되고, 반대로 회전시키면서 당기게 되면 락킹이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리를 하기 위해 뚜껑을 닫을 때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누름판이 음식물을 지그시 눌러 고르게 익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편리하고도 신속한 조리를 가능하게 하는 것은 물론이고 특히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유지하기 위해 닫은 뚜껑을 락킹(locking) 해야만 되는데 뚜껑을 파지한 상태에서 뚜껑 자체를 슬라이딩시키면 본체에 직접 결합되도록 하는 원터치 동작으로 인해 락킹되고 반대로 해제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누름판을 구비하는 다용도 조리기구를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를 보인 사시도.
도 3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의 뚜껑 락킹 작동을 보인 측단면도.
도 4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의 뚜껑 락킹 작동을 보인 측단면도.
도 5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누름판을 보인 분리 단면도이고, “나”는 결합 단면도.
도 6의 “가” 내지 “다”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구의 사용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7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누름판을 구비하는 다용도 조리기구 보인 사시도이고, “나”는 제2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구의 뚜껑 락킹 작동관계를 보인 사시도.
도 8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누름판을 구비하는 다용도 조리기구를 보인 측단면도이고, “나”는 제3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구의 뚜껑 락킹 작동관계를 보인 측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누름판을 구비하는 다용도 조리기구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누름판을 구비하는 다용도 조리기구를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누름판을 구비하는 다용도 조리기구(10)는 크게 조리용기(100) 및 누름판(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조리용기(100)는 내부에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상부로 개방된 조리공간(112)이 형성되는 본체(110) 및 상기 조리공간(112)을 밀폐하기 위해 구비되는 뚜껑(120)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누름판(200)은 상기 본체(100)의 조리공간(112) 바닥면에 위치되는 음식물 상부에서 뚜껑(120)을 닫을 때 뚜껑(120) 저면에 탄성지지되어 탄성력에 의해 지그시 음식물을 눌러주기 위한 것으로, 하기에서 다시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의 뚜껑 락킹 작동을 보인 측단면도이며, 도 4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의 뚜껑 락킹 작동을 보인 측단면도이다.
먼저, 도 2 및 3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100)는 본체(110) 및 상기 본체(110)를 밀폐하기 위한 뚜껑(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10)는 내부에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조리공간(112)이 형성되어 있는데, 미도시 하고 있으나 내부 바닥면에 그릴 문양을 넣을 수도 있고, 바닥면 가장자리를 따라 오목한 수용홈을 형성하여 조리시 발생되는 수분이나 기름기를 수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는 본체(110)를 파지할 때 사용하는 손잡이(118)가 구비되어 있는데, 손잡이(118)는 본체(110)의 양측에 구비되는 양수 타입으로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110)의 상면 일측에는 가이드공(114)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결합부(116)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공(114)은 수직방향이 아닌 수평방향 혹은 수평 방향에 가까운 형태로 관통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면 상기 뚜껑(120)을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가이드공(114)이나 결합부(116)의 위치는 기준점의 위치에 따라 전후 또는 좌우가 될 수도 있고, 본원에서는 이를 모두 포함함을 분명히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116)는 도 2의 일부 확대도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홈 타입 또는 관통된 삽입공 타입으로도 형성되며 손잡이(118) 혹은 본체(110)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뚜껑(120)은 상기 본체(110)의 조리공간(112)을 밀폐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공(114)에 장착되어 슬라이딩되기 위한 가이드(12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결합부(116)에 결합되어 락킹되기 위한 결합단부(124)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결합단부(124)라 함은 일부 확대도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뚜껑(120)의 타측에 일부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나 디자인적인 측면을 고려하면 뚜껑(120)의 가장자리에 그 형상을 따라 플랜지를 형성하여 그 일부가 결합단부(124) 역할을 하도록 하는 타입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의 뚜껑(120)은 도 3의 “가”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뚜껑(120)의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122)를 본체(110)의 가이드공(114)으로 삽입한 뒤 “나”와 같이 닫아서 손잡이(118) 측으로 슬라이딩 시키게 되면 뚜껑(120)의 결합단부(124)가 결합부(116)로 결합됨으로써 락킹되는 것이다. 즉, 한손으로 뚜껑(120)을 잡고 조리공간(112)을 밀폐한 뒤 슬라이딩 시키면 락킹되기 때문에 별도의 락킹장치 없이도 원터치 동작만으로 쉽게 락킹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는 뚜껑(120)을 락킹하기 위해서 손잡이(118) 방향으로 당겼을 때 락킹이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하고 있는데, 이와 반대로 밀었을 때도 락킹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도 4의 “가” 및 “나”를 살펴보면, 본체(110)의 결합부(116)를 홈 타입이 아닌 플랜지 타입(평판 타입)으로 형성하고, 뚜껑(120)의 결합단부(124)를 역“ㄷ”자 형태로 형성하여서 뚜껑(120)을 닫고 밀게 되면 결합단부(124)가 결합부(116)에 결합되어서 락킹되는 것이다.
결국, 본원에서의 뚜껑(120) 락킹구조는 뚜껑(120)을 슬라이딩시키는 동작에 의해서 쉽고 편리하게 락킹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슬라이딩시키는 방향은 전후 어느 방향이든 상관없음을 인지해야 되며, 중요한 것은 뚜껑(120)을 닫은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키는 동작에 의해 락킹 또는 락킹 해제가 되는 것을 인지해야 된다.
도 5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누름판을 보인 분리 단면도이고, “나”는 결합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누름판(200)은 본체(110)의 조리공간(112) 내부로 삽입되어서 식재료를 눌러주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탄성력으로 지그시 눌러주기 위해 상면에는 탄성부재(210)가 구비되는데, 이 탄성부재(210)는 뚜껑(120)을 닫게 되면 뚜껑(120) 저면에 탄성지지되면서 탄성력으로 식재료를 지그시 누르게 되는 것이다. 이때 탄성부재(210)는 스프링(212) 혹은 실리콘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프링(212) 외측으로 실리콘 커버(214)가 씌워진 타입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런 타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탄성부재(210) 또한 누름판(200) 상면에 고정되는 타입이 될 수도 있고, 뚜껑(120) 저면에 부착된 상태 혹은 분리된 타입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어떤 타입이던 뚜껑(120) 저면에 탄성지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제, 하기에서는 본원의 사용 상태를 일예로 작동관계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의 “가” 내지 “다”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구의 사용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먼저, “가”를 참조로 하면, 본체(110)의 조리공간(112)에 식재료(300)를 넣고 그 상부에 누름판(200)을 올려놓은 뒤 뚜껑(120)을 파지한 채 “나”와 같이 내려서 닫게 되면 누름판(200)의 탄성부재(210)가 뚜껑(120) 저면에 탄성지지 되면서 식재료(300)를 지그시 눌러주게 된다. 그런 다음 “다”와 같이 뚜껑(120)을 결합부(116) 측으로 슬라이딩 시키게 되면 뚜껑(120)의 결합단부(124)가 결합부(116)로 결합됨으로써 락킹되는 것이다. 즉, 뚜껑(120)을 누른 상태에서 슬라이딩시키는 원터치 동작으로 락킹되는 것이다.
만약, 상기와 같이 뚜껑(120) 락킹구조가 한 손의 원터치 작동이 아니라 별도의 락킹장치가 구비되어 있다면 “나”의 상태에서 뚜껑(120)을 락킹하기 위해 락킹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잡고 있던 손을 놓게 되면 탄성부재(210)의 탄성력으로 인해 닫혔던 뚜껑(120)이 다시 “가”의 상태로 열려버리게 될 것이다. 그러면 한 손으로 뚜껑(120)을 잡고 다른 한 손으로 락킹장치를 작동시켜야 되는 상당한 불편함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원에서는 뚜껑(120)을 파지하고 있는 한 손만으로 닫고 락킹까지 원터치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탄성부재(210)의 탄성력에도 불구하고 편리하고 쉽게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렇게 뚜껑(120)을 락킹한 뒤 가열기구를 통해서 본체(110)를 가열하게 되면 식재료(300)는 누름판(200)의 누름에 의해 조리용기(100)의 본체(110) 바닥면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신속하게 조리가 될 것이다. 만약 오징어를 굽더라도 누름판(200)에 의해 오므려 들지 않고 펼쳐진 상태로 구워지게 될 것은 당연하다. 또한 고기를 굽게 되면 누름판(200)에 의해서 기름이 쫙 빠지면서 맛있는 요리가 될 것이다.
도 7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누름판을 구비하는 다용도 조리기구 보인 사시도이고, “나”는 제2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구의 뚜껑 락킹 작동관계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8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누름판을 구비하는 다용도 조리기구를 보인 측단면도이고, “나”는 제3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구의 뚜껑 락킹 작동관계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나 그 형상의 차이가 있음을 인지해야 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으며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7을 참조로 제2실시예의 다용도 조리기구(10’)를 살펴보면, 본체(110) 및 뚜껑(120)으로 이루어진 조리용기(100) 및 누름판(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누름판(200)은 내부에 구비되어 있어 미도시 되고 있음을 인지해야 된다. 여기서 조리용기(100)의 형상이 앞서 살펴본 제1실시예와 달리 원형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런 원형 타입에서도 한 손으로 원터치 동작에 의해 뚜껑(120)을 쉽게 락킹 및 해제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하고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본체(110)의 상면 양측에는 결합홈(115)이 형성되며, 상기 뚜껑(120)의 양측에는 상기 결합홈(115)에 장착되기 위한 결합돌기(125)가 형성되어서,상기 뚜껑(120)을 파지한 채 본체(110)를 밀폐하도록 닫아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결합돌기(125)가 결합홈(115)에 결합되면서 락킹되고, 반대로 회전시키게 되면 락킹이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110)에 형성되는 결합홈(115)은 본체(11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손잡이와 같은 별도의 장착부재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너무나 자명하다.
계속해서, 도 8을 참조로 제3실시예의 다용도 조리기구(10”)를 살펴보면, 뚜껑(120) 및 본체(110)로 이루어진 조리용기(100) 및 상기 조리용기(100) 내부에 구비되는 누름판(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앞서 살펴본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나, 다만 뚜껑(120)을 락킹하는 구조에서 차이가 있다.
즉, 상기 본체(110)의 상면 일측에는 힌지(117)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결합부재(119)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119)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 타입 혹은 관통공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120)의 일측이 상기 힌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는 상기 결합부재(119)에 결합되어 락킹되기 위한 걸림턱(126)이 형성되어서, 상기 뚜껑(120)을 파지한 채 본체(110)를 밀폐하도록 닫으면서 누르게 되면 상기 걸림턱(126)의 내측에 형성된 돌기(미부호 설명)가 상기 결합부재(119)에 결합되면서 락킹되고, 반대로 회전시키면서 당기게 되면 락킹이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110)에 형성되는 결합부재(119)은 본체(11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손잡이와 같은 별도의 장착부재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너무나 자명하다.
이렇듯, 본원에서는 뚜껑(120)의 락킹구조를 개선하여 내부에 구비되는 탄성부재(210)의 탄성력에도 불구하고 한 손으로 닫고 원터치 락킹 및 해제되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10’,10” : 본원의 다용도 조리기구 100 : 조리용기
110 : 본체 112 : 조리공간
114 : 가이드공 115 : 결합홈
116 : 결합부 117 : 힌지
118 : 손잡이 119 : 결합부재
120 : 뚜껑 122 : 가이드
124 : 결합단부 125 : 결합돌기
126 : 걸림턱 200 : 누름판
210 : 탄성부재 212 : 스프링
214 : 실리콘 커버 300 : 식재료

Claims (4)

  1. 내부에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상부로 개방된 조리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조리공간을 밀폐하기 위해 구비되는 뚜껑으로 이루어지는 조리용기; 및
    상기 본체의 조리공간 바닥면에 위치되는 음식물 상부에서 뚜껑을 닫을 때 뚜껑 저면에 탄성지지되어 탄성력에 의해 지그시 음식물을 눌러주기 위한 누름판;을 포함하되,
    상기 본체의 상면 일측에는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뚜껑의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공에 장착되어 슬라이딩되기 위한 가이드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어 락킹되기 위한 결합단부가 형성되어서,
    상기 뚜껑을 파지한 채 일측에 구비된 가이드를 상기 가이드공에 결합시킨 뒤 본체를 밀폐하도록 닫으면서 슬라이딩시키게 되면 상기 결합단부가 결합부에 결합되면서 락킹되고, 반대로 슬라이딩시키게 되면 락킹이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판을 구비하는 다용도 조리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본체 타측 혹은 본체를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 중 어느 한 곳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판을 구비하는 다용도 조리기구.
  3. 내부에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상부로 개방된 조리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조리공간을 밀폐하기 위해 구비되는 뚜껑으로 이루어지는 조리용기; 및
    상기 본체의 조리공간 바닥면에 위치되는 음식물 상부에서 뚜껑을 닫을 때 뚜껑 저면에 탄성지지되어 탄성력에 의해 지그시 음식물을 눌러주기 위한 누름판;을 포함하되,
    상기 본체의 상면 양측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뚜껑의 양측에는 상기 결합홈에 장착되기 위한 결합돌기가 형성되어서,
    상기 뚜껑을 파지한 채 본체를 밀폐하도록 닫아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결합돌기가 결합홈에 결합되면서 락킹되고, 반대로 회전시키게 되면 락킹이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판을 구비하는 다용도 조리기구.
  4. 내부에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상부로 개방된 조리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조리공간을 밀폐하기 위해 구비되는 뚜껑으로 이루어지는 조리용기; 및
    상기 본체의 조리공간 바닥면에 위치되는 음식물 상부에서 뚜껑을 닫을 때 뚜껑 저면에 탄성지지되어 탄성력에 의해 지그시 음식물을 눌러주기 위한 누름판;을 포함하되,
    상기 본체의 상면 일측에는 힌지축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결합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뚜껑의 일측이 상기 힌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는 상기 결합부재에 결합되어 락킹되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되어서,
    상기 뚜껑을 파지한 채 본체를 밀폐하도록 닫으면서 누르게 되면 상기 걸림턱이 상기 결합부재에 결합되면서 락킹되고, 반대로 회전시키면서 당기게 되면 락킹이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판을 구비하는 다용도 조리기구.
KR1020230003400A 2023-01-10 누름판을 구비하는 다용도 조리기구 KR20240111494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11494A true KR20240111494A (ko) 2024-07-17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8883Y1 (ko) 이중구조의 그릴 겸용 냄비
US20130306638A1 (en) Kitchen Appliance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210022541A1 (en) Electric Pressure Cooker Rim Cover
KR200463179Y1 (ko) 냄비
US20180092487A1 (en) Microwave mug cooker device
KR20240111494A (ko) 누름판을 구비하는 다용도 조리기구
US20240215760A1 (en) Multi-purpose cooking appliance having pressing plate
KR200454958Y1 (ko) 양면 후라이팬
KR200472099Y1 (ko) 부분 개폐가 편리한 한 쌍의 손잡이가 구비된 주방용 조리 용기
GB2255002A (en) Deep fryers
KR20150017408A (ko) 가열 조리용기
CN211022274U (zh) 一种低压锅手柄旋转开合结构
KR200309456Y1 (ko) 튀김조리기 및 그 구조
KR200318987Y1 (ko) 조리용기
CN111434286A (zh) 组合式锅具
KR200332974Y1 (ko) 조리용기 덮개의 결합구조
KR200442810Y1 (ko) 양면 프라이팬 손잡이의 잠금장치
CN215820571U (zh) 烹饪器具
CN217959845U (zh) 锅具
CN214710984U (zh) 一种电热饭盒
CN211459881U (zh) 一种烹饪电器
CN215127237U (zh) 炖具及具有该炖具的烹饪器具
CN217090393U (zh) 一种用于空气炸锅的可锁止炸桶组件和空气炸锅
CN213605955U (zh) 烹饪器具
KR940006260Y1 (ko) 조리기구의 뚜껑착탈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