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7986Y1 - 조리용기 집게 - Google Patents

조리용기 집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7986Y1
KR200387986Y1 KR20-2005-0010108U KR20050010108U KR200387986Y1 KR 200387986 Y1 KR200387986 Y1 KR 200387986Y1 KR 20050010108 U KR20050010108 U KR 20050010108U KR 200387986 Y1 KR200387986 Y1 KR 2003879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cooking vessel
tongs
cook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01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석
Original Assignee
김홍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석 filed Critical 김홍석
Priority to KR20-2005-00101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79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79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79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10Devices for gripping or lifting hot cooking utensils, e.g. pincers, separate pot handles, fabric or like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열된 접시 등의 각종 조리용기를 용이하게 파지하기 위한 집게에 대한 것으로, 특히 절곡 가능한 탄력상의 집게를 구성하되, 이를 상부면에 손가락 안치구가 형성되고 그 하부면에는 다수의 돌조를 갖는 누름구와; 상부 중앙에 형성된 경질의 가이드판과 복수개의 마찰돌조를 갖는 바닥판으로 구성함으로서,
바닥판과 누름구를 손가락으로 눌러 가열된 조리용기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게 하여, 별도의 주방장갑 등을 착용하지 아니하고도 손쉽게 뜨거운 조리용기를 취급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는 것이며, 그 바닥판의 저면에 형성된 자석 또는 흡착공에 의해 냉장고 및 각종 주방시설에 간편하게 부착하여 보관할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한 사용이 가능한 조리용기 집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리용기 집게 {Cooking vessel tongs}
본 고안은 가열된 접시 등의 각종 조리용기를 용이하게 파지하기 위한 집게에 대한 것으로, 특히 절곡 가능한 탄력재로 된 집게를 형성하되, 상측의 누름구와 하측의 바닥판으로 구성되어, 가열된 상태의 조리용기를 간편하게 파지할 수 있게 함으로서, 조리 및 취사시 그 가열 상태의 조리용기를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게 한 조리용기 집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각종 음식점 등에서는 다양한 음식들을 조리하기 위해서 각종 조리용기가 사용되는데, 한국인의 식생활 특성상 주로 가열된 상태의 음식이 주류를 이루는 특성을 감안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가열된 상태의 조리용기를 파지하기 위한 각종 파지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통상적으로는 상기한 파지수단으로서 주방에서 사용되는 위생행주를 이용하는데, 상기한 행주는 물기를 과다하게 머금고 있거나 각종 음식물에 의해 오염되어 있을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으므로 별도로 제작되어진 주방장갑이 주로 사용된다.
상기한 주방장갑은 열전달이 되지 않도록 보다 두꺼운 형태로 만들어지고 그 모양은 누구나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통상의 장갑보다는 큰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주방장갑은 이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의 손에 그 전체를 착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것으로서, 크기가 다소 크고 보관 및 취급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사용후에도 양손을 이용하여 그 주방장갑을 벗어 제자리에 걸어 놓거나 수납공간에 넣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은 주방장갑은 크기가 커서 좁은 식탁이나 음식물이 많은 식탁에 그 조리용기를 놓을 경우 상기한 주방장갑이 다른 음식물에 닿거나 그릇을 밀어내고 놓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며,
반드시 서랍에 넣어 두거나 걸이구에 걸어놓지 않으면 주방공간에 어지럽게 놓여져 있게 되므로 사용 및 취급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코자 안출된 것으로서, 절곡 가능한 탄력상의 집게를 구성하되, 이를 상부면에 손가락 안치구가 형성되고 그 하부면에는 다수의 돌조를 갖는 누름구와; 상부 중앙에 형성된 경질의 가이드판과 복수개의 돌조를 갖는 바닥판으로 구성함으로서,
바닥판과 누름구를 손가락으로 눌러 가열된 조리용기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게 하여, 별도의 주방장갑 등을 착용하지 아니하고도 손쉽게 뜨거운 조리용기를 취급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는 것이며, 그 바닥판의 저면에 형성된 자석 또는 흡착공에 의해 냉장고 및 각종 주방시설에 간편하게 부착하여 보관할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한 사용이 가능한 조리용기 집게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조리용기 집게의 전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조리용기 집게의 측단면도이다.
절곡 가능한 탄력재로 이루어진 집게(10)는,
상부 중앙에 경질의 가이드판(1)이 매입되고 그 상부면에 복수개의 마찰돌조(2)(2')가 돌출 형성된 바닥판(3)과,
상측에는 손가락안치구(4)가 함몰 형성되고 그 저면에는 복수개의 마찰돌조(2)(2')가 돌출 형성된 누름구(5)로 구성하되,
상기 바닥판(3)의 일측 중앙에 상기 누름구(5)의 하단이 일체로 연결 형성되고, 상기 누름구(5)의 타단은 상향 경사상으로 전개되어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바닥판(3)의 저면에는 금속재와 부착이 가능한 자석(6)을 매입 형성하거나, 매끄러운 표면에 부착되는 복수개의 흡착공(7)(7')을 형성함으로서, 주방내 각종 시설물 또는 냉장고 등에 부착하여 보관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1은 조리용기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 조리용기 집게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 조리용기 집게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조리용기를 취급할 수 있게 한 것인데,
전자레인지 등에 의해 뜨겁게 가열된 상태의 조리용기를 파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 바닥판(3)과 누름구(5)를 손가락에 의해 파지하여 적당한 압압력을 부여하면 그 탄력복원력에 의해 그 집게(10)는 손가락 내측에 위치하고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한 집게(10)를 파지하고자 하는 조리용기(11)의 일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바닥판(3)과 누름구(5)의 사이에 위치하는 공간을 이용하여 상기 조리용기(11)를 파지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바닥판(3)의 상부 중앙에 형성된 가이드판(1)은 그 집게(10) 보다 경질의 재질로 만들어진 것으로서, 그 바닥판(3)을 조리용기(11)의 하측으로 용이하게 밀어넣기 위한 단단함을 갖고 있으면서도 그 탄력재인 바닥판(3)이 과도하게 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도 사용된다.
또한, 상기한 바닥판(3)의 상부면과 그 누름구(5)의 하부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마찰돌조(2)(2')는 연질탄력상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각종 조리용기(11)의 접촉면에 밀착되면서 그 밀착마찰력을 극대화시켜 상기 집게(10)로부터 그 조리용기(11)가 미끄러져 빠지거나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누름구(5)의 상측에 형성된 손가락안치구(4)는 하측으로 함몰 형성되거나 그 외주연이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손가락, 예를 들어 엄지손가락이 그 조리용기(11)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화상을 입거나 음식물에 손가락이 닿아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렇게 각종 조리용기(11)를 용이하게 파지하여 목적하는 곳으로 이동시킨 후 그 조리용기(11)를 바닥에 내려놓은 후 상기한 바닥판(3)과 누름구(5)를 압압하던 힘을 제거하면 그 집게(10)는 다시 원상태로 복원되려는 힘에 의해 자연스럽게 그 조리용기(11)로부터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종래와 같이 번거롭고 불편하게 주방장갑을 착용하지 않고서도 가열된 각종 조리용기(11)를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 조리용기 집게는 도 4의 도시와 같이, 그 바닥판(3)의 저면에 별도의 자석(6)을 매설하여 이에 의해 냉장고 등의 금속물에 부착하여 보관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는데, 상기한 자석(6)은 얇은 두께를 갖고 바닥판(3)에 매설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고무자석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도 5의 도시와 같이 그 바닥판(3)의 저면에 다수개의 흡착공(7)(7')을 형성함으로서, 매끄러운 표면이나 유리 등의 주방시설에 그 집게(10)를 부착하여 보관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으로서, 상기한 흡착공(7)(7')을 이용하여 본 고안 집게(10)를 매끄러운 표면에 대고 가볍게 눌러주면 그 흡착공(7)(7')이 압축되면서 그 집게(10)로 부착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자석(6) 및 흡착공(7)(7')에 의해 본 고안 집게(10)의 보관 및 취급이 보다 편리해지는 것이며, 보관이 용이하고 손쉽게 사용할 수 있어 매우 효과적인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조리용기 집게는, 바닥판과 누름구를 손가락으로 눌러 가열된 조리용기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게 하여, 별도의 주방장갑 등을 착용하지 아니하고도 손쉽게 뜨거운 조리용기를 취급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는 것이며, 그 바닥판의 저면에 형성된 자석 또는 흡착공에 의해 냉장고 및 각종 주방시설에 간편하게 부착하여 보관할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한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조리용기 집게의 전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조리용기 집게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조리용기 집게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조리용기 집게의 타실시예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조리용기 집게의 또다른 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가이드판 2,2' : 마찰돌조
3 : 바닥판 4 : 손가락안치구
5 : 누름구 6 : 자석
7,7' : 흡착공
10 : 집게

Claims (3)

  1. 절곡 가능한 탄력재로 이루어진 집게(10)는,
    상부 중앙에 경질의 가이드판(1)이 매입되고, 그 상부면에 복수개의 마찰돌조(2)(2')가 돌출 형성된 바닥판(3)과,
    상측에는 손가락안치구(4)가 함몰 형성되고 그 저면에는 복수개의 마찰돌조(2)(2')가 돌출 형성된 누름구(5)로 구성하되,
    상기 바닥판(3)의 일측 중앙에 상기 누름구(5)의 하단이 일체로 연결 형성되고, 상기 누름구(5)의 타단은 상향 경사상으로 전개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집게.
  2. 제 1항에 있어서,
    바닥판(3)의 저면에는, 금속재와 부착이 가능한 자석(6)을 매입 형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집게.
  3. 제 1항에 있어서,
    바닥판(3)의 저면에는, 매끄러운 표면에 부착되는 복수개의 흡착공(7)(7')을 형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집게.
KR20-2005-0010108U 2005-04-13 2005-04-13 조리용기 집게 KR2003879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108U KR200387986Y1 (ko) 2005-04-13 2005-04-13 조리용기 집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108U KR200387986Y1 (ko) 2005-04-13 2005-04-13 조리용기 집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7986Y1 true KR200387986Y1 (ko) 2005-06-28

Family

ID=43689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0108U KR200387986Y1 (ko) 2005-04-13 2005-04-13 조리용기 집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798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749U (ko) * 2016-01-22 2017-08-02 씨제이제일제당 (주) 플랜지형 용기 집게
KR101852157B1 (ko) 2016-08-05 2018-04-25 오준석 주방용 손 보호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749U (ko) * 2016-01-22 2017-08-02 씨제이제일제당 (주) 플랜지형 용기 집게
KR200485831Y1 (ko) * 2016-01-22 2018-03-02 씨제이제일제당 (주) 플랜지형 용기 집게
KR101852157B1 (ko) 2016-08-05 2018-04-25 오준석 주방용 손 보호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18050A (ko) 단일몸체형 유오비용기집게
KR200387986Y1 (ko) 조리용기 집게
US9149157B2 (en) Universal pot lid handling device and method
US20070000096A1 (en) Bakeware set and bakeware grips
US10076212B2 (en) Tongs utensil with spatula member
JP3513145B2 (ja) 高温の調理容器の簡便安全移動保持具
JP4848055B2 (ja) 調理用把持具
WO2007001047A1 (ja) 立食用容器
JP3123150U (ja) 調理容器
US5884883A (en) Bowl lifting apparatus
KR101377823B1 (ko) 주방용품 받침
JP6547156B1 (ja) 調理用鍋
JP2018057777A (ja) 把手用調理小物置き
KR101536924B1 (ko) 주방장용 프라이팬
JP6625506B2 (ja) 鍋取っ手カバー
KR20100008647U (ko) 프라이팬의 손잡이
KR200438120Y1 (ko) 주방용 집게
CN216316958U (zh) 方便使用的食物夹
US20190110621A1 (en) Device for securing utensils to serveware
KR200288135Y1 (ko) 조리용기용 실리콘 손잡이
KR200227852Y1 (ko) 조리용구
JP3195427U (ja) 碗つかみ器具
KR200470810Y1 (ko) 배식용 위생 집게
KR200346609Y1 (ko) 가열 조리기구의 착탈식 손잡이
JP5314183B1 (ja) 断熱保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1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