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6924B1 - 주방장용 프라이팬 - Google Patents

주방장용 프라이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6924B1
KR101536924B1 KR1020140003196A KR20140003196A KR101536924B1 KR 101536924 B1 KR101536924 B1 KR 101536924B1 KR 1020140003196 A KR1020140003196 A KR 1020140003196A KR 20140003196 A KR20140003196 A KR 20140003196A KR 101536924 B1 KR101536924 B1 KR 101536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ying pan
handle
food
upper ed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3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상채
Original Assignee
남상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상채 filed Critical 남상채
Priority to KR1020140003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69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6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6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F)에 대한 요리를 편리하고 즐겁게 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주방장의 필요 선택에 따라 음식물(F)을 부드러운 스냅 또는 급격한 스냅으로 다양하게 뒤집을 수 있도록 하여 관절 부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주방장용 프라이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주방장용 프라이팬{FRYPAN FOR CHEF}
본 발명은 주방장용 프라이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에 대한 요리를 편리하고 즐겁게 하면서도 주방장의 필요에 따라 음식물을 부드러운 스냅 또는 급격한 스냅으로 다양하게 뒤집을 수 있도록 하여 관절 부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주방장용 프라이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라이팬은 기름을 두르고 여러 가지 음식을 지지거나 부쳐 만들기 위한 넓적한 냄비, 자장 소스 또는 볶음밥 등을 볶을 때나 탕수육 등과 같은 튀김을 만들 때 사용되는 궁중팬(WOK) 등을 일컫는다.
도 1a는 일반적인 프라이팬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일반적인 프라이팬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F)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10)와,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30)로 이루어진다.
용기(10)는 상단 테두리(11), 상단 테두리(11)보다 작은 바닥면(12) 및 바닥면(12)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단 테두리(11)에 이르는 둘레면(운두; 13)으로 구성된다.
도 1b는 일반적인 프라이팬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c는 일반적인 프라이팬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일반적인 프라이팬의 용기(10)는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테두리(11)의 중심과 바닥면(12)의 중심이 일치되어 바닥면(12)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단 테두리(11)까지의 길이가 방사상으로 모두 동일하게 구성되면서 동일한 경사로 이루어지도록 설계된다.
도 1d 및 도 1e는 일반적인 프라이팬으로 음식물을 뒤집는 동작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방장이 손잡이(30)를 파지하여 작은 반경의 스냅으로 끌어당긴 후 밀면서 상승시킬 경우 바닥면(12)에 수용된 음식물(F)이 둘레면(13)을 타고 짧게 상승한 후 뒤집히면서 바닥면(12)에 낙착되고, 이와 마찬가지로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30)를 파지하여 작은 반경의 스냅으로 민 후 끌어당기면서 상승시킬 경우 바닥면(12)에 수용된 음식물(F)이 둘레면(13)을 타고 짧게 상승한 후 뒤집히면서 바닥면(12)에 낙착된다.
그런데, 주방장이 프라이팬을 활용하여 음식물(F)을 뒤집고자 할 때, 음식물(F)의 상승 길이, 즉 음식물(F)의 상승 높이를 항상 동일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 짧게 상승시켜 뒤집거나 길게 상승시켜 뒤집는 동작을 취할 수 있는데, 일반적인 프라이팬의 본체(10)는 상단 테두리(11)의 중심과 바닥면(12)의 중심이 일치되도록 배치되어 바닥면(12)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단 테두리(11)까지의 길이가 방사상으로 모두 동일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동일한 경사로 이루어지므로 인하여, 음식물(F)의 상승 높이를 짧게 또는 길게 하고자 할 경우 모두 힘 또는 스냅에 전적으로 의존하면서 조절하여야만 하여 요리의 섬세한 즐거움을 향유하지도 못하면서 손목 관절 또는 팔 관절에는 무리한 영향까지 미치는 문제점을 낳고 있다.
도 2는 2003년04월07일 공개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0027545호의 프라이팬(이하 선행문헌이라 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프라이팬(1)은 본체(2)와 손잡이(3)를 구비하고, 본체(2)의 밑부분에는 그 중심이 산 형상으로 이루어져 본체(2) 밑의 하부에 돔형의 축열공간(5)을 형성하고, 본체(2) 안에 대해서는 그 외주에 세워진 부분(2a)에 따른 부분(2b)이 가장 낮은 저위로 이루어지도록 설계된다.
선행기술문헌의 프라이팬(1) 역시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일반적인 프라이팬과 마찬가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워진 부분(2a)이 모두 동일한 높이 및 동일한 경사를 이루고 있어 음식물을 뒤집고자 할 때 다양성을 줄 수 없는, 즉 음식물의 상승 높이에 따른 팔 힘과 관절 스냅에 대한 크기를 유연하게 맞출 수 없어 손목 관절 내지는 팔 관절에 여전히 무리한 영향을 주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0027545호(프라이팬)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의 요리시 주방장의 필요동작에 적극적이면서도 섬세하게 부응하여 요리의 즐거움과 더불어 손목 관절이나 팔 관절에 대한 영향 역시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는 주방장용 프라이팬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의 상승 높이에 따라 용기의 둘레면을 유효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즉 음식물을 작은 높이로 상승시켜 뒤집게 할 경우 둘레면 중 급경사면을 활용토록 하고 음식물을 큰 높이로 상승시켜 뒤집게 할 경우 둘레면 중 완경사면을 활용토록 할 수 있는 주방장용 프라이팬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열에 의한 음식물의 타는 현상을 더욱 유연하게 해소토록 할 수 있는 주방장용 프라이팬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오른손잡이 또는 왼손잡이에 따라 국물을 따르고자 할 때 손잡이를 잡은 후 용기의 완경사면을 살짝 들어 올리면서 정역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손목 관절에 가해질 수 있는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주방장용 프라이팬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단 테두리, 상기 상단 테두리보다 작은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상단 테두리에 이르는 둘레면으로 된 용기와, 상기 용기의 둘레면에 장착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주방장용 프라이팬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상단 테두리의 중심을 기준으로 볼 때 상기 바닥면의 중심이 상기 손잡이 쪽으로 편심되게 배치되어 상기 손잡이 쪽 둘레면으로 하여금 급경사면을 이루도록 하고 상기 손잡이 반대쪽 둘레면으로 하여금 완경사면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음식물의 요리시 주방장의 필요동작에 적극적이면서도 섬세하게 부응하여 요리의 즐거움과 더불어 손목 관절이나 팔 관절에 대한 영향 역시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주방장이 프라이팬을 활용하여 음식물을 뒤집고자 할 때, 음식물의 상승 길이, 즉 음식물의 상승 높이를 항상 동일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짧게 상승시켜 뒤집거나 길게 상승시켜 뒤집는 동작을 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주방장의 필요동작을 섬세하게 파악하고, 상단 테두리의 중심을 기준으로 볼 때 바닥면의 중심을 손잡이 쪽으로 편심되게 배치시켜 손잡이 쪽 둘레면으로 하여금 급경사면을 이루도록 하고 손잡이 반대쪽 둘레면으로 하여금 완경사면을 이루도록 용기를 설계하여, 음식물의 상승 높이에 따라 용기의 둘레면을 유효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즉 음식물을 작은 높이로 상승시켜 뒤집게 할 경우 둘레면 중 급경사면을 활용토록 하고 음식물을 큰 높이로 상승시켜 뒤집게 할 경우 둘레면 중 완경사면을 활용토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음식물을 평면상으로 회전시키고자 할 때 바닥면과 더불어 둘레면을 따라 타원형으로 선회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열에 의한 음식물의 타는 현상을 더욱 유연하게 해소토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오른손잡이 또는 왼손잡이에 따라 국물을 따르고자 할 때 손잡이를 잡은 후 용기의 완경사면을 살짝 들어 올리면서 정역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손목 관절에 가해질 수 있는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음식물에 대한 요리를 편리하고 즐겁게 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주방장의 필요 선택에 따라 음식물을 부드러운 스냅 또는 급격한 스냅으로 다양하게 뒤집을 수 있도록 하여 관절 부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a는 일반적인 프라이팬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b는 일반적인 프라이팬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c는 일반적인 프라이팬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d 및 도 1e는 일반적인 프라이팬으로 음식물을 뒤집는 동작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2003년04월07일 공개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0027545호의 프라이팬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장용 프라이팬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장용 프라이팬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장용 프라이팬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d 및 도 3e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장용 프라이팬으로 음식물을 뒤집는 동작을 보여주는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주방장용 프라이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장용 프라이팬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방장용 프라이팬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와 손잡이(30)로 이루어진다.
용기(10)는 상단 테두리(11), 상단 테두리(11)보다 작은 바닥면(12) 및 바닥면(12)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단 테두리(11)에 이르는 둘레면(13)으로 구성된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장용 프라이팬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도면 중 부호 20은 손잡이(30)를 장착시키기 위하여 용기(10)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를 지지한다],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장용 프라이팬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방장용 프라이팬의 용기(10)는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테두리(11)의 중심을 기준으로 볼 때 바닥면(12)의 중심이 손잡이(30) 쪽으로 편심되게 배치되어 손잡이(30) 쪽 둘레면(13)으로 하여금 급경사면(13a)을 이루도록 하고 손잡이(30) 반대쪽 둘레면(13)으로 하여금 완경사면(13b)을 이루도록 설계된다.
도 3d 및 도 3e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장용 프라이팬으로 음식물을 뒤집는 동작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방장이 손잡이(30)를 파지하여 작은 반경의 스냅으로 끌어당긴 후 밀면서 상승시킬 경우 바닥면(12)에 수용된 음식물(F)이 급경사면(13a)을 타고 짧게 상승한 후 뒤집히면서 바닥면(12)에 낙착되고,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으로 주방장이 손잡이(30)를 파지하여 큰 반경의 스냅으로 민 후 끌어당기면서 상승시킬 경우 바닥면(12)에 수용된 음식물(F)이 완경사면(13b)을 따라 길게 상승한 후 뒤집히면서 바닥면(12)에 낙착된다.
주방장이 프라이팬을 활용하여 음식물(F)을 뒤집고자 할 때, 음식물(F)의 상승 길이, 즉 음식물(F)의 상승 높이를 항상 동일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 짧게 상승시켜 뒤집거나 길게 상승시켜 뒤집는 동작을 취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주방장의 필요동작을 섬세하게 파악하고, 상단 테두리(11)의 중심을 기준으로 볼 때 바닥면(12)의 중심을 손잡이(30) 쪽으로 편심되게 배치시켜 손잡이(30) 쪽 둘레면(13)으로 하여금 급경사면(13a)을 이루도록 하고 손잡이(30) 반대쪽 둘레면(13)으로 하여금 완경사면(13b)을 이루도록 용기(10)를 설계하여, 음식물(F)의 상승 높이에 따라 용기(10)의 둘레면(13)을 유효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즉 음식물(F)을 작은 높이로 상승시켜 뒤집게 할 경우 둘레면(13) 중 급경사면(13a)을 활용토록 하고 음식물(F)을 큰 높이로 상승시켜 뒤집게 할 경우 둘레면(13) 중 완경사면(13b)을 활용토록 하여, 주방장의 필요동작에 적극적이면서도 섬세하게 부응하여 요리의 즐거움과 더불어 손목 관절이나 팔 관절에 대한 영향 역시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급경사면(13a) 및 완경사면(13b)은 바닥면(12)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단 테두리(11)를 향하여 외향 볼록의 유선형의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바닥면(12)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단 테두리(11)에 이르는 둘레면(13)의 길이는 급경사면(13a)으로부터 완경사면(13b)을 향할수록 점점 더 길어지도록 하고, 바닥면(12)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단 테두리(11)에 이르는 둘레면(13)의 경사 역시 급경사면(13a)으로부터 완경사면(13b)을 향할수록 점점 더 완만해지도록 하여, 음식물(F)을 평면상으로 회전시키고자 할 때 바닥면(12)과 더불어 둘레면(13)을 따라 타원형으로 선회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열에 의한 음식물(F)의 타는 현상을 더욱 유연하게 해소토록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주방장용 프라이팬은 손잡이(30)를 기준으로 볼 때 상단 테두리(11)의 8시 내지 9시 사이 또는 3시 내지 4시 사이에 국물을 따를 수 있도록 유도하는 물꼬(11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물꼬(11a)는 손잡이(30)를 기준으로 볼 때 사용자의 왼손잡이 또는 오른손잡이에 따라 상단 테두리(11)의 9시 방향 또는 3시 방향에 형성되는데, 이러할 경우 국물을 따르기 위하여 용기(10)의 수평방향에 대하여 교차되는 수직방향으로 정역 회전을 해야만 하여 손목 관절에 무리한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물꼬(11a)를 상단 테두리(11)의 8시 내지 9시 사이(바람직하게 8시 반경; 시침 기준) 또는 3시 내지 4시 사이(바람직하게 3시 반경; 시침 기준)에 형성시켜, 오른손잡이 또는 왼손잡이에 따라 국물을 따르고자 할 때 손잡이(30)를 잡은 후 용기(10)의 완경사면(13b)을 살짝 들어 올리면서 정역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손목 관절에 가해질 수 있는 영향을 최소화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방장용 프라이팬은 음식물(F)에 대한 요리를 편리하고 즐겁게 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주방장의 필요 선택에 따라 음식물(F)을 부드러운 스냅 또는 급격한 스냅으로 다양하게 뒤집을 수 있도록 하여 관절 부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기름을 두르고 여러 가지 음식을 지지거나 부쳐 만들기 위한 넓적한 냄비, 자장 소스 또는 볶음밥 등을 볶을 때나 탕수육 등과 같은 튀김을 만들 때 사용되는 궁중팬(WOK) 등과 같은 프라이팬 산업분야에 이용될 수 있고, 특히 본 발명에서 주방장용 프라이팬이라 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쓰임에 대한 설명일 뿐 이에 크게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하며, 일반 가정주부가 사용하는 통상의 프라이팬 분야까지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용기 11 : 상단 테두리
11a : 물꼬 12 : 바닥면
13 : 둘레면 13a : 급경사면
13b : 완경사면 30 : 손잡이
F : 음식물

Claims (5)

  1. 상단 테두리(11), 상기 상단 테두리(11)보다 작은 바닥면(12) 및 상기 바닥면(12)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상단 테두리(11)에 이르는 둘레면(13)으로 된 용기(10)와, 상기 용기(10)의 둘레면(13)에 장착된 손잡이(30)를 포함하는 주방장용 프라이팬에 있어서,
    상기 용기(10)는 상기 상단 테두리(11)의 중심을 기준으로 볼 때 상기 바닥면(12)의 중심이 상기 손잡이(30) 쪽으로 편심되게 배치되어 상기 손잡이(30) 쪽 둘레면(13)으로 하여금 급경사면(13a)을 이루도록 하고 상기 손잡이(30) 반대쪽 둘레면(13)으로 하여금 완경사면(13b)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30)를 파지하여 작은 반경의 스냅으로 끌어당긴 후 밀면서 상승시킬 경우 상기 바닥면(12)에 수용된 음식물(F)이 상기 급경사면(13a)을 타고 짧게 상승한 후 뒤집히면서 상기 바닥면(12)에 낙착되고,
    상기 손잡이(30)를 파지하여 큰 반경의 스냅으로 민 후 끌어당기면서 상승시킬 경우 상기 바닥면(12)에 수용된 음식물(F)이 상기 완경사면(13b)을 따라 길게 상승한 후 뒤집히면서 상기 바닥면(12)에 낙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장용 프라이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12)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상단 테두리(11)에 이르는 상기 둘레면(13)의 길이는 상기 급경사면(13a)으로부터 상기 완경사면(13b)을 향할수록 점점 더 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장용 프라이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12)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상단 테두리(11)에 이르는 상기 둘레면(13)의 경사는 상기 급경사면(13a)으로부터 상기 완경사면(13b)을 향할수록 점점 더 완만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장용 프라이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30)를 기준으로 볼 때 상기 상단 테두리(11)의 8시 내지 9시 사이 또는 3시 내지 9시 사이에 국물을 따를 수 있도록 유도하는 물꼬(11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장용 프라이팬.





  5. 삭제
KR1020140003196A 2014-01-10 2014-01-10 주방장용 프라이팬 KR101536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196A KR101536924B1 (ko) 2014-01-10 2014-01-10 주방장용 프라이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196A KR101536924B1 (ko) 2014-01-10 2014-01-10 주방장용 프라이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6924B1 true KR101536924B1 (ko) 2015-07-17

Family

ID=53873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3196A KR101536924B1 (ko) 2014-01-10 2014-01-10 주방장용 프라이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69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3960A (ko) 2019-07-29 2021-02-08 정승기 프라이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510U (ko) * 1989-06-16 1991-01-31
KR20130006256U (ko) * 2012-04-20 2013-10-30 주식회사 엠엘씨 프라이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510U (ko) * 1989-06-16 1991-01-31
KR20130006256U (ko) * 2012-04-20 2013-10-30 주식회사 엠엘씨 프라이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3960A (ko) 2019-07-29 2021-02-08 정승기 프라이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1190B1 (ko) 주방기구 배치부를 갖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뚜껑을 포함하는 조리기구
US2466347A (en) Strainer
KR101536924B1 (ko) 주방장용 프라이팬
US9131805B1 (en) Ultimate taco shaper
CN205612259U (zh) 一种防溅炒锅
KR200488944Y1 (ko) 채반용 지지대
US20110038999A1 (en) Cookware with reservoir
CN203873533U (zh) 厨师长用不粘锅
JP6547156B1 (ja) 調理用鍋
US901326A (en) Skillet-support.
CN208017402U (zh) 烹饪锅
KR101510162B1 (ko) 주방용 가열용기
KR102484110B1 (ko) 프라이팬
KR20160046678A (ko) 다기능 조리용 뒤집개
CN210643668U (zh) 回飞锅
JP7400136B1 (ja) 鍋蓋
JP2014168598A (ja) フライパン
JP3140107U (ja) 調理用具
KR200376113Y1 (ko) 타원 형상을 갖는 생선 튀김용 프라이팬
KR20240023404A (ko) 음식이 흘러내리지 않는 포크
KR200411800Y1 (ko) 테이블용 요리판 세트
KR200236588Y1 (ko) 용기걸이 일체형 주방기구
CN201557963U (zh) 一种多功能锅
JP3203119U (ja) 蒸しプレート及び蒸しプレートを有する多機能調理器具
KR200353795Y1 (ko) 그릇기능을 갖는 라면냄비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